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0061A -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 Google Patents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0061A
KR20040100061A KR1020030032263A KR20030032263A KR20040100061A KR 20040100061 A KR20040100061 A KR 20040100061A KR 1020030032263 A KR1020030032263 A KR 1020030032263A KR 20030032263 A KR20030032263 A KR 20030032263A KR 20040100061 A KR20040100061 A KR 20040100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quid crystal
signal
backlight lamp
lc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태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일디스플레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일디스플레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일디스플레이
Priority to KR102003003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0061A/ko
Publication of KR20040100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68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glacier crampons, mountain climbing ir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모니터를 켠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서 멀어질 경우 사용모드의 선택 설정에 따라 후광램프로 공급되는 전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액정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후광램프를 꺼지게 하고,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 근접해 있을 경우에는 화면의 밝기를 세팅(Setting)된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후광램프의 수명을 연장하고 절전을 이룰 수 있는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는 데이터변환부과, 상기 데이터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화면재생 신호를 재생하는 액정표시모듈과, 상기 액정표시모듈과 인체와의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인체검출센서와, 상기 인체검출센서에서 검출된 신호에 의해 후광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전압으로 다운시키거나 차단시켜 액정모니터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램프제어부와, 전력 소거 후 액정모니터의 사용시 램프제어부에서 종전 사용모드로의 자동 제어가 실현되도록 최종 사용모드를 저장하는 제어모드기억부와, 상기 제어모드기억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램프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후광램프에 설정된 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램프전원공급부과, 그리고 후광램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액정모니터로부터 멀어질 경우 후광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다운시켜 화면을 어둡게 조절하거나 꺼지도록 함으로써 후광램프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하고 절전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Device for Extending Life Time and Saving Power In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액정판에 빛을 투과하여 액정모니터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는 액정모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정모니터를 켠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서 멀어질 경우 사용 모드의 선택 설정에 따라 후광램프로 공급되는 전압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액정모니터의 화면 밝기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후광램프를 꺼지게 하고,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 근접해 있을 경우에는 화면의 밝기를 세팅(Setting)된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후광램프의 수명을 연장하고 절전을 이룰 수 있도록 한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모니터는 가볍고 부피가 작아 다양한 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TV, 감시장비 등의 모니터로 이용되고 있있다.
이 액정모니터는 전압을 인가하면 분자배향이 변화하는 물질인 액정을 2장의 전극판에 주입하여 봉입하고, 전압을 인가한 부분만 분자 배향이 다르게 보이도록 하여 데이터를 재생하게 되는데, 어떤 온도의 범위에서 액체와 결정의 중간 성질을 갖는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액정에 전압이나 온도 등에 의해서 색이나 투명도를 달리하여 원하는 화면을 재생하게 된다.
더욱이, 액정모니터는 액정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자체적으로 발광하는 일정한 조도를 지니고 있으나 이 조도는 극히 미약하므로, 액정판 후방에서 일정한 조도를 갖는 광을 투사함으로써 비로서 액정모니터의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액정모니터에서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후광램프이다.
통상, 액정모니터는 액정이 주입된 액정판의 후방에 일정한 조도의 빛을 투사하는 후광램프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액정판과 후광램프 사이에 광 분사판을 설치하여 후광램프에서 투사되는 빛을 액정판 전 면적에 고르게 투사되게 함으로써 액정모니터 화면의 전체 밝기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액정모니터에 설치된 후광램프는 사용자의 사용방법에 따라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지만, 종래에는 액정모니터를 켠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 근접해 있거나 반대로 멀리 떨어져 있거나 무관하게 후광램프가 항상 동일한 밝기로 켜져 있기 때문에 후광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 등록한 실용신안 제197174호의 "액정모니터의 후광램프 제어시스템" 기술에 의하면, 후광램프를 사용자의 편리성에 따라 임의로 그 조도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즉 후광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함으로써 화면을 밝게 하거나 또는 어둡게 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는바, 동 기술에 의하여 후광램프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어 나아가 액정모니터의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 기술의 경우도 화면을 어둡게 조절할 수 있는 정도에 그치는 것이어서 획기적으로 후광램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없고, 또한 절전의 기능을 제공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액정모니터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모니터를 