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4254A - 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 Google Patents

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4254A
KR20040094254A KR1020030028338A KR20030028338A KR20040094254A KR 20040094254 A KR20040094254 A KR 20040094254A KR 1020030028338 A KR1020030028338 A KR 1020030028338A KR 20030028338 A KR20030028338 A KR 20030028338A KR 20040094254 A KR20040094254 A KR 20040094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game
learning
learner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호
정경자
한정혜
Original Assignee
김동호
정경자
한정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호, 정경자, 한정혜 filed Critical 김동호
Priority to KR1020030028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4254A/en
Publication of KR2004009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254A/en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system and a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nline learning game are provided to enable a user to automatically generate learning game information by applying learning information to learning game type information selected from the user. CONSTITUTION: A problem generation expert server(300) comprises a problem bank management server(320) providing a problem bank database(310) and a web page of a bulletin board style, enabling a manager to input/classify problems, and registering/managing the inputted problems to the problem bank database through the web page. A design expert server(400) comprises a graphic database(410) and a graphic component management module(420). A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ng server(500) comprises a layout generating module(530) and a learner connection/information managing module(540). The layout generating module generates/provides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by using the problems, background pictures, characters, buttons, and layouts provided from the problem bank management server and the design expert server.

Description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online learning games.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학습자)에게 학습정보 및 다양한 학습게임 유형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학습자)가 선택한 학습게임 유형정보에 학습정보를 적용시켜 사용자(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는 학습게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by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and various learning game type information to the user (learner) to apply the learning information to the learning game typ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learner) to learn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that the user (learner) can lear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nline learning gam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거의 각 가정이 구비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망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온라인으로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각 가정에서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정보를 제공받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들이 구축되고 있으며, 상기 서버 운영자들은 사용자(학습자)들이 좀더 흥미를 갖고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정보를 다양하게 생성시켜 제공하고 있다. 특히 게임을 좋아하는 사용자(학습자)들을 위해 학습정보를 다양한 게임의 형태로 제작하여 공급하고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 systems and data communication networks in which most homes are equipped, servers are being built to provide learning information online and to receive learning information using computer systems in each home. Server operators create and provide a variety of learning information to help users (learners) learn more with interest. In particular, for users (learners) who like games, learning information is produced and supplied in various game forms.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플래시 등의 멀티미디어 저작툴을 활용한 학습 게임은 제작기간이 매우 길고 비용도 크며, 또한 높은 수준의 제작 능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인과 같이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학습게임을 쉽게 제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learning games using multimedia authoring tools such as Flash provided through the Internet as described above have a long production period, are expensive, and require a high level of production ability.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easily produce a learning game.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학습자)들은 컨텐츠 제작자들이 제공하는 한정된 양의 학습 게임만 이용할 수 있으며, 비용과 시간의 문제에 의해 학습 게임이 빠른 속도로 갱신되지 못하면 사용자(학습자)들은 항상 동일하게 제공되는 학습 게임에 흥미를 잃게 되어 점차 학습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users (learners) can use only a limited amount of learning games provided by content creators, and if the learning game is not updated rapidly due to cost and time problems, users (learners) are always provided in the same wa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earning effect may be gradually decreased due to the loss of interest.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용자(학습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교육용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학습자)에게 학습정보 및 다양한 학습게임 유형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학습자)가 선택한 학습게임 유형정보에 학습정보를 적용시켜 사용자(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는 학습게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effectively produce educational content to meet the needs of the user (learn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r (learner) learning information and various learning game type information Provides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nline learning gam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d providing learning game information that a user (learner) can learn by applying learning information to the learning game typ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learner). It is.

도 1은 본 발명인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online learning game for the inventors,

도 2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된 사이트의 화면 캡쳐도이다.2 to 4 are screen captures of the sit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데이터 통신망 200 : 사용자(학습자) 단말기100: data communication network 200: user (learner) terminal

300 : 문제생성 전문가 서버300: problem creation expert server

310 : 문제은행 DB 320 : 문제은행 관리모듈310: question bank DB 320: question bank management module

400 : 디자인 전문가 서버 410 : 그림 DB400: Design Expert Server 410: Picture DB

420 : 그림구성요소 관리모듈420: Picture component management module

500 :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510 : 학습자정보 및 이력 DB 520 : 학습게임 DB510: learner information and history DB 520: learning game DB

