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764A -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764A
KR20040100764A KR1020030033228A KR20030033228A KR20040100764A KR 20040100764 A KR20040100764 A KR 20040100764A KR 1020030033228 A KR1020030033228 A KR 1020030033228A KR 20030033228 A KR20030033228 A KR 20030033228A KR 20040100764 A KR20040100764 A KR 20040100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electrode line
electrode
base substrat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0764A/ko
Publication of KR20040100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76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5/00Lamps without any electrode inside the vessel; Lam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65/04Lamps in which a gas filling is excited to luminesce by an external electromagnetic field or by external corpuscular radiation, e.g. for indicating plasma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1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for a plurality of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가 개시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외부 전극을 갖고 광을 발생하는 램프,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된 구동 전압을 외부 전극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극선 및 램프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면서 전극선으로부터 제공된 구동 전압을 외부 전극으로 제공하기 위한 고정판을 구비한다. 고정판은 베이스 기판,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램프를 고정하고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전극선을 고정하고 전극선과 외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조립 공정 수가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 및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최근 들어, 액정표시장치의 사이즈가 대형화됨에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정의하는 액정표시패널의 사이즈도 증가된다. 또한, 액정표시패널의 사이즈가 증가됨에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도 액정표시패널의 후면에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의 램프를 갖는 직하형 구조로 변형된다.
직하형 구조에 채용되는 램프들은 방전 가스가 주입된 튜브의 양단부를 감싸면서 형성된 제1 및 제2 외부 전극을 각각 구비한다. 램프의 양단부는 제1 및 제2 고정판에 각각 고정되어 제1 및 제2 외부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고정판은 제1 및 제2 전극선을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전압을 각각 제공받고, 구동전압을 제1 및 제2 외부 전극으로 각각 인가한다. 이때, 상기제1 고정판과 상기 제1 전극선은 스크류 체결되고, 상기 제2 고정판과 상기 제2 전극선도 스크류 체결된다.
이처럼,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이 상기 제1 및 제2 전극선과 각각 스크류 체결됨으로써, 직하형 구조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판의 제1 전극선 고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고정판에 제1 전극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를 절단선 A-A`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4를 절단선 B-B`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절단선 C-C`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210 : 램프 유닛
220 : 제1 고정판 221 : 제1 램프 고정부
222 : 제1 전극선 고정부 222a : 제1 홀더
222b : 제2 홀더 223 : 제1 전극선
223a : 제1 리드선 223b : 제1 피복
230 : 제2 고정판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램프, 전극선 및 고정판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 전극으로 이루어져 광을 발생하고, 상기 전극선은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된 구동 전압을 상기 외부 전극으로 인가한다.
상기 고정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고 상기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극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극선과 상기 외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는 램프, 전극선,고정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 전극으로 이루어져 광을 발생한다. 상기 전극선은 구동 전압을 상기 외부 전극으로 인가한다.
상기 고정판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고 상기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극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극선과 상기 외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고정판에 전극선을 고정하기 위한 전극선 고정부가 고정판에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상기 전극선을 고정판에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써, 조립 공정 수가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절감되어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병렬로 배치된 다수의 램프(211)로 이루어진 램프 유닛(210), 상기 램프들(211)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211)들 각각은 튜브(211a), 제1 외부 전극(211b) 및 제2 외부 전극(211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튜브(211a)는 방전 가스가 주입되어 있고 특정 방향으로 연장된 유리관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1 외부 전극(211b)은 상기 튜브(211a)의 제1 단부에서 상기 튜브(211a)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1 구동 전압을 제공받는다. 상기 제2 외부 전극(211c)는 상기 튜브(211a)의 제2 단부에서 상기 튜브(211a)의 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제2 구동 전압을 제공받는다.
따라서, 상기 램프(211)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211b, 211c)을 통해 제공된 상기 제1 및 제2 구동 전압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한다. 일 예로써, 상기 제1 구동 전압과 상기 제2 구동전압 중 어느 하나는 접지 전압 레벨을 유지하고, 다른 하나는 교류 전압으로 상기 접지 전압 레벨을 기준으로 스윙한다.
