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355A -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355A
KR20040098355A KR1020030030677A KR20030030677A KR20040098355A KR 20040098355 A KR20040098355 A KR 20040098355A KR 1020030030677 A KR1020030030677 A KR 1020030030677A KR 20030030677 A KR20030030677 A KR 20030030677A KR 20040098355 A KR20040098355 A KR 20040098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mporary defect
area
recording
defec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6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39713B1 (en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9713B1/en
Publication of KR20040098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3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9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971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83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 G11B20/1889Methods for assignment of alternate areas for defective areas with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8Write-once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managing defects of a one-time recordable optical disc is provided to stably manage defects by efficiently using a temporary defect list and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in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even if the one-time recordable optical disc has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CONSTITUTION: A one-time recordable optical disc with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ha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on which a temporary defect list and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are recorded. It is confirmed whether defect areas are generated. The temporary defect list is made out by recording the defect areas in order of generation. The 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is made out by assigning one cluster to every recording layer.

Description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이의 결함관리방법{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본 발명은 1회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의 결함(Defect) 영역 및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ect area and a method of managing information of an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광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기록 매체(HD-DVD),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가 개발되고 있다.As optical recording media, optical disks capable of recording large amounts of data are widely used. Recently, new high-density optical recording media (HD-DVD), for example, Blu-ray Disc, which can record and store high-quality video data and high-quality audio data for a long time, have been developed.

차세대 HD-DVD 기술인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Blu-ray Disc, the next-generation HD-DVD technology, is a next-generation optical recording solution that can store data that significantly surpasses existing DVDs. Recently, world-standard technical specifications have been established.

HD-DVD 세계 표준중의 하나인 블루레이 디스크는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는 현재의 DVD 보다 훨씬 조밀한 405nm의 청자색 레이저를 사용하며, 0.1mm의 광투과층을 가진 두께 1.2mm, 직경 12cm의 디스크에 현재의 DVD 보다 월등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Blu-ray Disc, one of the world's standard HD-DVDs, uses a 405nm blue-violet laser, which is much denser than current DVDs that use 650nm red lasers, and has a thickness of 1.2mm and a diameter of 12cm with a 0.1mm light transmission layer. You can store more data on your disc than your current DVD.

또한 블루레이 디스크는 렌즈를 통과한 레이저가 광디스크에 세밀하게 조사되어 데이터 저장밀도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개구율(NA: Lens Numerical Aperture)이 0.85로 디스크의 한쪽 면에 두개의 기록층을 만드는 단면 복층 기록 기술을 적용할 경우 데이터를 현재의 DVD 보다 월등하게 많게 저장할 수 있다.Blu-ray discs also have a single-layered double layer that has two recording layers on one side of the disc, with a lens numerical aperture (NA) of 0.85,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ata storage density due to the laser beam passing through the lens. With recording technology, you can store much more data than current DVDs.

블루레이 디스크는 개구율이 높은 만큼 트랙피치도 DVD의 절반도 안되는 0.32μm로 매우 조밀하다. 또한 이 기술을 이용해서 광 드라이브를 만들 경우 DVD롬, CD롬 드라이브보다 월등하게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 포맷의 경우 현재 DVD에서 채택하고 있는 MPEG2(비디오),AC3,MPEG1,레이어2(오디오) 등이 그대로 사용될수 있기 때문에 호환성도 확보된다. 또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HD-DVD 방식 드라이브를 만들 경우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DVD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재생할 수 있다.Blu-ray discs are very dense, with a high aperture ratio of 0.32μm, less than half the pitch of a DVD. Also, if you make an optical drive using this technology, you can transfer data much faster than DVD-ROM or CD-ROM drives. In the case of video and audio data formats, MPEG-2 (video), AC3, MPEG1, and Layer 2 (audio), which are currently adopted by DVDs, can be used as they are. In addition, if you create an HD-DVD drive that can effectively protect your data, you can store and play it on most DVD discs in use today.

블루레이 디스크에 관련된 각종 표준안이 마련되고 있으며,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에 이어서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 대한 각종 표준안이 마련되고 있다.Various standard proposals related to Blu-ray Discs have been prepared, and various standard proposals for a write once Blu-ray Disc (BD-WO) have been prepared following the rewritable Blu-ray Disc (BD-RE).

