KR20040104292A -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 Google Patents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292A
KR20040104292A KR1020030075682A KR20030075682A KR20040104292A KR 20040104292 A KR20040104292 A KR 20040104292A KR 1020030075682 A KR1020030075682 A KR 1020030075682A KR 20030075682 A KR20030075682 A KR 20030075682A KR 20040104292 A KR20040104292 A KR 20040104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oilet
pipe
ball top
toilet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Original Assignee
이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수 filed Critical 이길수
Priority to KR1020030075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4292A/ko
Publication of KR20040104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29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8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foot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Abstract

실내용 변기에서 사용 후 물로 세척할 때 현재 변기로는 그 량이 일정하여 소량을 사용해도 될 경우 배출되는 세척수의 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지 않아 어는 경우에는 물을 낭비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고, 또 변의 량이나 과식 등으로 더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잠시 기다리면서 또 같은 량의 세척 수를 배출시켜야 하는 등 불합리한 일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이폰 없는 평저 실내 변기를 발명하였으나 이것도 변기를 제작하는 문제와 설치하는 기술적인 문제로 실용화하는데 다각적으로 문제가 내포되어 있어서 적은 량의 물로 쉽게 세척되는 또 다른 변기를 개발하고 이를 실용신안으로 출원하는 내용이다.

Description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Moderated wash saving chamber pot to combinate with both superiorities as an old fashion and a modern po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분야는 사이폰 없는 변기나 평저 변기와 달리 제작하는데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세척 수를 가두고 배출하는 부위를 감편하게 줄인 발명이다.
그러므로 복잡하게 형성되는 세척용 물탱크와 직수관으로 형성되는 부분을 모두 제외하고 오직 수압으로 내려오는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배출시키도록 하고 소변과 대변을 구분하여 밟도록 된 페달을 하나로 통일시켜 쉽고 용이하게 제작함은 물론 사용할 때도 구분 없이 하나의 페달을 사용하므로 오작동이 없도록 하였다.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검토하여 양변기에서 발생되는 사이폰에 의한 일정 량의 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문제점과 재래식의 변기에서 사이폰이 없다면 냄새가 배출시키는 파이프를 타고 올라와 실내를 오염시키는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게 사이폰 대신에 고무마개를 사용하되 압력이 적어 악취가 세지 않게 일정 량의 물을 가두는 방식으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갔다.
도 1 : 혼합변기의 전체 옆면도
도 2 : (가), (나) 및 (다)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기호 설명〉
10 : 페달 (Pedal) 20 : 지면 (Basic ground)
30 : 볼 탑 (Ball Top) 40 : 로드 (Loader)
50 : 차단 봉 (Close holder) 60 : 고무마개 (Gummy Ball)
70 : 박킹 (Packing-Gasket) 80 : 캡 (Cap)
90 : 본체 (Basic Pot) 100 : 비상 통로 (Side Pass Pipe)
110 : 정화조 연결된 배출파이프, 120 : 변기 내부 앞면 직수통로
현대인들이 즐겨 찾는 변기는 앉을 수 있는 양변기 상부와 뚜껑과 변기 안을 형성하고 밑 부분을 평평하게 하면서 변과 물이 흐를 때 악취가 나지 않도록 구배를 둔 부분을 제거한 본체(90)를 기본으로 하고 밑면을 구배(背) 없이 직접 흐르도록 하였으므로 하수용 연결 파이프(110)에서 올라 올 악취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로 고무마개(60)를 달아 연결된 상단 볼 탑(30)에 의해 올리고 닫히도록 하였다.
변기 뒤쪽에 놓였던 물탱크는 제거하고 배출 수는 수도, 또는 옥상 탱크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장치하여야 하는 단점은 있으나 변기가 차지하던 장소가 없어지므로 좁은 변기 설치공간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안장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변기 뒤의 장소에 오수 배출파이프(110)와 연결되는 변기용 파이프를 제작하여 부착해야 하는데 그 관의 크기는 연결되는 배출파이프(110)보다 다소 크면 된다.
배출파이프(110)와 연결되는 파이프의 상단은 별도로 제작하여 덮는 뚜껑, 즉 캡(80)으로 열고 닫도록 되었으며 그 밑은 팩킹(70)으로 채워 덮도록 되었다.
볼 탑(30) 밑에는 로드(40)로 연결된 차단 봉(50)이 있는데 이 차단 봉(50)이 세척용 관으로 올라 온 물의 비상 통로(100)이나 밑으로 연결된 배출파이프(110)로 직접 흐르지 못하게 하는 역할도 겸하고 있고 바로 그 밑에 고무마개(60)가 있지만 이것은 아래 배출파이프(110)를 위한 것이므로 혹시나 새지 않도록 한 배려와 비상통로(100)를 위한 것이다.
변기(90)를 사용한 후 물로 세척하고자 페달(10)을 밟으면 상기 페달(10)과 연결된 바닥에 묻힌 수도관을 통해 도2의 (가)부분에 불이 채워지면서 수압과 물의 부력에 의해 볼 탑(30)은 위로 상승하게 되고 다시 볼 탑(30)에 연결된 로드(40)도 상승하면서 고무마개(60)도 상승하고 이로서 배출통로(110)가 열리면서 (라)부분에 있던 고인 물과 용변이 같이 흘러내린다. 즉 (가)의 물은 볼 탑(30)이 상승하면서 물은 (다)를 통해 흘러 들어와 변기(90) 안벽을 씻으면서 내려오는데 일부는 변기(90) 앞에 있는 통로(120)로 물이 내려와 (라)에 있는 변이 깨끗이 씻겨 내려간다.
도2의 (다)의 관을 통해 물은 변기 상단부위의 통로로 기존의 변기처럼 물이펼치면서 변기(90)를 세척하는 것은 같으며 변기(90)를 세척하면서 내려오는 물이 도1에 표시된 (라)에 있던 잔여물과 변이 섞여 있다가 유입되는 세척수로 씻겨지는 데 이것은 볼 탑(30)이 상승하면서 제일 아래에 달린 고무마개(60)가 열리고 유입된 세척 수는 (라)에 있는 물과 용변을 함께 씻겨 배출파이프(110)로 내려가 변기(90)가 깨끗하게 되면 즉시 페달(10)에서 발을 떼어 물을 차단시키면 다시 볼 탑(30)이 내려오고 변기(90) 주변에 남은 물은 다시 변기(90) 안의 (라)같이 남는 물로 채워져 고무마개(60)와 (라)의 물로 냄새는 차단되어 깨끗한 변기(90)가 되면서 물은 (라)의 내용물을 보고 페달(10)에서 발을 때므로 물은 자동적으로 절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물쓰듯하는 우리의 습관을 시대적인 요구에 따라 절약을 몸에 배이게 하는 또 하나의 생활교육의 차원에서 사용을 권장해야 할 목적이 있는 만큼 편리하면서 물을 절약하는 생활관의 교육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변기 뒤쪽에 놓였던 물탱크는 제거하고 배출수는 수도, 또는 옥상 탱크를 사용하거나 별도로 장치되고 변기 뒤에 오수 배출파이프(110)와 연결되는 변기용 파이프를 다소 크게 연결되는 파이프의 상단은 덮는 캡(80)으로 열고 닫도록 하고 그 밑은 팩킹(70)으로 채워 덮어 물이 흐를 때 일시에 올라와 넘침을 방지하고 그 내부에는 볼 탑(30)과 그 밑에 로드(40)로 연결하여 차단 봉(50)을 달고 밑에 고무마개(60)를 달며 별도로 비상통로(100)를 두며 페달(10)을 밟으면 유입되는 세척수로 볼 탑(30)이 상승하면서 고무마개(60)가 열리고, 변기(90)의 안쪽벽을 씻어주면서 일부의 물이 변기 앞쪽으로 흘러나오게 만든 통로(120)를 형성하고 배출수는 배출파이프(110)로 내려가고 페달(10)을 놓으면 물이 차단되어 볼 탑(30)이 중력에 의해서 내려오고 변기(90) 주변에 남은 물은 다시 변기(90)에 채워지고 고무마개(60)가 닫혀 자동적으로 절수하게 하는 것이 특징인 양변기와 재래변기를 응용한 물 절약 혼합 변기
KR1020030075682A 2003-10-23 2003-10-23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KR200401042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82A KR20040104292A (ko) 2003-10-23 2003-10-23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682A KR20040104292A (ko) 2003-10-23 2003-10-23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8042U Division KR200327204Y1 (ko) 2003-06-03 2003-06-03 양변기와 재래변기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292A true KR20040104292A (ko) 2004-12-10