켠 상태에서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사용 모드의 선택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후광램프로 공급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하거나 또는 후광램프의 전원을 꺼지게 하고,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서 근접 위치 해 있을 경우에는 자동 세팅(Setting)된 종전의 사용모드로 화면의 밝기가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후광램프의 수명 연장 및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나아가 액정모니터의 사용 편의성을 제고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액정화면 재생용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와, 상기 데이터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화면재생 신호를 재생하는 액정표시모듈과, 상기 액정표시모듈과 인체와의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인체검출센서와, 상기 인체검출센서에서 검출된 신호에 의해 후광램프에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전압으로 다운시키거나 차단시켜 액정모니터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램프제어부와, 전력 소거 후 액정모니터의 사용시 램프제어부에서 종전 사용 모드로의 자동 제어가 실현되도록 최종 사용 모드를 저장하는 제어모드기억부와, 상기 제어모드기억부의 설정에 따라 상기 램프제어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후광램프에 설정된 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램프전원공급부과, 그리고 상기 램프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밝기가 조절되는 후광램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의 후광램프 제어부 상세회로도
도 3은 도 2의 인체검출센서 상세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터변환부 20 : 액정표시모듈
30 : 인체검출센서 40 : 램프제어부
41 : 중앙처리장치 42 : 리셋부
43 : 램프구동부
50 : 제어모드기억부 60 : 램프전원공급부
70 : 후광램프 80 : 모니터전원스위치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회로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는 크게 데이터변환부(10)와 액정표시모듈(20)과 인체검출센서(30)와 램프제어부(40)와 제어모드기억부(50)과 램프전원공급부(60)와 후광램프(70)를 포함하여 유기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데이터변환부(10)는 액정화면 재생용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액정표시모듈(20)은 데이터변환부(10)에 의해 변환된 화면재생 신호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인체검출센서(30)는 액정표시모듈(20; 액정모니터의 화면)로부터 사용자의 근접상태를 검출해서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램프제어부(40)는 인체검출센서(30)에서 검출된 신호를 받아 사용자가 선택 설정한 사용 모드(모드1∼3)에 따라 후광램프(7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고 해제하기 위한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어모드기억부(50)은 액정모니터의 전력제거 후 액정모니터의 재사용 시에도 종전의 최종 사용 모드를 기억하여 램프제어부(40)에서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램프전원공급부(60)는 상기 램프제어부(40)의 제어 신호(명령)에 따라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반전시키고 반전된 교류전원을 설정된 전압으로 후광램프(70)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후광램프(70)는 램프전원공급부(6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밝기가 조절되어 점등됨으로써 액정모니터의 화면을 밝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도면부호 중 80은 액정모니터에 인가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모니터 전원스위치이다.
도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램프제어부(40)의 상세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램프제어부(4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41)를 포함하고 있는바, 이 중앙처리장치(41)는 상기 인체검출센서(30)에서 검출된 신호에 따라 후광램프(70)로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업(UP)/다운(DOWN) 및 온(ON)/오프(OFF) 신호를 각 출력단자(G2, G3, G4)를 통해 출력하고, 동시에 출력단자(G1)를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동작을 제어하여 발광다이오드(D1)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의 리셋단자(RST)에는 리셋부(42)가 접속되어 전원의 이상시 회로를 리셋시키게 된다. 즉 이 리셋부(42)는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와 베이스에 전원라인이 연결되어 있어 트랜지스터(Q2)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면 통전되어 중앙처리장치(41)의 리셋단자(RST)에 로우레벨 신호가 출력되고, 반대로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2)가 단락되어 리셋단자(RST)에 하이레벨 신호가 인가되어 회로를 리셋시키게 된다.
도3은 도2 도시의 인체검출센서(30)의 상세 회로도를 보인 것으로, 일반 포토센서(주3 참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포토센서는 광원을 이용하여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게 되며 이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트랜지스터(Q5)를 제어하여 검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모니터에 근접해 있는지의 유무를 감지하게 된다.
즉, 인체검출센서(30)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광소자(D4)를 통해 광에너지가 발사되고 이때 사용자가 액정표시모듈(20)과 근접된 거리 내에 있을 시 발사된 광에너지가 반사되어 수광소자(D3)를 통해 입사되어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기 신호는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류로 작용하고, 그로 인해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와 에미터가 통전되면서 콜렌터단에 로우레벨 신호가 출력되어 중앙처리장치(41)의 입력단자(In1)로 인가됨으로써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사용자의 근접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도4는 전원이 온(ON) 되고 난 후의 과정을 흐름도로 명기한 것이다.
상기 중앙처리장치(41)는 인체검출센서(30)에서 인가되는 레벨신호에 따라 그의 출력단자(G2, G3, G4)를 통해 해당하는 업(UP)/다운(DOWN) 또는 온(ON)/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업(UP)/다운(DOWN) 또는 온(ON)/오프(OFF) 신호는 후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램프구동부(43)에 인가된다.