540 : 학습자 연결 및 정보 관리모듈 530 : 레이아웃 생성모듈540: learner conn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530: layout generation modul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로써, 본 발명은 교사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된 복수의 문제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DB와,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교사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하여 문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문제를 상기 문제은행 DB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문제은행 관리서버로 구성된 문제생성 전문가 서버; 복수의 배경그림, 캐릭터와 버튼등을 저장하는 그림 DB와, 관리자(디자이너)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게임의 배경될 그림정보 또는 학습게임에 적용될 캐릭터 및 버튼 정보를 상기 그림 DB에 등록시킬 수 있도록 하고, 등록된 배경그림 또는 캐릭터와 버튼을 검색,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구성요소 관리모듈로 구성된 디자인전문가 서버; 및 관리자(교사)의 요청에 응하여 문제은행 관리서버 및 디자인전문가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제, 배경그림 및 캐릭터와 버튼의 위치와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학습게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레이아웃 생성모듈과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학습게임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사용자(학습자)의 학년, 과목, 학기/단원 등 요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자 정보 및 이력 DB를 통하여 학습자 연결 및 정보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학습게임 결과의 정보를 상기 학습자 정보 및 이력 DB에 등록, 저장시켜 관리하는 학습자 연결 및 정보 관리모듈로 구성된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question bank DB and a plurality of questions entered and registered by the teacher is stored in a state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unit, level , By providing a web page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allowing the teacher to enter a problem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member, level, and the problem entered through the bulletin board web page in the question bank DB Problem generation expert server consisting of a problem bank management server registered in the management; It is possible to register a plurality of background pictures, a picture DB for storing characters and buttons, and a picture information of a learning game input by an administrator (designer) or a character and button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learning game in the picture DB. A design expert server comprising a picture component management module for searching, deleting and adding a registered background picture or a character and a button; And a layou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learning game information using a problem, a background picture, and positions and layouts of characters and buttons provided by a question bank management server and a design expert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an administrator (teacher). Based on the learning game layout generated by the module, the learning game result generated by the learner conn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through the learner information and history DB, which stores the user's (learner's) grade, subject, semester / unit, etc. A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comprising a learner connection and an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for registering, storing and managing the learner information and the history information in a DB.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nline learning game comprising: The above problem is solved.

또한,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은, 플래시의 액션스크립트(ACTION SCRIP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In addition, the layout generation module is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online learning gam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the action script (ACTION SCRIPT) of Flash,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s.

또한,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은, 사용자(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게임 유형에 따라 배경그림과 캐릭터 및 정답확인 버튼 등이 수시로 변경되는 학습게임정보를 상기 사용자(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In addition, the layout generation module, the on-line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user (learner) learning game information that changes the background picture, character and the correct answer button, etc.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learning game type selected by the user (learner)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dragon learning game, which solves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1)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교사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하여 문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문제를 문제은행 DB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문제은행 관리과정; (2) 관리자(디자이너)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게임의 배경될 그림정보 또는 학습게임에 적용될 캐릭터 및 버튼정보를 그림 DB에 등록시키고, 등록된 배경그림 또는 캐릭터를 검색, 삭제, 추가하는 그림구성요소 관리과정; 및 (3) 사용자(학습자)의 요청에 응하여 문제은행 관리서버 및 디자인전문가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제, 배경그림 및 캐릭터를 이용하여 학습게임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및 (4) 그 학습게임 결과정보를 학습자 정보 및 이력 DB에 등록, 저장시키는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과정;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by providing a web page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the teacher can enter the problem by classifying by grade, subject, semester / unit, level, and the web of the bulletin board form Question bank management process for registering and managing a problem entered through the page to the question bank DB; (2) The picture component that registers the picture information of the learning game input by the administrator (designer) or the character and button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learning game in the picture DB, and retrieves, deletes, and adds the registered background picture or character. Management process; And (3) generating learning game information using a problem, a background picture, and a character provided by a problem bank management server and a design expert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 user (learner); And (4)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of registering and storing the learning game result information in the learner information and the history DB; As a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online learning game,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cluding,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그리고,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과정은, 사용자(학습자)에 의해 선택된 학습게임 유형에 따라 배경그림과 캐릭터 및 버튼이 수시로 변경되는 학습게임정보를 상기 사용자(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And,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online learning,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the user (learner) learning game information that changes the background picture, characters and buttons from time to time according to the learning game type selected by the user (learner) As a method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 game,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solved.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s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인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online learning game for the present inventors.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학습게임에 적용되는 문제를 공급하는 문제생성 전문가 서버(300)와, 학습게임에 적용되는 배경그림 및 캐릭터와 버튼을 공급하는 디자인전문가 서버(400)와, 사용자(학습자)가 학습게임을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blem generation expert server 300 for supplying a problem applied to a learning game, and a design expert server 400 for supplying a background picture and a character and a button applied to the learning game. And a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500 for supporting a user (learner) to directly produce a learning game.