도1은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의 기록영역 구조를 도식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1의 블루레이 디스크는 하나의 기록층을 가진 디스크에 대하여 기록영역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디스크의 내주로부터 볼 때 리드-인 영역(Lead-in Zone), 데이터 영역(Data Zone), 리드-아웃 영역(Lead-out Zone)으로 구분됨을 보여준다. 또한, 데이터 영역내에는 결함영역을 대체하기 위한 이너스페어영역(ISA0)과 아우터 스페어영역(OSA0)이 각각 데이터영역내의 내,외주에 구비되어 있다.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recording area structure of a rewritable Blu-ray Disc. The Blu-ray disc of Fig. 1 shows the structure of a recording area for a disc having a single recording layer, and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disc, the lead-in zone, data zone, and lead are shown. It is divided into lead-out zones. In the data area, an inner spare area ISA0 and an outer spare area OSA0 for replacing the defective area are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data area, respectively.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기록하던 도중에 데이터 영역에 결함 영역이 존재하면 그 결함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스페어영역으로 옮겨서 대체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결함 영역에 대한 관리정보로서 결함영역, 대체 기록된 영역 등에 관련된 위치 등의 정보를 리드인/아웃 영역에 구비된 결함관리영역(DMA1,2,3,4)에 기록하여 결함관리를 수행하게 된다.If a defective area exists in the data area while data is being recorded on the rewritable Blu-ray Disc, the data recorded in the defective area is moved to the spare area to perform alternative recording. As the management information on the defect area, information such as a location related to the defect area, an alternate recorded area, etc. is recorded in the defect management areas DMA1, 2, 3, and 4 provided in the lead-in / out area to perform defect management. do.

1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도 데이터를 기록할 때 결함 영역의 관리(Defect Management)는 중요한 사안의 하나이며, 1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결함영역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가, 얼마나 빠르고 정확한 정보의 기록과 획득이 가능하게 하는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제안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Defect management i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when recording data on Blu-ray Discs that can be written once.How fast and accurate can you manage defects on Blu-ray Discs that can be written once? Various research and proposal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whether information can be recorded and obtained.

1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 결함 영역의 관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대체 기록영역과 결함 관리정보의 관리영역이 필요하다. 특히,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는 디스크 특성상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므로 결함 관리영역의 사이즈가 작아도 되지만 1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는 1회만 기록 가능하기 때문에 결함영역에 대한 관리에 필요한 영역이 전자의 것 보다 많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결함 관리영역이 확보되어야 한다.In order to perform defect area management on a write once Blu-ray disc, a replacement recording area and a management area of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quired. In particular, in a rewritable Blu-ray disc, the size of the defect management area can be reduced because data can be rewritten. However, since a write-only Blu-ray disc can be written only once, the area necessary for managing the defective area is the former. More is needed and sufficient defect management area must be secured for this.

또한 1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서의 결함 관리방법에 대한 규약은 상기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와의 규격상의 공통점, 일관성, 호환성의 확보는 물론, 정보와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며 높은 성능을 갖도록 하는 관리정보의 기록과 재생에 관한 규약과 그 기록 및 관리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he provisions of the defect management method in the write-once Blu-ray disc ensure the commonality, consistency and compatibility of the standard with the rewritable Blu-ray disc, as well as more efficient and stable recording and reproducing of information and data. In addition, there is a demand for a protocol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management information and a method of recording and managing the same to have high performance.

또한 상기와 같은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1회 기록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적용가능한 결함관리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Blu-ray disc as described above, it is required that the defect management method applicable to the write-once high density optical disc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1 회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서의 결함관리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광디스크에서의 결함관리 영역 및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s intended to provide a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n optical disc that can be recorded once, and in particular, the defect management area and information for an optical disc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efficientl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ay to manage.

도 1은 일반적인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1 schematically shows a general rewritable optical disc structure,

도 2는 본발명과 관련된 하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것이고,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rite-once optical disc structure having one recording layer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것이고,,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write-once optical disc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또다른 광디스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것이고,Fig. 4 is a schematic diagram of another write once optical structure with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6은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고,5 and 6 illustrate a first embodiment of a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 write once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8은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다.7 and 8 illustrate a second embodiment of a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 write once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방법은,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여 디스크의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는 결함영역의 발생순서대로 기록관리하고,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복수층의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 write once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records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 a write once optical disc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for managing a defective area,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of the defective area,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separately recorded for each recording layer of a plurality of layer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은,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여 디스크의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복수층의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해당 기록층에 대한 정보를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In addition, the method of managing a defect of an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defect management areas for providing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recording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 the write-once optical disc having a recording layer of the recording medium,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classified into recording layers of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information on the recording layer is recorded and managed.

또한, 본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디스크의 특정영역에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상기 복수층의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기록관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tical disc which can be written o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n a specific area of a disk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nd records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an area for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separatel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 write once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3,4는 본발명이 적용될수 있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디스크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실시예로서, 도2는 싱글레이어(single layer 이하 'SL'이라 한다) 디스크에 관한 것이며, 도3,4는 듀얼레이어(Dual layer 이하 'DL'이라 한다)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2, 3, and 4 are schematic embodiments of a disc structure of a writeable optical dis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nd FIG. 2 relates to a single layer disc (hereinafter, referred to as 'SL'). 3 and 4 are related to dual layer (DL) disks.

