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9011A -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9011A
KR20040089011A KR1020040071557A KR20040071557A KR20040089011A KR 20040089011 A KR20040089011 A KR 20040089011A KR 1020040071557 A KR1020040071557 A KR 1020040071557A KR 20040071557 A KR20040071557 A KR 20040071557A KR 20040089011 A KR20040089011 A KR 20040089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roller
main body
velcro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수곤
Original Assignee
어수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어수곤 filed Critical 어수곤
Priority to KR102004007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9011A/ko
Publication of KR20040089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901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6Arrangements for steam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16Cloths; Pads;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2Mops with liquid-feeding devices
    • A47L13/225Steam m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후방에 손잡이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본체(10) 내부 후방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놉(31)에 의하여 회전되고, 그 본체(10) 내부의 양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돌기(30a)가 형성된 롤러(30); 롤러(30)의 돌기(30a)에 걸어지는 걸림홈(40a)이 형성된 것으로서, 그 압압부(20)와 상기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며 감싸며, 그 상부에 제1벨크로(41)가 설치된 한쌍의 궤도벨트(40); 한쌍의 제1벨크로(41)에 착탈되는 제2벨크로(61)가 후방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궤도벨트(40)에 권회되어 부착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걸레 청소기{wet duster}
본 발명은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아파트나 일반 주택, 사무실등에서 바닥을 닦을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주택문화는 외국과는 달리 신발을 벗고서 생활하며 바닥에서 취침하는 문화이기 때문에 바닥을 청결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바닥을 청소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주택에서는 진공청소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진공청소기는 진공을 이용하여 바닥에 쌓인 먼지나 작은 이물질등을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청소기는 바닥에서 쉽게 분리되는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바닥에 달라붙은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제거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진공청소기에 의하여 제거할 수 없었던 먼지나 기름때, 음식물 찌꺼기등은 물걸레를 이용하여 제거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물걸레를 이용한 바닥청소를 할 때 물걸레에 강한 힘을 주지 않으면 바닥에 늘어붙은 묵은때를 제거할 수 없었다. 또한, 엎드린 상태에서 물걸레를 손으로 잡고 바닥을 닦아야 하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를 하다보면 허리 및 팔에 통증이 오곤 하였다. 즉, 물걸레 청소는 고된 노동을 필요로 하였고, 따라서 노약자나 임산부, 허리가 아픈 사람은 물걸레 청소를 할 수 없었다. 특히, 대형 아파트가 보급되고 있는 요즈음, 물걸레 청소에 대한 어려움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거하여, 여러 업체에서는 기다란 손잡이봉과, 그 손잡이봉의 하단에 물걸레를 착탈할 수 있는 착탈부로 구성된 물걸레 청소기를 출시하여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걸레 청소기의 경우, 물걸레가 더러워질 경우나 물걸레에 흡습된 물기가 없어질 경우 새로운 물걸레로 자주 교환해주어야 하였기 때문에 불편함이 야기되었다.