상기 문제생성 전문가 서버(300)는 교사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된 복수의 문제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DB(310)와,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교사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하여 문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문제를 상기 문제은행 DB(310)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문제은행 관리서버(320)로 구성된다.The problem generation expert server 300 is a question bank DB (310) and a bulletin board web that is stor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questions entered and registered by a teacher are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member, and level Providing a page, so that the teacher can enter the problem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unit, level, and register the problem input through the bulletin board web page in the question bank DB (310) It consists of a problem bank management server 320 to manage.

그리고, 상기 디자인전문가 서버(400)는 복수의 배경그림정보와 캐릭터 정보 및 버튼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그림 DB(410)와, 관리자(디자이너)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게임의 배경될 그림정보 또는 학습게임에 적용될 캐릭터정보 및 버튼정보를 상기 그림 DB(410)에 등록시킬 수 있도록 하고, 등록된 배경그림 또는 캐릭터를 검색,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구성요소 관리모듈(420)로 구성된다.The design expert server 400 may include a picture DB 410 that stores a plurality of background picture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and a picture information or a learning game to be background of a learning game input by an administrator (designer). Character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picture DB (410) to be registered, it is composed of a picture element management module 420 to search, delete, add a registered background picture or character.

그리고, 상기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는 사용자(학습자)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학습자)의 정보에 매칭되어 학습게임 결과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자정보 DB(510)와, 사용자(학습자)의 요청에 응하여 문제은행 관리서버(300) 및 디자인전문가 서버(400)에서 제공되는 문제, 배경그림 및 캐릭터와 버튼을 이용하여 학습게임 레이아웃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레이아웃생성모듈(530)과,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학습게임 중에서 로그 인한 학습자의 학년, 과목, 학기/단원, 수준별 정보에 맞는 게임을 검색하여 연결하고, 학습자가 학습 후 생성된 학습게임 결과정보를 상기 학습자 정보 및 이력 DB에 등록, 저장시켜 관리하는 학습자 연결 및 정보 관리모듈(54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500 is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user (learner)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learner) learner information DB (510) for storing the learning game result information, and the user (learner) A layout generation module 530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a learning game layout using a problem, a background picture, and a character and a button provided by a question bank management server 300 and a design expert server 400 in response to a request, and generating the layout. From the learning games generated by the module, search for and connect games that meet the graders, subjects, semesters / units, and level information of the logged-in learners, and register the learning game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learners in the learner information and the history DB. It consists of a learner conn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540 to store and manage.

이때,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530)은 플래시의 액션스크립트(ACTION SCRIPT) 등과 같은 언어로 이루어진다.In this case, the layout generation module 530 is made of a language such as an action script of Flash.

또한,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530)은 관리자(교사)가 학습문제가 수시로 변경되도록 학습 문제 DB를 연결하고, 문제 영역, 답 영역, 배경그림과 캐릭터 및 버튼 등으로 구성되는 학습게임 레이아웃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학습자 연결 및 정보관리모듈(540)과 연결되어 학습자가 로그인하면 해당 학습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layout generation module 530 connects the learning problem DB so that the administrator (teacher) changes the learning problem from time to time, and generates learning game layout information consisting of a problem area, an answer area, a background picture, a character and a button, and the like. do. And connected to the learner conn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540 allows the learner to log in the corresponding learning game.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n, the operation of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online learning game consisting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문제생성 전문가 서버(300)는 교사가 문제를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입력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교사는 상기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통해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하여 문제를 입력하고,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문제들은 문제은행 DB(310)에 등록되어, 추후에 사용자(학습자)가 생성하는 학습게임 정보에 적용되어 제공된다.First, the problem generating expert server 300 provides a user interface as a bulletin board-type webpage so that a teacher may input a question by grade, subject, semester / member, or level. Then, the teacher inputs the questions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member, and level through the bulletin board-type web page, and the problems entered as above are registered in the question bank DB 310, and then the user It is applied to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ed by (Learner).