Family

ID=3737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682A KR20040104292A (ko) 2003-10-23 2003-10-23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42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4663B1 (ja) * 2022-03-23 2022-10-18 株式会社アルソナ技研 災害対応便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54663B1 (ja) * 2022-03-23 2022-10-18 株式会社アルソナ技研 災害対応便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706178U (zh) 零排水小便池
KR100225965B1 (ko) 생활폐수를 이용한 수세식변기
CN201539010U (zh) 直冲浮塞阀式便器
KR200327204Y1 (ko) 양변기와 재래변기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KR20040104292A (ko) 양변기와 재래변기의 장점만을 응용한 물 절약 혼합변기
CN2769379Y (zh) 节水型座便器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CN208996161U (zh) 马桶的环向防水结构
CN2602080Y (zh) 直排式节水卫生坐便器
CN201087464Y (zh) 抽水马桶节水冲便给水装置
KR100280662B1 (ko) 수세식변기용 재활용수 저장탱크
CN201033884Y (zh) 楼房中水回收利用装置
CN103321287A (zh) 一种固态清洁剂洁厕组件及设有该组件的冲水箱
CN219060249U (zh) 一种男士小便器上加装的节水器
KR20040026312A (ko) 절수형 양변기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CN200996173Y (zh) 柱塞密封式废水冲洗便器
CN208830438U (zh) 一种带小便器的水箱
CN208266967U (zh) 一种方便洗手且可充分利用水资源的小便装置
CN2670459Y (zh) 挡板式磁吸阀门节水座便器
CN2806583Y (zh) 智能节水蹲便器
CN2913472Y (zh) 一种节水装置
CN208395930U (zh) 一种带小便器的冲水箱
CN201474013U (zh) 马桶水箱节水器
CN2911036Y (zh) 直通水压囊塞式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