또한, 물걸레가 부착되는 착탈부는 큰 면적을 가지기 때문에, 물걸레 청소기에 인가하는 힘이 분산된다. 즉, 물걸레가 바닥에 인가하는 단위 면적당 압력이 작아질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바닥의 묶은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청소도중 걸레부를 교환할 필요가 없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바닥에 큰 힘을 인가할 수 있어 묶은 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청소도중에서 걸레부에 흡습된 물기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압압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궤도벨트의 걸림홈에 걸어지는 돌기가 롤러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롤러가 회전구속클러치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롤러가 스토퍼기어 및 스토퍼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궤도벨트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궤도벨트에 부착되는 걸레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걸레부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1의 궤도벨트에 걸레부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걸레부가 궤도벨트에 완전히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물걸레 청소기와 바닥 사이의 경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압압부의 발췌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압압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2의 압압부로부터 돌출되는 주입구가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1 ... 손잡이봉
12 ... 손잡이 13 ... 덮개
20 ... 압압부 21 ... 쿠션
22 ... 가이드홈 30 ... 롤러
30a ... 돌기 35 ... 클러치기어
35a ... 제1치차 36 ... 레버
36a ... 제2치차 37 ... 탄성부재
35' ... 스토퍼기어 35a' ... 스토퍼홈
36' ... 스토퍼 36a ... 볼
36b' ... 탄성부재 40 ... 궤도벨트
40a ... 걸림홈 41 ... 제1벨크로
60 ... 걸레부 60a, 60b ... 서브벨크로
61 ... 제2벨크로 62 ... 부착면층
63 ... 밀착면층 64 ... 스펀지층
64a ... 구획띠 64b, 64c ... 구획부
120 ... 압압부 123 ... 분사홀
171 ... 물통 171a ... 주입구
171b ... 뚜껑 172 ... 스팀발생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는,
후방에 손잡이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상기 본체(10) 내부 후방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놉(31)에 의하여 회전되고, 그 본체(10) 내부의 양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돌기(30a)가 형성된 롤러(30); 상기 롤러(30)의 돌기(30a)에 걸어지는 걸림홈(40a)이 형성된 것으로서, 그 압압부(20)와 상기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며 감싸며, 그 상부에 제1벨크로(41)가 설치된 한쌍의 궤도벨트(40); 한쌍의 상기 제1벨크로(41)에 착탈되는 제2벨크로(61)가 후방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궤도벨트(40)에 권회되어 부착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걸레부(60)로부터 물기가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덮개(13)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0)의 가장자리측에는 한쌍의 상기 궤도벨트(40)의 회전 경로를 가이드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그 롤러(30)에는 회전구속클러치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롤러(30)의 축에는,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35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35')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스토퍼홈(35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기어(35')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36')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걸레부(60)는, 상기 제2벨크로(61)가 형성된 부착면층(62)과, 바닥에 밀착되어 청소를 진행하는 밀착면층(63)과, 상기 부착면층(62)과 밀착면층(63) 사이에 설치되어 물기를 머금는 스펀지층(6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층(64)에는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띠(64a)가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구획부(64b)에 흡습되어 있는 물기가 다음 구획부(64c)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봉(11)에는 그 후방에서 굽어지는 권총형상을 가지는 손잡이(12)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120)에는 스팀발생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물통(171)과, 상기 물통(17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발생기(17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기(172)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압압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홀(123)을 통하여 분사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첨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압압부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궤도벨트의 걸림홈에 걸어지는 돌기가 롤러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1의 롤러가 회전구속클러치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롤러가 스토퍼기어 및 스토퍼와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1의 궤도벨트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궤도벨트에 부착되는 걸레부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걸레부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1의 궤도벨트에 걸레부가 부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걸레부가 궤도벨트에 완전히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의 물걸레 청소기와 바닥 사이의 경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1실시예는, 후방에 손잡이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와, 본체(10) 내부 후방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놉(31)에 의하여 회전되고 그 본체(10) 내부의 양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돌기(30a)가 형성된 롤러(30)와, 롤러(30)의 돌기(30a)에 걸어지는 걸림홈(40a)이 형성된 것으로서 그 압압부(20)와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며 감싸며 그 상부에 제1벨크로(41)가 형성된 한쌍의 궤도벨트(40)와, 제1벨크로(41)에 착탈되는 제2벨크로(61)가 후방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한다. 걸레부(60)는 제2벨크로(61)가 제1벨크로(41)에 부착됨으로써 궤도벨트(40)에 부착되는 것이다.
본체(10)의 후방에 설치된 손잡이봉(11)에는 그 손잡이봉(11)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몰입되는 손잡이봉(12)이 설치된다. 이때, 손잡이(12)의 단부는 권총의 손잡이 형상을 하는데, 이는 바닥을 청소할 때 본원의 물걸레 청소기를 앞으로 밀거나 잡아당길 경우에 손목에 부담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10)의 상부에는 걸레부(60)로부터 물기가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덮개(13)가 설치된다. 덮개(13)는, 덮개(13)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함으로써, 걸레부(60)로부터 물기가 증발하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하여 덮개(13)는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덮개(13)는 본체(10)에 일체화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압부(20)는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10)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이러한 압압부(20)의 가장자리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궤도벨트(40)가 궤도 운동할 때 그 궤도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22)이 형성된다.