한편, 디자인전문가 서버(400)는 관리자가 일정 툴(tool)을 이용하여 제작한 학습게임의 배경이 될 그림정보, 캐릭터 정보와 버튼정보를 관리자(디자이너) 단말기(도면으로 미도시)를 통해 입력받아 상기 그림 DB(410)에 등록시키는 한편, 관리자(디자이너)는 이미 상기 그림 DB(410)에 등록된 배경그림 또는 캐릭터와 버튼을 검색,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sign expert server 400 inputs the picture information, character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to be the background of the learning game produced by the administrator using a schedule tool through the administrator (designer) terminal (not shown in the drawing) While receiving and registering in the picture DB 410, the administrator (designer) supports to search, delete, and add a background picture or characters and buttons already registered in the picture DB (410).

그리고, 상기 디자인전문가 서버(400)의 그림구성요소 관리모듈(420)은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화면을 관리자(디자이너)에게 제공하여, 관리자로 하여금 그림색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종류의 그림을 로딩하고, 찾고자 하는 그림의 카테고리, 즉 문제를 맞춘 경우 나타나는 캐릭터, 틀린 경우 나타나는 캐릭터, 배경 그림, 문제 확인버튼 등을 이용하여 원하는 그림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학습자는 토끼라는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고, 카테고리를 이용하여 문제풀이 맞춰 웃는 토끼, 틀려 우는 토끼, 알프스 산 배경그림과 클로버 모양의 확인버튼을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cture component management module 420 of the design expert server 400 provides a screen as shown in FIG. 2 to a manager (designer), thereby allowing the manager to use a picture index to display a desired type of picture. Load and select the desired pictures by using the category of the picture to be found, that is, the character that appears when the problem is corrected, the character that appears when the problem is wrong, the background picture, or the problem check button. For example, the learner can select a character called a rabbit, and a category can be used to select a smiling rabbit, a wrong rabbit, an alpine background, and a clover-shaped confirmation button.

그리고, 선택된 그림들은 그림 자체가 레이아웃 생성모듈(530)로 연결되거나, 또는 관리자가 지정하는 그림게시판에 저장되어 레이아웃 생성 모듈(52)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그림 게시판은 추가, 수정 및 삭제될 수 있다. 즉,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newer 라는 이름의 그림 게시판이 생성된다. 이때 선택된 그림 자체나 그림 게시판에 저장된 그림들은 플래시의 버튼 심볼과 같이 사운드 속성을 갖을 수 있다. 즉 학습자에게는 문제 게시판에서 제공되는 문제들이 차례로 제시되며, 문제를 읽고 답 입력창에 답을 입력한 후 확인버튼 클로버를 누르면 문제를 맞출 경우 그림 게시판의 웃는 토끼와 환호성이 연결되어 제시되고, 틀리면 우는 토끼와 아쉬운 소리가 제시되는 사용자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lected pictures may be connected to the layout generating module 530, or may be stored in a picture board designated by the administrator and connected to the layout generating module 52. In this case, the picture board may be added, modified, and deleted. Can be. That is, as shown in FIG. 2, a picture bulletin board named newer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selected picture itself or the pictures stored in the picture board may have sound properties like the button symbols of the flash. That is, learners are presented with the questions provided in the problem boards in turn.If you read the problem and enter the answer in the answer input window and press the OK button clover, the problem is connected to the smiley rabbit on the picture board. It is to provide user feedback that the rabbit and unfortunate sounds are presented.

