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0221A -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0221A
KR20040090221A KR1020030024171A KR20030024171A KR20040090221A KR 20040090221 A KR20040090221 A KR 20040090221A KR 1020030024171 A KR1020030024171 A KR 1020030024171A KR 20030024171 A KR20030024171 A KR 20030024171A KR 20040090221 A KR20040090221 A KR 200400902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proxy
connection module
message
pub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4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291B1 (ko
Inventor
윤현식
육현규
고영구
정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4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2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90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0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2Means for mounting 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1/244Means for mounting lam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로의 기기들을 상호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 개의 네트워크간에 연동이 가능하도록 각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관리하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Public IP가 요구되면 인증과정을 통해 해당 IP주소를 제공하는 바인딩 서버,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접근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여 접근을 시도하는 제 1 연결 모듈, 및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 1 연결 모듈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 2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로의 기기들을 상호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NETWORK SYSTEM FOR SUPPORTING NETWORK CONNE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는 네임 서버와 네임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내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복수 개의 네트워크들을 연결시켜 네트워크간에 서로의 기기들을 상호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홈 네트워크는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이하, IP라 칭함) 기반의 사설 망(Private network)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형태의 개인 컴퓨터(PC)와 지능형 제품, 무선 장치 등의 다양한 기기들을 미들웨어(middleware)라 불리우는 공통의 가상 컴퓨팅 환경을 통해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것이다.
미들웨어란 다양한 디지털 기기들을 피어-투-피어(Peer-to-Peer) 방식으로 연결하여 기기들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HAVI(Home AV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Control Device), Jini(Java Intelligent Network Infra-structure), HWW(Home Wide Web)등이 현재까지 제안되어 있다.
이 중 UPnP 미들웨어를 통해 구축되는 컴퓨팅 환경에서 각 기기들은 동적 호스트 구성 규약(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이하, DHCP라 칭함)에 따라 서버로부터 할당받거나 자동 IP 지정 기능(Auto IP)에 의해 선택되는 주소를 할당받고, 이를 통해 각 기기들간의 통신 및 네트워크 상에서의 검색/조회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각 기기들은 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이하, SSDP라 칭함)와 같은 프로토콜을 통해 검색되고, 검색된 기기는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이하, SOAP라 칭함)을 통해 호출되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동작제어 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홈 네트워크 기기간 제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IP 기반의 홈 네트워크(10)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 기기인 홈 네트워크 기기(Controlled Device : 이하, 피제어 디바이스라 칭함)와, 이들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기기인 제어 포인트(Control Point : 이하, 제어 디바이스라 칭함)로 구성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상의 제어 디바이스 및 피제어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연결모듈을 통해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다.
피제어 디바이스는 여러 임베디드 기기(embedded device)를 가질 수 있으며, 각 기기는 자신의 기능에 맞추어 특정 서비스를 구현한다. 제어 디바이스는 특정기기의 서비스를 설명해 놓은 XML파일을 분석하여 어떤 명령을 줄 수 있는가를 파악하게 된다.
도 2의 a 내지 d는 종래의 홈 네트워크의 기기간 제어 과정에서 각 단계별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현재 홈 네트워크에서의 기기간 제어 과정은 디스커버리-에드버타이즈먼트 단계(discovery-advertisement)과정, 디스크립션(Description)과정, 제어(Control) 과정 및 이벤팅(eventing)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2의 a는 discovery-advertisement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 과정은 크게 새로운 피제어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advertising 과정과, 새로운 제어 디바이스가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홈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피제어 디바이스들을 검색(search)하는 discovery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advertising 과정에서 네트워크 상에 새로 연결되는 피제어 디바이스는 어드레싱(addressing) 과정에 따라 검색 프로토콜인 DHCP 혹은 Auto IP 기술을 통해 새로 추가된 CD는 소정의 IP 주소를 할당받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의 피제어 및 제어 디바이스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advertising 메시지를 멀티캐스트(Multicast)하여 자신의 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알린다.
또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한 제어 디바이스에서는 멀티캐스트로 제공되는 advertising 메시지를 받아 제어 대상으로 등록한다.
반대로, discovery 과정에서 네트워크 사이에 새로 연결되는 제어 디바이스는addressing 과정에 따라 검색 프로토콜인 DHCP 혹은 Auto IP 기술을 통해 새로 추가된 CP는 소정의 IP 주소를 할당받고, 이를 통해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피제어 디바이스들을 확인하기 위해 검색프로토콜인 SSDP 기술에 따라 서치 (search)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다.
또한,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search 메시지를 수신하는 피제어 디바이스에서는 수신된 search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디바이스에게 응답메시지(response)를 유니캐스트(unicast)한다.
도 2의 b는 description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 과정은 제어 디바이스가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해 discovery-advertisment 과정에서 얻어지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통해 서비스 디스크립션 (service descriptio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파일 또는 디바이스 디스크립션(device description) XML 파일을 확인하여 새로 추가된 디바이스의 기능을 보다 상세히 파악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고자 하는 제어 디바이스가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service description XML 파일 또는 device description XML 파일을 요청하고,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요청된 description XML 파일(UPnP description for device, UPnP description for service)을 제공받아 파싱(Parsing)한다.
도 2의 c는 control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 과정은 제어 디바이스가 피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UPnP device architecture에 따라 SOAP를 이용해 소정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제어 메시지(actionrequest)를 해당 피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 메시지(result, variable value)를 수신한다.
이러한 제어 및 응답 메시지는 addressing 및 discovery-advertisement 과정에서 얻어지는 피제어 디바이스의 IP 주소를 이용해 송/수신되고, SOAP를 사용하여 XML로 표현된다.
도 2의 d는 eventing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 과정은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명령에 의해 소정의 서비스를 제공한 피제어 디바이스의 정보변경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제어 디바이스에서 피제어 디바이스의 정보변경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서브스크립션을 요청하는 메시지(subscription request)를 피제어 디바이스에 전송하면, 피제어 디바이스에서는 변경된 정보를 알리기 위해 GENA(Generic Event Notification Architecture)를 통해 포맷된 XML 형태의 이벤트 메시지(event message)를 송신한다.
