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079A -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079A
KR20040098079A KR1020030030085A KR20030030085A KR20040098079A KR 20040098079 A KR20040098079 A KR 20040098079A KR 1020030030085 A KR1020030030085 A KR 1020030030085A KR 20030030085 A KR20030030085 A KR 20030030085A KR 20040098079 A KR20040098079 A KR 200400980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able modem
network
internet servic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5992B1 (ko
Inventor
이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빛 아이앤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빛 아이앤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빛 아이앤비
Priority to KR10-2003-003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5992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5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59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백본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을 이용하여 각 제공자의 인터넷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PC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별도의 라우팅 수단과 DHCP 서버를 운용하고, CMTS에 의하여 각 가입자의 데이터를 해당 사업자의 온라인망으로 경로지정하도록 함으로써 전송망의 효율을 증대함과 동시에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온라인망 사이의 연관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서비스를 실현하도록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DUAL INTERNET SERVICE PROVIDER SYSTEM}
본 발명은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 사업자가 백본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을 이용하여 각 사업자에 속하는 각 가입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전송망의 효율을 증대함과 동시에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 사업자 간의 상호 영향력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흔히 정보화 사회로 대변되며 모든 현대인들은 급변하는 정보화 사회의 물결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전은 이러한 정보화 사회를 더욱 앞당기고 있다.
이와 같은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현재 네트워크시장에서 최대의 관심 사항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멀티미디어와 인터넷의 관심 및 수요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서, CATV망의 일종인 광동축 혼합망(HFC:Hybrid Fiber Coaxial)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 제공 사업자의 수도 증가하였다.
HFC는 광동축 혼합망(Hybrid Fiber Coaxial Cable)의 약자로서, 네트웍의 서로 다른 부분에서 광섬유 케이블과 동축케이블이 사용되는 통신 기술이다.
HFC는 CATV 전송망 피더(Feeder) 구간을 광케이블로 대체할 수 있는데, 즉 방송국에서 광분배점(Fiber Node)까지 광케이블로 연결하고, 광분배점에서 가입자까지의 선로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형태의 망을 사용한다.
케이블 헤드앤드로부터 500~2000노드의 사용자까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분배점까지 광케이블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HFC망은 750MHz의 대역폭 활용이 가능하며, 하나의 광분배점에서 가입자까지 케이블모뎀이나 셋톱 박스로 연결된다. HFC 네트워크의 특징은 아래와 같다.
첫째, 백본 파이프로서 광섬유 케이블을 사용하면 동축케이블만 사용하는 것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둘째, 높은 대역폭으로 인해 사용자가 주고받는 쌍방향 데이터를 지원할 수 있다.
셋째, 광섬유 케이블이 포설된 기반시설 부분은 동축케이블보다 더 높은 신뢰도를 가진다. 신뢰도는 쌍방향 데이터 전송 환경에서는 더욱 큰 중요도를 갖는다.
넷째, 기업이나 가정에 항상 설치되어 있는 기존의 동축케이블을 교체하지 않고서도, 광섬유 케이블의 일부 특성을 사용자 가까이 전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HFC망을 통한 단일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HFC망을 통하여 제공되는 단일한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은, 각 단말기(PC)에 구비된 케이블 모뎀이 HFC망 및 광망종단장치(ONU : Optical Node Unit)를 통하여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와 연결되고, 그 케이블 모뎀과 CMTS의 정상적인 연결이 완료되면, 케이블모뎀에 관한 사용자가 가입한 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의 IP 주소가 DHCP 서버(DHCP Server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Server)에 의하여 그 케이블 모뎀측에 할당됨으로써, 그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인터넷망을 통하여 외부 온라인망, 즉 백본(backbone)망과의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HFC망을 이용하여 그 서비스 사용자에게 인터넷 접속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별도의 독자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므로,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수에 비례하여 시스템 구축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독자적 시스템을 운용함에 따라,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게 주파수대역을 배분하여야 하므로, 상향 5~42MHz에 불과한 한정된 주파수대역이 부족하게 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뿐더러, 만일 CMTS와 케이블모뎀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ISP 시스템인 경우에는, CMTS와 케이블모뎀 간 접속시간이 지연되고, 복수의 CMTS 중 하나의 CMTS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 장애가 발생한 CMTS에 접속되었던 케이블 모뎀이 다른 CMTS에 접속을 시도함에 따라 정상적인 CMTS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의 일례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에서는, 복수의 PC에 케이블모뎀이 연결되고, 각 케이블모뎀은 HFC 망을 통하여 CMTS에 연결되며, DHCP 서버와 허브로 이루어지는 IP 주소 할당수단에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하는 각각의 IP 주소에 관한 정보 및 각 케이블모뎀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라우팅수단, 즉 라우터(router)는 각 케이블모뎀의 IP 주소를 인지하여, 인지된 IP 주소를 사용하는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측 온라인망측으로 각 케이블모뎀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적절히 송수신시키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HFC망을 이용하여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동시에 각각의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하나의 허브, 라우터 및 DHCP 서버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온라인망 중 하나에만 장애가 생기는 경우에도 외부 온라인망, 즉 백본(backbone)망에 연결되는 전체의 망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및 각 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가 하나의 DHCP 서버에서 통합적으로 관리되므로, 정보의 보안이 미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라우팅수단, 즉 라우터에 의하여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각 가입자 PC에 인터넷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라우터의 라우팅 장애시 전체 망의 사용이 불가능해지는 취약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서,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백본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을 이용하여 각 제공자의 인터넷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PC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별도의 라우팅 수단과 DHCP 서버를 운용하고, CMTS에 의하여 각 가입자의 데이터를 해당 사업자의 온라인망으로 경로지정하도록 함으로써 전송망의 효율을 증대함과 동시에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온라인망 사이의 연관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서비스를 실현하도록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HFC망을 통한 단일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의 일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라우팅 수단으로서 L3 스위치가 적용된 경우의 구성례,
