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3215A - Wireless edu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Wireless edu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3215A
KR20040093215A KR1020030025416A KR20030025416A KR20040093215A KR 20040093215 A KR20040093215 A KR 20040093215A KR 1020030025416 A KR1020030025416 A KR 1020030025416A KR 20030025416 A KR20030025416 A KR 20030025416A KR 20040093215 A KR20040093215 A KR 20040093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ducator
wireless
auxiliary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5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58622B1 (en
Inventor
한헌
Original Assignee
(주)유성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성씨앤씨 filed Critical (주)유성씨앤씨
Priority to KR10-2003-0025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622B1/en
Publication of KR20040093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622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URPOSE: A wireless educating system is provided to effectively use frequency resources by providing an audio signal in a broadcast method from an educator to a plurality of educatees. CONSTITUTION: A wireless educating system includes one main controlling unit(100) and the N number of auxiliary units(110). The N number of auxiliary units(110) consist of one educator terminal(112) and the remaining number of educatee terminals(122). The educator terminal(112) and the educatee terminal(122) are used by one educator and a plurality of educatees. The wireless educating system is constructed in such a piconet form that the main controlling unit(100) as a master unit controls the a plurality of auxiliary units(110), that is, a set of slave units.

Description

무선 교육 시스템{WIRELESS EDUCATION SYSTEM}Wireless education system {WIRELESS EDU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을 이용한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방식으로 다수의 피교육자에게 교육을 위한 오디오 방송을 제공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ucation system using wirel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education system for providing audio broadcasting for education to a plurality of trainees in a broadcast manner.

통상적인 교육 시스템은 교육 영어 회화, 일본어 회화, 유아 교육용 카세트와 같은 교육 보조 프로그램을 유선으로 연결한 상태에서 헤드폰을 착용한 다수의 피교육자에게 독립적인 형태로 공급한다. 이를 위하여, 통상의 교육 시스템은 오디오 시스템으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유선을 통하여 다수의 헤드폰으로 분배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통상의 교육 시스템은 교육 보조 장치로부터의 교육 프로그램 신호를 일방향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일방향 교육 시스템을 개선한 교육 시스템으로 교육자 및 피교육자들 측에 각각 마이크를 설치하여 교육자 및 피교육자들간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교육 시스템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의 교육 시스템은 교육자로부터 피교육자로의 일방향 통신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 효과를 향상시킬 수 없었으며,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피교육자의 행동을 제한한다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 education systems provide independent training to a large number of trainees wearing headphones with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such as educational English conversation, Japanese conversation, and early childhood cassettes connected by wire. To this end, conventional education systems use a method of distributing audio signals from an audio system to a plurality of headphones via a wire. As such, the conventional education system was configured to distribute the education program signal from the education assistance device in one direction. As an education system that improves the one-way education system, an education system is provided and used to enable dialogue between educators and trainees by installing microphones on the sides of educators and trainees. However,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was not able to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 because it was configured to perform only one-way communication from the educator to the educator, and the problem of restricting the educator's behavior because the educator and the educator we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there was.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1996년 5월 23일 "무선 교육 시스템"이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제1996-17781호에서 교육 프로그램용 오디오 신호를 무선으로 피교육자들에게 전송하여 피교육자들의 행동의 자유를 보장하도록 한 무선 교육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무선 교육 시스템은 교육 프로그램용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는 보조 메모리 장치와, 보조 메모리 장치로부터의 오디오 신호가 적어도 1인 이상의 피교육자들측으로 일방향 전송되도록 하는 제1무선 주파수 채널과, 교육자와 적어도 1인 이상의 피교육자들간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음성 신호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제2 무선 주파수 채널과, 교육자에 의해 적어도 1인 이상의 피교육자를 선택하기 위한 키 선택 보드와, 키 선택 보드에 의해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이 적어동 1인 이상의 피교육자 별로 선택적으로 개통되도록 하는 채널 제어부로 구성된다.In order to remedy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 audio signal for an educational program to the trainees by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trainees in 1996-17781, filed on May 23, 1996 under the name of "wireless education system". We proposed a wireless education system to guarantee freedom of movement. Such a wireless education system includes an auxiliary memory device for reproducing an audio signal for an educational program, a first radio frequency channel for unidirectional transmission of an audio signal from the auxiliary memory device to at least one or more trainees, and at least one or more educators. A second radio frequency channel for transmitting voice signals bidirectionally to enable voice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inees, a key selection board for selecting at least one trainee by the educator, and a second radio frequency channel by the key selection board. It is composed of a channel controller for selectively opening for each trainee of at least one person.

전술한 무선 교육 시스템은 교육자와 다수의 피교육자가 슬롯 단위로 TDD(time division duplex) 방식을 이용하여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때, 마스터로서의 교육자가 슬레이브들로서의 개개의 피교육자에 대하여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리턴받는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주파수 자원의 낭비가 심하며 피교육자용 단말기를 추가적으로 확장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In the above-described wireless education system, an educator and a plurality of trainees perform transmission / reception using a time division duplex (TDD) scheme on a slot basis. At this time, since the educator as a master is proceeding in a manner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audio signal to individual trainees as slaves, waste of frequency resources is severe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terminal for the educator cannot be further extended.

또한, 전술한 무선 교육 시스템은 교육자와 피교육자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지만 교육자와 피교육자 간의 1:1 대화 기능만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wireless education system has a disadvantage in that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n educator and an educator is possible, but only a 1: 1 conversation function between an educator and an educator is possible.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교육자로부터 다수개의 피교육자에게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방송 방식으로 제공함으로써 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가능한 무선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education system capable of efficiently using frequency resources by providing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an educator to a plurality of educators in a broadcast man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확장성이 용이한 무선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ireless education system that is easy to expan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교육자와 다수의 피교육자가 일대다의 대화가 가능한 무선 교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education system in which one educator and a plurality of educators can have a one-to-many convers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교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고, 도 2b는 제 2 및 제 3 무선 주파수 대역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하며, 도 2c는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의 다이어그램,2A shows a diagram of a first radio frequency band, FIG. 2B shows a diagram of second and third radio frequency bands, FIG. 2C shows a diagram of a fourth radio frequency ban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조정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3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ain adjustment device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조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n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1;

도 5는 도 3의 주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adjustment device of FIG. 3;

도 6은 도 4의 보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device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0 : 주조정 장치 110 : 보조 장치100: main adjusting device 110: auxiliary device

112 : 교육자용 단말기 122 : 피교육자용 단말기112: terminal for educators 122: terminal for educators

316 : 오디오 절환 회로316: audio switching circuit

372, 374, 376, 378, 410 : 무선 송수신부372, 374, 376, 378, 410: wireless transceiver

502 : 아날로그 송신부 602 : 아날로그 수신부502: analog transmitter 602: analog receiver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교육 시스템은, 무선 통신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주조정 장치; 및 상기 주조정 장치로부터의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자용 단말기와 나머지의 피교육자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 통신용 주파수는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분할된 무선 주파수 대역 중의 하나를 통하여 방송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wireless education system, main adjustment device for supplying an audio signal using a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an auxiliary device having at least one educator terminal for receiv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remaining educator terminal, wherein the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adio frequency bands, and the audio The signal is transmitted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one of the divided radio frequency bands.

