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739A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739A
KR20040090739A KR1020030024667A KR20030024667A KR20040090739A KR 20040090739 A KR20040090739 A KR 20040090739A KR 1020030024667 A KR1020030024667 A KR 1020030024667A KR 20030024667 A KR20030024667 A KR 20030024667A KR 20040090739 A KR20040090739 A KR 20040090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struction
geological
rock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운상
Original Assignee
(주)넥스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넥스지오 filed Critical (주)넥스지오
Priority to KR1020030024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0739A/ko
Publication of KR20040090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73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9/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V1/00 - G01V8/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o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쉽게 이동이 가능한 정보처리장치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막장의 다양한 지질·암반정보를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직접 입력,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현장 막장 상태에 적합한 시공안의 설계를 자동화하여 통합적인 터널 시공 및 안전 관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된 모바일기기에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터널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단계에서 모바일기기에 입력된 정보를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되어있는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장의 정보처리장치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시공 중 지질·암반 또는 설계 정보의 갱신, 및 현장설계안을 결정하는 현장설계단계; 및 현장설계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및 공사 관련 기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공사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기기를 통한 정보의 현장입력과 현장처리로 업무의 자동화가 가능하며, 실시간 분석처리로 현장 대처 능력이 제고되고, 통합적인 터널 시공 및 안전 관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A method of automated design and geological&rock data management for working face during tunneling using mobile apparatus.}
본 발명은 손쉽게 이동이 가능한 정보처리장치인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터널 막장 지질·암반정보의 입력에 있어서 기존의 현장 수첩이나 종이 대장 또는 메모지가 아닌 모바일기기를 이용하며, 기존의 물리적인 양으로 표시되는 암반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지질 공간 정보 등을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직접 입력, 처리, 및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합적인 시공 및 터널 안전 관리를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널을 설계함에 있어서 터널 굴착 심도에서의 지질정보를 완전히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지표조사 또는 시추조사 등에서 얻어진 대략적인 정보에 의해 지질 상태를 예측하여 터널을 설계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시공 도중 설계 전에 예측하지 못했던 지질 상태의 출현은 터널 시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상황이며, 적절하고 신속한 현장 대응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 터널 막장의 붕괴 및 낙반 등으로 막대한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가져온다.
이와 같이 터널 시공 현장에서 터널 막장의 지질 상태에 대한 신속한 현장 대응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경우 이에 대한 객관적 정보의 제공이 미흡한 상태에서 전적으로 현장기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라 지지보강재의 종류, 간격 및 두께에 대한 변화를 주는 시공 중 현장설계가 이루어지거나, 이에 대한 정보 관리 및 분석이 사실상 방기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시공 중 막장 지질·암반 정보의 확보 및 관리의 부적절함은 시공 완료 후 터널의 효과적인 유지 관리에 있어서도 커다란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제2002-288180호 및 제2002-227582호;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와 같이 현장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종합하려는 노력이 시도되었으나 막장 정보의 수집이 기존의 방법을 벗어나지 못함으로 인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실시간 현장 분석이 불가능하고 시공중의 현장 설계는 여전히 현장기술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한 막장 상태에 대한 실시간 정보 입력 및 처리가 수행되지 않아 현장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해결하는데 막장 정보가 사용되기보다는 문제 발생 이후의 후속 조치 또는 단순 정보 관리 차원에 머무르고 있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선행기술은 물리적인 양으로 표시되는 암반의 압축강도, 풍화정도, 불연속면의 상태·간격 및 방향, 지하수의 수량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데 그쳐, 지질학적인 공간분포특성 등 주요 지질 자료들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암석이 단순매질로 가정되었기 때문에 암석 및 지질 구조의 분포에 따른 암석의 이방성 또는 불균질성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 터널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있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상기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지질정보를 포함한 막장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 현장설계단계, 및 공사관리단계로 이루어진 발명을 구성하는 경우, 터널시공 중 실시간에 객관적인 현장설계가 가능해졌으며 터널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지질·암반정보를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직접 입력, 처리, 및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합적인 