도 5는 라우팅 수단으로서 기가비트 스위치가 적용된 경우의 구성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IP주소 할당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백본(backbone)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HFC:Hybrid Fiber Coaxial C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백본망에 연결되는 복수의 온라인망과, 상기 온라인망의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 수단과, 상기 라우팅 수단의 각각에 연결되고,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자신의 사설IP주소와, 공인IP주소 및 가입자측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복수의 IP주소 할당수단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 수단과 고속이더넷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와, 상기 CMTS에 연결된 광동축 혼합망과, 상기 광동축 혼합망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 모뎀 및 상기 각 케이블 모뎀에 연결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의 각각은,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mediaaccess control address)에 의거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이 자기의 인터넷서비스 가입자측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가입자의 MAC주소인 경우에는 사설IP주소를 부여하고, 가입자측 MAC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의 액세스를 무시하며, 상기 CMTS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할당된 공인IP주소를 인식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송수신되는 온라인 데이터를 상기 공인IP주소를 할당한 특정 IP주소 할당수단의 온라인망을 통하여 상기 백본망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우팅 수단은, L3 스위치 또는 기가비트 스위치(gigabit switch)로 할 수 있으며,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은, DHCP 서버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백본(backbone)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HFC:Hybrid Fiber Coaxial C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을 이용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방법은,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에 저장된 상기 MAC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이 가입자측 케이블 모뎀에 사설IP주소를 할당하고, 이후 상기 사설IP주소를 할당받은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에 접속하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이 공인IP주소를 할당하는 IP주소 할당단계와; 상기 케이블 모뎀에 할당된 상기 공인IP주소에 의거하여 CMTS가 상기 케이블 모뎀이 사용할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고속이더넷망을 지정하는 ISP 지정단계와; 상기 ISP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상기 고속이더넷망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이 상기 백본망에 연결되어, 외부 인터넷망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넷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IP주소 할당단계는,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각 IP주소 할당수단으로 IP주소 할당요청 신호패킷이 전송되는 제1 단계와; 각 IP주소 할당수단이 상기 IP주소 할당요청 신호패킷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 그렇지 않으면 상기 케이블 모뎀에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각 IP주소 할당수단은, 상기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자기의 사설IP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패킷을 무시하며, 상기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에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자기의 공인IP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패킷을 무시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2개인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은, 백본망에 연결되는 복수의 온라인망(374,384)과, 상기 온라인망(374,384)의 각각에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 수단(371,381)과, 상기 라우팅 수단(371,381)의 각각에 연결되고,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자신의 사설IP주소와, 공인IP주소 및 가입자측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복수의 IP주소 할당수단(372,382)과, 상기 복수의 라우팅 수단(371,381)과 고속이더넷망(37,38)을 통하여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30)와, 상기 CMTS(30)에 연결된 광동축 혼합망(31,32,33,34)과, 상기 광동축 혼합망(31,32,33,34)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 모뎀(35,36) 및 상기 각 케이블 모뎀에 연결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351,3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ISP)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두 개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 관한 구성요소를 각각 제1 온라인망(374), 제1 라우팅 수단(371), 제1 IP주소 할당수단(372), 제2 온라인망(384), 제2 라우팅 수단(381), 제2 IP주소 할당수단(382)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또한, 가입자측에 있어서도,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마다 하나의 가입자를 상정하여, 제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측 가입자의 케이블 모뎀 및 네트워크 단말기를 제1 케이블 모뎀(35) 및 제1 네트워크 단말기(351), 제2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측 가입자의 케이블 모뎀 및 네트워크 단말기를 제2 케이블 모뎀(36) 및 제2 네트워크 단말기(361)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단말기(351) 및 제2 네트워크 단말기(361)와 각각 연결된 제1 케이블모뎀(35) 및 제2 케이블 모뎀(36)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등을 포함하는 각종 온라인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광케이블과 동축 케이블이 사용되는 광동축 혼합망(HFC),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 및 라우팅 수단(371,381)을 통하여 각 IP주소 할당수단(372,382)과 연결된다.