또한, 전술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대역은 제 1 내지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조정 장치에서 상기 보조 장치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채널로 사용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조정 장치의 중계에 의해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와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 간의 음성 및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교육 채널로 사용되고, 상기 제 4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조정 장치와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 간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교육자 채널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radio frequency bands include first to fourth radio frequency bands, and the first frequency band is a broadcast channel for broadcast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main adjustment device to the auxiliary device. Wherein the second and third frequency bands are used as training channels for communication of voice and data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and the educated terminal by relaying the main adjustment device, and the fourth frequency band is the main adjustment. It is used as an educator channel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device and the educator terminal.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s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교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은 하나의 주조정 장치(100)와, N 개의 보조장치(110)를 포함하며, N 개의 보조 장치(110)는 하나의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나머지(N-1개)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구비한다. 주조정 장치(100)는 어학실 등에서 일정 장소에 배치되어 교육자가 조작하는 장치로서 사용되며, 보조 장치(110)의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는 각기 한명의 교육자와 다수의 피교육자들에 의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로서 하나의 주조정 장치(100)가 슬레이브 장치들의 집합인 다수개의 보조 장치(110)를 제어하는 피코넷(piconet)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은 전술한 피코넷 형태로 구성된 보조 장치(110) 중의 어느 하나가 마스터 장치로 작용하고 나머지의 보조 장치(110)를 슬레이브 장치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는 스캐터넷(scatternet)의 형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wireless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main adjusting device 100 and N auxiliary devices 110, and the N auxiliary devices 110 are on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rest (N-1). Dog terminal 122 is provided. The main adjustment device 100 is used as a device for educators to operate in a certain place in a language room, etc.,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trainee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each of one educator and a plurality of educators. Used by them.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master device in the form of a piconet in which one main coordination device 100 controls a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110 that are a collection of slave devices. On the contrary, in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atternet in which any one of the auxiliary devices 110 configured in the above-described piconet form a master device and the remaining auxiliary devices 110 are configured as a set of slave devices. It may also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교육 장치는,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2.4 GHz ∼ 2.48 G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 밴드를 주조정 장치(100)과 보조 장치(110) 간의 무선 통신용 주파수로 사용한다. ISM 밴드는 산업, 과학, 의료용으로 전세계적으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말한다. 무선 통신용 주파수는 다시 제 1 내지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나뉘어져 각기 상이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한다. 이때,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장치는 주조정 장치(100)와 복수개의 보조 장치(110)가어느 하나의 무선 주파수 대역 내에서 호핑 순서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에 따라 채널을 바꾸어 가면서 송수신을 수행하는 주파수 호핑 방식으로 상호 통신한다. 주파수 호핑 방식은 1초에 약 1,600 회에 걸쳐 송신과 수신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주파수 대역은 20 개의 홉 채널(hop channel)로 구성되며, 1개의 채널은 1 MHz의 간격을 갖는다.A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A, 2B, and 2C, the wireless edu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a main adjustment device 100 and an auxiliary device in which an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ISM) frequency band of 2.4 GHz to 2.48 GHz is used. It is used as a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110). The ISM band is a frequency band that can be used worldwide for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purposes. The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further divided into first to fourth radio frequency bands and used to transmit and receive different radio signals. At this time, the wireless trai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requency hopping to perform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while changing the channel according to the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hopping order in the main control device 100 and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110 in any one of the radio frequency b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fashion. Frequency hopping is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bout 1,600 times per second. In the present invention, one frequency band is composed of 20 hop channels, and one channel has an interval of 1 MHz.

제 1 주파수 대역은 주조정 장치(100)에서 보조 장치(110) 측으로 오디오 신호, 예컨대 외국어 회화용 교육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방송 채널로 사용되고, 제 2 및 제 3 주파수 대역은 주조정 장치(100)의 중계에 의해 교육자 단말기(112)와 피교육자용 단말기(122) 간의 음성 교환, 즉 1:1 대화, 1:2 대화 또는 1:3 대화를 위한 교육 채널로 사용되고, 제 4 주파수 대역은 주조정 장치(100)와 교육자용 단말기(112) 간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교육자 채널로 사용되며, 이 대역을 통하여 교육자용 단말기(112)에서 발생한 교육자의 음성이 수신되고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 발생한 피교육자의 음성이 교육자용 단말기(112)로 제공된다.The first frequency band is used as a broadcasting channel for broadcasting an audio signal, for example, an education program for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from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to the auxiliary device 110, and the second and third frequency bands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are used. It is used as a training channel for voice exchange, i.e. 1: 1 conversation, 1: 2 conversation or 1: 3 conversation,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by relaying, and the fourth frequency band is used as the main control device ( 100) is used as an educator channel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112, through which the voice of the educator generated in the educator terminal 112 is received and the educator's voice generat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122 is received. It is provided to the educator terminal 112.

주조정 장치(100)는 각각의 보조 장치(110)의 동작 상태를 발광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보조 장치(110)의 개수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배열된 전면 패널(102)과, 각각의 보조 장치(110)를 선택하는 조작용 키보드(104) 및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106)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주조정 장치(100)는 다수개의 보조 장치(110) 측으로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기능, 1:1 내지 1:2 대화 기능, 1:1 내지 1:3 모델 보이스 기능, 모니터 기능, 강의 기능 및 그룹 분리 기능을 수행한다.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includes a front panel 102 in which light emitting uni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auxiliary devices 110 are arranged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each auxiliary device 110 can be confirmed as a light emitting state, and each auxiliary device ( It has an operation keyboard 104 for selecting 110 and an LED 106 for indicating battery charge status.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has a broadcasting function for broadcasting audio signals to a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110, 1: 1 to 1: 2 conversation function, 1: 1 to 1: 3 model voice function, monitor function, and lecture function. And group separation functions.

방송 기능은 본 발명의 주요 기능으로서, 방송 채널(즉,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주조정 장치(100)에서 보조장치(110) 측으로 오디오 신호를 해당하는 무선 주파수 대역에 실어 방송 방식으로 송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방송 기능은 (N-1개)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가 하나의 그룹 또는 복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하는 것에 따라서 주 방송 기능과 보조 방송 기능으로 응용될 수 있다. 주방송 기능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방송 채널(즉,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 을 통하여 주조정 장치(100)에서 한 그룹에 속한 각각의 보조장치(110)로 오디오 신호를 방송 방식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주방송 기능은 오디오 신호를 전체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게 일괄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반면, 보조 방송 기능은 (N-1개)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가 복수개의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경우(즉,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그룹 분리의 경우), 하나의 그룹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주방송 기능을 수행하면서 다른 그룹은 또 다른 채널, 예컨대, 교육 채널(즉, 제 2 무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제 3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또 다른 오디오 신호, 예컨대, 전술한 방송용 오디오 신호, 교육자의 음성 신호 또는 DVD(Digital Versatile Device) 등의 오디오 재생 장치에서 재생되는 음악 신호를 방송 방식으로 송출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broadcast function is a mai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s an audio signal from a main control device 100 to an auxiliary device 110 in a corresponding radio frequency band through a broadcast channel (ie, a first radio frequency band) and broadcasts the broadcast signal. I mea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oadcasting function can be applied to the main broadcasting function and the auxiliary broadcasting function as the (N-1) trainee terminals 122 are grouped into one group or a plurality of groups. As described above, the main broadcasting function transmits an audio signal in a broadcasting manner from the main adjusting apparatus 100 to each auxiliary device 110 belonging to a group through a broadcasting channel (ie, a first radio frequency band). This main broadcast function has the effect of collectively delivering the audio signal to the entire trainee terminal 122. 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broadcast function is that when (N-1) trainee terminals 122 are grouped into a plurality of groups (that is, in the case of group separation as described below), one group is connected through a broadcast channel. While performing the main broadcast function, the other group may be connected to another audio signal, e.g., the aforementioned broadcast audio signal, educator, through another channel, e. This means that a sound signal or a music signal reproduced by an audio reproduc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versatile device (DVD) is transmitted in a broadcast manner.

