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493A - 원통형 스텐트 - Google Patents

원통형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493A
KR20040087493A KR1020030021914A KR20030021914A KR20040087493A KR 20040087493 A KR20040087493 A KR 20040087493A KR 1020030021914 A KR1020030021914 A KR 1020030021914A KR 20030021914 A KR20030021914 A KR 20030021914A KR 20040087493 A KR20040087493 A KR 2004008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s
turn
stent
portions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782B1 (ko
Inventor
강성권
김은상
이세철
김종규
권정수
이정철
조금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030021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782B1/ko
Publication of KR2004008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6Blood vessels
    • A61F2/07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1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 A61F2/915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made from perforated sheet material or tubes, e.g. perforated by laser cuts or etched holes with bands having a meander structure, adjacent bands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4Stents retaining their form, i.e. not being deformable, after placement in the predetermined pl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1Cross-sections or two-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112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 A61F2002/30136Rounded shapes, e.g. with rounded corners undulated or wavy, e.g. serpentine-shaped or zigzag-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30Joints
    • A61F2002/30001Additional features of subject-matter classified in A61F2/28, A61F2/30 and subgroups thereof
    • A61F2002/30108Shapes
    • A61F2002/30199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002/30224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2/821Ostial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14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using shape memory or superelastic materials, e.g. nitin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4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 A61F2250/0012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adjustable for adjusting elasticity, flexibility, spring rate or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는 원통형 스텐드에 관한 것으로서, [ⅰ] 와이어가 원주면을 따라 직선부(1a)들로 연결되는 다수의 피크부(1c)와 밸리부(1b)를 가지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 하면서 형성하는 기준턴(1)들이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기준턴의 높이(h)의 2배 간격으로 서로 교차점 없이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준턴과, [ⅱ] 상기 기준턴의 좌·우 경사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코일 상으로 감아 상기 복수개의 기준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턴(2)들이 좌·우 경사방향으로 기준턴 직선부 간의 거리(d)의 2배 간격으로 배치 되어있는 복수개의 연결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픈타입의 단위셀을 갖고 있어서 혈관 및 내강의 변형곡선과 밀착이 잘 되고, 굴곡시에도 원통형상을 그대로 유지하여 혈관 등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고, 고정용 와이어 형성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스텐트 {A cylindrical stent}
본 발명은 내강용 의료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혈관 또는 식도 등의 내강이 협착된 경우 이를 확장해 주는 자기팽창형 의료용구(이하 "스텐트" 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최소한의 크기로 축소될 수 있을 뿐만아니라 팽창성이 우수하고, 내강의 굽어진 모양대로 잘 휘면서 유연성도 아주 우수한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내에 발생되는 질병에 의해 인체내의 내강들은 협착되어 기능이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예컨대, 내강이 협착된 경우로는 식도암으로 식도가 협착을 일으키거나, 동맥경화증에 의해 원활한 혈액순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또는 간으로부터 나오는 담즙이 흐를 수 있는 트랙이 협착된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내강이 협착된 상태에서는 음식물이나 혈액 또는 담즙 등이 원활히 흐를 수 없기 때문에 협착된 내강을 확장시켜 통로를 유지시켜 주어야 하는데, 이 경우에 협착된 통로를 확장하여 유지시켜 주기위한 방법으로 예컨대, 스텐트(Stent)가 내강에 삽입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대체적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원통형 구조체를 이루고,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외력을 가하여 수축시킬 수 있고 이 외력을 제거하면 자체 팽창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자체 팽창형 스텐트는 여러가지 특성 즉, 내강을 팽창시켜 주기 위한 팽창성과, 내강의 굽어진 부위에서 내강의 굽어진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유연하게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일정한 직경으로 축소되기 위한 축소성 등을 보유해야 스텐트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스텐트의 특성중 팽창성이 부족하면 내강의 최초 삽입된 위치로부터 쉽게 이동하게 되고, 유연성이 부족하면 스텐트가 내강의 굽어진 부위에서 팽창할 때 내강의 굽어진 부위에서 적응성이 떨어지게 되며, 축소성이 부족하면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장치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기능을 갖는 스텐트가 다수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스텐트는 크게 나선형 스텐트와 지그재그형 스탠트로 나눌 수 있다.
