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061A -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061A
KR20040095061A KR1020030028658A KR20030028658A KR20040095061A KR 20040095061 A KR20040095061 A KR 20040095061A KR 1020030028658 A KR1020030028658 A KR 1020030028658A KR 20030028658 A KR20030028658 A KR 20030028658A KR 20040095061 A KR20040095061 A KR 20040095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quid crystal
layer
polarizing plat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상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8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5061A/ko
Publication of KR20040095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0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4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도를 향상시킬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기판에 제 1, 제 2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편광판상에 제 1, 제 2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배향막을 배향처리 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향막과 제 2 배향막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Method for fabrica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광도를 향상시킬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등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여러 장비에서 표시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 현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장치의 용도로 CRT(Cathode Ray Tube)를 대체하면서 LCD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이동형의 용도 이외에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전, 및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장치가 여러 분야에서 화면 표시장치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 여러 가지 기술적인 발전이 이루어 졌음에도 불구하고 화면 표시장치로서 화상의 품질을 높이는 작업은 상기 장점과 배치되는 면이 많이 있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가 일반적인 화면 표시장치로서 다양한 부분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경량, 박형, 저 소비전력의 특징을 유지하면서도 고정세, 고휘도, 대면적 등 고 품위 화상을 얼마나 구현할 수 있는가에 발전의 관건이 걸려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액정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패널과 상기 액정 패널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구동부로 크게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액정 패널은 공간을 갖고 합착된 제 1,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제 2 기판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기판(TFT 어레이 기판)에는, 일정 간격을 갖고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게이트 배선과, 상기 각 게이트 배선과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과, 상기 각 게이트 배선과 데이터 배선이 교차되어 정의된 각 화소영역에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화소 전극과 상기 게이트 배선의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의 신호를 상기 각 화소 전극에 전달하는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기판(컬러필터 기판)에는, 상기 화소 영역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층과, 컬러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R, G, B 컬러필터층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공통 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제 1, 제 2 기판은 스페이서(spacer)에 의해 일정 공간을 갖고 시일재(sealant)에 의해 합착되고 상기 두 기판 사이에 액정이 형성된다.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방향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정 공간을 갖고 합착된 제 1 기판(1) 및 제 2 기판(2)과, 상기 제 1 기판(1)과 제 2 기판(2)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 기판(1)에는 화소영역(P)을 정의하기 위하여 일정한 간격을 갖고 일방향으로 복수개의 게이트 배선(4)이 배열되고, 상기 게이트 배선(4)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개의 데이터 배선(5)이 배열되며, 상기 각 화소영역(P)에는 화소전극(6)이 형성되고, 상기 각 게이트 배선(4)과 데이터 배선(5)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4)의 구동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데이터 배선(5)의 영상신호를 각 화소전극(6)에 인가하는 복수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2)에는 상기 화소영역(P)을 제외한 부분의 빛을 차단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층(7)과 상기 각 화소영역(P)에 대응되어 칼라 색상을 표현하기 위한 R, G, B 칼라필터층(8)과, 상기 칼라필터층을 평탄화하기 위한 오버 코트층(13)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공통전극(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제 2 기판(1,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제 1, 제 2 배향막(11a, 11b)이 형성되고 액정층(3)의 액정 분자를 배향시키기 위해 배향처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 기판(1,2)의 서로 마주보는 면의 반대편에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필터링하여 편광시키고, 상기 편광된 빛을 상기 액정층으로 전달하는 제 1, 제 2 편광판(10a, 10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편광판을 통과하여 편광된 빛이 기판을 지나면서 편광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배향막의 불량 등에 의해, 상기 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으로부터 배향막을 제거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상기 기판으로부터 배향막을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셋째, 칼라필터층이 형성된 제 2 기판의 표면을 평탄화하기 위하여 오버 코트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진행해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편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 방향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 1 기판의 공정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 2 기판의 공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 설명
31 : 제 1 기판 32 : 제 1 편광판
33 : 제 1 배향막 61 : 제 2 기판
62 : 제 2 편광판 63 : 제 2 배향막
64 : 액정층 65 : 외부 광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기판에 제 1, 제 2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편광판상에 제 1, 제 2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배향막을 배향처리 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향막과 제 2 배향막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액정층은 액정적하방식 또는 액정주입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편광판 및 제 1 배향막이 형성된 제 1 기판 또는 제 2 편광판 및제 2 배향막이 형성된 제 2 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편광판과 제 1 기판은 상기 제 1 편광판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기판상에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기판상에 칼라필터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향처리는 러빙법 또는 UV 조사법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판은 폴리 비닐 알콜막을 가열하여 늘어뜨려 요오드를 함유한 용액에 침적시키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기판의 공정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기판의 공정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공정 단면도이다.