대화 기능은 교육자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교육자 간의 1:1이나 1:2로 문의 및 응답을 위한 것으로, 교육자용 단말기(112)가 사용하는 교육자 채널(즉,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과 피교육자용 단말기(122)가 사용하는 교육 채널(즉, 제 2 무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제 3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교육자용 단말기(112)와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 사이에서 1: 1 또는 1:2로 문의 및 응답 음성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것을 의미한다.The conversation function is for inquiring and answering 1: 1 or 1: 2 between an educator and one or more educators. The educator channel (ie, the fourth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educator terminal used by the educator terminal 112 are used. 1: 1 or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one or more learner terminals 122 through an education channel (ie, a second radio frequency band and / or a third radio frequency band) used by the 122. 1: 2 means that inquiry and response voice data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모델 보이스 기능은 전술한 대화 기능 시 발생하는 문의 및 응답 음성 데이터를 방송 채널(즉,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의 전체로 방송하는 것을 의미하며, 모니터 기능은 교육자용 단말기(112)가 교육 채널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를 청취하는 기능을 의미한다.The model voice function means to broadcast the inquiry and response voice data generated during the above-described conversation function to the entire participant terminal 122 through the broadcasting channel (ie, the first radio frequency band), and the monitor function is for the educator. The terminal 112 refers to a function of sequentially or selectively listening to voice data generated from the student terminal 122 through the education channel.

강의 기능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교육자용 단말기(112)가 복수개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 강의용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The lecture function means that the educator terminal 112 transmits lecture voice data to the plurality of educator terminals 122 through a broadcast channel.

그룹 분리 기능은 전체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고 주조정 장치(100) 또는 교육자용 단말기(110)가 각 그룹으로 분리된 피교육자용 단말기(112)로 각기 다른 채널, 예컨대, 방송 채널 또는 교육 채널을 통하여 각기 다른 오디오 신호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그룹 분리의 확장 기능으로서, 교육자는 각각의 분리된 그룹 간을 이동하면서 주강의 및 보조 강의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각 그룹 내에서 특정 피교육자와 1:1 대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The group separation function divides the entire trainee terminal 122 into at least two groups, and the main control device 100 or the trainee terminal 110 is divided into the respective trainee terminals 112 into the respective groups. This means that different audio signals or voice data are transmitted through broadcast channels or educational channels. As an extension of this group separation, educators can conduct main and secondary lectures as they move between separate groups, and have 1: 1 conversations with specific trainees within each group.

한편, 보조 장치(110)는 각기 헤드셋(118)을 구비하고 있으며, 헤드셋(118)을 이용하여 주조정 장치(100)에서 방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거나 주조정 장치(100)의 중계에 의해 교육자 및 피교육자의 음성을 교환할 수 있다. 보조 장치(110)의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는 각각의 주조정 장치(100)에 의해 각기 식별되는 식별용 ID를 가지고 있으며, 주조정 장치(100)는 방송 채널 및 교육자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신호에 식별용 ID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해당하는 식별용 ID를 갖는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게 방송 신호 뿐만아니라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예를 들면, 채널간 이동 제어 신호, 교육자와 피교육자가 대화를 위한 채널 변경, 교육자가 피교육자에게 마이크 권한을 이전하는 신호 등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device 110 is provided with a headset 118, respectively, using the headset 118 to listen to the audio signal broadcast from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or by the relay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by the educator And voices of the trainees. The educator's terminal 112 and the student's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have identification IDs respectively identified by the master control device 100, and the master control device 100 includes a broadcast channel and By transmitting the identification ID together with the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ducator channel, not only the broadcast signal but also the control signal may be provided to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having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ID. Here, the control signal includes, for example, a movement control signal between channels, a channel change for the educator and the trainee to talk, a signal for the educator to transfer the microphone authority to the trainee, and the like.

보조 장치(110) 중의 교육자용 단말기(112)는 배터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LED(116)와 호출 스위치(124)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교육자용 단말기(112)는 주조정 장치(100)로부터 방송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기능과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서 발생된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와 대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educator terminal 112 in the auxiliary device 110 has an LED 116 and a call switch 124 indicating a battery charge state. The educator terminal 112 performs a function of listening to an audio signal broadcast from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and a conversation function with the educator terminal 122 in response to a call signal generat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122. Can be.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는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마찬가지로 주조정 장치(100)로부터 방송된 오디오 신호를 청취하는 기능과 더불어 교육자용 단말기(112)로부터 제공되는 음성 데이터를 청취하는 기능 및 호출 스위치(124)에 의해 교육자용 단말기(112)를 호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The trainee terminal 122, like the trainee terminal 112, listens to the audio signal broadcast from the master adjusting device 100, and listens to the voice data provided from the trainee terminal 112, and a call switch. 124 has a function of calling the educator terminal 112.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 1 내지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2A-2C, diagrams of the aforementioned first to fourth radio frequency bands are shown.

도 2a는 제1 무선 주파수 대역의 슬롯 및 호핑 채널의 다이어그램으로, 슬롯 0,4,8,...은 주조정 장치(100)에서 방송용 오디오 신호를 보조 장치(110)의 각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게 송신하는 SCO(동기) 슬롯으로 사용된다. 이때, 주조정장치(100)로부터 방송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보조 장치(110)의 각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는 주조정 장치(100)로 데이터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반송 신호를 리턴하지 않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이러한 규약에 의해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은 피코넷 또는 스케터넷의 연결 형태로 구성되더라도 교육용 오디오 프로그램을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달리, 피코넷 또는 스케터넷의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은 방송 방식이 아닌 시분할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주조정 장치(100)에서 보조 장치(11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은 블루투스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블루투스 시스템은 본 발명의 방송 방식과 달리 서로 상대편의 주조정 장치(100) 및/또는 보조 장치(11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한 응답을 리턴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FIG. 2A is a diagram of slots and hopping channels of a first radio frequency band, wherein slots 0, 4, 8, ... are used for controlling a trainee terminal of the auxiliary apparatus 110 to transmit a broadcast audio signal in the main control apparatus 100. 122 is used as an SCO (sync) slot to transmit to. At this time, each trainee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that receives the broadcast audio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100 is programmed not to return a carrier signal indicating that the data received by the main control device 100. have. By such a convention,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mit an educational audio program in a broadcast manner even if it is configured as a piconet or scatternet connection. Alternatively,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iconet or a scatterne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 audio signal from the master coordination apparatus 100 to the auxiliary apparatus 110 in a time division manner rather than a broadcast scheme. For example, a system using a time division method may include a Bluetooth system, which, unlike the broadcas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100 and / or the auxiliary device 110 of each other. Is then driven in a way that returns a response.