제어 메시지에서는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메시지를 수신하여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description 업데이트 항목으로 처리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홈 네트워크의 기기간 제어 과정은 SSDP를 이용한 피제어 디바이스 검색 결과 얻어지는 IP 정보를 이용해 피제어 디바이스를 제어하게 되기 때문에, IP 기반의 단일 private network 매커니즘을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었다.
즉, 외부에서는 네트워크 내에서 DHCP 혹은 Auto IP 기술에 따라 유동적으로할당되는 IP를 사용하는 기기의 현재 IP 주소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접근이 불가능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홈 네트워크 내의 기기에 대한 작동 여부 등의 상태를 확인하는 서비스에 국한될 뿐이었다.
즉, 외부에서 특정 기기를 집 안의 기기와 서로 자동으로 연결하고 서로가 원하는 서비스를 주고 받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는 매커니즘은 없는 상태이다.
일 예로, 사용자가 친구네 집에 있는 PDA로 내 집에 있는 PC의 컨텐츠에 접근하여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PDA가 내 집의 홈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내 집의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따라서, 집 밖의 기기가 내 집 안의 기기들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하고 메시지 요청을 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등의 부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로의 기기들을 상호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단일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홈 네트워크 매커니즘을 개선하여 상호 기기 제어가 가능한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단일 홈 네트워크 기기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 내지 d는 종래의 홈 네트워크의 기기간 제어 과정에서 각 단계별 동작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의 바인딩 서버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3의 네트워크 연결 모듈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의 프록시 관리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의 경로 디렉토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5의 기기 관리 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등록 및 바인딩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notify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search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escription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control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eventing과정을 개락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device-to-home 처리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바인딩 서버
110 : 바인딩 프로토콜 수신 수단 130 :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
150 : 인증 처리 수단 170 : 보안 처리 수단
190 : 바인딩 처리결과 전송 수단
300 : 제1 연결 모듈
310 : 프로토콜 처리 수단 320 :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
330 : 인증 관리 수단 340 : 보안 관리 수단
350 : 프록시 관리 수단
351 : Device/Service Proxy 352 : 경로 디렉토리
360 : 기기 관리 수단
500 : 네트워크(A) 510 : 피제어 디바이스(A)
700 : 제 2 연결모듈
900 : 네트워크(B) 910 : 제어 디바이스(B)
본 발명은 다수의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기기에 대한 퍼블릭 아이피(Public IP) 및 사용자 인증 정보로 이루어지는 등록 정보(이하, 네트워크/기기 등록 정보라 칭함)를 바인딩 서버에 등록하고, 네트워크 연결 모듈을 통해 바인딩 서버에 등록된 접근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등록 정보를 제공받아 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특정 기기에 접근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바인딩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 모듈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것은 경우에 따라 크게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경우(이하, home-to-home이라 칭함)와, 디바이스와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경우(이하, device-to-home 또는 home-to-device이라 칭함)로 나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연결 모듈은 내부 네트워크가 public IP기반의 네트워크 매커니즘이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접근하는 Public IP에 해당되는 네트워크 또는 기기로 연결하고, 내부 네트워크가 private IP기반의 네트워크 매커니즘이면 대리자 개념을 사용하여 해당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의 기기로 접근할 수 있도록 처리하여 연결한다.
대리자 개념으로는 Private IP기반의 네트워크 내 기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도록 하는 addressing meta가 이용되는 것으로, 보다 바람직한 실시 예를 위해 프록시(proxy)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장치는 다수의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각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퍼블릭 아이피를 등록하고, 등록된 특정 퍼블릭 아이피에 대한 요청에 따라 해당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하여 상기 퍼블릭 아이피를 이용한 네트워크간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바인딩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장치는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별도의 수단을 통해 미리 부여받은 인증코드를 전송하여 바인딩 서버로부터 요청한 특정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받아 상기 퍼블릭 아이피를 이용해 해당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장치는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자신의 네트워크에 대한 외부 접근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위해 생성된 접근 코드를 특정 외부 네트워크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접근 코드를 이용해 바인딩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사기 외부 네트워크 사용자에 의해 퍼블릭 아이피를 이용한 접근이 시도되면 해당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 개의 네트워크간에 연동이 가능하도록 각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관리하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Public IP가 요구되면 인증과정을 통해 해당 IP주소를 제공하는 바인딩 서버,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접근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여 접근을 시도하는 제 1연결 모듈, 및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 1 연결 모듈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 2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다수 개의 네트워크들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바인딩 서버에 등록하는 서버 등록단계; 및 바인딩 서버로 특정 네트워크의 Public IP가 요구되면 해당 네트워크의 Public IP를 제공하여 제공되는 Public IP를 이용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바인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바인딩 서버로, 접근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Public IP를 요청하여 제공되는 Public IP를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바인딩단계; 및 바인딩된 네트워크간에 홈 네트워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호간에 동작 제어하는 메시지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접근이 시도되면 해당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바인딩 단계; 및 바인딩된 네트워크간에 홈 네트워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호간에 동작 제어하는 메시지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장치 및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Home-to-Home의 경우를먼저 설명하고, device-to-Home 또는 Home-to-device는 그 구성과 동작이 상호 유사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device-to-Home를 기초로 설명하며, Home-to-device는 상기 device-to-Home의 반대 경우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 Home-to-Home 또는 device-to-Home의 경우에 있어서, Home은 Private IP기반으로 네트워크 내부에 소정의 디바이스가 연결된 로컬 네트워크(local network)인 것을 전제로 하고, device는 Public IP기반의 퍼블릭 네트워크(public network)에서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과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는데 있어서, 소정의 local network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되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해 설명하며,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UPnP 미들웨어를 사용하는 홈 네트워크 환경을 통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또한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UPnP뿐만 아니라 JINI,HAVi, HWW와 같은 동적인 메커니즘의 미들웨어가 사용되는 IP기반 홈 네트워크 간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모듈로의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네트워크간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각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관리하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등록 정보가 요구되면 인증과정을 통해 요구된 등록 정보를 제공하는 바인딩 서버(100), 바인딩 서버(100)를 통해 접근하고자 하는 네트워크(B,900)의 Public IP를 요청하여 네트워크(B,900)로 접근을 시도하는 네트워크(A,500)에 연결된 네트워크 연결모듈(300:이하, 제 1 연결모듈이라 칭함), 바인딩 서버(100)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시키고 제 1 연결모듈(300)에 의해 접근이 시도되면 네트워크(B,900)내의 해당 디바이스로 연결하는 네트워크 연결모듈(700:이하, 제 2 연결모듈이라 칭함)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300,700)은 소정의 제어 디바이스 및 피제어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로컬 네트워크(500,900)에 연결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A라는 네트워크와 B라는 네트워크가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각 디바이스 이름 뒤의 (A),(B)는 그 디바이스가 속하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네트워크 등록 정보는 [(네트워크 정보: Public IP), 접근 코드]로 구성되는 것으로, 네트워크 정보는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네트워크에 할당되는 고유한 이름(일 예로, 사용자 ID)을 나타내고, Public IP는 해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연결 모듈에 할당된 공개 주소를 나타내고, 접근 코드는 네트워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접근 권한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코드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바인딩 서버(100)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인딩 서버(100)는 바인딩 프로토콜 수신수단(110),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130), 인증(authentication) 처리 수단(150), 보안(policy) 처리 수단(170), 바인딩 처리결과 전송 수단(190)로 구성된다.