롤러(30)는 본체(10) 내부 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0)의 양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돌기(30a)가 형성된다. 양 가장자리의 돌기(30a)는 각각의 궤도벨트(40)의 걸림홈(40a)이 걸어진다. 따라서, 롤러(30)가 회전될 때 궤도벨트(40)는 압압부(20)의 가이드홈(22)을 따라 일정한 궤도를 유지하며 무한궤도 운동하게 된다.
롤러(3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한 구조는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에 롤러(30)를 일방향으로만 회전되게 하는 회전구속클러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회전구속클러치는, 롤러(30)의 가장자리측 외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수직면이 형성되고 타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제1치차(35a)가 형성된 클러치기어(35)와, 본체 소정부에 힌지결합되며 제1치차(35a)에 결합되는 제2치차(36a)가 형성된 레버(36)와, 레버(36)를 클러치기어(35)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37)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제2치차(36a)는 탄성부재(37)에 의하여 제1치차(35a)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고, 따라서 클러치기어(35)와 결합된 롤러(3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된다.
롤러(30)는 공지의 원웨이클러치베어링에 의하여 결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롤러(3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롤러(30)가 일방향으로만 회전되지 않을 경우에 적어도 공회전되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즉, 롤러(30)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0)의 축에, 그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35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35')를 설치하고, 본체(10)에 그 스토퍼홈(35a')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면서 스토퍼기어(35')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36')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스토퍼홈(35a')에 끼어지는 볼(36a')과 그 볼(36a')을 스토퍼기어(35') 측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36b')로 구성될 수 있다.
궤도벨트(40)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궤도벨트(4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의 돌기(30a)가 걸어지는 걸림홈(4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궤도벨트(40)의 상부에는 후술할 걸레부(60)의 제2벨크로가 탈부착되는 제1벨크로(41)가 형성되어 있다.
걸레부(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궤도벨트(40)의 제1벨크로(41)에 부착되는 제2벨크로(61)가 부착되어 있고, 또 양 단부에는 상호 부착되는 서브벨크로(60a)(60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레부(60)는 3 개층을 포함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벨크로(61)가 형성된 부착면층(62)과, 바닥에 밀착되어 청소를 진행하는 밀착면층(63)과, 부착면층(62)과 밀착면층(63) 사이에 설치되어 물기를 머금는 스펀지층(64)을 포함한다. 이때, 스펀지층(64)에는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띠(64a)가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구획부(64b)에 흡습되어 있는 물기가 다음 구획부(64c)로모세관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또, 밀착면층(63)은 바닥의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소위 극세사라 불리우는 섬유조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부착면층(62)과 스펀지층(64) 사이에는, 스펀지층(64)의 물기가 부착면층(62)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수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수층은 부착면층(62)에 방수코팅을 하거나, 부착면층(62)에 접하는 스펀지층(64)의 면에 방수코팅을 하거나, 별도의 방수천등을 개재함으로써 구현된다. 이러한 방수층은, 스펀지층에 있어서 물기가 없는 구획으로, 물기가 있는 구획의 물기가 이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걸레부에 보다 오랬동안 물기가 머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물걸레 청소기의 동작을 설명한다.
걸레부(60)를 물에 적시면 물이 흡습되는데, 특히 스펀지층(64)에 가장 많이 흡습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벨크로(61)를 궤도벨트(40)의 제1벨크로(41)에 부착한다. 제2벨크로(61)와 제1벨크로(41)가 완전히 부착된 후 걸레부(60)의 서브벨크로(60a)(60b)를 상호 부착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레부(60)는 무한궤도를 이루며 궤도벨트(40)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물걸레 청소기를 비스듬하게 세우면 도 11에 도시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바닥 청소를 하게 된다. 이때, 압압부(20)에는 쿠션(21)이 형성됨으로써 걸레부(60)와 바닥(F) 사이의 밀착력이 크게 된다.