슬롯 2,6,...은 각기 주조정 장치(100)가 보조 장치(110)의 각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ACL(비동기) 슬롯으로 사용되며, 슬롯 3,7,...은 반대로 보조 장치(110)의 각 피교육자용 단말기(122)가 주조정 장치(100)에게 리턴할 데이터를 송신하는 ACL(비동기) 슬롯으로 사용된다.Slots 2, 6, ... are used as ACL (asynchronous) slots for transmitting data from the main coordinating apparatus 100 to each trainee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apparatus 110, respectively. Is used as an ACL (asynchronous) slot for transmitting data to be returned to the master coordinating apparatus 100 by each student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apparatus 110.

도 2b는 제 2 및 제 3 무선 주파수 대역의 슬롯 및 호핑 채널의 다이어그램으로, 슬롯 0,4,8,...은 주조정 장치(100)가 보조 장치(110) 중에서 지정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게 음성용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하는 음성 송신 채널로 사용된다. 슬롯 1,5,9,...은 주조정 장치(100)가 보조 장치(110)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 음성용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 채널로 사용된다.슬롯 2,6,...은 주조정 장치(100)가 보조 장치(110)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게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채널로 사용되며, 슬롯 3,7,...은 주조정 장치(100)가 보조 장치(110)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채널로 사용된다.FIG. 2B is a diagram of slots and hopping channels of the second and third radio frequency bands, with slots 0, 4, 8,... It is used as a voice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audio data for voice. Slots 1, 5, 9, ... are used as a voice receiving channel through which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receives audio data for voice from the student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Slots 2, 6, ... is used as a data transmiss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main control device 100 transmits digital data to the student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slots 3, 7, ... ) Is used as a data receiving channel for receiving digital data from the student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도 2c는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교육자 채널)의 슬롯 및 호핑 채널의 다이어그램으로, 슬롯 0,4,8,...은 주조정 장치(100)가 교육자용 단말기(112)에게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서 수신한 음성 및 방송용 오디오 데이터 신호를 송신하는 음성 송신 채널로 사용되고, 슬롯 1,5,9,...은 주조정 장치(100)가 교육자용 단말기(112)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음성 수신 채널로 사용된다. 슬롯 2,6,...은 주조정 장치(100)가 교육자용 단말기(112)에게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 채널로 사용되며, 슬롯 3,7,...은 주조정 장치(100)가 보조 장치(110)의 교육자용 단말기(112)로부터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채널로 사용된다. 여기서, 데이터는 채널 전환 신호, 마이크 온/오프 제어 신호, 단말기의 온/오프, 마이크 온/오프, 배터리 상태(status) 등을 포함한다.FIG. 2C is a diagram of slots and hopping channels of the fourth radio frequency band (educator channel), wherein slots 0, 4, 8, ... are indicated by the main coordinating apparatus 100 to the educator terminal 112. 122 is used as a voice transmission channel for transmitting the voice and broadcast audio data signals received in step 122, and slots 1, 5, 9, ... are used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from the educator terminal 112. Used as a voice receiving channel. Slots 2, 6, ... are used as a data transmission channel through which the master coordinating apparatus 100 transmits digital data to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slots 3, 7, ... are main coordinating apparatus 100. Is used as a data receiving channel for receiving digital data from the educator terminal 11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Here, the data includes a channel switching signal, a microphone on / off control signal, a terminal on / off, a microphone on / off, a battery status, and the like.

도 3는 도 1에 도시된 주조정 장치(100)의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한다.FIG. 3 show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main adjustment device 100 shown in FIG. 1.

도 3에 도시된 주조정 장치(100)는 제1 및 제 2 오디오 소스(302 및 304), 보조 오디오 소스(306), 제 1 및 제 2 이퀄라이저(308, 310), 제 1 및 제 2 볼륨 조절기(312, 314), 오디오 절환 회로(316), 음원(108), 제 1 내지 제 4 코덱(coder-decoder)(318, 320, 322, 324), 제 1 내지 제 4 베이스밴드 변환기(326, 328, 330, 332), 제 1 내지 제 4 무선 모뎀(334, 336, 338, 340), 제1 내지 제 4 안테나(342, 344, 346, 348), 클럭(350), 롬(352), 램(354), 키보드(104), LED(106),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360), SPI(service provider interface)(362) 및 중앙 처리 장치(CPU)(370)를 포함한다.The main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 3 includes first and second audio sources 302 and 304, auxiliary audio sources 306, first and second equalizers 308 and 310, and first and second volumes. Controller 312, 314, audio switching circuit 316, sound source 108, first to fourth coder-decoders 318, 320, 322, 324, first to fourth baseband converters 326 , 328, 330, 332, first to fourth wireless modems 334, 336, 338, 340, first to fourth antennas 342, 344, 346, 348, clock 350, ROM 352 , RAM 354, keyboard 104, LEDs 106,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 Transmitter (UART) 360, Service Provider Interface (SPI) 362 and Central Processing Unit (CPU) 370 do.

제1 및 제 2 오디오 소스(302 및 304)는 교육 프로그램용 오디오 신호, 즉 외국어 회화 신호를 공급하며, 보조 오디오 소스(306)는 제2 오디오 소스(304)를 대신하여 DVD와 같은 장치를 통하여 재생되는 음악 신호를 공급한다. 제 1 및 제 2 이퀄라이저(308, 310)는 각기 제 1 및 제 2 오디오 소스(302 및 304)에서 공급되는 교육 프로그램용 오디오 신호 또는 보조 오디오 소스(306)에서 공급되는 음악 신호의 증폭이나 전송 과정에서 생기는 변형을 보정하여 균일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레벨 미터(382 및 384)는 제 1 및 제2 이퀄라이저(308 및 31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및 제 2 볼륨 조절기(312, 313)는 제 1 및 제 2 이퀄라이저(308, 310)에서 균일화된 출력을 볼륨 조절하여 오디오 절환 회로(316)로 제공한다.The first and second audio sources 302 and 304 supply audio signals for educational programs, i.e., foreign language conversation signals, and the auxiliary audio source 306 is provided via a device such as DVD on behalf of the second audio source 304. Supply the music signal to be played. The first and second equalizers 308 and 310 may amplify or transmit a training program audio signal supplied from the first and second audio sources 302 and 304 or a music signal supplied from the auxiliary audio source 306, respectively. Performs the function of compensating and uniformizing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level meters 382 and 384 perform the function of indicating the level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equalizers 308 and 310. The first and second volume controllers 312 and 313 adjust the volume at the first and second equalizers 308 and 310 to provide volume control to the audio switching circuit 316.

오디오 절환 회로(316)는 CPU(370)의 제어하에 제 1 오디오 소스(302), 제 2 오디오 소스(304) 또는 보조 오디오 소스(306)의 출력을 선택하여 제 1 또는 제 4 송신부(372 또는 378)와 그에 대응하는 안테나(342 또는 348)를 통하여 보조 장치(110) 측으로 방송되도록 한다.The audio switching circuit 316 selects an output of the first audio source 302, the second audio source 304, or the auxiliary audio source 306 under the control of the CPU 370, so that the first or fourth transmitter 372 or 378) and the antenna 342 or 348 corresponding thereto to broadcast to the auxiliary device 110 side.