바인딩 프로토콜 수신 수단(110)은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A,B:300,700)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파싱하여 처리하는 것으로, 안정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요구되는 소정의 암호화 방법에 따라 암호화된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Public IP와 접근 코드를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130) 및 보안 처리 수단(150)으로 전송한다.
암호화 방법으로는 사용자(A,B)가 Private key를 갖고, 바인딩 서버(100)가 Public key를 갖는 공개키 암호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130)은 네트워크 등록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네트워크 연결 모듈(310,510)의 Public IP를 등록하여 관리한다.
인증 처리 수단(15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코드와 상응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의 접근 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고, 요청된 네트워크의 Public IP와 함께 보안 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인증 처리 수단(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근 코드를 이용하여 특정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해 Public IP를 요청하는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에게 요청된 Public IP와 함께 보안 코드를 전송한다. 보안 코드에 대해서는 후술될 보안 관리 수단(340)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하 생략한다.
보안 처리 수단(170)은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바인딩 서버(100)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거나 동적으로 업로드되는 것으로, 네트워크내의 자원에 대한 보안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네트워크 액세스 권한에 해당되는 접속 레벨에 따라 지정된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를 통해 네트워크 내의 자원에 대한 액세스 수준, 접속 기간, 횟수 등이 관리 된다.
보안 처리 수단(170)은 내부 네크워크 자원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또는 제 2 연결 모듈(300,700)로부터 전송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등록된 보안 코드를 저장하는데, 상기 보안 코드는 네트워크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는 접속 레벨에 따라 각각 다른 코드로 인코딩된 값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보안 코드는 상기 인증 처리 수단(150)에 등록된 접근 코드에 접속 레벨에 따른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제 1 또는 제 2 연결 모듈(300,700)로부터 또는 사용자가 직접 등록한 접근 코드가 다수 존재하고, 사용자 인증 시 각 접근 코드별로 각각 다른 보안 코드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 경우, 각 접근 코드별로 제공되는 보안 코드의 설정값은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300,700) 또는 사용자로부터 제공되어 상기 보안 처리 수단(170)에 저장된다.
바인딩 처리결과 전송 수단(190)은 인증 처리수단(150) 및 보안 처리 수단(170)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과정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Public IP 및 접근 코드를 암호화 하여 이를 요청한 네트워크 연결 모듈로 전송한다.
도 5는 도 3의 제 1 연결모듈(300)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제 2연결모듈(700)도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도시를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연결모듈(300)은 프로토콜 처리 수단(310),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320), 인증 관리 수단(330), 보안 관리 수단(340), 프록시 관리 수단(350), 기기 관리 수단(360)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처리 수단(310)은 인터넷을 통한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프로토콜을 처리한다.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320)은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300,700)을 통해 연결된 네트워크(500,900)내의 디바이스간에 상호 제어가 가능하도록, 특정 디바이스의 private IP를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Public IP로 변환하거나 네트워크간(500,900)의 데이터 송/수신에 의해 바뀌게 되는 유알엘(URL:Uniform Resource Locator) 등에 대한 변환 및 관리를 수행한다.
인증 관리 수단(330)은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근 코드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자신의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는 Public IP, 접근 코드 및 보안 코드를 상기 바인딩 서버(100)의 인증 처리 수단(150) 및 보안 처리 수단(170)에 등록한다.
보안 관리 수단(340)은 내부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제어하기 위하여 접속 레벨을 설정하고, 접속 레벨에 따라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 즉 보안 코드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속 레벨별로 설정된 보안 코드와 함께 특정 네트워크에 접근할 경우 상기 네트워크에 대한 접속 레벨은 Public IP과 함께 전송된 보안 코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보안 처리 수단(170)의 설명에서와 같이, 상기 보안 관리 수단(340)에 의해 설정된 상기 접속 레벨별 보안 코드는 바인딩 서버(100)의 보안 처리 수단(170)에 등록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안 기능이 반영되지 않는 경우에는 특정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Public IP가 162.145.184.54라면, 접근코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면 사용자에게 요청된 Public IP인 '162.145.184.54'가 전송된다.
만일, 보안 기능이 반영되는 경우, 접속 레벨에 따라 보안코드가 'Level 1:02, Level 2:03, Level 3:04'라면, 해당 네트워크의 Public IP를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코드와 접근 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을 완료하고 접근 코드에 따라 해당되는 보안 코드를 Public IP와 함께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즉, 사용자가 Level 3에 속하는 경우에는 162.145.184.54:04로 전송된다.