바닥을 닦은 후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가 더러워지면, 사용자는 놉(31)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롤러(30) 및 압압부(20)에 감겨진 궤도벨트(40)가 궤도운동되면서 회전되고, 이에 따라 궤도벨트(40)에 부착된 걸레부(60)도 무한궤도 이동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압압부(20)에 밀착되어 있던 걸레부(60)의 더러운 부분은 깨끗한 부분으로 교체된다.
한편, 걸레부(60) 내부의 스펀지층(64)은 구획띠(64a)에 의하여 여러개의 구획부(64b)(64c)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하나의 구획부(64b)에 흡습된 물기가 다른 구획부(64c)로 모세관 이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롤러(30)를 회전시켜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의 더러운 부분이 깨끗한 부분으로 바뀌더라도, 즉 압압부(20)에 밀착된 하나의 구획부가 다른 구획부로 바뀌더라도, 압압부(20)에 밀착되는 걸레부에는 항상 물기가 머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압압부(20)는, 본체(10)에서 하방 및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물걸레 청소기를 세우거나 뉘일때에도 압압부(20)에 밀착된 걸레부(60)는 바닥(F)을 닦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물걸레 청소기와 바닥(F) 사이의 경사 범위(??)가 크게 되므로, 사람손이 잘 닫지 않는 침대나 소파를 효과적으로 닦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 청소를 마감한 후 걸레부(60)를 분리할 때에는, 롤러(30)를 회전시켜 걸레부의 서브벨크로(60a)(60b)가 보이는 위치에 오도록 한 후, 걸레부(60)를 잡아당겨 제1벨크로(41)와 제2벨크로(61)를 분리시킴으로써 걸레부(60)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걸레부(60)는 세척한 후 재사용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압압부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압압부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4는 도 12의 압압부로부터 돌출되는 주입구가 본체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의 제2실시예가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은, 압압부(120)에 스팀발생장치가 설치되는 것이다.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물통(171)과, 물통(17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발생기(172)를 포함한다. 스팀발생기(172)에서 발생된 스팀은 압압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홀(123)을 통하여 분사된다. 물통(171)에는 물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171a)가 형성되고, 주입구(171a)에 뚜껑(171b)이 결합된다. 이때, 스팀발생기(172)는 그 자체에 히터를 설치하는 타입일 수도 있고, 공급되는 물을 초음파를 이용하여 증기로 변환한 후 그 증기를 가열시키는 타입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팀발생기(172)의 구성은 스팀청소기에 일반적으로 채용하는 공지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스팀발생장치를 사용할 때에는 걸레부(60)는 마른 상태로 사용한다. 마른 걸레부를 롤러(30)와 압압부(20)를 감싼 후, 스팀발생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스팀발생기(172)에서 스팀이 발생하고, 이 스팀은 분사홀(123) 및 압압부에 밀착된 걸레부(60)를 통하여 빠져나온다. 이때, 스팀은 고온 고압의 상태이므로, 방바닥에 달라붙은 먼지, 눌어붙은 기름때나 음식물 찌꺼기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걸레 청소기에 따르면, 롤러에 의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궤도벨트에 걸레부를 부착함으로써, 그 롤러를 회전시킴에 따라 걸레부를 무한궤도 운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물걸레 청소를 하는 도중에 걸레부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
또, 걸레부 내부에 스펀지부가 설치됨으로써, 물기를 머금는 시간이 길어지며, 더 나아가 스펀지부에 구획띠가 형성되어 하나의 구획부의 물기가 다른 구획부로 모세관 이동되지 못하므로 각각의 구획부에서 물기를 머금는 시간을 늘릴 수 있다. 따라서, 청소하는 도중에 물기가 마르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걸레부의 물기는 본체의 상부에 덮여지는 덮개에 의하여 증발되는 것을 다시 한번 막기 때문에, 청소도중에 물기가 마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압압부가 원통형상을 함으로써 그 압압부를 감싸는 걸레부가 바닥에 닿는 면이 최소화되고 이에 따라 걸레부와 닿는 부분에 많은 힘이 인가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깨끗한 청소가 가능함은 물론 묵은때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Claims (9)

  1. 후방에 손잡이봉(11)이 설치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압압부(20);
    상기 본체(10) 내부 후방에 설치되며, 그 본체(10) 외부의 놉(31)에 의하여 회전되고, 그 본체(10) 내부의 양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돌기(30a)가 형성된 롤러(30);
    상기 롤러(30)의 돌기(30a)에 걸어지는 걸림홈(40a)이 형성된 것으로서, 그 압압부(20)와 상기 롤러(30)를 무한궤도를 이루며 감싸며, 그 상부에 제1벨크로(41)가 설치된 한쌍의 궤도벨트(40);