제 1 내지 제 4 무선 송수신부(372, 374, 376, 378)는 각기 오디오 절환 회로(316)에서 선택된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하는 코덱(318, 320, 322,324), 코덱(318, 320, 322, 324)에 의해 압축된 신호를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스밴드 변환기(326, 328, 330, 332), 베이스밴드 변환기(326, 328, 330, 332)에 의해 변환된 신호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안테나(342, 344, 346, 348)를 통하여 무선 전송하는 무선 모뎀(334, 336, 338, 3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4 무선 송신부(372, 374, 376, 378)는 보조 장치(110)로부터 무선 송신된 신호를 전술한 바와 반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The first to fourth wireless transceivers 372, 374, 376, and 378 may respectively codec 318, 320, 322, 324, codec 318, 320, which compresses an output signal selected by the audio switching circuit 316 into a digital signal. The signals converted by the baseband converters 326, 328, 330, and 332, and the baseband converters 326, 328, 330, and 332, which convert the signals compressed by the 322 and 324 into baseband signals, are converted into wireless data. Wireless modems 334, 336, 338, and 340 that convert and wirelessly transmit through corresponding antennas 342, 344, 346, and 348. The first and fourth wireless transmitters 372, 374, 376, and 378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converting a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device 110 as described above.

UART(360) 및 SPI(362)는 주조정 장치(100)에 연결되는 다른 주조정 장치나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직렬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무선 교육 시스템을 확장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UART 360 and SPI 362 are used to extend a wireless education system by providing an interface with a serial device, such as a computer system or other master control device connected to master control device 100.

클럭(350)은 CPU(370)의 구동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생성하며, 롬(35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교육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램(354)은 무선 교육 시스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The clock 350 generates a clock signal for driving the CPU 370. The ROM 352 stores an overall operation program of the wireless trai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AM 354 is generated in the wireless training system. Used to temporarily save the data.

키보드(104)는 주조정 장치(100)의 조작자 또는 교육자가 특정 보조 장치(110)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며, LED 디스플레이(106)는 전면 패널 상에 배열되어 주조정 장치(110)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는데 사용된다.The keyboard 104 is used by the operator or educator of the master adjusting device 100 to designate a particular auxiliary device 110, and the LED display 106 is arranged on the front panel to indicate the operating status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110. Used to check.

CPU(370)는 주조정 장치(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키보드(104)를 통하여 제공되는 키입력 신호에 따라 오디오 절환 회로(316)를 제어하여 선택된 오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무선 송수신부(372, 374, 376, 378)를 통하여 각각의 보조 장치(110)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CPU 370 controls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as a whole. In particular, the CPU 370 controls the audio switching circuit 316 according to a key input signal provided through the keyboard 104 so that the selected audio signal or data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ransceiver. Through 372, 374, 376, and 378 to each auxiliary device 110.

도 4를 참조하면, 보조 장치(110)의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의 상세 블록 구성도가 도시된다.Referring to FIG. 4, detailed block diagrams of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of the auxiliary device 110 are illustrated.

각각의 보조 장치(110)는 송수신용 안테나(402), 무선 송수신부(410), 출력 앰프(412), 입력 앰프(414), 스피커(416), 마이크(418), 클럭(420), 플래시 메모리(422), 롬(424), 램(426), 호출 스위치(124), LED(116) 및 단말기용 중앙 처리 장치(450)를 포함한다.Each auxiliary device 110 includes an antenna 40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wireless transceiver 410, an output amplifier 412, an input amplifier 414, a speaker 416, a microphone 418, a clock 420, and a flash. Memory 422, ROM 424, RAM 426, call switch 124, LED 116, and central processing unit 450 for the terminal.

송수신용 안테나(402)는 주조정 장치(100)로부터 각각의 제 1 내지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전송된 무선 신호를 선별적으로 수신하여 무선 송수신부(410)로 전달한다. 무선 송수신부(410)는 송수신용 안테나(402)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는 무선 모뎀(404), 복조된 방송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하는 베이스밴드 변환기(406) 및 베이스밴드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코덱(408)으로 구성된다. 무선 송수신부(410)에 의해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는 출력 앰프(412)에서 증폭되고 출력 앰프(412)에 연결된 스피커(416)를 통하여 피교육자에게 출력된다. 이와 반대로, 교육자 또는 피교육자에 의해 마이크(418)를 통하여 생성된 음성 신호는 마이크(418)에 연결된 입력 앰프(414)에서 증폭되어 무선 송수신부(410)로 전달되고, 무선 송수신부(410)의 코덱(408)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변환기(406)를 거쳐 무선 모뎀(404)에서 변조된 후 송수신 안테나(402)를 통하여 주조정 장치(100)로 무선 전송된다.The transmitting / receiving antenna 402 selectively receives a radio signal transmitted in each of the first to fourth radio frequency bands from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radio signal to the radio transceiver 410. The radio transceiver 410 may include a radio modem 404 for demodula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402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a baseband converter 406 for converting a demodulated broadcast signal to a baseband signal, and an analog signal for a baseband signal. And a codec 408 for converting to a signal. The analog signal converted by the wireless transceiver 410 is amplified by the output amplifier 412 and output to the trainee through the speaker 416 connected to the output amplifier 412. On the contrary, the voice signal generated by the educator or the trainee through the microphone 418 is amplified by the input amplifier 414 connected to the microphone 418 and transmitted to the wireless transceiver 410. The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codec 408, modulated by the wireless modem 404 via the baseband converter 406, and then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00 through the transmit / receive antenna 402.

클럭(420)은 CPU(450)의 구동에 필요한 클럭 신호를 생성하며, 플래시 메모리(422)에는 각각의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의 식별 ID가 저장되어 있고, 롬(424)에는 각각의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단말기(122)의 전반적인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램(426)은 각각의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데 사용된다.The clock 420 generates a clock signal necessary for driving the CPU 450, and the flash memory 422 stores identification IDs of each of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424) stores the overall operation program of each of the terminal 112 and the student terminal 122, the RAM 426 is generated in each of the terminal 112 and the terminal 122 for students. Used to temporarily store data.

호출 스위치(124)는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 장착되어 있으며, 피교육자용 단말기(122)가 주조정 장치(100) 또는 교육자용 단말기(112)를 호출하여 대화하는데 사용되며, LED 디스플레이(116)는 각각의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의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을 레벨로 표시하는데 사용된다.The call switch 124 is mounted on the trainee terminal 122, and the trainee terminal 122 is used to call and talk with the main control device 100 or the trainee terminal 112, and the LED display 116 Is used to indicate, for example, the level of battery charge of each of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CPU(450)는 각각의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특히 호출 스위치(124)를 통하여 제공되는 호출 신호에 따라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상호 통신하도록 한다.The CPU 450 generally controls each of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trainee terminal 122, and in particular, according to the call signal provided through the call switch 124,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trainee terminal. Let 1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을, 예컨대 무선 어학실에 적용하여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in which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pplied to, for example, a wireless language room,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방송 기능Broadcast function