프록시 관리 수단(350)은 외부 네트워크에서 private IP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내부의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proxy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에 해당되는 proxy를 생성하는 device/service proxy(351)와 생성된 proxy를 통해 실제 디바이스 혹은 서비스(이하, 호스트라 칭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로 디렉토리(352)를 포함하도록 구현된다.
도 7은 도 6의 경로 디렉토리(352)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경로 디렉토리(352)는 생성된 proxy명/proxy경로와 호스트명/호스트 경로를 매핑시킨 테이블 구조로 구현되는데, 이 매핑 테이블에 기록되는 Proxy를 통해 연결되는 내부 Private IP와 외부 Public IP를 참고해서 외부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동작 과정 중에 필요한 생성되는 변환되는 경로 정보를 기록하여 관리한다.
그 구조는 IP, 포트, 경로의 3단계로 이루어지며 이는 전적으로 공급자(vender)의 구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어떤 기기의 디스크립션을 가져오는 URL이 'http://192.162.0.3:5665/getDeviceDescription인데, 이것이 Public IP domain의 'http://162.145.184.54:7787/192_162_0_3_getDeviceDescription'으로 매핑될 수 있다.
이 경우, 경로 디렉토리(362)에는 (http://162.145.184.54:7787/192_162_0_3_getDeviceDescription,http://192.162.0.3:5665/getDeviceDescription)이 매핑된다.
기기 관리 수단(360)은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동작할 때 생성되는 proxy가 어떤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와 매핑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명과 그에 대한 proxy를 매핑시킨 테이블로 구현된다.
이렇게 매핑 테이블에 기록된 정보를 이용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가 호출될 때 해당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의 proxy를 통해 요청되는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참고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딩 서버 및 네트워크 연결 모듈은 각 모듈이 모두 하드웨어로 구성되거나, 일부 모듈이 소프트웨어로 구성되거나, 또는 전체 모듈이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인딩 서버 및 네트워크 연결 모듈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는 것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소프트웨어 및/또는 하드웨어로 구성됨에 따른 수정과 변경이 부가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방법은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300,700)에서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바인딩 서버에 등록하는 서버 등록단계(S100), 제 1 연결모듈(300)에서 제 2 연결모듈(700)을 통해 네트워크(B,900)에 접근하여 네트워크(A,500)와 네트워크(B,900)를 연결시키는 바인딩 단계(S300),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A,500)와 네트워크(B,900)의 디바이스간에 제 1 및 제 2 연결모듈(300,700)을 통해 홈 네트워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호간의 제어를 수행하는 홈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송/수신 단계(S50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일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함에 있어서, 먼저, 서버 등록 및 바인딩 단계를 설명하고, 홈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송/수신 단계를 설명한다.
1) 서버 등록 및 바인딩 단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 등록 및 바인딩 과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A,B)는 자신의 네트워크(A,B)에 관한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A,B:300,700)을 통해 바인딩 서버(100)로 전송한다(S101).
바인딩 서버(100)에서는 등록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통해 각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A,B:300,700)의 Public IP가 고정 IP인지 유동 IP인지를 판별하여(S102), 유동 IP인 경우에는 해당 네트워크 연결 모듈에서 동적으로 바인딩 서버(100)에 Public IP를 알리도록 설정한다(S103).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 1 및 제 2 연결모듈(300,700)로부터 전송된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바인딩 서버(100)에 등록한다(S104).
그 다음, 네트워크(A:500)의 사용자(A)가 사용자(B)의 네트워크(B:900)에 접근하고자 하면, 사용자(A)는 바인딩 서버(100)로 네트워크(B:900)의 사용자 이름을 통해 네트워크(B:900)에 접근하기 위한 Public IP를 요청하고(S105), Public IP를 제공받기 위해 별도의 수단을 통해 사용자(B)로부터 미리 얻은 인증 코드를 암호화 과정을 통해 바인딩 서버(100)로 전송한다(S106).
이 때, 네트워크(A,B)는 Private IP 기반의 네트워크이므로, 네트워크(A,B)상호간에 상호 접근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Public IP는 제 1 및 제 2 연결모듈(A,B:300,700)의 도메인 주소이고,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A,B:300,700)을 통해 내부 디바이스 및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네트워크(B:900)의 사용자(B)로부터 인증 코드를 받는 별도의 수단은 유/무선 네트워크 환경의 다양한 디바이스가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유/무선 전화기, 전자 메일 등을 통해서 받을 수 있다.
바인딩 서버(100)에서는 사용자(A)로부터 전송되는 인증 코드와 사용자(B)에 의해 등록된 접근 코드를 비교하여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별하여(S107),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인 경우에는 사용자(A)에게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S108), 인증된 사용자인 경우에는 사용자(A)의 제 1 연결 모듈(A:300)로 네트워크(B:900)에 접근하기 위한 Public IP를 전송한다(S109).
그리고, 바인딩 서버(100)에서는 바인딩된 정보인 제 1 및 제 2 연결 모듈(A,B:300,700)의 Public IP를 저장하고, 제 1 및 제 2 연결모듈(300,700)간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자(B)의 제 2 연결 모듈(B:700)로 제 1 연결모듈(A:300)의 Public IP를 전송한다(S110).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연결모듈(A,B:300,700)을 통해 네트워크(A:500)와 네트워크(B:900)가 바인딩 된다.
2) 홈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송/수신 단계
홈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송/수신 단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UPnP 미들웨어 환경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제어 메시지에 따른 처리 과정을 통해 홈 네트워크 서비스 메시지 송/수신 단계를 설명한다.
즉, 새로 추가된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상의 다른 디바이스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notify, 제어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상의 피제어 디바이스를 검색하는 search, 제어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는 특정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의 description을 요청하는 description, 제어 디바이스에서 특정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action을 요청하는 control, 제어 디바이스의 요청에 따른 동작에 의해 변경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요청하는 eventing을 기초로 설명한다.
1. notify
도 11a,b는 네트워크(A:500)의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서 수행되는 notify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1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서 네트워크(A:500)의 제 1 연결 모듈(A:500)로 notify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한다(S310).
그 다음, 제 1 연결 모듈(A:500)에서는 수신된 notify 메시지의 호스트인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가 프록시 관리 수단(360)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proxy 생성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311).