시공 및 터널 안전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에서 각각의 단계별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간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지질·암반정보 중 터널 막장면에서 관찰되는 지질분포의 특성 중에서 분포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된 모바일기기(100)에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터널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단계에서 모바일기기(100)에 입력된 정보를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되어있는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시공 중 지질·암반 또는 설계 정보의 갱신, 및 시공 중 현장설계안을 결정하는 현장설계단계; 및 현장설계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100) 및 공사 관련 기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공사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100)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된 모바일기기(100)에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터널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단계에서 모바일기기(100)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되어있는 상기 모바일기기(100)를 이용하여 시공 중 지질·암반 또는 설계 정보의 갱신 및 현장설계안을 결정하고, 모바일기기(100)에 입력된 정보 및 현장설계안을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되어있는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현장설계단계; 및 현장설계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100) 및 공사 관련 기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공사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100)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계에 있어서 막장의 지질·암반정보에는, 막장면의 지질정보, 불연속면 정보, 또는 단층대의 정보 중에서 하나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계에 있어서 터널계측정보에는, 내공변위, 지중변위, 또는 천단침하 정보 중에서 하나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현장설계단계에 있어서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축하는 것에는, GIS 데이타베이스구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공사관리단계에 있어서 공사관련기관의 정보처리장치에는, 공사감독기관의 정보처리장치(301), 감리기관의 정보처리장치(302), 또는 시공기관의 정보처리장치(303)중에서 하나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인 모바일기기(100)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을 단계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터널시공 중 막장의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이동이 가능한 모바일기기(100)인 노트북컴퓨터나 PDA등에 막장의 위치정보와 함께 직접 입력한다.
이때 막장의 위치정보는 기존의 설계도에서 막장이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의미한다.
기존의 설계정보에는 터널의 형상, 터널의 내공,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터널의 굴착방법에 대한 기준, 및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지지보강재의 종류·두께및 방법에 대한 기준을 포함한다.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터널의 굴착방법에 대한 기준, 및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지지보강재의 종류·두께 및 방법에 대한 기준은 건설교통부, 지하철공사, 수자원공사, 고속철도관리공단 등의 기관에서 제시한 표준시방서를 참고하여 시공 전에 결정된다.
본 발명의 상기 현장설계단계에서의 작업은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와 모바일기기(100)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는 컴퓨터의 서버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기존의 설계정보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태에서 모바일기기(100)를 통해 현장에서 입력된 정보를 전달받는다.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는 모바일기기(100)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터널이 진행함에 따라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의 3차원적인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현장설계안을 최종 결정한 후에는 시공 중 지질·암반 또는 설계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또한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는 모바일기기에서 전달받은 정보와 기존의 설계정보상의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터널의 굴착방법에 대한 기준 및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지지보강재의 종류·두께·설치 위치 및 방법에 대한 기준을 상호비교하여 터널 현장의 해당 구간의 지질·암반상태에 해당하는 상기 기준들을 선택하여 현장설계안을 최종 결정한다.
이때 현장 여건에 따라 기존의 지질·암반 또는 설계정보의 갱신 및 현장설계작업을 모바일기기(100)에서 직접 처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는 기존의 설계정보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태에서 모바일기기(100)를 통해 현장에서 입력된 정보 및 모바일기기(100)를 이용해 처리된 1차 또는 최종 현장설계안을 전달받아 터널이 진행함에 따라 지질·암반정보의 3차원적인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의 공사관리단계에서는 현장설계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모바일기기 및 공사 관련 기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한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는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에 의한 현장설계의 결과로 터널의 굴착방법, 지지보강재인 록볼트(Rock Bolt)의 수량·종류·길이, 설치 위치, 지지보강재인 숏크리트의 분사횟수 및 두께, 지지보강재인 강지보의 종류, 형태 및 설치 간격, 지지보강재인 콘크리트라이닝의 두께, 제반 보조 지지보강공사의 시행 여부, 방수재인 방수포의 설치유무 등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공사관리기관에서는 시공진행현황을 파악하고, 공사관리에 필요한 제도면 및 3차원지질·암반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계에 있어서 막장의 지질·암반정보에는, 막장면의 지질정보, 불연속면정보, 또는 단층대의 정보 중에서 하나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1은 입력단계에서 고려되는 지질·암반 정보를 나타낸다.