상기 램프구동부(43)는 입력단자를 통해 업(UP)/다운(DOWN) 또는 온(ON)/오프(OFF) 신호를 입력으로 하고, 이 업(UP)/다운(DOWN) 또는 온(ON)/오프(OFF) 신호에 의해 출력단자를 통해 소정의 레벨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레벨신호는 후단에 연결된 램프전원공급부(60)로 인가된다.
예를 들어, 모드1(주1 참조)의 경우 상기 램프구동부(43)의 출력단자(G5)를 통해 출력된 소정의 레벨 신호가 그 후단에 접속된 트랜지스터(Q3)에 바이어스 전류로 작용하여, 램프구동부(43)에 다운(DOWN) 신호가 입력되면 램프구동부(43)는 출력단자(G5)를 통해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는 로우레벨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모드2(주1 참조)의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41)의 출력단자(G4)를 통해 소정 레벨의 온(ON)/오프(OFF)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 신호가 그 후단에 접속된 램프구동부(43) 내의 트랜지스터(Q4)의 바이어스 전류로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중앙처리장치(41)의 출력단자(G4)에서 로우레벨(OFF) 신호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단은 로우레벨 상태가 되고, 하이레벨(ON)의 신호가 출력되면 에미터단은 하이레벨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모드3(주1 참조)의 경우 인체검출센서(30)로부터의 검출신호와 상관없이 중앙처리장치(41)에서 그의 출력단자(G2)를 통해 업(UP) 신호를, 그의 출력단자(G4)를 통해 온(ON)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모드1 내지 모드2가 해제된다.
이러한 일련의 사용 모드를 선택 설정함에 따라 램프전원공급부(60)에서는 후광램프(70)에 미리 설정된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그 밝기를 감소시키거나 아예 후광램프(70)로 공급되는 전원을 끊어 액정모니터의 수명을 연장하고 절전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모드1∼3의 사용 모드에 따른 본 발명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액정모니터 화면을 재생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본체 스위치와 모니터 전원스위치(80)를 온(ON) 시키면, 램프전원공급부(60)와 중앙처리장치(41) 등의 시스템 전체에 필요 전원이 공급되고 동시에 후광램프(70)가 점등되어 액정모니터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때 램프제어부(40)를 구성하는 중앙처리장치(41)에 인가되는 전원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리셋부(42)의 트랜지스터(Q2)가 단락되면서 다시 리셋시키게 된다.
한편, 모니터전원스위치(80)가 온(ON) 되면 중앙처리장치(41)에는 온스크린신호(OSD)가 인가되어 입·출력신호를 처리하게 되고, 동시에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제어모드기억부(50)에서 종전에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했던 최종의 사용 모드를 읽어 들인다. 그리고 사용자는 액정모니터가 켜진 상태에서 언제든지 사용하고자 하는 모드를 입력 설정할 수 있다. 특정 모드가 선택된 상태에서 인체검출센서(30)로부터 검출신호가 중앙처리장치(41)의 입력단자(In1)에 인가되면,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이를 근거로 시스템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모드기억부(50)로부터 액정모니터의 전원 오프(OFF) 전까지 사용자가 최종 선택하여 사용한 모드를 제어모드기억부(50)로 부터 읽어 오게 된다. 이 제어모드기억부(50)는 메모리로서 사용자가 모드 변경시마다 중앙처리장치(41)의 직렬 통신에 의해 특정 모드를 기억하게 된다.
이 후, 인체검출센서(30)로부터 로우레벨 신호가(주3참조) 인가되면 중앙처리장치(41)는 출력단자(G1)를 통해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1)가 단락되면서 발광다이오드(D1)를 소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근접된 위치에 있음을 알리게 된다.
동시에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모드 값에 따라 다른 출력단자(G2, G4)에 각각의 신호를 보내게 된다.
<모드1 선택>
사용자가 모드1을 선택 설정하면, 램프제어부(40)의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인체검출센서(30)를 통해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 근접해 있는지의 유무를 판단한다.