판별결과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가 존재하면, 등록된 proxy에 따라 notify 메시지의 URL을 변경시킨 후 제 2 연결모듈(B:700)로 전송하고, 판별결과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가 존재하지 않으면, 프록시 관리 수단(360)을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를 생성하며 경로 디렉토리(362) 및 기기 관리수단(370)에 등록한다(S312).
그 다음, 제 1 연결 모듈(A:300)에서는 생성된 proxy를 사용해 notify 메시지의 URL을 변경시킨 후 제 2 연결 모듈(B:700)로 변경된 notify 메시지를 유니캐스트 방식을 통해 전송한다(S313).
notify 메시지를 수정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사항은 LOCATION 필드로서, 제 1 연결모듈(A:300)은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 device URL을 LOCATION 필드로 사용하며,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LOCATION 필드 값과 자신이 설정한 proxy device의 device description URL 매핑을 경로 디렉토리(362)에 보관한다.
이를 수신한 제 2 연결모듈(B:700)에서는 notify 메시지에 명시되어 있는 제 1 연결 모듈의 피제어 디바이스(A:510)가 네트워크(B:900)에 notify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 허용되는 디바이스인지 여부를 판별한 후, 이 메시지를 네트워크(B:900)상에서 동작하는 모든 디바이스들에게 멀티캐스트 한다(S314).
2. search
도 12의 a,b는 네트워크(B:900)의 제어 디바이스(B:910)에서 수행되는 search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어 디바이스(B:910)에서는 M-search 메시지를 멀티 캐스트로 네트워크(B:900) 상에 전송한다(S320).
이러한 M-search 메시지가 제 2 연결모듈(B:700)에 수신되면, 제 2 연결모듈(B:700)에서는 제어 디바이스(B:910)의 proxy가 프록시 관리 수단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S321), 존재하지 않으면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B:910)에 대한 proxy를 생성하고 경로 디렉토리 및 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한다(S322).
그리고, 제 2 연결 모듈(B:700)에서는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다른 네트워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네트워크(A:50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판별결과에 따라 검색된 proxy로 M-search 메시지의 URL을 변경시킨 후 unicast로 제 1 연결 모듈(A:300)에게 전송하거나, 새로 생성된 proxy로 M-search 메시지의 URL을 변경시킨 후 unicast로 제 1 연결 모듈(A:300)에게 전송한다(S323).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M-search에 명시된 제어 디바이스(B:910)에 의한 동작 제어가 가능한 피제어 디바이스가 자신의 네트워크(A:500) 상에 존재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신된 M-search 메시지를 네트워크(A:400) 상에 multicast로 전송한다(S324).
제 1 연결모듈(A:300)로부터 전송되는 M-search 메시지를 수신한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서는 수신된 M-search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search response 메시지를 제 1 연결모듈(A:300)에게 unicast로 전송한단(S325).
이를 수신한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해당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S326), 판별결과 proxy가 존재하지 않으면 프록시 관리 수단(360)을 통해 proxy를 생성한 후 경로 디렉토리(362) 및 기기 관리 수단(370)에 등록한다(S327).
판별결과 proxy가 존재하면 검색된 proxy로 response 메시지의 LOCATION 필드에 기록된 URL을 수정한 후 해당 제어 디바이스(B:910)로 전송하거나, 새로 생성된proxy로 response 메시지의 URL을 수정한 후 해당 제어 디바이스(B:910)로 전송한다(S328).
3. description
도 13의 a,b는 네트워크(B:700)의 제어 디바이스(B:910)에서 수행되는 description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3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네트워크(B:900)의 제어 디바이스(B:910)가 이전의 search 단계에서 검색된 네트워크(A:500)의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부터 device/service description을 얻고자 하는 경우, 제어 디바이스(B:910)에서는 피제어 기기(A:510)에 대한 description 요청을 제 2 연결모듈(B:700)로 전송한다(S330)
제 2 연결모듈(B:700)에서는 제 1 연결 모듈(A:300)로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description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전송하고(S331), 제 1 연결 모듈(A:300)에서는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를 검색한다(S332).
검색된 proxy를 통해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 대한 변경된 description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33).
판별 결과 변경된 description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해당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 description을 요청하며(S334),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description이 수신되면(S335) 변경된 description를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 대한 proxy로 변경시켜 변경된 정보를 경로 디렉토리(362) 및 기기 관리 수단(370)에 등록한다(S336).
판별 결과 변경된 description이 존재하면 해당 description을 제어 디바이스(B:910)로 전송하거나,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proxy을 적용시킨 변경된 description을 제어 디바이스(B:910)로 전송한다(S337).
즉, 피제어 디바이스(A:510)는 description을 제 1 연결모듈(A:300)로 전송하고, 제 1 연결모듈(A:300)는 이를 받아 description의 URL을 자신이 관리하는 proxy의 URL로 대체한 후 이를 제어 디바이스(B:910)에게 전송한다.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device description 안의 element들 중 몇 개의 element들은 제 1 연결모듈(A:300)에 의해 그 값은 아래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URLBase> : device proxy의 URLBase로 바뀜
<friendlyName> : 네트워크(A:500)의 이름을 덧 붙임
(일 예로, 기존의 friendlyName이 "Flat TV"이고 네트워크(A:500)의 이름이 "The Simpsons"라면 "Flat TV in the Simpsons"로 변경)
<icon><url> : device proxy의 icon URL로 바뀜
<service><SCPDURL> : service proxy의 description URL로 바뀜
<service><controlURL> : service proxy의 control URL로 바뀜
<service><eventSubURL> : service proxy의 eventing URL로 바뀜
<presentationURL> : device proxy의 presentation URL로 바뀜
이렇게 변경된 description은 기기 관리 정책에 따라 한번만 생성된 후 네트워크 연결 모듈이 cache 해 놓고 쓰거나, 또는 매번 다이나믹하게 생성할 수 있다.