먼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을 구비한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 제 1 기판(31) 및 블랙매트릭스층(61b) 및 공통전극과 칼라필터층(61a)을 구비한 칼라필터 어레이가 형성된 제 2 기판(61)을 준비한다.
그리고, 이물질 및 파티클(particle)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31, 62)을 세정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 공정을 마친 제 1 기판(31)의 전면에 제 1 편광판(32)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편광판(32)은, 폴리 비닐 알콜(Poly Vinyle Alcohol)의 얇은 막을 가열시키면서 늘어뜨려, 요오드(Iodic Acid)를 대량으로 함유한 용액에 침적시켜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편광판(32)의 하부에는 접착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접착층(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31)과 상기 제 1 편광판(32)이 접착되게 된다.
이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편광판(32)이 형성된 제 1 기판(31)의 전면에 제 1 배향막(33)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배향막(33)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스핀, 스프레이, 딥 및 인쇄 방식등의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인쇄 방식으로 제 1 배향막(33)을 형성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배향막(33)을 형성하기 위한 배향막 재료로는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 이미드계 화합물, PVA(Poly Vinyl Alchol),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등의 물질을 러빙 처리하여 배향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PVCH(Poly Vinyl Cinnamate), PSCN(Poly Siloxane Cinnamate) 또는CelCN(Cellulose Cinnamate)계 화합물과 같은 광반응성 물질을 광배향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 방식은, 배향막 인쇄 장치를 사용하여 제 1 배향막(33)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향막 인쇄 장치의 원료공급 용기(47)내에 저장된 배향막 원료용액인 폴리이미드액(41)이 원료 공급관(42)을 통하여 이송되고, 상기 폴리이미드액(41)은 디스펜서(43)를 통하여 상호 회전하고 있는 닥터 롤(44)과 아닐록스 롤(45)의 접촉면에 적하 공급된다.
이어, 상기 닥터 롤(44)과 아닐록스 롤(45)의 접촉면에 적하 공급된 폴리이미드액(41)은 닥터 롤(44)과 아닐록스 롤(45) 사이에서 균일하게 개어지고, 그 결과 인쇄 롤(46)의 표면에는 균일하게 폴리이미드액(41)이 도포된다.
그러면, 상기 인쇄 롤(46)에 균일하게 도포된 폴리이미드액(41)은 인쇄 테이블(48)에 안치되어 있는 제 1 기판(31)의 제 1 편광판(32)의 전면에 인쇄되고, 상기 인쇄된 폴리이미드액(41)을 소정 온도에서 경화 처리함으로써 제 1 배향막(3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편광판(32) 전체에 걸쳐 제 1 배향막(33)이 균일하게 인쇄되지 않는 등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제 1 배향막(33)을 제거하고 상기 배향막 형성 공정을 재 실시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배향막(33) 자체를 직접 제거하기는 어려우므로, 상기 제 1 배향막(33)이 형성되어 있는 제 1 편광판(32)을 제 1 기판(31)으로부터 탈착함으로써 상기 제 1 배향막(33)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 1 편광판(32)의 하부에,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접착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기인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공정에 의해 제 1 편광판(32) 및 제 1 배향막(33)이 형성된 제 1 기판(31)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편광판(32)과 제 1 기판(31)의 접착력을 강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압공정은, 상기 제 1 배향막(33)을 러빙포(55)를 이용하여 배향처리하는 러빙법에서는 생략 가능하다.