그리고, 상기 사용자(학습자)가 학년, 과목, 학기/단원, 수준을 입력하면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는 상기 사용자(학습자)가 선택한 학습용 게임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학습자) 단말기(200)의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제공한다. 즉, 관리자(교사)는 문제 게시판과 그림 게시판들을 미리 생성한 후, 첨부 도면 도 3a(그림게시판 생성을 V표하지 않은 경우) 및 도 3b(그림 게시판 생성을 V표한 경우 )에 도시된 학습용 게임 생성 페이지의 문제게시판과 그림 게시판을 통해 여러 문제와 캐릭터 및 배경과 버튼들을 로딩 할 수 있게 하고, 자동 생성된 게임의 이름을 입력하여 학습게임 DB에 저장되게 한다. 그리고 문제 게시판과 연결되어 문제가 들어갈 영역, 그림 게시판과 연결되어 캐릭터가 나타날 영역, 학습자 학습이력 디스플레이영역, 종료버튼영역, 문제 제시, 답입력 영역과 확인버튼이 들어갈 영역을 원하는 위치에 드래그하고 속성을 지정한 후 자동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학습용 게임이 문제 게시판과 그림 게시판과 연결되어 자동으로 생성되어 학습게임 DB(520)에 저장된다. 그리고, 이렇게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된 학습용 게임은 학습자 연결 및 정보 관리모듈(540)에 의해 첨부 도면 도 4와 같은 페이지로 상기 학습자의 단말기(200)에 출력된다.When the user (learner) inputs a grade, a subject, a semester / unit, and a level,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500 generates the learning game selected by the user (learner) and the user (learner) terminal 200.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the administrator (teacher) generates the problem bulletin board and the picture boards in advance, and then generates the learning gam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 3A (when not creating a picture board) and FIG. 3B (when creating a picture board). Through the problem board and the picture board of the page, various problems, characters, backgrounds, and buttons can be loaded, and the name of the automatically generated game is entered and stored in the learning game DB. Then drag the area where the problem board is connected to the problem board, the area where the character appears when it is connected to the picture board, the learner's learning history display area, the end button area, the problem suggestion, the area where the answer input area and the confirmation button will be placed, If you click on the auto-generated button after the designation, the learning game is automatically generated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board and the picture board is stored in the learning game DB (520). Then, th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stored learning game is output to the learner's terminal 200 as a page as shown in FIG. 4 by the learner conn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540.

이때, 상기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는 상기 사용자(학습자)의 학습요구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게임을 제공하여 수행된 경우 학습게임 결과정보(학습결과)를 학습자정보 DB(510)에 등록, 저장시켜, 사용자(학습자)의 학습상태를 관리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500 registers the learning game result information (learning result) in the learner information DB 510 when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ng server 500 is performed by providing a learning game using the learning request information of the user (learner). , To save, to manage the learning state of the user (learner).

한편, 상기와 같이 문제생성 전문가 서버(300)에 문제정보가 DB로 구축되고, 배경그림 및 캐릭터들이 DB로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학습자)가 자신의 단말기(200) 및 데이터 통신망(100)을 이용하여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루게 되면, 상기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는 상기 사용자(학습자)로 하여금 학습용 게임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플래시 게임 유형들을상기 사용자(학습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서버(500)는 액션스크립트(Action Script) 언어를 사용하는 레이아웃 생성모듈(530)에서 지정된 학습 게임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학습자 연결 및 정보관리 모듈(540)이 생성한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학습용 게임 생성 페이지를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멀티미디어 효과가 뛰어나며 상호작용의 효과가 뛰어난 학습게임 정보를 생성시킨다.On the other hand, problem information is built in the problem generation expert server 300 as a DB as described above, the user (learner) is a terminal (200) and the data communication network 100 in the state that the background picture and the character is built into the DB When an online connection is made to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500 by using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ng server 500, the user (learner) can generate various types of flash games so that the user (learner) can generate learning game information. (Learner) transmits to the terminal 200. In this case,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500 is based on the learning game layout specified in the layout generation module 530 using the action script language (Action Script) attached drawings generated by the learner conn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540 A learning game generation page as shown in FIG. 4 is provided to a learner to generate learning game information having excellent multimedia effects and excellent interaction effects.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 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학습자)에게 학습정보 및 다양한 학습게임 유형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학습자)가 선택한 학년, 과목, 학기/단원 등의 요구 정보에 학습정보를 적용시켜 사용자(학습자)가 학습할 수 있는 학습게임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을 시켜 줄 수 있는 학습게임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learning information and various learning game type information to the user (learner) to apply the learning information to the request information such as grade, subject, semester / unit selected by the user (learner) user ( Learner) automatically generates and provides learning game information that can be learned, and achieves the effect of making it easy to create a learning game that can give students an effective learning.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학습자)가 플래시를 이용하지 않고도 학습게임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chieves the effect of allowing a user (learner) to produce a learning game without using a flash.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학습자)로 하여금 인터넷 상의 재미있고 다이나믹한 게임 환경에서 자신이 원하는 학습을 즐겁게 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상승한다는효과를 달성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low a user (learner) to enjoy the learning that he / she wants in a fun and dynamic game environment on the Internet, thereby achieving the effect that the learning effect is increased.