즉, 인체검출센서(30)의 발광소자(D1)에서 발사되는 광에너지가 액정모니터에 근접해 있는 사용자에 반사되어 수광소자(D3)에 입사되면 트랜지스터(Q5)가 통전되면서 그 콜렉터단을 통해 로우레벨 신호가 출력되고 이 신호가 중앙처리장치(41)의 입력단자(In1)로 인가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액정모니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음을 인지하고 그의 출력단자(G1)를 통해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1)의 단락으로 발광다이오드(D1)가 소등됨으로써 사용자가 근접된 위치에 있음을 외부로 알리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그의 출력단자(G2)를 통해 램프구동부(43)에 업(UP)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가 램프구동부(43)의 입력단자(In2)를 통해 입력된다. 그러면 램프구동부(43)에서는 이 신호를 입력으로 그의 출력단자(G5)를 통해 로우레벨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트랜지스터(Q3)를 단락시킨다. 이로 인해 램프전원공급부(60)에서는 후광램프(70)에 정상적인 전원(B+)을 공급하여 화면의 밝기를 정상으로 밝게 유지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서 멀어질 경우(예; 2m 이상) 인체검출센서(30)에서는 수광소자(D3)를 통한 광에너지의 입력이 없으므로 트랜지스터(Q5)의 단락으로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중앙처리장치(41)의 입력단자(In1)로 입력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상기 인체검출센서(30)의 신호를 근거로 그의 출력단자(G1)를 통해 하이레벨 신호를 트랜지스터(Q1)에 출력하게 되고,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1)가 통전되면서 발광다이오드(D1)가 점등되어 사용자가 액정모니터로부터 설정된 거리(예; 2m) 이상으로 떨어져 있음을 외부에 알리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사용자가 액정모니터로부터 멀어진 경우 그의 출력단자(G3)를 통해 램프구동부(43)에 다운(DOWN)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램프구동부(43)에서는 입력단자(In3)를 통해 이 신호를 받아 그의 출력단자(G5)를 통해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트랜지스터(Q3)를 통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램프전원공급부(60)에서는 후광램프(70)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을 설정된 전압으로 다운(DOWN)시켜 후광램프(70)의 밝기를 감소시킴으로써 화면을 어둡게 조절하게 된다. 이때 액정화면은 항상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는 중앙처리장치(41)의 출력단자(G2, G3)와 상관없이 그의 출력단자(G4)가 온(ON)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모드2 선택>
사용자가 모드2를 선택 설정한 경우 액정모니터에 사용자가 근접 위치해 있을 때에는 모드1에서의 설명과 같이 인체검출센서(30)로부터 사용자 유무를 검출 후, 중앙처리장치(41)의 출력단자(Q4)를 통해 램프구동부(43)에 온(ON, 실제로 하이레벨 신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류로 작용하여 트랜지스터(Q4)를 통전시킴으로써 그의 에미터단은 하이레벨 상태가 되므로 이로 인해 램프전원공급부(60)에서는 후광램프(70)에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하여 액정화면의 밝기를 밝게 유지 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서 멀어진 경우 상기 모드1과 같이 인체검출센서(30)에서는 중앙처리장치(41)에 하이레벨 신호를 출력하고,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이를 근거로 트랜지스터(Q1)를 동작시켜 발광다이오드(D1)를 점등함으로써 사용자가 설정거리 이상으로 떨어져 있음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동시에,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그의 출력단자(Q4)를 통해 램프구동부(43)에 오프(OFF, 실제로는 로우레벨 신호)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신호가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류로 작용하여 트랜지스터(Q4)를 단락시키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단은 로우레벨 상태가 되므로, 이로 인해 램프전원공급부(60)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오프(OFF) 되고 후광램프(70)가 꺼져 액정화면은 오프(OFF) 상태가 되므로 후광램프(7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절전을 이룰 수가 있게 된다.
이때도, 중앙처리장치(41)의 출력단자(G4)와는 상관없이 그의 출력단자(G2)는 항상 하이레벨 상태를 유지하므로 액정화면은 온(ON)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모드3 선택>
사용자가 모드3을 선택 설정한 경우 인체검출센서(30)의 검출동작과 상관없이, 중앙처리장치(41)에서는 그의 출력단자(G2, G4)를 통해 각각 업(UP) 신호와 온(ON)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램프구동부(43)에서는 램프전원공급부(60)를 통하여 소정의 설정된 전압을 출력하게 되고, 이로서 모드1 내지 모드2는 해제되고 후광램프(70)에는 항시 정상적인 전원이 공급되어 사용자가 액정모니터로부터 근접해 있건 멀리 떨어져 있건 무관하게 화면은 항시 밝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 전술한 각각의 사용 모드 선택에 따른 신호 설정 상태는 표1과 같다.