이 때, 라우팅 수단(371,381)으로는 L3 스위치(L3 switch) 또는 기가비트 스위치(gigabit switch)가 적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라우팅 수단으로서 L3 스위치 및 기가비트 스위치가 적용된 경우의 구성례를 나타내고 있다.
L3 이더넷 스위치란, IP 라우팅을 지원하는 이더넷 스위치를 뜻하는 것으로서, 실직적으로는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라우터와 동일하다. 다만, 네트워크 장비의 벤더(vendor)가 마케팅 차원에서 IP 라우팅을 스위치처럼 빠르게 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L3 스위치란 용어를 창안하고 사용하여 온 것이다. 한편, 기가비트 스위치 또한 라우팅 수단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스위칭 속도(switching speed)로써 패킷 라우팅을 할 수 있는 높은 성능과 기존 망과의 완벽한 호환성, 관리의 용이성, 시스템의 경제성 등을 가진다.
한편, IP주소 할당수단(372,382)으로서, L3 스위치 또는 기가비트 스위치와 함께 구성되는 DHCP 서버(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server)가 적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IP주소 할당수단(372,382)으로서 DHCP 서버를 채택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 때, 제1 IP주소 할당수단(372) 및 제2 IP주소 할당수단(382)에는 각각, 제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 및 제2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사용하는 사설IP주소, 공인IP주소 및 당해 서비스의 가입자 케이블 모뎀에 관한 MAC정보가 미리 저장되어있게 된다. 이는, 케이블 모뎀을 통하여 서비스 사용자가 백본망과 온라인 데이터 송수신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 당해 케이블 모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적절한 비공인 또는 공인IP주소를 할당하기 위하여 필요하다. 즉, 제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가 제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온라인망(374)을 통하여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 IP주소 할당수단(372)에서 공인IP를 할당하여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케이블 모뎀(36)이 제1 IP주소 할당수단(372)에 IP할당을 요청하는 신호패킷을 전송하면, 이와 동시에 제1 IP주소 할당수단(372)은 기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제2 케이블 모뎀(36)이 제1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앞서 제2 케이블 모뎀(36)은 제2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가입자인 것으로 상정하였으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IP주소 할당수단(372)은 제2 케이블 모뎀(36)의 액세스를 무시한다. 이와 함께, 제2 케이블 모뎀(36)은 재차 제2 IP주소 할당수단(382)에 IP할당을 요청하는 신호패킷을 전송하면, 제2 IP주소 할당수단(382)은 신호패킷으로부터 MAC정보를 확인하여, 가입자로 판명되면 제2 케이블 모뎀(36)에 사설IP 및 공인IP를 할당함으로써, 백본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IP주소 할당수단이 저장하여 가입자 여부 판단에 참조할 수 있는 자료로는, 케이블 모뎀의 데이터 계층 주소에 관한 정보인 MAC(media access control)정보를 기본으로 하며, 이밖에도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피가입자의 케이블 모뎀에 부여한 태그(tag)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 CMTS의 역할을 살펴보기로 한다.