상기 램프(211)들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외부 전극(211b, 211c)이 구비된 영역으로써, 광을 발생하지 않는 영역인 비유효 발광 영역(NEA) 및 상기 제1 외부 전극(211b)과 제2 외부 전극(211c)과의 사이의 영역으로써 광을 발생하는 영역인 유효 발광 영역(E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고정판(220)은 다수의 제1 램프 고정부(221)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211)들의 제1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판(220)은 상기 제1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외부 전극(2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판(220)은 제1 전극선 고정부(222)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1 전극선(223)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판(220)은 외부 장치(미도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상기 제1 전극선(223)을 통해 공급받는다. 이로써, 상기 제1 고정판(220)은 상기 제1 전극선(223)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상기제1 외부 전극(211b)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판(230)은 다수의 제2 램프 고정부(231)를 구비하여 상기 램프(211)들의 제2 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판(230)은 상기 제2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제2 외부 전극(211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고정판(230)은 제2 전극선 고정부(232)를 더 구비하여 상기 제2 전극선(233)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판(230)은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제2 전극선(233)을 통해 공급받는다. 이로써, 상기 제2 고정판(230)은 상기 제2 전극선(233)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제2 외부 전극(211c)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전극선(223)은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전송하는 제1 리드선(223a) 및 상기 제1 리드선(223a)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리드선(223a)을 보호하기 위한 제1 피복(223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전극선(223)은 상기 제1 피복(223b)이 상기 제1 리드선(223a)을 감싸고있지 않은 제1 도전부(C1) 및 상기 제1 피복(223b)이 상기 제1 리드선(223a)을 감싸고있는 제1 절연부(I1)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선(233)은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전송하기 위한 제2 리드선(233a) 및 상기 제2 리드선(233a)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리드선(233a)을 보호하기 위한 제2 피복(233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선(233)은 상기 제2 피복(233b)이 상기 제2 리드선(233a)을 감싸고있지 않은 제2 도전부(C2) 및 상기 제2 피복(233b)이 상기 제2 리드선(233a)을 감싸고 있는 제2절연부(I2)로 구분된다.
상기 제1 전극선 고정부(222)는 상기 제1 도전부(C1)와 결합하기 위한 제1 홀더(222a) 및 상기 제1 절연부(I1)와 결합하기 위한 제2 홀더(2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전극선 고정부(233)는 상기 제2 도전부(C2)와 결합하기 위한 제3 홀더(232a) 및 상기 제2 절연부(I2)와 결합하기 위한 제4 홀더(232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램프 유닛(210),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을 수납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2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260)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부(261, 26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납부(261)와 제2 수납부(262)와의 사이에 상기 램프 유닛(210)의 유효 발광 영역(EA)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63)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몰드 프레임(260)의 상기 제1 및 제2 수납부(261, 262)에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이 각각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 유닛(210)의 램프(211)들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에 각각 결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판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판의 제1 전극선 고정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단, 도 2 내지 도 3b에서는 제1 고정판(220)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상기 제1 고정판(22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 고정판(230)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고정판(220)은 베이스 기판(224), 상기 베이스 기판(224)으로부터 돌출되고 램프의 제1 단부(도 1에 도시됨)와 결합되는 제1 램프고정부(221) 및 상기 베이스 기판(224)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전극선(도 1에 도시됨)과 결합되는 제1 전극선 고정부(222)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1)는 상기 베이스 기판(224)으로부터 절개된 후 일정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날개(224a, 22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날개(224a, 224b)는 상기 램프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 공간(224g)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날개(224a, 224b)는 상기 램프의 곡률 반경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고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날개(224a, 224b)는 상기 제1 수납 공간(224g)에 수납된 상기 램프가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날개(224a, 224b) 각각의 단부는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램프가 상기 수납 공간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입구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홀더(222a)는 상기 베이스 기판(224)으로부터 절개된 후 일정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는 상기 제1 전극선의 제1 도전부(도 1에 도시됨)를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 공간(224g)을 형성한다.