〔표1〕
모 드 센서 In1 G2 G3 G4 G5 Q3 Q4 램 프
모드1 ON LOW HIGH LOW HIGH LOW 단락 통전 밝아짐
OFF HIGH LOW HIGH HIGH HIGH 통전 통전 밝기감소
모드2 ON LOW HIGH LOW HIGH LOW 단락 통전 ON
OFF HIGH HIGH LOW LOW LOW 단락 단락 OFF
모드3 ON LOW HIGH LOW HIGH LOW 단락 통전 항상밝음
OFF HIGH HIGH LOW HIGH LOW 단락 통전 항상밝음
이상의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검출센서(30)를 통해 액정모니터로부터 사용자의 근접상태를 감시해서 사용자가 액정모니터에서 멀어질 경우 선택된 사용 모드에 따라 후광램프(70)로 공급되는 전압을 설정전압으로 제어하여 화면을 어둡게 조절하거나 후광램프(70)의 전원을 오프(OFF) 시켜 후광램프(70)의 사용수명을 연장하는 효과와 절전의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게 되며, 또한 본 발명은 제어모드기억부(50)를 통해 종전의 사용 모드가 자동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액정모니터의 사용 편의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액정화면 재생용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상기 데이터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화면재생 신호를 재생하는 액정표시모듈;
    상기 액정표시모듈과 인체와의 근접 상태를 검출하는 인체검출센서;
    상기 인체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에 의해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조절하거나 후광램프의 전원을 오프(OFF) 시키기 위해 후광램프로 인가되는 전압을 설정전압으로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램프제어부;
    전력 소거 후 액정모니터의 사용시 램프제어부에서 종전 사용 모드로의 자동 제어가 실현되도록 최종 사용 모드를 저장하는 제어모드기억부;
    상기 램프제어부를 구성하는 중앙처리장치와 램프구동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후광램프에 설정된 전압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램프전원공급부;
    상기 램프전원공급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밝기가 조절되는 후광램프;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인체검출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액정모니터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음이 감지될 경우 램프제어부에서 램프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후광램프로 공급되는 전압을 설정전압으로 다운(DOWN) 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인체검출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액정모니터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음이 감지될 경우 램프제어부에서 램프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후광램프로 공급되는 전압이 차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인체검출센서의 검출 신호와 상관없이 램프제어부에서 램프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후광램프로 소정의 설정 전압이 항시 공급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KR1020030032263A 2003-05-21 2003-05-21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KR20040100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63A KR20040100061A (ko) 2003-05-21 2003-05-21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263A KR20040100061A (ko) 2003-05-21 2003-05-21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061A true KR20040100061A (ko) 2004-12-02

Family

ID=37377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263A KR20040100061A (ko) 2003-05-21 2003-05-21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00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6706A1 (en) * 2006-01-03 2007-07-12 Ewig Industries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Backlit electronic display
KR100942800B1 (ko) * 2009-07-17 2010-02-18 (주)지엠지시스템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led 센서등과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KR101034042B1 (ko) * 2008-11-25 2011-05-11 이엔에스엠 주식회사 반자동 스위치
CN104036752A (zh) * 2013-03-08 2014-09-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6706A1 (en) * 2006-01-03 2007-07-12 Ewig Industries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Backlit electronic display
KR101034042B1 (ko) * 2008-11-25 2011-05-11 이엔에스엠 주식회사 반자동 스위치
KR100942800B1 (ko) * 2009-07-17 2010-02-18 (주)지엠지시스템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led 센서등과 이를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CN104036752A (zh) * 2013-03-08 2014-09-1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及电子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0341B2 (en) Brightness control system
US8259097B2 (en) Backlight assembly, display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41286B1 (ko) Led 구동장치
KR20050023263A (ko) 발광소자 구동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휴대 장치
KR19990078367A (ko) 적외선통신기능을가진이동데이터단말
CN105392239A (zh) 灯具亮度控制方法及可调节亮度的led灯具
KR20040000644A (ko) 소비 전력 저감 장치 및 방법
CN108882468B (zh) 电器设备、电器设备发光模组的控制方法、装置和介质
KR20040100061A (ko) 액정모니터의 수명연장 및 절전장치
CN104168687A (zh) 发光二极管驱动装置及应用其的发光二极管背光系统
US20130002168A1 (en) Programmable solid state illuminating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0197174Y1 (ko) 액정모니터의 후광램프 제어시스템
KR102193202B1 (ko) Led 구동 장치 제어 시스템
US20110205036A1 (en) Power-saving wireless input device
KR19980068470A (ko) 절전형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KR100947776B1 (ko) 액정표시모듈의 램프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EP1976341B1 (en) Lighting module power-saving control method
KR100725912B1 (ko) 램프 구동 회로
KR200301535Y1 (ko) 음성 인식 조명 장치
KR20010002828A (ko) 냉음극관 램프의 구동 제어장치
JP2920944B2 (ja) 照明装置
KR100945578B1 (ko) 표시 장치용 광원을 피드백 제어하는 광원 구동 장치
KR20000013243A (ko) 정보표시장치의 백라이트 밝기 자동 조정장치
KR20050079687A (ko) 휘도자동조정기능을 구비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방법
KR20110034796A (ko) 백라이트 유닛의 궤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