입력지질·암반정보의 내용
지질분포의 특성 암석종류 퇴적암 이암, 사암, 역암 등
화성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휘록암, 반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등
변성암 편암, 편마암, 대리암, 규암 등
풍화상태 신선, 약간풍화, 중간풍화, 극심한 풍화, 완전풍화
분포상태 암석종류 또는 풍화상태의 차이를 가지는 지질이 굴착막장면에 분포하는 상태
특기사항 석회공동 등
불연속면의 특성 1차 지질구조 종류 퇴적암 층리
화성암 유동구조, 유상구조
변성암 엽리
방향 주향, 경사
상태 분포간격 등
절리 방향 주향, 경사
상태 빈도, 간격, 연장성, 충전물 등
단층대의 특성 방향 주향, 경사
단층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
단층물질 단층점토, 단층각력 등
발달위치 단층대가 굴착면에 발달하는 위치
막장면의 지질분포의 특성은 굴착과 동시에 막장의 지질상태를 파악하여 분포암석종류, 풍화상태, 분포상태 및 기타 특기사항을 측정, 입력한다.
지질학적 구분에 의한 분포 암석종류 구분에는 대분류로 퇴적암, 화성암 및 변성암이 있으며, 그 각각은 다시 세분하여 퇴적암에는 이암, 사암, 역암 등이 있으며, 화성암에는 현무암, 안산암, 유문암, 휘록암, 반암, 반려암, 섬록암, 화강암 등이 있고, 변성암에는 편암, 편마암, 대리암, 규암 등이 있다.
암석의 풍화 상태는 풍화정도에 따라 신선, 약간 풍화, 중간 풍화, 극심한 풍화, 완전 풍화 등으로 구분한다.
지질의 분포 상태는 암석종류 또는 풍화상태의 차이를 가지는 지질이 굴착 막장면에 분포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그밖에 특기 사항으로는 석회암 등 용해성 암석에서 발달할 수 있는 석회 공동 등의 유무 및 특성을 포함한다.
불연속면의 특성은 1차 지질구조 및 절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1차 지질구조에는 퇴적암에서의 층리, 화성암에서의 유동구조와 유상구조, 그리고 변성암에서의 엽리가 있으며 각각의 주향, 경사 및 분포간격 등을 측정하여 암석 매질의 이방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절리의 정보는 절리의 주향과 경사를 측정하여 주절리의 조합군의 수 및 방향성을 평사투영해석(3차원방향 성분을 갖는 절리의 정보를 2차원으로 표시하는 방법으로 3차원 면구조는 평사투영망 상의 대원의 호로 표시되고, 선구조는 투영망의 한 점으로 표시된다.) 또는 로즈다이어그램(절리의 주향에 대한 대략적인 분포를 알기 위한 방법으로 절리의 빈도를 각각의 절리의 주향에 따라 도시한 그래프를 말한다.)을 통해 구하고 또한 절리의 간격과 연장성에 대한 정보를 별도로 구한다.
단층대의 특성은 단층대의 방향, 단층대의 폭, 단층물질의 종류, 발달 위치 등을 측정한다.