한편, 도 2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홀더(222b)는 상기 베이스 기판(224)으로부터 절개된 후 일정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는 상기 제1 전극선의 제1 절연부(도 1에 도시됨)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 공간(224h)을 형성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 고정판에 제1 전극선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는 도 4를 절단선 A-A`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4를 절단선 B-B`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에 의해서 정의된 제1 수납 공간(224g)에 제1 전극선(223)의 제1 도전부(C1)가 수납된다. 이후에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의 단부는 상기 제1 수납 공간(224g)의 내부로 여러번 절곡된다.
도 5a에서는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가 각각 3번씩 절곡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가 3번 절곡될 경우,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의 절곡된 면과 상기 제1 전극선(223a)이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와 상기 제1 전극선(223a)이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제1 전극선(223a)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고정판은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가 2번 절곡되는 구조도 충분히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 날개(224c, 224d)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제1 도전부(C1)를 상기 베이스 기판(224) 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도전부(C1)는 제1 홀더(222a)에 의해서 제1 고정판(2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판(220)과 전기적인 도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에 의해서 정의된 제2 수납 공간(224h)에 제1 절연부(I1)가 수납된다. 이후에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의 단부는 상기 제2 수납 공간(224h)의 내부로 여러번 절곡된다.
도 5b는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가 각각 3번씩 절곡된 구조를 도시한다.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가 3번 절곡될 경우,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의 절곡된 면과 상기 제1 피복(223b)이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와 상기 제1 피복(223b)이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제1 피복(223b)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고정판은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가 2번 절곡되는 구조도 충분히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제5 및 제6 날개(224e, 224f)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제1 절연부(I1)를 상기 베이스 기판(224) 측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상기 제1 절연부(I1)는 제2 홀더(222b)에 의해서 상기 제1 고정판(2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홀더(222a)가 상기 제1 리드선(22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홀더(222a)는 상기 제1 리드선(223a)을 통해 전송되는 제1 구동 전압을 상기 베이스 기판(224)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1)로 제공한다. 다시, 상기 제1 램프 고정부(221)는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상기 램프(211)들의 제1 외부 전극(211b)으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2 홀더(222b)는 상기 제1 전극선(223)이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리드선(223a)은 두께가 얇고 강도가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리드선(223a)이 상기 제1 홀더(222a)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서 상기 제1 전극선(223)이 유동되게 되면 상기 제1 리드선(223a)은 쉽게 절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홀더(222b)는 상기 제1 절연부(I1)에서 상기 제1 전극선(223)과 결합되어 상기 제1 홀더(222a)와 결합된 상기 제1 리드선(223a)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켜 상기 제1 리드선(223a)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를 절단선 C-C`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6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0)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 광을 제공하기 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화면을 구성하는 액정표시패널(110),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측 및 데이터측 인쇄회로기판(120, 1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광을 발생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211)로 이루어진 램프 유닛(210), 상기 램프들(211)을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고정판(220)은 상기 램프(211)들의 제1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램프고정부(도 1에 도시됨) 및 제1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제1 전극선(도 1에 도시됨)과 결합되는 제1 전극선 고정부(도 1에 도시됨)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정판(220)은 상기 제1 전극선(223)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1 구동 전압을 상기 램프(211)들의 제1 외부 전극(211b)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고정판(230)은 상기 램프(211)들의 제2 단부에 결합되는 제2 램프 고정부(도 1에 도시됨) 및 제2 구동 전압을 출력하는 제2 전극선(도 1에 도시됨)과 결합되는 제2 전극선 구동부(도 1에 도시됨)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판(230)은 상기 제2 전극선(233)으로부터 제공된 상기 제2 구동 전압을 상기 램프(211)들의 제2 외부 전극(211c)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240), 상기 확산판(240) 상에 구비되어 상기 광의 광학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류(250) 및 상기 광학 시트류(250), 확산판(240), 램프 유닛(210),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을 수납하기 위한 몰드 프레임(260)을 더 구비한다.
상기 몰드 프레임(260)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220, 230)을 각각 수납하기 위한 제1 및 제2 수납부(261, 26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납부(261)와 제2 수납부(262)와의 사이에 상기 램프 유닛(210)의 유효 발광 영역(EA)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263)를 갖는다.
