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2797A -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 Google Patents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2797A
KR20040102797A KR1020030034403A KR20030034403A KR20040102797A KR 20040102797 A KR20040102797 A KR 20040102797A KR 1020030034403 A KR1020030034403 A KR 1020030034403A KR 20030034403 A KR20030034403 A KR 20030034403A KR 20040102797 A KR20040102797 A KR 2004010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ard
cable
solder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2797A/ko
Publication of KR2004010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27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와 보드 사이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특히 케이블을 커넥터에 이단 구조로 솔더링하여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한 이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는, 복수개의 플렉시블 케이블과; 복수개의 플렉시블 케이블 와이어들을 연결시켜 주기 위해, 기판 일측면에 실드라인 및 다수개의 라인 접점을 다단으로 구성하고, 기판 타측면에 다중으로 서로 다른 유니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핀을 갖는 기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기판 커넥터에는 실드라인 및 다수개의 라인 접점은 2단 또는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Connector between boards witeh multi cable solder}
본 발명은 보드와 보드 사이를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특히 케이블을 커넥터에 이단 구조로 솔더링하여 인터페이스가 가능하도록 한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드 대 보드 방식의 커넥터는 이동전화, 개인휴대단말기(PDA), 노트북 PC등 휴대용 소형 기기에 적합하며, 안정된 결합 방식과 PCB 공간 절약형으로 적용될 수있다.
서로 다른 유니트가 힌지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위치에서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플렉시블 케이블을 많이 사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예로서, 본체와 디스플레이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하는 노트북 컴퓨터나 휴대용 디스크 재생장치와 같은 휴대형 전자기기를 들 수 있다.
도 1에는 종래 플렉시블 케이블 장착구조가 개략 구성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유니트(10)와 제 2유니트(20)는 힌지 조립체(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힌지조립체(30)를 중심으로 예를 들어 제 2유니트(20)가 제 1유니트(10)에 대해 소정 각도 회전된다.
즉, 힌지 조립체(30)의 제 1힌지판(30)은 상기 제 1유니트(10)에 체결되고, 상기 제 1힌지판(31)과 연결힌지(33)를 통해 연결된 제 2힌지판(32)은 상기 제 2유니트측으로 체결되어 상기 제 1유니트(10)와 제 2유니트(20)가 상대적으로 회전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 1유니트(10)와 제 2유니트(20) 사이의 전기적 신호 연결은 플렉시블 케이블(4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40)은 제 1유니트(10)나 제 2유니트(20)에 구비될 수 있는 케이블샤프트(12)에 감아진 상태로 상기 제 1유니트(10)에서 제 2유니트(20)로 연장된다.
이러한 플렉시블 기판(40)은 서로 다른 유니트(노트북 컴퓨터 본체와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기판과 인터페이스되도록 단부에 커넥터(42)가 연결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보통 보드 대 보드 방식의 커넥터가 주로 사용된다.
종래 보드 대 보드 방식의 커넥터는 종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은 보드 대 보드 방식의 플렉시블 커넥터 구성도이며, 도 3는 보드 대 보드 방식의 플렉시블 커넥터 결합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보드와 보드를 전기적 신호로 연결시켜 주기 위한 플렉시블 케이블(110)과,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110)과 보드 사이를 연결시켜 주기 위해 상기 플렉시블 케이블 단부에 접속된 기판 커넥터(120)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 커넥터(120)는 일측면(121)에 플렉시블 케이블(110)의 와이어(111)들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와이어 접점(122) 및 케이블 고정을 위한 실드라인(122)이 형성되며, 타측면(125)에 상기 라인 접점(122)과 연결된 플러그 커넥터(126)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커넥터(126)는 소켓 또는 플러그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방식의 커넥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케이블(110)은 다수의 와이어(111)들이 하나의 조를 이루어 묶여 있고 플렉시블 케이블 몸체 부분이 보호용 커버 등으로 클램핑(112)되며, 케이블 단부에는 도 3과 같이 다수의 와이어들이 기판 커넥터(120)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된다.
이를 위해 기판 커넥터(120)에는 기판 일측면(121)에 와이어 접점(122)과 실드라인(123)이 형성되며, 도 3의 (b)와 같이 기판 타측면(125)에 상기 와이어 접점(122)과 커넥터 핀이 각각 연결되는 플러그 커넥터(126)를 갖는다.