4. control
도 14의 a,b는 네트워크(B:900)의 제어 디바이스(B:910)에서 수행되는 control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네트워크(B:900)의 제어 디바이스(B:910)는 제 1 연결모듈(A:300)로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 대한 action 요청을 전송한다(S340).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이 값을 받은 후, 요청 메시지의 host URL과 path를 보고서 이를 처리할 service proxy를 검색한다(S341).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검색되는 service proxy에 해당하는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 맞는 URL과 path로 action 메시지의 경로를 바꾸어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 전송하고(S342),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action을 수행한 결과를 수신하여(S343) 이 결과를 제어 디바이스(B:910)로 전송한다(S344).
5. Eventing
도 15의 a,b는 네트워크(B:900)의 제어 디바이스(B:910)에서 수행되는 eventing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5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B:900)의 제어 디바이스(B:910)는 피제어 디바이스(A:510)의 이벤트 발생을 수신하기 위해서 service description에 있는 <eventSubURL>로 subscription 메시지를 제 2 연결모듈(B:700)로 전송한다(S350).
제 2 연결모듈(B:700)에서는 수신되는 subscription 메시지를 제 1연결모듈(A:300)로 전송하고(S351),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요청되는 subscription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해 프록시 관리 수단(360)에서 해당 device/service proxy를 검색하고(S352), 이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받을 때 필요한 delivery URL과 이 요청을 수신할 때 필요한 eventing URL에 따라 description을 변경한다
description 단계에서 제 1 및 제 2 연결모듈(A,B:300,700)은 각 디바이스의 proxy delivery URL을 갖고 있어, proxy eventing URL을 재설정할 수 있다.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수신된 subscription 메시지에 따라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 subscription 메시지를 전송하고,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부터 event message를 수신한다(S354).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수신된 event message의 URL을 피제어 디바이스(A:510)에 대한 proxy delivery URL로 변경시킨 후 경로 디렉토리(362) 및 기기 디렉토리(370)에 등록한다(S355).
변경된 URL 정보를 통해 제 2 연결모듈(B:700)로 event message를 전송하면(S356), 제 2 연결모듈(B:700)를 통해 제어 디바이스(B:910)로 event message가 전송된다(S357).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부터 전송되는 event message를 수신한 제어 디바이스(B:910)에서는 피제어 디바이스(A:510)로 응답(response)을 전송한다(S358).
이와 유사하게 eventing의 renew, unsubscribe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요청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피제어 디바이스(A)는 자신의 변수값의 변화를 알리게 되는 메시지를 보내는데, 먼저, 피제어 디바이스(A)는 eventing 메시지를 보낸다.
그러면 네트워크 연결모듈(A)는 이를 이전에 설정한 값을 참조하여 네트워크 연결모듈(B)로 보내게 된다.
다시 이를 제어 디바이스(B)에게로 전달하게되어 eventing 메시지가 제어 디바이스에게로 전달이 되게 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제어 디바이스가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response를 보내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1 및 제 2 연결모듈(A,B:300,700)을 통해 연결시킨 네트워크(A,B:500,900)의 피제어 디바이스(A:510)와 제어 디바이스(B:910)간에 홈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home-to-home 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연결은 네트워크 대 네트워크간에 1:1로만 연결되지 않고, 1:다수로도 연결 가능하다.
1:다수로의 연결과정 또한 1:1 연결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연결시켜 상호간의 동작 제어가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다른 실시 예로 device-to-Home의 경우를 설명한다.
device-to-home의 경우는 앞서 제안한 바와 같이 device가 Public IP기반의 Public network 디바이스이고, home은 Private IP기반으로 네트워크 내부의 디바이스들을 연결한 local network이다.
이하, device-to-home에서의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 및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로 상세히 설명한다.
device-to-home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home-to-home에서의 네트워크 시스템과 같이(도 3 참조) 구성되는데, 다만, device(A)의 네트워크(A:500)는 Public IP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므로 제 1 연결모듈(A:300)은 프로토콜 처리 수단(310),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320), 인증 관리 수단(330), 보안 관리 수단(3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의 제 1 연결모듈(A:300)은 device(A)내에 임베디드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의 연결모듈 없이 device(A)가 관련 소프트웨어 모듈을 가지고 있으면서 독립적으로 다른 네트워크(B:900)와 연결되어 그 네트워크내에 있는 디바이스(B)들과 상호 작용을 할 수 있다.
device(A)는 특성에 따라 제어 디바이스 또는 피제어 디바이스로 나뉠 수 있는데, device(A)가 피제어 디바이스인 경우를 실시 예로 설명하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등록 및 바인딩 단계를 통해 네트워크(A:500)와 네트워크(B:900)가 연결되면 피제어 디바이스(A)에서는 자신을 알리기 위해 notify 메시지를 멀티캐스트로 전송한다.
제 1 연결모듈(A:300)에서는 피제어 디바이스(A)로부터 전송되는 notify 메시지를 수신하여 제 2 연결모듈(B:700)로 전송하고, 제 2 연결모듈(B:700)에서는 네트워크(B:900) 상에 존재하는 디바이스들에게 멀티캐스트로 notify 메시지를 전송한다(S700).
이와 같이 전송되는 notify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 디바이스(B)에서는 피제어 디바이스(A)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면, 피제어 디바이스(A)에 대한 정보를 등록한다.
이러한 제어 디바이스(B)에서 피제어 디바이스(A)로 device/service description을 요청하는 description 요청을 전송하면(S701), 이를 수신한 피제어 디바이스(A)에서는 제어 디바이스(B)로 device/service description을 전송한다(S702).
또한, 피제어 디바이스(B)로 action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제어 디바이스(B)를 제어하고(S703), 피제어 디바이스(B)로부터 전송되는 요청된 action에 대한 결과를 수신한다(S704).
이러한 과정에서 피제어 디바이스(A)는 Public IP를 갖기 때문에 별도의 URL수정과정 없이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는데, 제어 디바이스(B)는 Private IP를 갖기 때문에 제 2 연결모듈(B:700)에 의해 생성되는 proxy에 따라 각 메시지의 URL을 변경시켜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홈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서로의 기기들을 상호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외부에서 가정내의 기기들을 동작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4)

  1. 다수의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바인딩 프로토콜 수신 수단,
    상기 네트워크 등록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각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퍼블릭 아이피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된 특정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에 대한 요청에 따라 해당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하는 바인딩 처리결과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등록 정보의 접근 코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 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권한의 접속 레벨에 따라 지정된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를 제공하는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보안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장치.