즉,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향막 인쇄장치에 의해 제 1 배향막(33)이 형성된 제 1 기판(31)을 스테이지(51)의 상면에 탑재시키고, 구동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동력으로 구동롤러(52)를 회전시켜 상기 스테이지(51)를 기판진행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상기 제 1 기판(31)을 이동시킨다.
이 때, 지지대(53)에 연결된 러빙롤(54)의 러빙포(55)는 그 저부에서 전진하는 상기 제 1 기판(31)의 제 1 배향막(33)과 접촉된 후, 상기 러빙롤(54)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러빙롤(54)에 형성된 러빙포(55)가 제 1 배향막(33)에 홈을 남겨 배향처리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러빙롤(54) 및 러빙포(55)에 의해 상기 제 1 배향막(33)에 가해진 압력이 상기 제 1 편광판(32)으로 전달되어서 상기 제 1 편광판(32)과 제 1 기판(31) 사이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가압 공정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배향막(33)의 배향처리 공정 및 제 1 기판(31)과 제 1 편광판(32)의 접착력을 강화시키는 가압 공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러빙법을 이용하여 배향처리를 하고 있지만, 광배향막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여 배향처리하는 UV 조사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후, 상기 제 2 기판(61)도 제 1 기판(31)과 동일한 공정을 반복하여 제작한다.
여기서, 종래의 액정표시장치(TN 모드)에서 제 2 기판(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랙매트릭스층(7) 및 공통전극(9)과 칼라필터층(8)이 형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칼라필터층(8)은 그 표면이 요철모양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평탄화하기 위하여, 상기 칼라필터층(8)의 전면에 오버 코트층(13)이 형성된다.
또한, IPS 모드에서의 상기 오버 코트층(13)은 상기와 같은 평탄화 역할뿐만 아니라, 상기 칼라필터층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온 성분이 액정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버 코트층이 형성된 제 2 기판 또는 오버 코트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기판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오버 코트층이 형성되지 않은 제 2 기판(61)에 대해서는 상기 제 2 편광판(62)이,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오버 코트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TN 모드에서는, 상기 제 2 기판(61)의 전면에 편광판(62)을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칼라필터층(61a)이 형성된 제 2 기판(61)의 표면이 평탄화 된다.
실질적으로는, 상기 제 2 기판(61)의 칼라필터층(61a)위에 제 2 편광판(62)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요철 모양으로 형성된 칼라필터층(61a)을 평탄화하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IPS 모드에서도, 상기 제 2 편광판(62)은 칼라필터층의 평탄화 및 칼라필터층에 존재하는 불순물의 확산 방지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기판(61)의 전면에, 제 1 기판(31)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공정으로, 제 2 편광판(62)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편광판(62)의 전면에 배향막(63)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편광판(62) 및 제 2 배향막(63)이 형성된 제 2 기판(61)을 가압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압 공정은 상기 제 2 배향막(63)을 배향처리하는 러빙법에 의해 생략될 수 있다.
이 후, 이와 같이 상기 제 1, 제 2 편광판(32, 62) 및 제 1, 제 2 배향막(33, 63)이 형성된 제 1, 제 2 기판(31, 6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spacer)(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일정 공간을 갖고 액정주입구를 갖는 시일재(sealant)(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합착되어 상기 두 기판(31, 61) 사이에 액정층(64)이 주입된다.
여기서, 상기 액정층(64)은 상기 시일재에 의해 합착된 제 1 기판(31)과 제 2 기판(61) 사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액정액에 입구가 잠기도록 하여 삼투압 현상에 의해 액정을 주입하는 액정주입 방식에 의해 형성한다.