제1 또는 제2 오디오 소스(202 또는 204)에서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 즉 어학 프로그램은 주조종 장치(100)에서 오디오 절환 회로(214), 제 1 무선 송수신부(272)에서 무선 방송 신호로 처리되어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인 방송 채널을 통하여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 무선 방송된다. 이때,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조정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는 호핑 방식에 의해 각각의 홉 채널(슬롯 0,4,8...)에 실려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 전송된다. 주조정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어학 프로그램의 방송 신호는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서 안테나(402)를 통해 수신되고 무선 송수신부(410)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처리된 다음 스피커(416)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에 따라, 교육자용 단말기(112) 및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사용하는 교육자와 피교육자들은 스피커(416)를 통하여 어학 프로그램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방송 방식은 위에서 설명한 어학 프로그램을 피교육자용 단말기(122) 전체로 방송하여 피교육자가 청취하게 하는 주 방송 기능과 그룹 분리된 각각의 피교육자용 단말기 그룹에게 각기 다른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는 보조 방송 방식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audio signal supplied from the first or second audio source 202 or 204, that is, the language program, is processed as a radio broadcast signal by the audio switching circuit 214 and the first radio transceiver 272 in the cast-type device 100. Then, it is broadcasted wirelessly to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at is a first radio frequency band.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2A, the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ordination apparatus 100 is loaded on each hop channel (slots 0, 4, 8, ...) by a hopping method, and the terminal 112 for the educator and It is transmitted to the student terminal 122. The broadcast signal of the language program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100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402 in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and processed as an analog signal in the wireless transceiver 410. It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416. Accordingly, educators and trainees using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can listen to the language program through the speaker 416. The above-described broadcasting method is an auxiliary broadcasting method of broadcasting a different audio signal to each of the terminal groups of the trainees separated from the main broadcasting function allowing the trainees to listen to the entire terminal 122 for the trainees. The same may apply.

대화 기능Conversation function

피교육자용 단말기(122) 중의 어느 하나에서 호출 스위치(124)를 누르면, 호출 신호는 CPU(450)에서 감지되어 무선 송수신부(410)를 경유하여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또는 제3 무선 주파수 대역인 교육 채널을 통하여 주조정 장치(100)로 전달된다. 이때, 주조정 장치(100)의 전면 패널에는 호출 신호를 전송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나타내는 신호가 발광 표시되며, 주조정 장치(100)는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 수신된 호출 신호를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시 교육자 채널을 통하여 교육자용 단말기(112)로 전달한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자는 주조정 장치(100)가 배치된 장소에 있지 아니하고 항시 교육장을 움직이므로 자칫 교육자가 피교육자로부터 발생된 호출 신호를 전달받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조정 장치(100)는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면, 그 호출 신호를 교육자용 단말기(112)로 전송함과 동시에 음원(108)을 이용하여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 호출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호출 소리, 예컨대, "딩동"하는 소리를 교육자용 채널을 통하여 교육자용 단말기(112)로 전송한다. 따라서 교육자는 피교육자로부터 발생한 호출 신호를 시각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호출 소리를 통하여 청각적으로 피교육자로부터의 호출 신호를 인식하고 그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다.When the call switch 124 is pressed on any one of the trainee terminals 122, the call signal is detected by the CPU 450 an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or third radio as illustrated in FIG. 2B via the wireless transceiver 410. It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training channel, which is a frequency band. At this time, the front panel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is displayed with a signal indicating the student terminal 122 that transmitted the call signal,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receives the call signal received from the student terminal 122 As illustrated in FIG. 2C, the instruction is transferred to the educator terminal 112 through the educator channel. In this regard, the educator may not receive the call signal generated by the educator because the educator is not at the place where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is arranged and always moves the education cent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receives the call signal from the trainee terminal 122, the trainee transmits the call signal to the trainee terminal 112 and at the same time using the sound source 108 A call sound indicating that a call signal has bee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22 is transmitted to the educator terminal 112 through the educator channel through a call sound. Therefore, even if the educator does not visually recognize the call signal generated from the trainee, the educator can visually recognize the call signal from the trainee through the call sound and respond appropriately.

이후, 교육자용 단말기(112)는 해당하는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선택하고 선택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 제공되는 음성 신호를 교육자 채널을 통하여 주조정 장치(100)로 전송하며, 주조정 장치(100)는 다시 교육 채널을 통하여 해당하는 피교육자 단말기(122)로 교육자용 단말기(112)에서 발생한 음성 신호를 전달한다.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주조정 장치(100)의 중계에 의해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호출 신호를 발생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 간의 대화가 이루어진다. 전술한 설명은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어느 하나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 간의 1:1 대화를 설명한 것이며, 교육자용 단말기(112)와 두대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 간의 1:2 대화와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하다.Thereafter, the educator terminal 112 selects the corresponding educator terminal 122 and transmits a voice signal provided to the selected educator terminal 122 to the main coordinat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educator channel. 100 transmits the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112 to the corresponding trainee terminal 122 through the education channel. 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process, a dialogue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educator terminal 122 that generated the call signal is performed by the relay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The foregoing description describes a 1: 1 conversation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one of the trainee terminals 122, and the 1: 2 conversation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112 and the two trainee terminals 122.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s also possible.

모델 보이스 기능Model Voice Function

주조정 장치(100)는 그의 전면 패널에서 교육자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가 선택되면, 교육자의 음성 또는 데이터를 교육자에 의해 선택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게 교육자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한편, 교육 채널을 통하여 선택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부터의 음성 또는 데이터를 교육자에게 전송하면서, 교육자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나머지의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게는 교육자와 피교육자 간의 1:1, 1:2 또는 1:3 대화 내용을 방송 채널을 통하여 들을 수 있도록 전송한다.The master coordinating apparatus 100 transmits the educator's voice or data to the educator's terminal 122 selected by the educator via the educator channel when one or more educator's terminals 122 are selected by the educator on its front panel. On the other hand, while transmitting the voice or data from the selected trainee terminal 122 through the education channel to the educator, the remaining trainee terminal 122 not selected by the educator is 1: 1, 1: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trainee. Sends 2 or 1: 3 conversations through the broadcast channel.

모니터 기능Monitor function

교육자용 단말기(112)는 주조정 장치(100)의 중계에 의해 교육자용 단말기(112)에서 순차적 또는 선택적으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에서 발생하는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러한 기능은 교육자가 피교육자의 음성을 듣게함으로써 피교육자의 교육 받는 태도 등을 점검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The educator terminal 112 receives voice signals or data generat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122 sequentially or selectively by the educator terminal 112 by the relay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This function can also be used to check the educated attitude of the trainee by allowing the educator to listen to the trainee's voice.

강의 기능Lecture function

주조정 장치(100)는 교육자의 조작에 의해 피교육자용 단말기(122)의 전체에 대하여 방송 채널을 통하여 강의용 음성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또한, 그룹 분리 기능에 따라 주강의 기능과 보조 강의 기능이 수행될 수도 있다.The main adjustment apparatus 100 transmits the lecture audio and audio data to the whole of the student terminal 122 through a broadcast channel by an operator's operation. In addition, the function of the main steel and the secondary lectur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group separation function.