위와 같이 제2 케이블 모뎀(36)에 연결된 네트워크 단말기(361)에 공인IP주소가 할당된 후, 네트워크 단말기(361)의 사용자는 http, ftp 등의 프로토콜로써 송수신하고자 하는 호스트의 IP주소 또는 도메인 명칭을 입력하여 접속을 시도하게 될 때, 라우팅 수단(371,381) 및 온라인망 (374,384)을 거쳐 백본망(39)과 연결되게 된다. 여기에서, CMTS(30)는 네트워크 단말기(361)에 할당된 공인IP주소를 인식한 후, 그 공인IP주소를 할당한 IP주소 할당수단을 판단함으로써 적절한 고속이더넷망(fast ethernet)측으로 데이터의 송수신 경로를 지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IP주소 할당수단이 공인IP주소를 할당하였으므로, 제2 고속이더넷망(38) 측으로 송수신데이터 경로가 지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CMTS에 의하여 경로가 지정되는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마다의 개별적인 고속이더넷망, 라우팅 수단, DHCP 서버 및 ISP온라인망을 사용하게 되므로, 종래 기술에 의한 라우터를 이용한 멀티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과는 달리 시스템의 안정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됨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방법은, IP주소 할당단계(60)와, ISP 지정단계(61)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단계(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IP주소 할당단계(60)에서는,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에 저장된 상기 MAC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이 가입자측 케이블 모뎀에 사설IP주소를 할당하고, 이후 상기 사설IP주소를 할당받은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에 접속하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이 공인IP주소를 할당하게 된다.
다음으로, ISP 지정단계(61)에서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할당된 상기 공인IP주소에 의거하여 CMTS가 상기 케이블 모뎀이 사용할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고속이더넷망을 지정하게 된다.
그 후, 인터넷서비스 제공단계(62)에서 상기 ISP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상기 고속이더넷망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이 상기 백본망에 연결되어, 외부 인터넷망과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IP주소 할당단계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IP주소 할당단계(60)는,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3단계의 하위 단계로 세분화된다.
즉, 제1 단계(70)에서는,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각 IP주소 할당수단으로 IP주소 할당요청 신호패킷이 전송된다.
다음으로, 제2 단계(71)에서는, 각 IP주소 할당수단이 IP주소 할당요청 신호패킷에 의거하여,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 그렇지 않으면 상기 케이블 모뎀에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제3 단계(72)에서는 신호패킷이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여부 및 신호패킷을 전송한 케이블 모뎀 또는 케이블 모뎀에 연결된 네트워크 단말기가 당해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피가입자로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경우가 나뉘게 된다.
즉, 각 IP주소 할당수단은, 신호패킷이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자기의 사설IP주소를 할당하고(721),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패킷을 무시하며(722), 상기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에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자기의 공인IP주소를 할당하고(723),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패킷을 무시하도록(724) 하여,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온라인망으로 피가입자의 송수신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ISP)에 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이 적용되는 경우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3 이상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에 대하여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현재의 기술 수준에 따른 CMTS의 중앙처리장치(CPU)의 처리능력 제약에 따라 3 개를 초과하는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동일한 광동축 혼합망을 공용하여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현이 곤란한 점은 본 명세서의 논의의 대상이 아니므로 이를 논외로 한다.
또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 케이블모뎀이 디지털 셋톱박스(set-top box)에 내장되도록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이 구성되도록 하는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은, 각종 컨텐츠(영화,교육,세미나 자료,게임,스포츠 등)를 Full-Motion TV 화질로 제공하며, 컨텐츠의 속성 및 기간에 따라 NVOD, VOD, PPV 등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하는 VOD 서비스(VOD service:video-on-demand service)나, 데이터 방송 및 초고속 인터넷 접속 서비스, 방송과 동기적 인터페이스를 가능하게 하여 인터넷을 이용한 뉴스, 일기, 증권, 쇼핑 등 다양한 컨텐츠 및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TV 서비스, 또는 VoIP 기술을 이용하여 음성을 데이터 신호로 변조하여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전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인 인터넷 텔레포니 서비스(internet telephony service) 등의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디지털 미디어 센터 (DMC:digital media center)를 구현하는 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사용하면,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가 백본(backbone)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HFC:Hybrid Fiber Coaxial Cable)을 이용하여 각 제공자의 인터넷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 PC에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있어서,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별도의 라우팅 수단과 DHCP 서버를 운용하고, CMTS에 의하여 각 가입자의 데이터를 해당 사업자의 온라인망으로 경로지정하도록 함으로써 전송망의 효율을 증대함과 동시에 복수의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온라인망 사이의 연관을 감소시켜 안정적인 서비스를 실현할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백본(backbone)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HFC:Hybrid Fiber Coaxial C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백본망에 연결되는 복수의 온라인망과, 상기 온라인망의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의 라우팅 수단과, 상기 라우팅 수단의 각각에 연결되고, 각 인터넷서비스 제공자별로 자신의 사설IP주소와, 공인IP주소 및 가입자측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가 저장되는 복수의 IP주소 할당수단과, 상기 각 라우팅 수단과 고속이더넷망을 통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CMTS(cable modem termination system)와, 상기 CMTS에 연결된 광동축 혼합망과, 상기 광동축 혼합망에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 모뎀 및 상기 각 케이블 모뎀에 연결되는 복수의 네트워크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으로서,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의 각각은,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에 의거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이 자기의 인터넷서비스 가입자측인지 여부를 확인하여, 가입자의 MAC주소인 경우에는 사설IP주소를 부여하고, 가입자측 MAC주소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의 액세스를 무시하며,