    한쌍의 상기 제1벨크로(41)에 착탈되는 제2벨크로(61)가 후방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상기 궤도벨트(40)에 권회되어 부착되는 걸레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걸레부(60)로부터 물기가 증발하는 것을 막기 위한 덮개(1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20)의 가장자리측에는 한쌍의 상기 궤도벨트(40)의 회전 경로를가이드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0)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그 롤러(30)에는 회전구속클러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 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30)의 축에는, 외주에 다수의 스토퍼홈(35a')들이 형성된 스토퍼기어(35')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스토퍼홈(35a')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스토퍼기어(35')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레부(60)는, 상기 제2벨크로(61)가 형성된 부착면층(62)과, 바닥에 밀착되어 청소를 진행하는 밀착면층(63)과, 상기 부착면층(62)과 밀착면층(63) 사이에 설치되어 물기를 머금는 스펀지층(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지층(64)에는 다수개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띠(64a)가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구획부(64b)에 흡습되어 있는 물기가 다음 구획부(64c)로 이동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봉(11)에는 그 후방에서 굽어지는 권총형상을 가지는 손잡이(1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120)에는 스팀발생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물이 수용되는 물통(171)과, 상기 물통(17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고온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스팀발생기(172)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스팀발생기(172)에서 발생된 스팀이 상기 압압부(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분사홀(123)을 통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걸레청소기.
KR1020040071557A 2004-09-08 2004-09-08 물걸레 청소기 KR20040089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557A KR20040089011A (ko) 2004-09-08 2004-09-08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557A KR20040089011A (ko) 2004-09-08 2004-09-08 물걸레 청소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010U Division KR200381928Y1 (ko) 2005-01-13 2005-01-13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9011A true KR20040089011A (ko) 2004-10-20

Family

ID=3737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557A KR20040089011A (ko) 2004-09-08 2004-09-08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901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30B1 (ko) * 2011-09-06 2014-01-09 어수곤 물걸레 청소기
CN106388731A (zh) * 2016-11-09 2017-02-15 青岛蓝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式环形清洁带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830B1 (ko) * 2011-09-06 2014-01-09 어수곤 물걸레 청소기
CN106388731A (zh) * 2016-11-09 2017-02-15 青岛蓝豆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复合式环形清洁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7831A (en) Cloth-covered sponge mop
US5000204A (en) Eyeglass cleaning kit and method of cleaning eyeglasses
US8069526B2 (en) Over-the-hand cleaning device having independently-movable cleaning tool
WO2006014245A1 (en) Steam nozzle attachment for use with steam cleaner
US20060000241A1 (en) Fabric steam pocket and attachment for use with steam cleaner
US6134741A (en) Absorbent cleaning slippers
KR200381928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89011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60131436A (ko) 물걸레 청소기
KR101120273B1 (ko) 물걸레 청소기
US20050005385A1 (en) Washcloth holder
KR20060095856A (ko) 스팀청소기
KR200310237Y1 (ko) 간이식 청소기
KR20060107464A (ko) 스팀청소기
KR20050008573A (ko) 물걸레청소기용 전용물걸레
KR200352779Y1 (ko) 물걸레 청소기
KR20120007481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27629A (ko) 물걸레 청소기
JP2008167966A (ja) 掃除用具、鏡用掃除用具、床用掃除用具、電子機器用掃除用具及び窓ガラス用掃除用具
KR20060095855A (ko) 스팀청소기
KR20060095857A (ko) 진공스팀청소기
US6523216B1 (en) Scrub brush cover device
KR101348830B1 (ko) 물걸레 청소기
KR20040032829A (ko) 물걸레 청소기
KR20060095852A (ko) 스팀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