상기 액정표시장치(600)는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를 수납하기 위한 바텀 샤시(300)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광학 시트류(250) 상에는 어퍼 몰드 프레임(400)이 구비되고, 상기 어퍼 몰드 프레임(400) 상에 안착되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지지한다.
이후,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은 상기 바텀 샤시(300)와 대향하여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10)을 상기 어퍼 몰드 프레임(400)에 고정한다. 이때, 탑 샤시(500)에는 상기 액정표시패널(211)의 유효 디스플레이 영역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에 따르면, 램프를 지정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를 갖는 고정판에 전극선과 결합되어 전극선을 램프의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판과 전극선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부재를 필요로하지 않음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별도의 고정 부재를 상기 고정판과 전극선에 체결하기 위한 조립 공정이 추가되지 않음으로써 조립 고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 전극으로 이루어져 광을 발생하는 램프;
    구동 전압을 상기 외부 전극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극선; 및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고 상기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극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극선과 상기 외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고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극선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정의하는 제1 및 제2 날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날개의 일단부는 상기 수납 공간의 내부로 절곡되어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전극선을 상기 베이스 기판 측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은 상기 구동 전압을 전송하는 리드선 및 상기 리드선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리드선을 보호하기 위한 피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선은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피복으로부터 노출된 도전부 및 상기 리드선이 상기 피복에 의해서 커버된 절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 라이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도전부에서 상기 리드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리드선을 상기 고정판에 고정하기 위한 제1 홀더; 및
    상기 절연부에서 상기 전극선을 상기 고정판에 고정하기 위한 제2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및 제2 고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판은 상기 램프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6. 튜브 및 상기 튜브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 전극으로 이루어져 광을 발생하는 램프;
    구동 전압을 상기 외부 전극으로 인가하기 위한 전극선;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고 상기 외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고정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전극선을 고정하고 상기 전극선과 상기 외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고정판; 및
    상기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표시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전극선 및 고정판을 수납하기 위한 제1 수납 용기;
    상기 제1 수납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 용기;
    상기 제1 수납 용기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이 안착되는 제3 수납 용기; 및
    상기 제2 수납 용기와 대향하여 결합하고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일부분을 개구시키면서 상기 제3 수납 용기에 고정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33228A 2003-05-24 2003-05-2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040100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228A KR20040100764A (ko) 2003-05-24 2003-05-2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3228A KR20040100764A (ko) 2003-05-24 2003-05-2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764A true KR20040100764A (ko) 2004-12-02

Family

ID=37378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228A KR20040100764A (ko) 2003-05-24 2003-05-24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076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8544C (zh) * 2005-06-22 2008-04-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其灯管支撑架
US7364321B2 (en) 2005-05-26 2008-04-29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and lamp holder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873A (ko) * 2000-12-18 2002-06-24 요시무라 마사오 전기커넥터
KR20020078355A (ko) * 2001-04-09 2002-10-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873A (ko) * 2000-12-18 2002-06-24 요시무라 마사오 전기커넥터
KR20020078355A (ko) * 2001-04-09 2002-10-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4321B2 (en) 2005-05-26 2008-04-29 Au Optronics Corp. Backlight module and lamp holder thereof
CN100378544C (zh) * 2005-06-22 2008-04-0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背光模块及其灯管支撑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079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LED module thereof
US666778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060279957A1 (en) Lamp, lamp holder, power supply modul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power suppl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power supply module
US8157430B2 (en) Backlight device and planar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6880953B2 (en) Mold frame,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06833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TWI401488B (zh) 顯示器裝置
US7434979B2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6583556B2 (en) Flat-type fluorescent lamp for illumination unit and liquid crystal device
KR10138692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90052680A (ko) 램프 소켓,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JP2001184919A (ja) 平面表示装置の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TW200528871A (en)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5174926A5 (ko)
KR101275966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4010076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350972B1 (ko) 백라이트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040051245A (ko) 램프,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US734137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JP2002304910A (ja) バックライト照明ユニット
KR20080002428A (ko) 백라이트 구조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27721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소자
US20060158714A1 (en) Wire fixing memb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093428B1 (ko) 액정표시장치 램프 홀더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36042A (ko) 전원 공급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