    상기 CMTS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할당된 공인IP주소를 인식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송수신되는 온라인 데이터를 상기 공인IP주소를 할당한 특정 IP주소 할당수단의 온라인망을 통하여 상기 백본망과 송수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수단은, L3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 수단은, 기가비트 스위치(gigabit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은, DHCP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5. 백본(backbone)망에 연결되는 하나의 광동축 혼합망(HFC:Hybrid Fiber Coaxial C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가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제 1항의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에 의한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에 저장된 상기 MAC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이 가입자측 케이블 모뎀에 사설IP주소를 할당하고, 이후 상기 사설IP주소를 할당받은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에 접속하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상기 IP주소 할당수단이 공인IP주소를 할당하는 IP주소 할당단계와;
    상기 케이블 모뎀에 할당된 상기 공인IP주소에 의거하여 CMTS가 상기 케이블 모뎀이 사용할 인터넷서비스 제공자의 고속이더넷망을 지정하는 ISP 지정단계와;
    상기 ISP 지정단계에서 지정된 상기 고속이더넷망을 통하여 상기 케이블 모뎀이 상기 백본망에 연결되어, 외부 인터넷망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인터넷서비스 제공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IP주소 할당단계는,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각 IP주소 할당수단으로 IP주소 할당요청 신호패킷이 전송되는 제1 단계와;
    각 IP주소 할당수단이 상기 IP주소 할당요청 신호패킷에 의거하여, 상기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되었는지, 그렇지 않으면 상기 케이블 모뎀에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각 IP주소 할당수단은, 상기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으로부터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자기의 사설IP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패킷을 무시하며, 상기 신호패킷이 상기 케이블 모뎀에 연결된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케이블 모뎀에 자기의 공인IP주소를 할당하고, 상기 케이블 모뎀의 MAC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신호패킷을 무시하는 제3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3-0030085A 2003-05-13 2003-05-13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KR100505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085A KR100505992B1 (ko) 2003-05-13 2003-05-13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085A KR100505992B1 (ko) 2003-05-13 2003-05-13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079A true KR20040098079A (ko) 2004-11-20
KR100505992B1 KR100505992B1 (ko) 2005-08-03

Family

ID=37376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085A KR100505992B1 (ko) 2003-05-13 2003-05-13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59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21B1 (ko) * 2004-10-18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dsg 채널을 갖는 오픈케이블 디지털 방송시스템과 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홈 dsg 채널획득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90B1 (ko) * 2015-09-21 2021-12-17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네트워크 주소 할당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321B1 (ko) * 2004-10-18 200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dsg 채널을 갖는 오픈케이블 디지털 방송시스템과 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홈 dsg 채널획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5992B1 (ko)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4545B1 (en) VDSL data network, service and management architecture
US10439862B2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ultiple virtual network interfaces
US10171293B2 (en) Initializing, provisioning, and managing devices
US97426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learning and maintaining IP address allocation topology
US201200235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service
US201000502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ndwidth handling
KR20050003450A (ko) 인터페이스 구조
KR20160048090A (ko) 케이블 모뎀
EP1316173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a multiple internet connection service using a hybrid fiber coaxial cable network
US20050152366A1 (en) Delivering cable television over a network agnostic platform
US11700228B2 (en) Hardware address consistency management
KR100505992B1 (ko) 다중 인터넷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US8305920B2 (en) Method, system and terminal for determining QoS level
JP2004147344A (ja) 通信装置
KR100526561B1 (ko) 이더넷 프로토콜을 이용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시스템 및그의 디지털 방송 데이터 전송 방법
CN207588890U (zh) 一种融合网关及通信系统
WO2019232680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load balancing
Fulton et al. DOCSIS as a foundation for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munity networking over hybrid fiber coax
KR20050065988A (ko) 가상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방송 스트리밍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236964B1 (ko) 광대역 통신망에서의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제공 방법
Krasniqi IPTV IMPLEMENTATION IN KOSOVO INFRASTRUCTURE
WO2001011808A1 (en) Pure optical integrated services network
KR20070039302A (ko) 다중 인터넷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