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917A -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 Google Patents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917A
KR20040094917A KR1020030028470A KR20030028470A KR20040094917A KR 20040094917 A KR20040094917 A KR 20040094917A KR 1020030028470 A KR1020030028470 A KR 1020030028470A KR 20030028470 A KR20030028470 A KR 20030028470A KR 20040094917 A KR20040094917 A KR 200400949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stone
vegetation
artificial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원국
Original Assignee
홍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원국 filed Critical 홍원국
Priority to KR1020030028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4917A/ko
Publication of KR20040094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917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4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석재로 축조된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있어서, (a)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질을 포함하는 식생 몰타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식생 몰타르를 상기 옹벽의 표면의 상기 석재간 틈새로 충진하는 단계; 및 (c) 상기 옹벽의 표면에 인공 객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을 제공하므로써, 기 축조된 석재 옹벽 및 축조중인 석재 옹벽의 내부공극에 식물의 뿌리가 활착되어 옹벽 구조물의 강도가 증가되고 옹벽의 표면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게 되어 환경 친화적인 옹벽 구조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METHOD FOR VEGETATION ON STONE WALL'S SURFACE}
본 발명은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축조된 석재 옹벽 및 축조되는 석재 옹벽의 표면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석재 옹벽이란 석재로 축조된 구조물로 내부공극이 포함된 옹벽을 말한다. 예를들면, 석재로 채워진 게비온 상자가 인접되어 축조된 게비온 옹벽, 완만한 사면의 돌붙임 옹벽, 잡석 채움재를 사용한 조립식 강재옹벽 및 조립식 블록옹벽 등 내부공극을 포함하는 석재 구조물이다. 또한 석재란 옹벽을 형성하는 돌쌓기 돌 및 깬돌, 잡석 등의 채움재를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게비온 옹벽 단면 및 게비온 상자를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게비온 상자(10)는 넓고 평평한 공간에서 망목의 피치와 동일한 피치규격의 나선형 철선을 사용하여 상자형으로 직각이 되게 조립되어, 잡석이나 깬돌 등의 채움재(14)를 채운뒤 덮개(12)를 덮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2m 이상의 규격에는 채움재(14)의 안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칸막이 판을 설치된다.
여기에서 게비온(Gabion)이란 아연도금 및 PVC 코팅한 철선을 다각형 메쉬(Mesh) 형태로 꼬아서 만든 철망을 사각형 상자형태로 제작한 철망태를 말한다.
또한 종래의 게비온 옹벽은 다단식으로 쌓아 올린 중력식 옹벽으로서, 잡석 및 깬돌 등의 채움재(14)로 채워진 상기 게비온 상자(10)를 인접시켜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축조되고 수직방향으로 층간 사이에 계단턱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층으로 축조된다.
게비온 옹벽은 현장주변 재료(조약돌 및 깬돌)를 활용하고 숙달되지 않은 노동력을 이용하여도 손쉽게 구축할 수 있어 콘크리트 옹벽에 비해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관리가 용이하며, 부식방지 처리된 철선을 사용하므로 반영구적이면서도 지반침하의 영향에 유연성 있게 적응되며 돌채움 사이의 공극발생으로 배수성이 양호하여 중력식 옹벽 구조물로서 구조적 안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도로 및 하천지역의 옹벽 구조물로서 뿐만 아니라, 다리 및 교각 보호 구조물, 법면 보호 구조물, 해안 구조물(연안보호시설 및 방파시설), 댐 및 수도 시설물, 사방시설 및 조경 시설물 등에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게비온 옹벽은 재료의 특성상 구조물 자체가 조약돌 및 깬돌로 형성되어 있어 구조체 내부가 돌쌓기 공극의 발생(구조물 체적의 30~40%)으로 구조물 표면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으로 취약점을 가지고, 자연 발생적인 식생효과를 거두기 어려워 구축된 옹벽이 주변환경과 조화되지 않아 환경 친화적이지 못한 구조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완만한 사면의 돌붙임 옹벽, 잡석 채움재를 사용한 조립식 강재옹벽 및 조립식 블록옹벽 등 내부공극을 포함하는 석재 구조물 역시 식물이 자생할 수 없는 취약한 식생조건으로 상기 게비온 옹벽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의 식생 방법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의 단면도로서, 석재 옹벽의 표면에 객토 식생 공법에 따라 단순히 인공객토(200)를 취부하여 녹화한 석재 옹벽의 단면을 도시한다. 그러나 종래의 식생방법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은 석재(30)간 내부공극(40)의 발생에 따라 식물(20)의 뿌리에 양분 및 수분공급이 어려워 식물(20)이 고사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식생기반이 불량하여 석재 옹벽의 녹화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 축조된 석재 옹벽 및 축조되는 석재 옹벽 표면에 식생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 친화적인 옹벽 구조물이 조성되도록 하는 새로운 석재 옹벽의 표면식생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기 축조된 석재 옹벽 및 축조중인 석재 옹벽의 표면 틈새를 통하여 내부공극에 식물의 뿌리가생육할 수 있는 액화된 배합물을 충진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석재 옹벽의 층간 사이에 형성된 계단턱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식생 경사도를 조성을 위하여 인공배합 객토를 취부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게비온 옹벽 단면 및 게비온 상자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식생 방법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도.