먼저, 1회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결함관리를 위해서는 임시 결함관리영역(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이하 'TDMA' 라 한다)이 필요함을 알수 있다. 즉, 도1과 같은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경우에는 한정된 크기의 결함관리영역(Defect Management Area 이하 'DMA' 라 한다)만 구비해도 얼마든지 이 영역에 쓰고 지움을 반복할 수 있기에 많은 크기의 DMA가 필요치 않으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경우에는 한번 기록된 영역은 다시 기록을 위해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결함관리를 위해서는 더 큰 크기의 관리영역이 필요하게 되고, 이를 DMA와 구별하여 TDMA로 명명한 것이다. 또한, 도2,3,4는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를 예로들어 도시한 것으로서, 이경우 기록가능한 최소기록단위는 클러스터(cluster)가 될 것이다.First, it can be seen that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MA') is required for defect management on a write once optical disc. That is, in the case of a rewritable optical disc as shown in FIG. 1, even if only a limited size of a defect management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DMA') is required, a large amount of DMA is required because writing and erasing can be repeated in this area. However, in the case of an optical disc that can be written once, a once-recorded area cannot be used for recording again, so a larger management area is required for defect management, which is named TDMA separately from DMA. 2, 3, and 4 show the case of a Blu-ray disc as an example. In this case, the minimum recordable unit for recording will be a cluster.

도3은 본발명이 적용될수 있는 DL디스크의 경우에 관한 것으로, TDMA가 각 레이어(Layer0,1)별로 리드인/아웃 영역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0,OSA1)에 구비된 경우이다. 이때 사용순서를 고려하여 리드인/아웃 영역에 TDMA1,2를 두고, 아우터 스페어영역에 TDMA3,4를 구비하였다. 이러한 TDMA 사용순서는 본발명의 요지와는 큰 상관이 없으며, 얼마든지 다른 방법으로 사용순서를 결정해도 될 것이다. 또한 TDMA1,2는 고정된 크기를 갖는 영역으로 하고, TDMA3,4 는 각각 동일크기를 가지며,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가능하거나(P clusters) 또는 스페어영역(OSA0,OSA1)의 크기에 연동되는 크기로 할당할수 있다(예를들면 도3에서 P= (N*256)/4).3 illustrates a case of a DL dis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wherein TDMA is provided in the lead-in / out area and the outer spare areas OSA0 and OSA1 for each layer (Layer 0, 1). At this time, TDMA1,2 was placed in the lead-in / out area and TDMA3,4 was provided in the outer spare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order of use. The order of use of TDMA has little to do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der of use may be determined in other ways. In addition, TDMA 1 and 2 are areas having a fixed size, and TDMA 3 and 4 have the same size, respectively, and can be arbitrarily selected by the user (P clusters) or assigned to sizes that are linked to the sizes of the spare areas OSA0 and OSA1. (E.g. P = (N * 256) / 4 in FIG. 3).

도4는 본발명이 적용될수 있는 DL디스크의 또 다른 경우에 관한 것으로, TDMA가 각 레이어(Layer0,1)별로 리드인/아웃 영역과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스페어 영역(OSA0,OSA1,ISA1) 모두에 구비된 경우이다. 이때 사용순서를 고려하여 리드인/아웃 영역에 TDMA1,2를 할당하고, 아우터 스페어영역(OSA0,OSA1)에 TDMA3,4를 할당하였으며, 데이터영역의 끝부분인 스페어영역(ISA1)에 TDMA5를 할당한 경우이다. 이러한 TDMA 사용순서는 본발명의 요지와는 큰 상관이 없으며, 얼마든지 다른 방법으로 사용순서를 결정해도 될 것이다. 또한 TDMA1,2는 고정된 크기를 갖는 영역으로 하고, TDMA3,4,5의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가능하거나(P,Q clusters) 또는 스페어영역(OSA0,OSA1)의 크기에 연동되는 크기로 할당할수 있다(예를들면 도4에서 P = (N*256)/4, Q = (L*256)/4, ).4 illustrates another case of a DL dis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which TDMA has a lead-in / out area and a spare area OSA0, OSA1, and ISA1 having variable sizes for each layer (Layer 0, 1). If it is equipped with. At this time, TDMA1 and 2 are allocated to the lead-in / out area, TDMA3 and 4 are allocated to the outer spare areas OSA0 and OSA1, and TDMA5 is allocated to the spare area ISA1, which is the end of the data area. One case. The order of use of TDMA has little to do with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rder of use may be determined in other ways. In addition, TDMA 1, 2 is a region having a fixed size, and the size of TDMA 3, 4, 5 is arbitrarily selectable by the user (P, Q clusters) or assigned to a size that is linked to the size of the spare regions (OSA0, OSA1). (E.g., P = (N * 256) / 4, Q = (L * 256) / 4, in Figure 4).