  4.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바인딩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요청한 특정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를 수신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상기 수신된 퍼블릭 아이피를 이용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네트워크 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 및
    상기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받기 위해 별도의 수단을 통해 미리 부여받은 인증코드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는 인증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5.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이용한 외부 네트워크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상기 접근하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네트워크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 및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에 대한 외부 접근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근 코드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인증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 권한에 따라 접속 레벨을 설정하고 접속 레벨에 따른 지정된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를 제공하는 보안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외부 네트워크의 접근 요청이 사설 기반의 로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 시도이면, 해당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프록시 관리 수단, 및
    상기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생성된 프록시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8. 제 1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등록 정보는
    각 네트워크의 도메인 주소, 각 네트워크에 할당되는 사용자 이름,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해 할당된 퍼블릭 아이피, 각 네트워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접근 권한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근 코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장치.
  9. 다수 개의 네트워크간에 연동이 가능하도록 각 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관리하며 특정 네트워크에 대한 퍼블릭 아이피가 요구되면 인증과정을 통해 해당 아이피주소를 제공하는 바인딩 서버,
    상기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접근하고자 하는네트워크 정보를 요청하여 접근을 시도하는 제 1 연결 모듈, 및
    상기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 1 연결 모듈에 의한 네트워크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 외부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수행하는 제 2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서버는
    다수의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바인딩 프로토콜 수신 수단,
    상기 네트워크 등록 정보로부터 추출되는 각 네트워크에 접근하기 위한 퍼블릭 아이피를 등록하여 관리하는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된 특정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에 대한 요청에 따라 해당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하는 바인딩 처리결과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9항에 있어서,
    제 1 연결 모듈은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바인딩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요청한 특정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를 수신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상기 수신된 퍼블릭 아이피를 이용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접근하고 네트워크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 및
    상기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받기 위해 별도의 수단을 통해 미리 부여받은 인증코드를 상기 바인딩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받는 인증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제 9항에 있어서,
    제 2 연결 모듈은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이용한 외부 네트워크의 접근 요청을 수신하는 프로토콜 처리 수단,
    상기 접근하는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면 네트워크간의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는 네트워크 연결 처리 수단, 및
    상기 자신의 네트워크에 대한 외부 접근을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증을 위한 접근 코드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인증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네트워크 등록 정보의 접근 코드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인증 코드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인증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권한의 접속 레벨에 따라 지정된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를 제공하는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보안 처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인증 코드와 상응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의 접근 코드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외부 네트워크의 접근 요청이 Private 기반의 로컬 네트워크에서 동작하는 디바이스에 대한 연결 시도이면, 해당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프록시 관리 수단, 및
    상기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생성된 프록시와 해당 디바이스에 대한 매핑 정보를 관리하는 기기 관리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7. 다수 개의 네트워크들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바인딩 서버에 등록하는 서버 등록단계; 및
    상기 바인딩 서버로 특정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가 요구되면 해당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하여 제공되는 퍼블릭 아이피를 이용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연결시키는 바인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18.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바인딩 서버로 접근하고자 하는 네트워크의 퍼블릭 아이피를 요청하여 제공되는 퍼블릭 아이피를 통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바인딩단계; 및
    상기 바인딩된 네트워크간에 홈 네트워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호간에 동작 제어하는 메시지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19. 바인딩 서버에 자신의 네트워크 등록 정보를 등록하고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접근이 시도되면 해당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바인딩 단계; 및
    상기 바인딩된 네트워크간에 홈 네트워크 제어 메시지를 송/수신하여 상호간에 동작 제어하는 메시지 송/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0.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등록 정보는
    외부에서 해당 네트워크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당되는 고유한 이름을 나타내는네트워크 정보, 해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연결 모듈에 할당된 공개 주소를 나타내는 퍼블릭 아이피, 네트워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접근 권한에 따른 사용자 인증을 위한 코드를 나타내는 접근 코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1. 제 17항 또는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딩 단계는
    상기 퍼블릭 아이피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퍼블릭 아이피를 요청하는 사용자로부터 인증 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네트워크 등록 정보의 접근 코드와 비교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증 과정에서 미리 지정된 네트워크 액세스 권한의 접속 레벨에 따라 지정된 보안 기능이 반영된 정보를 제공하는 보안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3.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 단계는
    상기 바인딩된 네트워크에 새로 추가된 피제어 디바이스에서 해당 네트워크의제 1 연결 모듈로 노티파이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 모듈에서 수신된 노티파이 메시지의 호스트인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가 프록시 관리 수단에 존재하는지를 검색하여 프록시 생성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프록시가 존재하면 등록된 프록시에 따라 상기 노티파이 메시지의 유알엘을 변경시킨 후 다른 네트워크의 제 2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프록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프록시를 사용해 상기 노티파이 메시지의 유알엘을 변경시킨 후 다른 네트워크의 제 2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프록시를 상기 제 1 연결 모듈의 경로 디렉토리 및 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노티파이 메시지의 유알엘은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 디바이스 유알엘을 로케이션 필드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6.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 단계는
    상기 바인딩된 네트워크에 새로 추가된 제어 디바이스에서 서치 메시지를 멀티캐스트하는 단계;