단층대의 폭은 단층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측정하며, 단층물질의 종류는 단층점토나 각력(마모가 거의 되지 않아 예리한 모서리를 가지는 자갈.)등이 있으며 단층물질의 종류에 따라 전단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단층대의 발달 위치는 해당 막장면에서 단층대가 발달하고 있는 위치를 측정하여 기록하며, 단층대의 발달 위치에 따라 터널 붕괴의 유형 및 규모와 위험성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단층대는 터널의 안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단층의 방향과 터널의 진행방향의 관계에 따라 현장설계에 차이가 생기며, 단층의 방향과 터널의 진행방향이 유사할수록 터널의 지지보강재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계에 있어서 터널계측정보는 지지보강재를 씌우기 이전에 터널굴착과정에서 막장 및 터널 벽에서의 내공변위, 지중변위, 또는 천단침하를 측정하게 되며 이중 하나이상의 정보가 터널계측정보로서 모바일기기(100)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현장설계단계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는 모바일기기(100)를 이용하여 수집한 현장의 지질정보에 측정장소의 위치정보를 조합하여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를 통해 GIS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장 설계는 모바일기기(100)와 현장 정보처리장치(200)와의 양방향 교류 또는 모바일기기(100) 단독에 의해 행해진다.
본 발명의 상기 공사관리단계에 있어서 공사관련기관의 정보처리장치에는 공사감독기관의 정보처리장치(301), 감리기관의 정보처리장치(302), 또는 시공기관의 정보처리장치(303)중에서 하나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을 통해 터널 굴착 현장의 모바일기기(100), 터널 건설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 공사 관련 기관의 정보처리장치를 통합하여 실시간으로 막장관리, 현장설계 및 정보관리가 가능한 방법을 구축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가 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입력단계에서는 터널시공 중 막장의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모바일기기(100)인 PDA에 막장의 위치정보와 함께 직접 입력한다.
이때 막장의 위치정보는 터널입구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존의 설계도에서 막장이 어느 위치에 있는가를 간접적으로 결정한다.
기존의 설계정보에는 터널의 형상, 터널의 내공,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터널의 굴착방법에 대한 기준, 및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지지보강재의 종류·두께 및 방법에 대한 기준을 포함한다.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터널의 굴착방법에 대한 기준, 및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지지보강재의 종류·두께 및 방법에 대한 기준은 건설교통부, 지하철공사, 수자원공사, 고속철도관리공단 등의 기관에서 제시한 표준시방서에 제시된 자료를 참고한다.
상기 기준들을 정함에 있어서 시공 전에 미리 표준시방서의 자료를 현장의 정보처리장치(200)인 현장의 컴퓨터서버에 모두 입력하여 지질·암반상태에 대한 표준인 RMR수치에 따라 각각 0~20, 20~40, 40~60, 60~80, 80~100으로 5개의 영역으로 나눈 후 각각의 영역에서 표준시방서의 자료상의 평균치들을 계산하여 그 결과에 따라 각각 대입한 5개의 현장설계기준을 설정한다.
이때 현장의 암반·지질상황에 따른 RMR수치의 가감표를 작성하여 현장기준에 포함시킨 후에 입력한다.(예를 들어 1차지질구조로 층리가 있는 경우 층리의 방향과 터널의 진행방향이 일치하는 경우 RMR수치를 10빼주고, 반대로 층리의 방향과 터널의 진행방향이 직교하는 경우 RMR수치를 10더해준다. 이 가감표에 고려되는 사항은 암종, 분포상태, 석회공동의 유무, 1차지질구조, 단층대의 방향·폭 및 단층물질의 종류 등이 있다.)
또한 돌발상황에 대한 대응책의 기준을 별도로 포함시킨다.(예를 들어 wedge block이 있는 경우 낙반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지지보강재의 즉각적인 설치 또는 지지보강재인 록볼트(Rock Bolt)의 설치방향에 대한 기준 등이 있다.)
상기 기준들은 기존의 설계자료에 합하여 현장의 컴퓨터서버 및 PDA에 시공 전에 입력한다.
본 발명의 상기 현장설계단계에서의 작업은 현장의 컴퓨터서버와 PDA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현장의 컴퓨터서버에 기존의 설계정보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상태에서 PDA를 통해 현장에서 입력된 정보를 무선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달받는다.