특히 학습의 지속성이 떨어지는 아동이나 학습 부진아에게 재미있고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통하여 학습 동기를 유발시켜 재미있게 학습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한다.In particular, it achieves the effect of inducing learning motivation by having fun and various forms of games for children with low learning continuity or poor learning.

Claims (5)

관리자(교사)에 의해 입력되어 등록된 복수의 문제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된 상태에서 저장되어 있는 문제은행 DB와,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상기 관리자(교사)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하여 문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문제를 상기 문제은행 DB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문제은행 관리서버로 구성된 문제생성 전문가 서버;Provides a question bank DB and a bulletin board-type web page stor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questions entered and registered by a manager (teacher) are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member, and level, thereby providing a web page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 Which is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member, and level so that problems can be inputted, and the question bank management server that registers and manages problems entered through the bulletin board webpage in the question bank DB is managed. Problem-creation expert server; 복수의 배경그림정보와 복수의 캐릭터정보 및 버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그림 DB와, 관리자(디자이너)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게임의 배경될 그림정보 또는 학습게임에 적용될 캐릭터정보를 상기 그림 DB에 등록시킬 수 있도록 하고, 배경그림 또는 캐릭터를 검색, 삭제, 추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림구성요소 관리모듈로 구성된 디자인전문가 서버; 및A picture DB storing a plurality of background picture information, a plurality of character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and picture information to be background of a learning game input by an administrator (designer) or character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learning game is registered in the picture DB. A design expert server comprising a picture component management module for enabling a user to search, delete, and add a background picture or a character; And 관리자(교사)의 요청에 응하여 문제은행 관리서버 및 디자인전문가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제, 배경그림 및 캐릭터와 버튼의 위치와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학습게임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레이아웃 생성모듈과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에 의해 생성된 학습게임 레이아웃에 기반하여 사용자(학습자)의 학년, 과목, 학기/단원 등 요구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자 정보 및 이력 DB를 통하여 학습자 연결 및 정보관리 모듈에 의해 생성된 학습게임 결과의 정보를 상기 학습자 정보 및 이력 DB에 등록, 저장시켜 관리하는 학습자 연결 및 정보 관리모듈로 구성된 학습용 게임정보생성서버;A layout generation module and a layout generation module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learning game information using a problem, a background picture, and positions and layouts of characters and buttons provided by a question bank management server and a design expert server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n administrator (teacher). Based on the learning game layout generated by the learner, the learner information and history DB, which stores the user's (learner's) grade, subject, semester / unit, etc. A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server comprising a learner connec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module that registers and stores information in the learner information and the history DB;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game for onlin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ayout generating module, 플래시의 액션스크립트(ACTION SCRIPT)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A system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online learning gam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Flash action script (ACTION SCRIP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아웃 생성모듈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ayout generating module, 관리자(교사)가 문제위치, 배경그림 및 캐릭터와 각종 버튼의 위치 정보와 속성을 갖는 레이아웃을 지정하면, 지정된 위치와 속성에 대하여 문제와 배경그림 및 캐릭터와 각종 버튼이 다양하게 변경되어 상호 작용하는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When the administrator (teacher) designates the layout of the problem location, the background picture,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properties of the characters and various buttons, the problem and the background picture and the characters and various buttons are variously changed and interacted with the designated location and property. System to automatically generate learning games. (1)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교사가 학년별, 과목별, 학기/단원별, 수준별로 분류하여 문제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게시판 형태의 웹페이지를 통해 입력되는 문제를 문제은행 DB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문제은행 관리과정;(1) Provides a bulletin board-type web page so that the teacher can input the problem classified by grade, subject, semester / member, and level. Problem bank management process registered and managed by the bank; (2) 관리자(디자이너)에 의해 입력되는 학습게임의 배경될 그림정보 또는 학습게임에 적용될 캐릭터정보와 버튼정보를 그림 DB에 등록시키고, 등록된 배경그림 또는 캐릭터 및 버튼을 검색, 삭제, 추가하는 그림구성요소 관리과정; 및(2) Register the picture information of the learning game input by the administrator (designer) or the character information and button information to be applied to the learning game in the picture DB, and search, delete, and add the registered background picture or the character and button. Picture component management process; And (3) 관리자(교사)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서 문제은행 관리서버 및 디자인전문가 서버에서 제공되는 문제, 배경그림 및 캐릭터와 버튼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레이아웃을 지정하여 다양한 문제와 배경그림과 캐릭터들을 갖는 학습게임을 자동생성하는 과정;(3) Designate a layout displaying the problems, background pictures, and characters and buttons provided by the question bank management server and the design expert server at a location designated by the administrator (teacher) to play a learning game having various problems and background pictures and characters. Auto-generation process; (4) 사용자(학습자)의 요청에 응하여 자동생성된 학습 게임을 연결시켜주고, 그 학습게임 결과정보를 학습자정보 DB에 등록, 저장시키는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과정;(4)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of connecting the automatically generated learning game in response to a request of a user (learner), and registering and storing the learning game result information in a learner information DB;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Method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learning game for online,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cluding.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게임정보 생성과정은,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learning game information generation process, 사용자(학습자)의 학년, 과목, 학기/단원 정보에 의해, 문제와 배경그림과 캐릭터 및 버튼이 고정된 위치에서 다양하게 변경되는 학습게임을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용 학습게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Characterized by the grade, subject, semester / unit information of the user (learner), the background image, the character and buttons are searched for a variety of changes to the learning game,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viding to the user (learner) characterized in that How to automatically create online learning games.
KR1020030028338A 2003-05-02 2003-05-02 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KR200400942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338A KR20040094254A (en) 2003-05-02 2003-05-02 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338A KR20040094254A (en) 2003-05-02 2003-05-02 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254A true KR20040094254A (en) 2004-11-09