도5,6,7,8은 본발명이 적용되는 TDMA에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대한 두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5, 6, 7, and 8 show two embodiments of a method of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in TDMA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먼저,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First, the definition of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우선 임시 결함영역정보(Temporary Defect List 이하 'TDFL'이라 한다)는 데이터영역내에 결함영역이 발생되면 이를 스페어영역으로 대체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결함영역리스트로서 관리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즉, 이러한 정보는 엔트리(entry)로서 표시되는바, 하나의 결함영역에 대한 정보(결함위치정보와 대체위치정보를 가지고 있다)를 하나의 엔트리로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결함영역이 발생되어 대체가 이루어지면 본발명의 TDFL은 새로운 엔트리가 추가되어 작성된다 할것이다.First of all,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FL') refers to information that manages a series of processes as a defective area list when a defective area is generated in the data area. do. That is, such information is represented as an entry, which represents information about one defective area (having defect position information and replacement position information) as one entry. Therefore, if a defective area is generated and replaced, the TDF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reated by adding a new entry.

다음은 상기 TDFL위치정보를 포함한 디스크의 전반적인 결함관리정보를 포함하는 임시 결함관리정보(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이하 'TDDS'라 한다)가 존재한다. 즉, TDDS는 본발명에서 요구하는 정보외에도 디스크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좀더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클러스터(32개 섹터로 구성된다)중 첫번째 섹터(sector0)는 결함관리정보를 포함한 디스크 관리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나머지 섹터들(sector1~sector31)에는 디스크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Next, there is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TDDS') including overall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disc including the TDFL location information. That is, the TDDS includes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by the disk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required by the present inven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sector (sector0) of one cluster (32 sectors) includes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Disk management information is included, and the remaining sectors (sector 1 to sector 31) have information indicating the disk usage status.

상기 TDMA에 기록되어 관리되는 TDFL 및 TDDS의 구체적인 기록방법 및 사용방법에 대해 이하 도5,6,7,8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detailed recording method and a usage method of the TDFL and the TDDS recorded and managed in the TDM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6, 7, and 8.

[실시예1]Example 1

도5,6은 본발명의 TDMA에의 기록방법에 관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방식의 특징으로는 TDFL은 복수의 기록층이라도 구분없이 작성하되, TDDS는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작성한다는 점에 있다.5 and 6 show a first embodiment of a recording method in the TDM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DFLs are created without distinguish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but TDDSs are prepared separately for each recording layer. Is in.

도5에서 빗금친부분은 결함영역 엔트리(entry)가 사용된 크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보통 이러한 엔트리는 8bytes로 표현되는 바, 1클러스터와 비교하면 하나의 클러스터에는 약 8000개의 엔트리가 기록될수 있게 된다.In FIG. 5, the hatched area indicates the size of the defect area entry used. Usually, such an entry is expressed as 8 bytes, so that about 8000 entries can be recorded in one cluster compared to one cluster. .

디스크의 사용중 결함영역이 발생하면 결함영역 엔트리가 TDFL에 작성되고 이어서 TDDS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TDFL은 결함영역이 발생된 기록층에 상관없이결함영역이 발생된 순서대로 정렬(sorting)되어 작성되어 진다. 이어서 TDDS를 작성하게 되는바, TDDS는 각 기록층을 구분하여 하나의 기록층마다 하나의 클러스터를 할당하여 연속하여 작성한다. 예를들어 2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DL디스크라면, TDDS는 각 레이어별로 각각 하나의 클러스터씩 모두 두개의 클러스터가 항상 기록관리 되게 하는 방식이다(TDDS for L0, TDDS for L1).If a defective area occurs while the disc is in use, a defective area entry is created in the TDFL followed by a TDDS. At this time, the TDFL is created by sorting in the order in which the defective areas are generated regardless of the recording layer where the defective areas are generated. Subsequently, a TDDS is created. The TDDS is sequentially created by dividing each recording layer and allocating one cluster for each recording layer.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L disc having two recording layers, TDDS is a method in which two clusters are always recorded and managed by one cluster for each layer (TDDS for L0 and TDDS for L1).