그룹 분리 기능Group separation function

주조정 장치(100)는 전면 패널에서 전체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를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고 각 그룹으로 분리된 피교육자용 단말기(122)로 각기 다른 채널, 예컨대, 방송 채널 또는 교육 채널을 통하여 각기 다른 방송 신호를 전송한다. 그룹 분리된 상태에서, 주조정 장치(100)는 각각의 분리된 그룹에 대하여 각기 다른 채널, 예컨대, 방송 채널 또는 교육 채널을 통하여 각기 다른 주 강의 및 보조 강의를 위한 방송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분리된 그룹 내에서 특정 피교육자 단말기(122)와 1:1 대화를 수행한다.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divides the entire trainee terminal 122 into at least two groups on the front panel, and the trainee terminal 122 divided into each group through different channels, for example, a broadcast channel or an education channel. Different broadcast signals are transmitted. In the group-separated state, the main coordinating apparatus 100 may transmit broadcast signals for different main lectures and sub-lectures through different channels, for example, broadcast channels or training channels, for each separated group. A 1: 1 conversation with a specific trainee terminal 122 is performed within a separate group of the group.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주조정 장치와 보조 장치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5 and 6 show different embodiments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and the auxilia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주조정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예시된 주조정 장치(100)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송신부(372, 374, 376, 378) 이외에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무선 송신부(502)가 더 포함된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의 구성 요소는 도 3과 동일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보조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보조 장치(110)에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무선 수신부(410) 이외에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무선 수신부(602)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구성 요소는 동일하므로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오디오 신호를 방송 방식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디지털 데이터를 이용한 통신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디지털 신호의 특성 상 디지털 데이터가 복구 불능되어 방송이 중간 중간 끊어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방송하는 경우에는 전송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아날로그 신호의 특성 상 최소한 방송이 끊어지는 일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Another embodiment of the main adjustment device shown in FIG. 5 is an analog radio transmission unit that processes analog signals in addition to the wireless transmission units 372, 374, 376, and 378 that process digital signals in the main adjustment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 3. Except that 502 is further included, the remaining components are the same as in FIG. 3. 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auxiliary device shown in FIG. 6 further includes an analog wireless receiver 602 that processes analog signals in addition to the wireless receiver 410 that processes digital signals in the auxiliary device 110 shown in FIG. 4. Except that, the rest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5 may be usefully used in a system for transmitting an audio signal in a broadcast mann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when an error occurs in a communication process using digital data, digital data may not be recover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signal and broadcast may be interrupted midway. However, in the case of broadcasting in the form of an analog signal, even if a transmission error occurs, at least broadcast is not disconne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nalog signal.

이와 달리 도 5에서 무선 송신부들(372, 374, 376, 378) 중의 하나, 예컨대, 무선 송신부(372)가 아날로그 무선 송신부(502)로 대체되고, 도 6에서 아날로그용 무선 수신부(602)가 추가되거나 무선 수신부(410)가 아날로그용 무선 수신부(602)로 대체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in FIG. 5, one of the radio transmitters 372, 374, 376, and 378, for example, the radio transmitter 372 is replaced by the analog radio transmitter 502, and the analog radio receiver 602 is added in FIG. 6. Or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wireless receiver 410 is replaced with the analog wireless receiver 602.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주조정 장치(100)는 방송용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지 않고 직접 오디오 신호로 방송 채널에 실어 방송하고, 보조 장치(110)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변환 과정 없이 그대로 스피커(416)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 외에, 주조정 장치(100)와 보조 장치(110) 사이에서 통신되는 음성 신호와 데이터 통신은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does not convert the broadcast audio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but directly broadcasts the broadcast signal as an audio signal, and the auxiliary device 110 converts the analog broadcast signal into the speaker 416 without conversion. Will be output via In addition, voice signals and data communication communicated between the main adjusting device 100 and the auxiliary device 110 are digital.

그러므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에 의해 실시간 디지털 방송 방식이나 피코넷 또는 스캐터넷 방식에 의해 보조장치의 개수를 무한히 늘리는 것이 가능하여 확장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교육자와 피교육자 간의 일 대 다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finitely increase the number of auxiliary devices by the real-time digital broadcasting method or the piconet or scatternet method by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it is not only easy to expand, but also one-to-one between educators and educators. The advantage is that all conversations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무선 교육 시스템은 교육자와 피교육자간의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뿐아니라 피교육자들간의 통신이 가능하고, 교육자와 피교육자 간의 1:1 내지 1:3의 대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trainees as well as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rainees, and 1: 1 to 1: 3 conversation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trainees is possible.

전술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17)