도 4는 본 발명의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게비온 옹벽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게비온 옹벽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돌붙임 제방 옹벽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강재 옹벽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조립식 블록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게비온 상자 20... 식물
30... 석재 50... 뒷채움 토사
54... 수평 배수관 56... 기초 콘크리트
40... 내부공극 100... 식생 몰타르
200... 인공 객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은, 석재로 축조된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있어서, (a)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질을 포함하는 식생 몰타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식생 몰타르를 상기 옹벽의 표면의 상기 석재간 틈새로 충진하는 단계; 및 (c) 상기 옹벽의 표면에 인공 객토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 몰타르는 황토흙, 토탄, 톱밥 및 물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고, 토양개량 보습제 및 비료를 소정량 첨가하여 생성되며, 상기 인공객토는 황토흙, 마사토, 슬러지, 토탄 및 톱밥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고, 점착제, 보습제 및 비료를 소정량 첨가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공객토에는 혼합종자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공지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도이다. 동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은 식생 몰타르 생성단계(S300), 식생 몰타르 충진단계(S310) 및 인공 객토부 형성단계(S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식생 몰타르 생성단계(S300)는 옹벽의 표면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양분 및 수분을 제공하는 식생 몰타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옹벽은 석재(30)로 축조되어 내부공극(40)을 포함하는 구조물을 말하며 채움재(14)로 채워진 게비온 상자(10)를 인접시켜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축조되고 수직방향으로 층간 사이에 계단턱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층으로 축조된 게비온 옹벽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완만한 사면의 돌붙임 옹벽, 잡석 채움재를 사용한 조립식 강재옹벽 및 조립식 블록옹벽 등 내부공극을 포함하는 석재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식생 몰타르(100)는 옹벽의 석재(30)간 틈새를 통하여 내부공극(40)으로 충진되어 식물(20)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과 수분을 제공하고, 석재(30)간 내부공극(40) 틈새에서 식물(20)뿌리의 활착을 돕는다.
상기 식생 몰타르(100)는 황토흙, 토탄, 톱밥 및 물 등이 포함되어 생성될 수 있으며, 토양개량 보습제와 비료가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 몰타르의 바람직한 구성 재료, 배합비, 첨가제 및 첨가량을 아래 표 1에 예시한다.
명칭 규격 수량 비율(%) 비고
황토흙 사질토 0.35 M3 18.0
토탄 피트모스 0.20 M3 10.0
톱밥 0.05 M3 2.0
토양개량 보습제 테라코뎀 0.20 Kg - 첨가제
비료 복합비료 3.00 Kg - 첨가제
0.70 M3 70.0
100.0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식생 몰타르(100)는 황토흙 18.0 %, 토탄 10.0 %, 톱밥 2.0 % 및 물 70.0 %의 배합비로 구성되어 식생 몰타르 1.0 M3당 황토흙 0.35 M3, 토탄 0.20 M3, 톱밥 0.05 M3, 물 0.70 M3이 포함된다.
상기 황토흙은 식물(20)의 뿌리가 생육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식생 몰타르(100)의 주재료로서 사질 및 점질토 성분이 고루 섞인 양질토를 사용하며, 돌이나 이물질이 함유되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상기 토탄은 피트모스와 같은 유기질 성분의 재료로서 식물(20)에 양분을 제공함과 동시에 토양의 경도를 적절하게 하여 뿌리의 활착에 도움을 준다. 상기 톱밥은 식물(20)에 양분 및 수분공급을 원활하게 하도록 보습력을 지니고 있으며 식생 토양에 산소공급에 도움을 준다.