또한 TDFL은 누적개념으로 사용되어진다. 즉, 두번째 TDFL을 기록할때는 이전에 기록된 TDFL을 포함하여 새로이 추가되는 엔트리를 함께 작성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항상 최신의 TDFL만을 확인하면 전체 TDFL에 포함된 엔트리를 확인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엔트리가 누적적으로 사용되어 하나의 클러스터에 모두 포함될수 없는 경우에는 2개의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TDFL을 기록하게 되고, 이와같이 TDFL의 크기가 변할수 있는 것을 가변적인 TDFL (Variable TDFL) 기록방식이라고 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전체 디스크 사이즈를 고려할때 TDFL이 4 clusters 까지 기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DFL is also used as a cumulative concept. 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TDFL is recorded, a new entry is added together with the previously recorded TDFL. This ensures that only the latest TDFL is checked, so that the entries contained in the entire TDFL can be identified. Therefore, when an entry is used cumulatively and cannot be included in one cluster, the TDFL is recorded using two clusters. Thus, a variable TDFL (Variable TDFL) recording method in which the size of the TDFL can be changed is called. In the case of a Blu-ray disc, the TDFL may be recorded up to 4 clusters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disc size.

도6은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TDDS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6에 제시한 TDDS는 각 기록층에 대한 TDDS(TDDS for L0, TDDS for L1)에 모두 적용가능한 방식이다. 우선 TDDS의 첫번째 섹터(sector0, 하나의 sector는 약 2048bytes의 크기를 가진다)에는 결함관리 정보 및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본발명에서는 최신의 TDFL 위치정보(The first PSN of TDFL Area)가 추가적으로 기록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즉, 각각의 TDDS에는 누적적으로 기록된 TDFL의 최신 위치정보가 기록됨으로서, TDDS내의 상기 정보를 확인하여 손쉽게 TDFL의최신 위치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Figure 6 shows the details contained in the TDD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DDS shown in Fig. 6 is a method applicable to both TDDS (TDDS for LO and TDDS for L1) for each recording layer. In the first sector of the TDDS (sector0, one sector has a size of about 2048 bytes),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disk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st PSD of TDFL area information is used. It should be recorded additionally. That is, the late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DFL recorded cumulatively is recorded in each TDDS, so that the late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DFL can be easily found by checking the above information in the TDDS.

또한 본발명의 TDDS는 나머지 섹터(sector1~sector31)에 각 기록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록층별 사용상태정보로 인하여 TDDS는 각각의 기록층별로 작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용상태정보란 각 기록층의 현재 기록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나, 본발명에서는 트랙정보(Track-Info)와 기록완료표시정보(Space-Bit-Map, or SBM)를 제안한다.In addition, the TDD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formation indicative of the use state of each recording layer in the remaining sectors sector1 to sector31. Due to the use state information for each recording layer, the TDDS is generated for each recording layer. Here, the use state information may be variously expressed as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current recording state of each recording lay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rack information (Track-Info) and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Space-Bit-Map, or SBM) Suggest.

트랙정보는 각 기록층을 복수의 트랙으로 구분하고 각 트랙을 추가기록 가능한 오픈트랙(open-track), 추가기록이 불가능한 기록완료트랙(complete-track or close-track)등으로 구분하여 전체 기록층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The track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racks, and each track is divided into open tracks that can be additionally recorded and complete tracks that cannot be additionally recorded (complete-track or close-track). This is a way to check the status of use.

기록완료표시정보(SBM)는 각 기록층의 최소 기록단위인 1클러스터마다 기록여부를 표시하는 비트를 일대일 할당(mapping)함으로서 전체 기록층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The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SBM) is a method in which the usage status of the entire recording layer can be checked by mapping bits one to one indicating whether recording is performed for each cluster, which is the minimum recording unit of each recording layer.

따라서 TDDS가 갱신될때마다 같이 업데이트되는 상기 트랙정보나 기록완료표시정보(SBM)을 확인하므로서 정확한 기록층별의 사용상태 확인이 가능해 진다.Therefore, by checking the track information or the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SBM) which are updated together every time the TDDS is updat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rrect use status of each recording layer.

본발명의 제1실시예는 기록층별로 구분된 TDDS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항상 같이 기록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TDFL이 각 기록층에 구분없이 자유로이 사용되므로 각 기록층에 대한 TDDS(TDDS for L0, TDDS for L1)도 마치 하나의 단위인 것처럼 같이 기록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에를들어 기록층이 두개인 DL디스크인 경우라면, TDFL에 이어서 기록되는 TDDS는 각 기록층별 하나의 클러스터씩 모두 두개의 클러스터가 하나의 단위로 기록되어 질 것이다.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DDS divided by recording layer is always recorded together by tying it into one unit. That is, since TDFL is freely used for each recording layer, TDDS (TDDS for L0, TDDS for L1) for each recording layer should be recorded together as if it is one unit.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L disc having two recording layers, the TDDS recorded after the TDFL will have two clusters recorded in one unit, one cluster for each recording layer.

[실시예2]Example 2

도7,8은 본발명의 TDMA에의 기록방법에 관한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방식의 특징으로는 TDFL과 TDDS 모두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작성한다는 것에 있다.7 and 8 show a second embodiment of a recording method in the TDMA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the TDFL and the TDDS are prepared for each recording layer.