Family

ID=37373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338A KR20040094254A (en) 2003-05-02 2003-05-02 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4254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46A1 (en) * 2005-03-31 2006-10-19 Nhn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game menu screen by flash in on-line game
KR100800953B1 (en) * 2006-07-10 2008-02-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type learning contents using game template on web
WO2013142518A1 (en) * 2012-03-19 2013-09-26 Jan Stelovsky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media games
KR20210077361A (en) * 2019-12-17 2021-06-25 (주)미디어포스원 Method for providing game for people with dyscalculia or poor arithmetric learning and server using the sam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46A1 (en) * 2005-03-31 2006-10-19 Nhn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displaying game menu screen by flash in on-line game
US8342965B2 (en) 2005-03-31 2013-01-01 Nhn Corporation Displaying a game menu screen by flash program module in an on-line game application
KR100800953B1 (en) * 2006-07-10 2008-02-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game-type learning contents using game template on web
WO2013142518A1 (en) * 2012-03-19 2013-09-26 Jan Stelovsky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media games
US9861895B2 (en) 2012-03-19 2018-01-09 Jan Stelovsky Apparatus and methods for multimedia games
KR20210077361A (en) * 2019-12-17 2021-06-25 (주)미디어포스원 Method for providing game for people with dyscalculia or poor arithmetric learning and server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nk et al. Making sense of online learning: A guide for beginners and the truly skeptical
Mason et al. Elearning: The key concepts
Ba et al. Investigating children's emerging digital literacies
Kessler Teaching ESL/EFL in a world of social media, mash‐ups, and hyper‐collaboration
Felix Teaching languages online: Deconstructing the myths
KR20030010571A (en) Learning support system
Hu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ooperative learning system for digital content design curriculum: Investigation on learning effectiveness and social presence.
Almeida WalkAbout Framework for Contextual Learning Through Mobile Serious Games
Fitzgibbon* et al. Jumping the hurdles: challenges of staff development delivered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Basri et al. Digital languag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rom a CALL perspective: Perceived knowledge and activeness in ECCR
Kempston et al. Creating Simulations: Pseudo-Reality and Learning Environments
KR20040094254A (en) Automatic education game generating system and method through internet
Peachey Thinking critically through digital media
Crook et al. The teaching voice on the learning platform: seeking classroom climates within a virtual learning environment
Lapadat et al. teaching with Blogs: a Case study of technologically Mediated Literacy
JPH10214022A (en) Mehtod and system for forming group learning teaching material
Deckert et al. Can video game subtitling shape player satisfaction?
Gerrard Writing in multiple media
Hedberg* Designing multimedia: Seven discourses
Toukonen The dynamic electronic textbook: Enhancing the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KR20030032789A (en) Active studying data offer method to add interface function on internet moving image
Kuksa Virtual reality in theatre education and design practice new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Edries et al. Sign L-The Development of Sign Language System for Primary School Student
Cameron Giving games a day job: Developing a digital game-based resource for journalism training
Llamas-Nistal et al. Computers and education: towards a lifelong learning socie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