그러므로, 플렉시블 케이블(110)의 와이어(111)들을 상기 와이어 접점(122)에 각각 연결시키면 전기적으로 케이블 와이어(111)들이 플러그 커넥터(126)의 핀들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도 2의 (a)와 같이 플렉시블 케이블 와이어들(111)의 이탈 방지 및 접점 보호를 위해 실드라인(123) 상에 와이어 고정부(124)를 납땜하게 된다.
여기서, 기판 커넥터(120)는 하나의 보드(또는 유니트) 상에서 연결되는 플렉시블 케이블 즉, 인버터 모듈에서 나오는 케이블 또는 LCD 모듈에서 나오는 케이블 중 하나만을 연결시켜 주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유니트 상에서 인출된 두 개의 플렉시블 케이블을 연결하고자 할 경우에는 두 개의 기판 커넥터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커넥터를 메인보드 상에 연결시켜 주게 된다.
또한, 두 개의 플렉시블 케이블을 각각의 커넥터 기판 상에 연결하여 보드 상에 연결시킬 경우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또 메인보드 상에 상기 커넥터들과 상대적인 커넥터들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단 솔더링 방식을 갖는 커넥터 접속 방식은 서로 다른 유니트 상에서 인출되는 플렉시블 케이블이 많을 경우 공간 및 고 집적에 따른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한정된 공간에서의 설계상 어려운 문제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모듈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들을 하나의 커넥터 기판상에 솔더링하고 솔더링된 케이블을 메인 보드에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 공간 상에 어려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이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특징은 이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커넥터 기판은 기판의 일측면에 이단으로 솔더링 구조를 갖고 타측면에 플러그 커넥터를 갖는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일측 핀은 제 1유니트 핀이며, 타측핀은 제 2유니트 핀으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도록 한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특징은 서로 다른 유니트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들을 메인보드 상에 설치된 하나의 커넥터를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한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커넥터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휴대용 컴퓨터의 플렉시블 케이블 장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일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일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구조를 나타낸 결합 정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이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의 결합 정면도 및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220...플렉시블 케이블 211,221...와이어
230...기판 커넥터 232,234...와이어 접점
233,235...실드 라인 243,245...와이어 고정부
237...플러그 커넥터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케이블 솔더용 기판 커넥터 구조는,
복수개의 플렉시블 케이블과;
복수개의 플렉시블 케이블 와이어들을 연결시켜 주기 위해, 기판 일측면에 실드라인 및 다수개의 라인 접점을 다단으로 구성하고, 기판 타측면에 다중으로 서로 다른 유니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핀을 갖는 기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기판 커넥터에는 실드라인 및 다수개의 라인 접점은 2단 또는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 커넥터의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또는 소켓 커넥터로서, 커넥터 핀이 복수개의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케이블 솔더용 기판 커넥터 구조이며, 도 5의 (a)는 플렉시블 케이블과 기판 커넥터 결합 정면도이며, 도 5의 (b)는 결합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 플렉시블 케이블(210,220)과; 제 1 및 제 2 플렉시블 케이블(210,220)의 와이어(211,22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기 위해, 기판 일측면(231)에 다수개의 라인 접점(232,234) 및 실드라인(233,235)을 이단으로 구성하고, 기판 타측면(236)에 양측으로 서로 다른 케이블 와이어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핀을 갖는 커넥터(237)를 포함하는 기판 커넥터(230)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기판 일측면(231)의 실드라인 및 다수개의 라인 접점은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케이블 솔더용 기판 커넥터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및 제 2플렉시블 케이블(210,220)의 와이어들을 하나의 조로 묶고 이들을 다시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커버(215) 등으로 클램핑시킨다.
그리고, 제 1플렉시블 케이블(210,220) 및 제 2플렉시블 케이블(220)의 끝단의 와이어(211,221)들은 하나의 기판 커넥터(230)에 연결되도록 서로 다른 길이로 인출한다.
그리고, 기판 커넥터(230)는 기판 일측면(231)으로 다수개의 와이어 접점(232,234) 및 실드 라인(233,235)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이단으로 구성되며, 도 5의 (b)와 같이 기판 타측면(236)으로 플러그 커넥터(237) 양측에 서로 다른 와이어들과 연결되는 핀이 구성된다. 실시 예로서, 커넥터(237)는 양측이 서로 다른 플렉시블 케이블과 인터페이스되도록 핀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 플러그 커넥터를 복수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소켓 또는 플러그 일수도 있다.