도7에서도 빗금친 부분은 결함영역 엔트리(entry)가 사용된 크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보통 이러한 엔트리는 8byte로 표현되는 바, 1클러스터와 비교하면 하나의 클러스터에는 약 8000개의 엔트리가 기록될수 있게 된다.In FIG. 7, the hatched portion indicates the size of the defective area entry. In general, such an entry is represented by 8 bytes, and as compared to 1 cluster, about 8000 entries can be recorded in one cluster. .

디스크의 사용중 결함영역이 발생하면 결함영역 엔트리가 TDFL에 작성되고 이어서 TDDS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TDFL은 결함영역이 발생된 기록층에 연동되어 결함영역이 발생된 기록층별로 구분하여 작성되어 진다(TDFL for L0, or TDFL for L1). 이어서 TDDS를 작성하게 되는바, TDDS 또한 각 기록층을 구분하여 TDFL이 발생한 기록층에 대해 하나의 클러스터를 할당하여 작성한다.If a defective area occurs while the disc is in use, a defective area entry is created in the TDFL followed by a TDDS. In this case, the TDFL is interlocked with the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defective area is generated and is prepared separately for each recording layer in which the defective area is generated (TDFL for L0, or TDFL for L1). Subsequently, a TDDS is created. The TDDS also divides each recording layer and allocates one cluster to the recording layer where the TDFL is generated.

또한 TDFL은 누적개념으로 사용되어진다. 즉, 두번째 TDFL을 기록할때는 이전에 기록된 TDFL을 포함하여 새로이 추가되는 엔트리를 함께 작성하는 방식이다. 이렇게 함으로서 항상 최신의 TDFL만을 확인하면 전체 TDFL에 포함된 엔트리를 확인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엔트리가 누적적으로 사용되어 하나의 클러스터에 모두 포함될수 없는 경우에는 2개의 클러스터를 이용하여 TDFL을 기록하게 되고, 이와같이 TDFL의 크기가 변할수 있는 것을 가변적인 TDFL (Variable TDFL) 기록방식이라고 한다,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에는 전체 디스크 사이즈를 고려할때 TDFL이 4 clusters 까지 기록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TDFL is also used as a cumulative concept. 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TDFL is recorded, a new entry is added together with the previously recorded TDFL. This ensures that only the latest TDFL is checked, so that the entries contained in the entire TDFL can be identified. Therefore, when an entry is used cumulatively and cannot be included in one cluster, the TDFL is recorded using two clusters. Thus, a variable TDFL (Variable TDFL) recording method in which the size of the TDFL can be changed is called. In the case of a Blu-ray disc, the TDFL may be recorded up to 4 clusters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disc size.

도8은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TDDS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8에 제시한 TDDS는 각 기록층에 대한 TDDS(TDDS for L0, TDDS for L1)에 모두 적용가능한 방식이다. 우선 TDDS의 첫번째 섹터(sector0, 하나의 sector는 약 2048byte의 크기를 가진다)에는 결함관리 정보 및 디스크 관리 정보를 기록하는 영역으로, 본발명에서는 각 기록층 각각에 대한 최신의 TDFL 위치정보(The first PSN of latest TDFL(L0) Area and The first PSN of latest TDFL(L1) Area)가 추가적으로 기록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즉, 각각의 TDDS에는 누적적으로 기록된 각 기록층에서의 TDFL의 최신 위치정보가 기록됨으로서, TDDS내의 상기 정보를 확인하여 손쉽게 TDFL의 최신 위치정보를 찾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들어 도7과 같은 사용상태라면, 먼저 제1기록층에 대한 TDFL (TDFL for L0)이 기록되고 이어서 제1기록층에 대한 TDDS (TDDS for L0)가 기록된다면 이경우에 TDDS(L0)에 포함되는 최신의 TDFL정보는 제1기록층에 대한 최신의 TDFL 위치정보만(The first PSN of latest TDFL(L0) Area)이 특정한 값을 가질 것이고 아직 기록되지 않은 제2기록층에 대한 최신의 TDFL 위치정보(The first PSN of latest TDFL(L1) Area)는 제로(zero)값으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경우 또다른 실시예로서 해당 기록층의 TDDS는 해당 기록층의 TDFL정보만을 가지는 것으로 규정할수도 있을 것이다.8 illustrates specific contents included in the TDD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DDS shown in FIG. 8 is a method applicable to both TDDS (TDDS for LO and TDDS for L1) for each recording layer. In the first sector of the TDDS (sector0, one sector has a size of about 2048 bytes), the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disk management information are recor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test TDFL position information for each recording layer (The first PSN of latest TDFL (L0) Area and The first PSN of latest TDFL (L1) Area) should be additionally recorded. That is, the late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DFL in each recording layer recorded cumulatively is recorded in each TDDS, so that the latest position information of the TDFL can be easily found by checking the above information in the TDDS. For example, in the use state as shown in Fig. 7, first, a TDFL (TDFL for L0) for the first recording layer is recorded, and then a TDDS (TDDS for L0) for the first recording layer is recorded in this case in the TDDS (L0). The latest TDFL information included is the latest TDFL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first recording layer only (The first PSN of latest TDFL (L0) Area) will have a specific value and the latest TDFL for the second recording layer that has not been recorded yet.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first PSN of latest TDFL (L1) Area) may be set to a zero value. Of course, in this case, as another embodiment, the TDDS of the recording layer may be defined as having only the TDFL information of the recording layer.