또한, 제 1 기판(31) 또는 제 2 기판(61)에 액정을 적당량 적하한 후 상기 제 1 기판(31)과 제 2 기판(61)을 합착하는 액정적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기판(31)과 제 2 기판(61)을 합착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에서, 상기 제 1, 제 2 편광판(32, 62)은 제 1 기판(31)과 제2 기판(61)이 서로 마주보는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제 2 편광판(32, 62) 사이의 거리는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보다 더 근접되고, 액정층(64)과 밀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른 상기 제 1, 제 2 편광판(32, 62)의 편광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편광된 빛은 다른 매질(제 1, 제 2 기판)을 통과하게 되면서, 굴절에 의해 편광도가 떨어지게 된다.
즉, 종래의 액정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광원에서 출사된 빛이 제 1 편광판(10a)을 통과하여 편광되고, 상기 편광된 빛이 제 1 기판(1)을 통과하여 액정층에 전달되므로 편광된 빛의 편광도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액정표시장치는, 도 4에 도시 바와 같이, 외부 광원(65)에서 출사된 빛이 먼저 제 1 기판(31)을 통과하고, 상기 제 1 기판(31)을 통과한 빛이 상기 제 1 편광판(32)을 통과하여 편광되며, 상기 편광된 빛이 액정층(64)에 전달되므로 종래보다 우수한 편광도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상기 액정층(64)을 통과한 빛은 다른 매질(제 2 기판)(61)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제 2 편광판(62)에 도달하므로, 더 좋은 편광도를 나타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판의 마주보는 면에 편광판이 형성되므로, 편광도가 우수한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둘째, 배향막이 기판에 집적 형성되지 않고, 접착층을 가지는 편광판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상기 배향막의 제거가 용이해진다.
셋째, 편광판이 기판에 집적 형성되므로, 상기 기판에 오버 코트층을 형성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치 않게 된다.

Claims (8)

  1.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기판에 제 1, 제 2 편광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편광판상에 제 1, 제 2 배향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제 2 배향막을 배향처리 하는 단계;
    상기 제 1 배향막과 제 2 배향막이 서로 마주보도록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을 합착하는 단계;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층은 액정적하방식 또는 액정주입방식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판 및 제 1 배향막이 형성된 제 1 기판 또는 제 2 편광판 및 제 2 배향막이 형성된 제 2 기판을 가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광판과 제 1 기판은 상기 제 1 편광판의 하부에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접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상에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상에 칼라필터 어레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처리는 러빙법 또는 UV 조사법을 사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폴리 비닐 알콜막을 가열하여 늘어뜨리 요오드를 함유한 용액에 침적시키어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0030028658A 2003-05-06 2003-05-06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40095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658A KR20040095061A (ko) 2003-05-06 2003-05-06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658A KR20040095061A (ko) 2003-05-06 2003-05-06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061A true KR20040095061A (ko) 2004-11-12

Family

ID=3737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658A KR20040095061A (ko) 2003-05-06 2003-05-06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506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27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675594B2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040263749A1 (en)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12142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1117105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7414687B2 (en) Method of forming alignment layer in LCD
JP2008090317A (ja) 液晶装置
JP2008020771A (ja) 液晶表示装置
KR20060000704A (ko) 액정표시소자 제조용 기판 반전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782414B2 (en) Method for fabricating in-plane switching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00572A (ko) 위상차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의제조방법
US781723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07391A (ko) 인셀 편광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KR20170133734A (ko) 액정캡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rk et al. Liquid crystal cell process
KR20040095061A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40100558A (ko) 횡전계 방식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20060122274A (ko) 액정 표시 장치용 편광 필름 밀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밀착 방법
KR20040011671A (ko) 액정표시소자
JP200020654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928483B1 (ko) 멀티도메인 액정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20130066917A (ko) 합착키를 구비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린지 필드형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0075308A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79142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85934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