현장의 컴퓨터서버는 PDA에서 전달받은 정보를 토대로 터널이 진행함에 따라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의 3차원적인 정보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현장설계안을 최종 결정한 후에는 시공 중 각각의 위치에서의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의 굴착방법, 지지보강재의 종류·두께 및 방법을 갱신하게 된다.
이때 현장의 컴퓨터서버는 PDA에서 전달받은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토대로 현장의 상태에 대한 자세한 상황으로 암반block의 크기 및 종류(block이 wedge block 인지 key block인지여부.), 단층면과 터널의 진행방향과의 관계, 1차지질구조에 의한 지질·암반의 이방성과 터널의 진행방향과의 관계 등의 자료를 산출하여 지질·암반정보의 일부로 포함시킨다.
이후 현장의 컴퓨터서버는 기존의 설계정보상의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터널의 굴착방법에 대한 기준 및 지질·암반상태에 따른 지지보강재의 종류·두께 및방법에 대한 기준을 상호비교하여 터널 현장의 해당 구간의 지질·암반상태가 기존의 설계정보에서 제시한 5가지 기준 중에서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및 상기 기준 중에서 돌발사항에 해당하는가를 판단하여 현장설계안을 최종 결정한다.
본 발명의 상기의 공사관리단계에서는 현장설계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PDA에 무선통신망을 이용하여 전송하고, 공사 관련 기관의 컴퓨터서버로 유선통신망을 이용하며 전송한다.
따라서 시공현장에서는 현장의 컴퓨터서버에 의한 현장설계안의 결과로 기존의 설계정보상의 5가지 기준 중에 당해 구간에 해당하는 기준에 따라 터널의 굴착방법, 지지보강재인 록볼트(Rock Bolt)의 수량·종류·길이·설치 위치, 지지보강재인 숏크리트의 분사횟수 및 두께, 지지보강재인 강지보의 종류, 형태 및 간격, 지지보강재인 콘크리트라이닝의 두께, 보조 지지보강공사의 시행 여부, 방수재인 방수포의 설치 유무 등을 결정하게 된다.
또한 공사관리기관에서는 시공진행현황을 파악하고, 공사관리에 필요한 제 도면 및 3차원지질·암반정보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기기를 통한 정보의 현장입력과 현장처리로 업무의 자동화가 가능하며, 실시간 분석처리로 현장 대처 능력이 제고되고, 업무의 효율성이 증가되며, 비용 면에서도 공기단축 및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현장설계에 있어서 기존의 기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던 부분을 미리 입력된 정보를 통해서 현장의 정보처리장치 등에 의해 객관적으로 결정되므로 부실시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암석종류의 분포나 1차지질구조 같은 지질정보를 통해 고가의 암석재료실험이 없이도 암석의 이방성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 터널의 안정성을 향상시켰다.
마지막으로 터널의 정보를 3차원 데이터베이스화 및 GIS데이터베이스화하여 통합적인 시공 및 터널안전관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6)

  1.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된 모바일기기에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터널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단계에서 모바일기기에 입력된 정보를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되어있는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시공 중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시공 중 지질·암반 또는 설계 정보의 갱신, 및 시공 중 현장설계안을 결정하는 현장설계단계; 및
    현장설계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및 공사 관련 기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공사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
  2.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된 모바일기기에 막장의 위치정보, 지질·암반정보 및 터널계측정보를 터널 굴착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입력하는 입력단계;
    입력단계에서 모바일기기에 입력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시공 중 지질·암반 또는 설계 정보의 갱신 및 현장설계안을 결정한 후, 모바일기기에 입력된 정보 및 현장설계안을 기존의 설계정보가 입력되어있는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현장설계단계; 및
    현장설계단계에서 얻어진 결과를 상기 모바일기기 및 공사 관련 기관의 정보처리장치로 전송하는 공사관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입력단계에 있어서 막장의 지질·암반정보에는
    막장 면의 지질정보, 불연속면 정보, 또는 단층대의 정보 중에서 하나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실시간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입력단계에 있어서 터널계측정보에는
    내공변위, 지중변위, 또는 천단침하 정보 중에서 하나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현장설계단계에 있어서 현장의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의 구축하는 것에는
    GIS 데이타베이스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공사관리단계에 있어서 공사관련기관의 정보처리장치에는
    공사감독기관의 정보처리장치, 감리기관의 정보처리장치, 또는 시공기관의 정보처리장치중에서 하나이상의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 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 지질·암반정보 관리방법.