상기 식생 몰타르(100)에는 물이 70 %가 포함되어 액성화된다. 액성화된 식생 몰타르(100)는 옹벽의 석재(30)간 틈새를 통하여 내부공극(40)으로 충진되기에 용이하고, 또한 내부공극(40) 틈새의 식물뿌리에 제공할 수분을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식생 몰타르(100)에는 식생 몰타르 1.0M3당 토양 개량용 보습제 0.20 Kg, 비료 3.00 Kg가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양개량 보습제는 척박한 토양을 재생시키고 자체 수분률이 우수하여식물(20)의 영양 및 수분을 공급하는 테라코뎀(Terra Cotte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비료는 토양을 비옥하게 하여 식물(20)의 영양을 공급하는 복합비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생 몰타르(100)의 배합 비율 및 첨가량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옹벽의 표면에 식생될 식물(20)의 특성을 고려하여 황토흙, 토탄, 톱밥 및 물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율로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식생 몰타르 충진단계(S310)는 상기 식생 몰타르를 주입펌프를 이용하여 옹벽의 표면 즉, 옹벽의 전면부 및 상단부 표면 틈새를 통하여 충진하는 단계이다. 이때, 옹벽은 기 축조된 석재 구조물 옹벽일 수 있으며 축조중인 석재 구조물 옹벽일 수 있다.
상기 옹벽은 석재(30)로 구축된 구조물로서 필연적으로 석재(30)간의 내부공극(40)을 가지며, 본 발명에 따른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은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옹벽에 발생된 석재(30)간 내부공극(40)에 상기 식생 몰타르(100)를 충진하여 석재(30)간 내부공극(40)에 식물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식물(20)의 뿌리가 활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
상기 인공 객토부 형성단계(S320)는 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토양을 고압 취부기를 이용하여 상기 식생 몰타르가 충진된 옹벽 표면에 취부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석재 옹벽의 경사도 및 석재 옹벽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석재 옹벽 표면에 인공 객토부(200)를 형성하기 전에 PVC 코팅 부착망을 설치한 후 앵커핀 및 착지핀으로 석재 옹벽 사면을 고정하여, 석재 옹벽 표면에 취부되는 인공객토의 결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인공 객토부(200)를 형성하는 인공객토는 황토흙, 마사토, 슬러지, 토탄, 톱밥 등이 포함되어 생성되며, 톱밥, 점착제 및 토양개량 보습제가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 객토의 바람직한 구성 재료, 배합비, 첨가제 및 첨가량을 아래 표 2에 예시한다.
명칭 규격 수량 비율(%) 비고
황토흙 사질토 0.30 30.0
마사토 0.20 20.0
슬러지 하수오니류 0.20 20.0
토탄 피트모스 0.15 15.0
톱밥 0.15 15.0
점착제 알긴산소다 5.00 Kg - 첨가제
토양개량 보습제 테라코템 200 Kg - 첨가제
비료 복합비료 3.00 Kg - 첨가제
혼합종자 양잔디 및 참싸리종 0.12 Kg - 첨가제
100.0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공 객토부(200)의 인공객토는 황토흙 30 %, 마사토 20 %, 슬러지 20 %, 토탄 15 %, 톱밥 15 % 배합비로 구성되어, 인공 객토 1 M3당 황토흙 0.30 M3, 마사토 0.20 M3, 슬러지 0.20 M3, 토탄 0.15 M3, 톱밥 0.15 M3가 포함된다.
상기 황토흙, 토탄, 톱밥은 상기 식생 몰타르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식생 몰타르(100)의 구성재료로 사용된 황토흙, 토탄 및 톱밥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상기 마사토는 황토흙과 더불어 인공객토의 주재료로서 모래보다 굵은 알갱이로 구성되어 통기력과 수분 흡수력을 크게한다. 상기 슬러지는 식물(20)의 생장에 유용한 양분과 유기물을 함유한 하수오니류 슬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공 객토에는 인공객토 1.0M3당 점착제 5.00Kg, 토양개량 보습제 200Kg, 비료 3.00Kg, 혼합종자 0.12Kg이 더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양개량 보습제로와 비료는 상기 식생 몰타르 생성단계(S300)에서 상기 식생 몰타르(100)의 구성재료로 사용된 토양개량 보습제및 비료와 같은 특성을 가진다.
상기 점착제는 식생 몰타르(100)를 응집시켜주는 첨가제로서 옹벽 경사면에서 인공 객토부(200)의 분리 및 침식을 방지한다. 점착제로는 알긴산소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 종자는 최근 1내지 2년 내에 생산된 양잔디, 및 참싸리종 같은 초목본류 종자로서 척박한 토질 및 이상 기온에 적응할 수 있는 양호한 종자가 사용된다.