또한 각 기록층의 TDDS내에는 각 기록층의 최신의 TDDS 위치정보(The first PSN of latest TDDS(L0) Area and The first PSN of latest TDDS(L1) Area)를 가진다. 상기 정보로부터 TDMA내의 가장 마지막 TDDS(기록층에 무관함)내의 정보를 읽어보면 각 기록층별로 최신의 TDFL 및 TDDS를 모두 확인할 수 게 된다.In addition, the TDDS of each recording layer has the latest TDDS location information (The first PSN of latest TDDS (L0) Area and The first PSN of latest TDDS (L1) Area) of each recording layer. Reading the information in the last TDDS (regardless of the recording layer) in the TDMA from the above information makes it possible to identify the latest TDFL and TDDS for each recording layer.

또한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TDDS는 나머지 섹터(sector1~sector31)에각 기록층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사용상태정보란 각 기록층의 현재 기록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 다양하게 표현될 수 있으나, 본발명에서는 트랙정보(Track-Info)와 기록완료표시정보(Space-Bit-Map, or SBM)를 제안한다.In addition, the TDD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nformation indicating the use state of each recording layer in the remaining sectors sector1 to sector31. Here, the use state information may be variously expressed as information for confirming the current recording state of each recording layer,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rack information (Track-Info) and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Space-Bit-Map, or SBM) Suggest.

트랙정보는 각 기록층을 복수의 트랙으로 구분하고 각 트랙별을 추가기록 가능한 오픈트랙(open-track), 추가기록이 불가능한 기록완료트랙(complete-track or close-track)등으로 구분하여 전체 기록층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Track inform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tracks, and each track is divided into open tracks that can be additionally recorded and complete tracks that cannot be additionally recorded (complete-track or close-track). This is a way to check the usage of the floor.

기록완료표시정보(SBM)는 각 기록층의 최소 기록단위인 1클러스터마다 기록여부를 표시하는 비트를 일대일 할당(mapping)함으로서 전체 기록층의 사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식이다.The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SBM) is a method in which the usage status of the entire recording layer can be checked by mapping bits one to one indicating whether recording is performed for each cluster, which is the minimum recording unit of each recording layer.

따라서 TDDS가 갱신될때마다 같이 업데이트되는 상기 트랙정보나 기록완료표시정보(SBM)을 확인하므로서 정확한 기록층별의 사용상태 확인이 가능해 진다.Therefore, by checking the track information or the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SBM) which are updated together every time the TDDS is update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rrect use status of each recording layer.

즉, 본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TDFL을 기록층별로 구분하여 사용하는 데 특징이 있고, 이에 부수하여 TDDS 또한 기록층별로 하나씩만 작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비교해보면 제1실시예는 사용방식이 간단해지고 편리한 점이 있으나, TDDS를 항상 2 cluster씩 하나의 단위로 기록하므로서 TDMA 사용용량이 제2실시예 경우보다는 많이 필요하게 되고,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보다는 TDMA 사용용량은 줄어드나, 제1실시예보다는 관리되는 항목이 많은 점에 차이가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first embodiment, the TDFL is divided and used for each recording layer. Accordingly, only one TDDS is created for each recording layer. Therefore, in comparison with the first embodiment, the use of the first embodiment is simple and convenient. However, since TDDS is always recorded in one unit of 2 clusters, more TDMA usage capacity is required tha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DMA usage capacity is reduced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more items are managed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는 상호 보완적인 측면이 있으며, 시스템이나 사용자가 각자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방식을 선택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Therefore, the first embodiment or the second embodiment has a complementary aspect, and a system or a user may select and use an optimal method for their environment.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sclo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improve and change various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appended claims below. , Replacement or addition would be possibl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 관리방법은, 특히 복수개의 기록층을 가지는 광디스크의 경우라도 임시 결함관리영역내(TDMA)에 임시 결함영역정보(TDFL)과 임시 결함관리정보(TDDS)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제공함으로서 안정적으로 1회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가 가능하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The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 write once optical dis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TDFL)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TDMA) even in the case of an optical disc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By providing a method of efficiently using information (TDDS), it is a very useful invention that enables defect management of an optical disk capable of stably recording once.