    상기 멀티캐스트되는 서치 메시지를 수신하는 해당 네트워크의 제 2 연결모듈에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가 프록시 관리 수단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프록시가 존재하면 등록된 프록시에 따라 상기 서치 메시지의 유알엘을 변경시킨 후 상기 네트워크와 바인딩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 1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프록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프록시를 사용해 상기 서치 메시지의 유알엘을 변경시킨 후 상기 네트워크와 바인딩된 다른 네트워크의 제 1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연결 모듈에서 수신되는 상기 서치 메시지를 자기 네트워크 상에 멀티캐스트하고, 자기 네트워크 상의 피제어디바이스들로부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서치 메시지의 유알엘을 이용하여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프록시를 상기 제 1 연결 모듈의 경로 디렉토리 및 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한 피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가 프록시 관리 수단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프록시가 존재하면 등록된 프록시에 따라 상기 응답 메시지의 유알엘을 변경시킨 후 상기 제 2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프록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프록시를 사용해 상기 응답 메시지의 유알엘을 변경시킨 후 상기 제 2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프록시를 상기 제 1 연결 모듈의 경로 디렉토리 및 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30.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 단계는
    상기 바인딩된 네트워크 가운데 특정 네트워크의 제어 디바이스에서 이전에 검색된 다른 네트워크의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디스크립션 요청 메시지를 해당 네트워크의 제 2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연결모듈에서 수신되는 디스크립션 요청 메시지를 이전의 검색과정에서 등록된 프록시를 이용해 변경시킨 유알엘을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제 1 연결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모듈에서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검색하여 검색된 프록시를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변경된 디스크립션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결과 변경된 디스크립션이 존재하면 해당 디스크립션을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결과 변경된 디스크립션이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 1 연결모듈에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로 디스크립션을 요청하여 수신되는 변경된 디스크립션의 유알엘을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프록시로 변경시키고,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로 변경되는 디스크립션의 유알엘을 경로 디렉토리 및 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32.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 단계는
    상기 바인딩된 네트워크 가운데 특정 네트워크의 제어 디바이스에서 이전에 검색된 다른 네트워크의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액션 요청 메시지를 해당 네트워크의 제 2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연결모듈에서 수신되는 액션 요청 메시지를 이전의 검색과정에서 등록된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이용해 변경시킨 유알엘을 통해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제 1 연결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모듈에서 수신되는 액션 요청 메시지의 호스트 유알엘과 경로를 통해 서비스 프록시를 검색하여 검색되는 서비스 프록시에 해당되는 피제어 디바이스에 맞는 유알엘과 경로로 액션 요청 메시지의 경로를 변경시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액션 요청 메시지에 따른 해당 액션 수행 결과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방법.
  33.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송/수신 단계는
    상기 바인딩된 네트워크 가운데 특정 네트워크의 제어 디바이스에서 이전에 검색된 다른 네트워크의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서브디스크립션 메시지를 해당 네트워크의 제 2 연결 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2 연결모듈에서 디스크립션 과정에서 얻어진 상기 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를 통해 상기 서브스크립션 메시지의 유알엘을 변경시켜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가 연결되는 제 1 연결모듈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연결모듈에서 수신되는 서브스크립션 메시지의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프록시를 프록시 관리 수단을 통해 검색하여 검색되는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의 프록시에 따라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게 서브스크립션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서브스크립션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 이벤트 메시지가 전송되면 제 1 연결모듈에서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의 유알엘을 상기 피제어 디바이스에 대한 프록시 전송 유알엘로 변경시킨 후 변경된 유알엘을 통해 상기 제 2 연결모듈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연결모듈에서 수신되는 이벤트 메시지의 유알엘을 통해 등록된 프록시를 검색하여 상기 제어 디바이스에게 수신된 이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34.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록시로 변경되는 이벤트 메시지의 유알엘을 경로 디렉토리 및 기기 관리 수단에 등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연결 방법.
KR10-2003-0024171A 2003-04-16 2003-04-16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1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171A KR100513291B1 (ko) 2003-04-16 2003-04-16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4171A KR100513291B1 (ko) 2003-04-16 2003-04-16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0221A true KR20040090221A (ko) 2004-10-22
KR100513291B1 KR100513291B1 (ko) 2005-09-09

Family

ID=3737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4171A KR100513291B1 (ko) 2003-04-16 2003-04-16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2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943B1 (ko) * 2005-08-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 기반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7064169A1 (en) * 2005-12-01 2007-06-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in heterogeneous federated environ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message
US7940760B2 (en) 2006-12-14 2011-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component in at least one sub-net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4943B1 (ko) * 2005-08-10 2007-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드 기반 접근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07064169A1 (en) * 2005-12-01 2007-06-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 in heterogeneous federated environment,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message
KR100759800B1 (ko) * 2005-12-01 2007-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종 연방 환경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장치와 이를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7940760B2 (en) 2006-12-14 2011-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ing component in at least one sub-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291B1 (ko) 2005-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195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abling communications between devices
CN102077546B (zh) UPnP设备之间的远程访问
US8396220B2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content sharing and delivery in an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US20060156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curity framework that enables identity and access control services
US20040193609A1 (en) Master content directory service server for providing a consolidated network-wide content directory
US20090063691A1 (en) Access rights used for resource discovery in peer-to-peer networks
US20080141347A1 (en) System for user-friendly access control setup using WiFi protected setup
BRPI0620114A2 (pt) dispositivo de comunicaÇço de rede, mÉtodo para comunicaÇço, e, programa armazenado em um meio de legÍvel por mÁquina
JP2004288187A (ja) ネットワークを介した機器情報の管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CA2841140C (en) Rights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O2005066808A1 (ja) 機器連携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を構成する電子機器
KR20110112242A (ko) UPnP 원격 접속 서비스에서 원격 접속 접근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906677B1 (ko) UPnP 네트워크의 원격지 보안 접속 시스템 및 방법
JP5317835B2 (ja) コンテンツ属性情報提供装置、コンテンツ属性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645171B1 (ko) 계층적 UPnP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미디어 서비스시스템과 방법
KR100513291B1 (ko)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261502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10016180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KR20080000310A (ko) 홈네트워크 간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정보 공유 방법,그리고 정보 공유 생성 방법
KR100665436B1 (ko) 홈네트워크를 통한 파일 서버 관리 방법
TWI393406B (zh) Integrating mobile content sharing and delivery system and its method in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Lucenius et al. Implementing mobile access to heterogeneous home environment
KR20030062734A (ko) 홈 네트워크 사이트와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기기의원격지 접속방법
KR20040110942A (ko) 홈 네트워크 식별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JP2001189740A (ja) リモート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