상기 인공 객토부(200)는 식물(20)이 자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므로 야생식물(20)이 발아하여 옹벽을 녹화할 수 있지만,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공 객토부(200)의 인공 객토에 인위적으로 식물(20)의 종자가 포함되도록 하여 인공 객토 내에서 포함된 식물(20)의 씨앗이 발아하여 옹벽을 효과적으로 녹화하도록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인공 객토부(200)의 인공 객토의 배합 비율 및 첨가량은 상기 예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옹벽의 표면에 식생될 식물(20)의 특성을 고려하여 황토흙, 마사토, 슬러지, 토탄, 톱밥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율로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인공 객토부(200)는 10 ~ 15 센티미터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옹벽의 표면 경사 구배를 완화하기 위하여 옹벽의 층간에 형성된 계단턱의 윗쪽으로 갈수록 얇게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계단형으로 형성된 옹벽에 식물(20)이 생육하기에 적합한 식생 경사도가 조성된다. 상기 경사도는 수평 대 수직비 1: 0.3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의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과 종래의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을 비교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라 녹화된 석재 옹벽은 종래의 석재 옹벽과는 달리 석재(30)간에 발생되는 내부공극(40)에 본 발명에 따라 식생 몰타르(100)가 충진되어 있어 식물(20)의 식생기반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다시 설명하면, 식물(20)은 석재 옹벽의 내부공극(40)에 충진된 식생 몰타르(100)에 뿌리를 내리고 식생 몰타르(100) 및 인공 객토부(200)에서 제공하는 양분 및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식생 기반 환경속에서 식생할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석재 옹벽은 식물(20)의 뿌리가 내부공극(40)에 활착됨으로써 석재 옹벽의 내부공극(40)이 채워져 내부 침식이 방지되어 석재 옹벽의 강도가 증대되며 석재 옹벽 표면이 안정적으로 녹화되어 환경 친화적인 구조물로 개선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비온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따라 구축된 게비온 옹벽 단면도이다. 상기 게비온 옹벽은 절개 사면에 뒷채움 토사(50)를 다진 후에 구축된 경우로서, 기초 콘크리트(56) 상면에 게비온 상자(10)가 인접하여 안정적으로 옹벽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게비온 옹벽과 절개사면(58)의 뒷채움 토사(50)사이에 배수 필터(52)가 설치될 수 있으며, 게비온 상자(10) 층간 사이에 수평 배수관(5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비온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게비온 옹벽 단면도이다. 상기 게비온 옹벽은 성토부 붕괴 사면(60)에 구축된 경우로서, 기초 콘크리트(56) 상면에 게비온 상자(10)가 인접하여 안정적으로 옹벽을 형성한 경우를 예시한다. 상기 게비온 옹벽의 게비온 상자(10) 층간 사이에 수평 배수관(54)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게비온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의하여 구축된 게비온 옹벽과 도 1에서 도시된 종래의 게비온 옹벽을 비교하여 보면, 게비온 옹벽의 표면에 식물(20)이 식생하므로써, 환경 친화적인 옹벽 구조물로서 미관이 종래의 게비온 옹벽에 비하여 양호하며, 인공 객토부(200)에 식물(20) 식생후 식물(20)의 뿌리가 공극내부(40)의 식생 몰타르(100)내에 활착되어 게비온 옹벽 구조물의 강도가 종래의 게비온 옹벽에 비하여 증진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돌붙임 제방 옹벽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강재 옹벽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따라 구축된 조립식블록 옹벽 단면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석재 옹벽의 내부 공극에 본 발명에 따라 식생 몰타르(100)를 충진하고 인공 객토부(200)를 취부하여 식생 기반을 조성함으로써, 종래의 석재 옹벽의 녹화 방법과는 달리, 옹벽 표면에 식생후 식물(20)의 뿌리가 내부공극 내에 활착되어 석재 옹벽 구조물의 강도가 종래의 석재 옹벽의 녹화 방법에 비하여 증진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축조된 석재 옹벽 및 축조중인 석재 옹벽의 표면 틈새를 통하여 내부공극에 배합물이 충진되어 식물의 뿌리가 생육할 수 있게 되므로 석재 옹벽의 내부 침식이 방지되어 석재 옹벽의 내부강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석재 옹벽의 층간 사이에 형성된 계단턱 및 석재 옹벽 표면에 식물이 생육할 수 있게 되므로 주변 환경과 조화되는 친환경적인 석재 옹벽 구조물이 요구되는 게비온 옹벽, 돌붙임 제방 옹벽, 강재 옹벽 및 조립식 블록 옹벽에 적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석재로 축조된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에 있어서,