이러한 기판 커넥터(230)는 보드 대 보드 연결 방식에 사용되는 것으로, 실시 예로 LCD 모듈 및 인터버 모듈을 메인보드 상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인터페이스케이블과 일체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제 1플렉시블 케이블(210)의 각 와이어(211)들은 상기 제 1 와이어 접점(232)에 전기적으로 납땜 연결되며, 제 2플렉시블 케이블(220)의 각 와이어(221)들은 상기 제 2와이어 접점(234)에 전기적으로 납땜 연결된다.
그리고, 도 5의 (a)와 같이 제 1플렉시블 케이블(210)의 와이어들은 제 1실드라인(233) 상에 납땜되는 제 1와이어 고정부(243)에 의해 고정되며, 제 2플렉시블 케이블(220)의 와이어(221)들은 제 2실드라인(235) 상에 납땜되는 제 2와이어 고정부(245)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즉, 제 1 및 제 2와이어 고정부(243,245)는 제 1 및 제 2플렉시블 케이블(210,220)의 와이어(211,221)들이 와이어 접점(232,234)과 연결되는 납땜 부위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면을 눌러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기판 커넥터(230)의 플러그 커넥터(237)는 양쪽 핀으로 각 케이블들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 접점(232,234)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도 5의 (b)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237)는 제 1 및 제 2와이어 접점(232,234)들과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넥터 핀을 양측으로 구분하여 나누거나, 또는 커넥터를 복수개 구비할 수도 있다.
실시 예로서, 서로 다른 유니트의 플렉시블 케이블들을 하나의 커넥터에 연결시켜 주기 위해 기판 커넥터를 2단이 아닌 3단, 4단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점차 고기능 및 컴팩트한 공간에서 많은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어, 플렉시블 케이블을 하나의 기판 커넥터 상에 솔더링하여 공간 부족을 해결하여 고 집적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는 복수개의 플렉시블 케이블의 와이어들을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서 인터페이스할 수 있도록 커넥터를 이단, 그 이상이 단으로 솔더링함으로써, 공간 부족을 해결하는 한편, 많은 케이블 인터페이스 요구시에 고 집적화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복수개의 플렉시블 케이블과;
    복수개의 플렉시블 케이블 와이어들을 연결시켜 주기 위해, 기판 일측면에 실드라인 및 다수개의 라인 접점을 다단으로 구성하고, 기판 타측면에 다중으로 서로 다른 유니트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핀을 갖는 기판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넥터에는 실드라인 및 다수개의 라인 접점은 2단 또는 3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커넥터의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또는 소켓 커넥터로서, 커넥터 핀이 복수개의 케이블과 연결되도록 양측으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KR1020030034403A 2003-05-29 2003-05-29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KR20040102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403A KR20040102797A (ko) 2003-05-29 2003-05-29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4403A KR20040102797A (ko) 2003-05-29 2003-05-29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2797A true KR20040102797A (ko) 2004-12-08

Family

ID=37379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4403A KR20040102797A (ko) 2003-05-29 2003-05-29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27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961B2 (en) Expansible interface for modularized printed circuit boards
US6524119B2 (en) Connector adapted to handling of different kinds of signals including high-speed signals
US8083541B2 (en) Flat cable connection wire assembly applicable for signal transmission interface
US8559189B2 (en) Riser card for power supply
US754406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interconnect
US20090142946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SD protection
US20030040206A1 (en) Portable computer having a common connector coupled to a wireless antenna and a modem connector
JPH04368785A (ja) 同軸マルチ混在コネクタ
US6315609B1 (en) Structure universal serial bus connector female socket
JP2003197294A (ja) 圧着コネクタを有するケーブル構造体モジュール
US9439286B2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onic component of electronic device
US20140079265A1 (en) Electronic device with loudspeaker
US647152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feature
US8076592B2 (e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preventing module
US7445468B2 (en) Low profile structure
US6599143B1 (en) Variably positionable electrical connector
US20070254511A1 (en) Adapter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100366921B1 (ko)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수의 접점들이 복수의 접점그룹들로 집합되어지는 커넥터
KR20040102797A (ko) 다단 케이블 솔더를 갖는 보드간 커넥터
US7476106B1 (en) Rotatable signal socket
EP1729553B1 (en) Reduced size structure
CN209805879U (zh) 一种整合fpc的新型手机
CN211719918U (zh) 电子设备
KR100505641B1 (ko) 메모리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메모리 시스템
CN215418867U (zh) 一种音频转接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