KR1020030024667A 2003-04-18 2003-04-18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 KR20040090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67A KR20040090739A (ko) 2003-04-18 2003-04-18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667A KR20040090739A (ko) 2003-04-18 2003-04-18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739A true KR20040090739A (ko) 2004-10-27

Family

ID=37371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667A KR20040090739A (ko) 2003-04-18 2003-04-18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07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6489A (zh) * 2017-06-08 2017-10-17 曹孝忠 石材物联网手持机系统及其管理方法
KR101865684B1 (ko) * 2017-02-28 2018-06-08 (주) 한길아이티 터널 설계 자동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5684B1 (ko) * 2017-02-28 2018-06-08 (주) 한길아이티 터널 설계 자동화 장치
CN107256489A (zh) * 2017-06-08 2017-10-17 曹孝忠 石材物联网手持机系统及其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576265A (zh) 一种盾构下穿老旧村庄沉降控制方法
KR20180056085A (ko) 터널 설계 및 유지관리 정보 자동화 관리방법
Ma et al. Displacement characteristics for a “π” shaped double cross-duct excavated by cross diaphragm (CRD) method
Li et al. The influence of the heterogeneity of rock mass for surrounding rock stability evaluation of a tunnel
Korff Deformations and damage to buildings adjacent to deep excavations in soft soils
Hewitt et al. Dealing with the challenges of ground response on deep urban excavations adjacent to underground transport infrastructure in Australia
Xu et al. Construction of 8.0-m diameter rock-socketed piles in a large-scale deep excavation
Wone et al. Rock tunnelling challenges in Manhattan
Spyridis et al.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innovative support system for shallow urban subway caverns in rock, in confined built environment
KR20040090739A (ko)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터널 시공중 자동화 설계 및 막장지질·암반정보관리방법.
CN109680678A (zh) 地下连续墙遇旧支护结构低扰动成槽施工方法
Volden Engineering geological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Drill & Split in tunnels at the Follo line project
Torp-Petersen et al. Geotechnical investigation and assessment of potential building damage arising from ground movements: CrossRail
Ghorbani et al. Geodetic accuracy in observational construction of an excavation stabilized by top-down method: a case study
Deng et al. A field investigation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tructure cracks in the Chengchao Iron Mine, China
Ma et al. Assessment and Control of Construction Risk for a Super-Sized Quasi-Rectangular Pipe-Jacking Tunnel Adjacently to High-Speed Railways: A Case Study
Wongkaew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Downtown Bellevue Tunnel
Zhang et al. Technical risk management of Line 16 Lot 1 in the Grand Paris Express project
Shen et al. Use of monitoring data during construction to refine cavern design
Bektašević et al. Analysis of the groundwater influence on the categorization of the rock mass and support type of the Zenica tunnel on the route of the VC corridor
Kou et al. Research on the dismantling of double-arch tunnel after long-term service—the case study of Huangmeishan Tunnel demolition project
Nye et al. Shotcrete application on the Boggo Road Busway driven tunnel
DA FONSECA et al. Project an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tations and tunnels (TBM and NATM) in heterogeneous masses for Metro do Porto
Yang et al. Risk assessment of shield tunnel collapse accident based on fuzzy analytic hierarchy process
Nadu Study on Field/Site Investigation Work during Build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