    (a)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질을 포함하는 식생 몰타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식생 몰타르를 상기 옹벽의 표면의 상기 석재간 틈새를 통하여 충진하는 단계; 및
    (c) 상기 옹벽의 표면에 인공 객토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 몰타르는 황토흙, 토탄, 톱밥 및 물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고, 토양개량 보습제 및 비료를 소정량 첨가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옹벽 표면에 철망을 고정 설치하는 단계 및
    (c2) 상기 철망이 고정 설치된 옹벽의 표면에 상기 인공 객토를 소정의 두께로 취부하여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객토부의 인공 객토는 황토흙, 마사토, 슬러지, 토탄 및 톱밥을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고, 점착제, 보습제 및 비료를 소정량 첨가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객토부의 인공객토는 종자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옹벽은 완만한 사면의 돌붙임으로 조성된 사방댐 옹벽, 잡석 채움재를 사용한 조립식 강재옹벽, 조립식 녹화 옹벽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7. 제 3항에서,
    상기 옹벽은 석재로 채워진 게비온 상자를 인접시켜 수평방향으로 적어도 일렬로 축조되고 수직방향으로 층간 사이에 계단턱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층으로 축조된 게비온 옹벽이고,
    상기 (c2)단계에서 상기 인공 객토부는 상기 옹벽의 표면경사 구배를 완화하기 위하여 상기 계단턱의 윗쪽으로 갈수록 얇게 취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KR1020030028470A 2003-05-06 2003-05-06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KR200400949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470A KR20040094917A (ko) 2003-05-06 2003-05-06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470A KR20040094917A (ko) 2003-05-06 2003-05-06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917A true KR20040094917A (ko) 2004-11-12

Family

ID=3737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470A KR20040094917A (ko) 2003-05-06 2003-05-06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49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542B1 (ko) * 2004-10-05 2006-05-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암면 이끼 녹화방법
KR100844008B1 (ko) * 2006-11-21 2008-07-04 (주)덕산조경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CN110029623A (zh) * 2019-04-09 2019-07-19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一种连锁砌框内填植生袋绿化的仰斜式挡墙及其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542B1 (ko) * 2004-10-05 2006-05-0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암면 이끼 녹화방법
KR100844008B1 (ko) * 2006-11-21 2008-07-04 (주)덕산조경 활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사면녹화공법
CN110029623A (zh) * 2019-04-09 2019-07-19 广东水利电力职业技术学院(广东省水利电力技工学校) 一种连锁砌框内填植生袋绿化的仰斜式挡墙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18499B (zh) 高陡岩质边坡植被重建系统及该系统的实施方法
CN102359113A (zh) 一种整浇水泥透水混凝土生态护坡及其构建方法
CN110249813B (zh) 一种在采矿坑高陡岩质边坡绿化方法
CN201826318U (zh) 道路疏松土质边坡简易生态护坡结构
CN101089299A (zh) 水泥边坡生态恢复方法
CN109594567A (zh) 一种锚喷防护岩石边坡生态防护结构布置及其方法
CN103205975A (zh) 一种灌注型植生卷材护坡装置
CN109208618A (zh) 一种用于混凝土坡面的生态修复方法
KR20040094917A (ko) 석재 옹벽의 표면 식생 방법
KR200403507Y1 (ko) 식생형 중공블록
CN206245320U (zh) 一种稀土迹地边坡生态防护系统
CN114182686B (zh) 原木框体与资源化混凝土组合结构生态护坡及其构建方法
CN206245319U (zh) 一种防稀土迹地边坡水力侵蚀系统
CN201614596U (zh) 一种电力铁塔基础边坡的锚杆加固结构
CN113737722A (zh) 一种适用于城市河道的兼具景观性的埋石混凝土挡墙护岸
CN217896403U (zh) 一种用于河道生态修复的景观边坡防护结构
CN218736343U (zh) 装配式的生物保土固基亲水型草坡驳岸及预制模块
CN202009593U (zh) 半干旱区高速公路路堑边坡生态恢复的植被种植槽
KR100496118B1 (ko) 접착성 도로비탈면 녹화공법
CN111593747A (zh) 一种永久边坡生态混凝土浇筑工艺
CN110710420A (zh) 一种岩石边坡tbs的支护方法
CN216040979U (zh) 一种埋石混凝土挡墙护岸
CN203977435U (zh) 框格梁生态护坡结构
KR900001582B1 (ko) 특수식생재료의 뿜어붙이기에 의한 법면녹화공법
CN214939806U (zh) 一种城市内季节性小河流河道护底生态修复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