Claims (19)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여 디스크의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In a temporary recordable optical disc having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for recording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to manage the defect area of the disc,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는 결함영역의 발생순서대로 기록관리하고,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of the defect area,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복수층의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기록관리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And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omprises recording and managing each of the recording layers of a plurality of l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복수의 기록층 모두를 하나의 단위로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records and manages all of the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in one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기록층은 2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The defe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re composed of two laye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각 기록층마다 하나의 클러스터씩 작성하여 1회 기록시마다 두개의 클러스터를 동시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created by one cluster for each recording layer and simultaneously recording two clusters at each recording ti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최신의 임시 결함영역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latest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해당 기록층의 사용상태정보를 포함하여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The defect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including the us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recording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상태정보는 해당 기록층의 트랙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se state information is track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recording lay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상태정보는 해당 기록층의 기록단위별 기록완료표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se state information is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for each recording unit of the recording l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는 이전에 기록된 임시 결함영역정보를 포함하여 누적으로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cumulatively including previously recorded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여 디스크의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In a temporary recordable optical disc having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for recording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to manage the defect area of the disc, 결함영역의 발생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a defective area is generated;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는 결함영역의 발생순서대로 기록하고,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복수의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각각의 기록층 모두에 대해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And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is recorded in the order of occurrence of the defective area,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for each recording layer separately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 defect management method for a write once optical disc.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여 디스크의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In a one-time recordable optical disc having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for recording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to manage the defect area of the disc,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복수층의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해당 기록층에 대한 정보를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Wherein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are classified for each recording layer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records and manages information on the corresponding recording lay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해당 기록층의 최신의 임시 결함영역정보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including position information indicating a position of the latest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recording lay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해당 기록층의 사용상태정보를 포함하여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use state of the corresponding recording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상태정보는 해당 기록층의 트랙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use state information is track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recording lay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상태정보는 해당 기록층의 기록단위별 기록완료표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use state information is recording completion indication information for each recording unit of the recording lay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마다 구분된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타 기록층에 대한 임시 결함관리정보의 최신의 위치를 알려주는 위치정보를 포함하여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12. The optical disc of claim 1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classified for each recording layer includes recording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e latest position of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for the other recording layer. Defect management method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는 이전에 기록된 임시 결함영역정보를 포함하여 누적으로 기록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is recorded and managed cumulatively including previously recorded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여 디스크의 결함영역을 관리하는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In a one-time recordable optical disc having 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d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for recording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to manage the defect area of the disc, 결함영역의 발생여부 및 발생된 기록층을 확인하는 단계와,Checking whether a defective area is generated and the recording layer has occurred; 상기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해당기록층마다 구분하여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결함관리 방법.And recording the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separately for each corresponding recording lay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hecking. 복수의 기록층을 가진 디스크의 특정영역에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 결함영역정보와 임시 결함관리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임시 결함관리정보는 상기 복수층의 기록층마다 구분하여 기록관리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A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is provided in a specific area of a disc having a plurality of recording layers, and an area for recording temporary defect area information and temporary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is provided in the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An optical disc of write once typ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ording management is performed separately for each recording layer of a plurality of layers.
KR1020030030677A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KR1009397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77A KR100939713B1 (en)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677A KR100939713B1 (en)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355A true KR20040098355A (en) 2004-11-20
KR100939713B1 KR100939713B1 (en) 2010-02-01

Family

ID=37376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677A KR100939713B1 (en) 2003-05-14 2003-05-14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9713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7397A (en) * 1993-08-13 1995-03-03 Ricoh Co Ltd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JP2001014808A (en) 1999-06-30 2001-01-19 Toshiba Corp Optical disk and optical disk device
KR100696794B1 (en) * 2000-03-30 2007-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Defect managing method for a rewritable optical dis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9713B1 (en)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5809B2 (en) Write-once optical disc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KR101067777B1 (e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defect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thereof
JP4469286B2 (en) Optical recording medium capable of recording only onc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efect area in this optical recording medium
RU2344494C2 (en) Optical disk of write once type, method and device of defect information control on optical disk
JP2006514389A (e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KR101003428B1 (en) Recording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managing at least a data area of the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N101303877B (en) Replay apparatus and management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KR100939713B1 (en)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KR100964683B1 (en) Method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optical disc write once
KR100949961B1 (en) Method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optical disc write once
KR20040094963A (en) Defect management for optical disc writable once
KR20050008141A (en) Method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optical disc write once
KR20050025450A (en) Method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optical disc write o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