무선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무선 통신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주조정 장치; 및A main adjusting device for supplying an audio signal using a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상기 주조정 장치로부터의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자용 단말기와 나머지의 피교육자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하며,And an auxiliary device having at least one educator terminal for receiv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remaining educator terminal. 상기 무선 통신용 주파수는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분할된 무선 주파수 대역 중의 하나를 통하여 방송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adio frequency bands, and the audio signal is a wireless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in a broadcast manner through one of the divided radio frequency band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대역은 제 1 내지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조정 장치에서 상기 보조 장치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방송하는 방송 채널로 사용되고, 상기 제 2 및 제 3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조정 장치의 중계에 의해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와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 간의 음성 및 데이터의 통신을 위한 교육 채널로 사용되고, 상기 제 4 주파수 대역은 상기 주조정 장치와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 간의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교육자 채널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plurality of radio frequency bands include first to fourth radio frequency bands, wherein the first frequency band is used as a broadcast channel for broadcast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main adjusting device to the auxiliary device, and the second and the second The third frequency band is used as a training channel for communication of voice and data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and the educated terminal by the relay of the main adjusting device, and the fourth frequency band is used between the main adjusting device and the educator terminal. Wireless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by being used as an educator channel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다수개의 보조 장치는 각기 식별용 ID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식별용 ID는 상기 주조정 장치에서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전송되는 상기 방송 신호가 전달될 보조 장치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Each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has an identification ID, and the identification ID designates an auxiliary device to which the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radio frequency band is transmitted from the main adjusting device. Education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주조정 장치는,The main adjustment device, 상기 다수개의 보조 장치의 동작 상태를 발광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장치의 개수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배열된 패널;A panel in which light emitting par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auxiliary devices are arranged so as to confirm an opera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as a light emitting state; 각각의 상기 보조 장치를 선택하는 조작용 키보드;An operation keyboard for selecting each of the auxiliary devices; 상기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오디오 소스;At least one audio source for supplying the audio signal; 상기 보조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보조 오디오 소스;An auxiliary audio source for supplying the auxiliary audio signal; 상기 오디오 소스 또는 상기 보조 오디오 소스에서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 또는 보조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절환 회로;An audio switching circuit for selectively switching and out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xiliary audio signal supplied from the audio source or the auxiliary audio source; 상기 오디오 절환 회로에 의해 출력된 오디오 신호 또는 보조 오디오 신호를 무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선택된 상기 보조 장치로 전송하거나 상기 보조 장치로부터 전송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무선 송수신부;A wireless transceiver for converting an audio signal or an auxiliary audio signal output by the audio switching circuit to a wireless digital signal to transmit to the selected auxiliary device via an antenna or to convert the voice and data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auxiliary device into an analog signal ; 상기 오디오 절환 회로의 절환 동작을 제어하는 주조정 장치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And a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audio switching circuit.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보조 장치는,The auxiliary device, 상기 피교육자 또는 상기 교육자로부터 발생된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마이크;A microphone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trainee or the educator; 상기 주조정 장치로부터 전송된 오디오 신호 또는 보조 오디오 신호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 신호를 무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주조정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for receiving an audio signal or an auxiliary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through an antenna and converting it into an analog signal or converting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into a wireless digital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nverted audio signal to the main control device;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Wireless education system comprising a speaker for outputting an analog signal provided from the wireless transceive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주조정 장치는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를 발광 상태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의 개수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배열된 패널과, 각각의 피교육자용 단말기를 선택하는 조작용 키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main adjus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panel on which light emitting units are arrang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terminal for students to be trained so as to confirm the operation state of the terminal for students, and an operation keyboard for selecting each terminal for students. Wireless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는 상기 제 2 및 제 3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와 음성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를 호출하는 호출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And the learner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call switch for calling the educator terminal to perform voice communication with the educator terminal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radio frequency bands.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주조정 장치는,The main adjustment device,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에서 호출된 신호를 상기 제4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제4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 2 무선 주파수 대역 및/또는 제 3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음성 신호를 상기 제4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로 제공하여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교육자용 단말기 사이에서 상기 음성 및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대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Providing a signal called from the terminal for the educator to the educator terminal through the fourth radio frequency band, and receiving a voice signal received from the educator terminal through the fourth radio frequency band; And / or provide to the student terminal through a third radio frequency band, and provide a voice signal generated from the student terminal through the fourth radio frequency band to the student terminal through the fourth radio frequency band. And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allowing the voice and data signals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more than one trainee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주조정 장치는,The main adjustment device,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와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피교육자용 단말기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상기 음성 및 데이터 신호가 상기 방송 채널을 통하여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에게 방송되도록 하는 모델 보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And a model voice function for causing the voice and data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educator terminal and the one or more educator terminals to be broadcast to the educator terminal through the broadcast channel.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주조정 장치는,The main adjustment device, 상기 제 4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음성 및 데이터 신호가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에서 수신되도록 하는 모니터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And a monitor function for receiving voice and data signals generated from the trainee terminal through the fourth radio frequency band.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주조정 장치는,The main adjustment device, 상기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상기 교육자용 단말기에서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로 교육자의 강의용 음성 및 데이터 신호가 방송되도록 하는 강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And a lecture function for allowing a lecturer's lecture voice and data signals to be broadcast from the terminal for educators to the terminal for learners through the first radio frequency band.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상기 주조정 장치는,The main adjustment device, 상기 키보드에 의해 선택하여 피교육자용 단말기의 전체를 적어도 두 개의 그룹으로 분리하고, 각 그룹으로 분리된 상기 피교육자용 단말기로 각기 제 1 무선 주파수 대역 또는 제 2 및/또는 제 3 무선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각기 다른 방송 신호를 전송하는 그룹 분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entire terminal for the trainee terminal is selected by the keyboard and divided into at least two groups, and each of the trainee terminals separated into each group is provided through the first radio frequency band or the second and / or third radio frequency band, respectively. And a group separation function for transmitting another broadcas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교육 시스템은 상기 주조정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서 상기 다수개의 보조 장치를 슬레이브 장치들의 집합으로 제어하는 피코넷(piconet)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is a wireless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control device is configured as a master device in the form of a piconet (piconet) to control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as a set of slave devic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무선 교육 시스템은 상기 주조정 장치가 마스터 장치로서 상기 다수개의 보조 장치를 슬레이브 장치들의 집합으로 제어하고, 상기 다수개의 보조 장치 중의 어느 하나가 마스터 장치로서 그 나머지의 보조 장치를 서브 슬레이브 장치들의 집합으로 제어하는 스캐터넷(scatternet)의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In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the main coordinating device controls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as a master device as a set of slave devices, and any one of 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is a master device and the other auxiliary device as a master device set. Wireless educat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catternet (scatternet) to contro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주조정 장치는 오디오 신호 또는 보조 오디오 신호를 원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다수개의 상기 보조 장치로 방송되도록 하는 아날로그 무선 송신기를 더 포함하며,The main adjust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analog radio transmitter for broadcasting an audio signal or an auxiliary audio signal to a plurality of the auxiliary devices in the form of an original analog signal, 다수개의 상기 보조 장치는 상기 주조정 장치로부터 방송된 상기 오디오 신호 및 보조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무선 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plurality of auxiliary devices further comprises an analog wireless receiver for processing the audio signal and the auxiliary audio signal broadcast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무선 교육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wireless education system, 무선 통신용 주파수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공급하는 주조정 장치; 및A main adjusting device for supplying an audio signal using a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상기 주조정 장치로부터의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교육자용 단말기와 나머지의 피교육자용 단말기를 구비하는 보조 장치를 포함하며,And an auxiliary device having at least one educator terminal for receiv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device and the remaining educator terminal. 상기 무선 통신용 주파수는 복수개의 무선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는 상기 분할된 무선 주파수 대역 중의 하나를 통하여 시분할 방식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frequency for wireless communica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adio frequency bands, and the audio signal is transmitted in one of the divided radio frequency bands in a time division scheme. 제 16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시분할 방식은 블루투스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교육 시스템.The time division scheme is a wireless train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uetooth scheme.
KR10-2003-0025416A 2003-04-22 2003-04-22 Wireless education system KR1004586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416A KR100458622B1 (en) 2003-04-22 2003-04-22 Wireless edu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5416A KR100458622B1 (en) 2003-04-22 2003-04-22 Wireless edu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215A true KR20040093215A (en) 2004-11-05
KR100458622B1 KR100458622B1 (en) 2004-12-03

Family

ID=37373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5416A KR100458622B1 (en) 2003-04-22 2003-04-22 Wireless edu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62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81B1 (en) * 2014-02-28 2014-07-16 (주)동연시스템 Two-way digital radio group broadcast system
KR20220100454A (en) * 2021-01-08 2022-07-15 윈텍정보(주) System having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with built-in earphone jack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81B1 (en) * 2014-02-28 2014-07-16 (주)동연시스템 Two-way digital radio group broadcast system
KR20220100454A (en) * 2021-01-08 2022-07-15 윈텍정보(주) System having portable wireless transmitter and receiver with built-in earphone j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8622B1 (en) 200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52943B (en) Wireless audio sharing
CN101689876A (en) Point-to-point ANTENN AUDIO transmission
US10250751B2 (en) Mobile conference system
CN111294777A (e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method of Bluetooth audio transmitter
WO2005064813A1 (en) Integrated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bluetooth
CN105917670A (en) Wireless stereo hearing assistance system
US9185479B2 (en) Microphone module and microphone system having the microphone module
KR100458622B1 (en) Wireless education system
JP6861861B1 (en) Vo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08136072A (en) Hearing aid system, hearing aid and computer program
CN101945315A (en) Portable sound control system and sound control device thereof
KR101001329B1 (en) Dual headset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4539570B2 (en) Voice response system
RU2658652C1 (en) System of two-way station fleet communication
CN201440322U (en) Portable voice-control system and voice-control device thereof
KR100845098B1 (en) Multilateral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474410B1 (en) Apparatus for dividing communication-line in learning system
KR200291337Y1 (en) A device for wireless mike using the bluetooth
CN111628796B (en) Shoulder miaow of integrated intercom communication and pilot frequency relay function
JP5007357B2 (en) Simultaneous interpretation system using two-way audio data communication based on 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N107438216B (en) Radio system and method for person with ear disorder
JP4011504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0199178Y1 (en) Multi-channel wireless transmitter / receiver language exerciser with cassette recorder, DVD and radio
JP3951570B2 (en) Sound wireless transmission system
KR200194803Y1 (en) Wireless head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