상기한 나선형 스텐트중 대표적인 것으로는, 단위 길이를 갖는 필라멘트를 원통형 벽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감아주고 다시 지그재그 형태로 양끝단을 왕복함과 아울러 서로 교차하여 메쉬를 만들어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나선형 스텐트는 작은 직경으로 축소될 수 있어 유연성이 우수한 반면 이 유연성으로 인하여 팽창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998-67399호 등에서는, 필라멘트를 다수의 직선부와 다수의 밴딩 포인트에 의하여 이 직선부를 연결하는 피크부 및 밸리부를 이루도록 지그재그로 다수의 턴을 행하며, 상기한 어느 일턴의 밸리부는 이 일턴과 이웃하는 턴의 대응하는 피크부를 도 7 및 도 8과 같이 서로 꼬아서 연결하여 이루어진 스텐트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스텐트는 좁아진 내강을 확장시키는 팽창성이 우수한 반면 유연성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작은 크기로 축소하기 곤란하며, 내강의 굽어진부위에서 굽어진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셀 내에 오픈구역(3)을 갖고 있어서 최소한의 크기로 축소될 수 있고, 팽창성과 유연성이 우수하여 내강이 굽어진 부위에서 혈액 등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원통형상을 잘 유지하고 내강의 굽어진 모양대로 휘면서 내강 내벽과 잘 밀착되는 원통상 스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스텐트의 정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스텐트의 단위셀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스텐트의 기준턴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4 - 도 6은 본 발명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종래 스텐트에 있어서 기준턴들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기준턴 2 : 연결턴 3 : 오픈구역
1a : 기준턴의 직선부 1b : 기준턴의 밸리부
1c : 기준턴의 피크부 d : 기준턴의 직선부간 거리
h : 기준턴의 높이 H : 기준턴 간의 간격
D : 연결턴 간의 간격 10 : 스텐트 제작용 지그
11 : 제 1 기준핀 12 : 제 2 기준핀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원통상 스텐트는,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는 원통형 이며, [ⅰ] 와이어가 원주면을 따라 직선부(1a)들로 연결되는 다수의 피크부(1c)와 밸리부(1b)를 가지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 하면서 형성하는 기준턴(1)들이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기준턴의 높이(h)의 2배 간격으로 서로 교차점 없이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준턴과, [ⅱ] 상기 기준턴의 좌·우 경사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코일 상으로 감아 상기 복수개의 기준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턴(2)들이 좌·우 경사방향으로 기준턴 직선부 간의 거리(d)의 2배 간격으로 배치 되어있는 복수개의 연결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통상 스텐트는 도 1의 사시개략도와 같이 단위길이를 갖는 와이어가 원주면을 따라 다수의 밴딩 포인트를 가지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하면서 형성하는 다수개의 기준턴(1)을 포함한다.
상기 기준턴은 도 3과 같이 다수개의 피크부(1c)와 밸리부(1b)를 갖고, 상기 피크부(1c)와 밸리부(1b)들은 좌·우로 경사진 직선부(1a)들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준턴(1)들은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기준턴의 높이(h)의 2배 간격으로 서로 교차점 없이 배열된다.
한편, 본 발명의 원통상 스텐트는 도 1의 사시개략도와 같이 상기 기준턴의 좌·우 경사 방향으로 배열(기준턴의 직선부를 따라 배열)되면서 이와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코일상으로 감아 상기 복수개의 기준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다수개의 연결턴(2)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턴(2)들은 기준턴 직선부(1a) 간의 거리(d)의 2배 간격으로 배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기준턴(1)과 연결턴(2)들에 의해 본 발명의 원통상 스텐트는 도 2와 같은 단위셀을 형성한다.
상기 도 2의 단위셀에는 서로 인접하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연결하는 연결턴(2)들이 배열되지 않은 구역, 다시말해 오픈구역(Open Area)이 있어서 스텐트의 유연성을 크게 향상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스텐트를 적은 크기로 축소할 수 있으며, 내강의 굴곡부분에서도 스텐트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혈액 등의 흐름을 양호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턴(2)들이 이와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코일상으로 감고 있어서 팽창성도 우수하다. 연결턴(2)이 기준턴의 직선부(1a)를 감는 회수는 2-10회인 것이 바람직 하다. 기준턴(1) 및 연결턴(2)을 이루고 있는 와이어는 형상기억 합금인 니타놀인 것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원통상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일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와 같이 스텐트 제작용 지그(10)의 제 1 기준핀(11)과 제 2 기준핀(12)을 따라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일회전하여 하나의 기준턴(1)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기준턴으로부터 지그(10)의 아래방향으로 기준턴 높이(h)의 2배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또하나의 기준턴(1)을 형성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원통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교차점 없이 배열 되어있는 복수개의 기준턴들을 형성한다.
다음으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좌·우 경사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턴(2)을 형성한다. 이때, 연결턴(2) 간의 간격은 기준턴 직선부간 거리(d)의 2배가 되도록 조정하며, 연결턴(2)과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는 연결턴(2)으로 감아준다.
상기한 연결턴(2)의 형성이 완료되면 와이어가 지그(10)의 제 1 기준핀(11)으로 위치하게 되며, 이때 와이어를 매듭하면 스텐트의 세선 작업이 완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연결턴(2)의 매듭이 스텐트를 내강에 고정시키는 고정용 와이어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별도로 고정용 와이어를 제작, 부착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세선작업이 완료된 스텐트를 스텐트 제작용 지그(10)와 함께400℃-600℃로 세팅된 가열오븐에서 10-20분 동안 가열한 후 상온에서 30분-4시간 서냉하고, 스텐트를 지그(10)로 부터 분리하고, 마무리 작업을 하면 스텐트의 제조가 완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스텐트 제조를 위한 가열 및 서냉 조건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원통상 스텐트는 단위셀 내에 오픈구역을 갖고 있어서 유연성과 팽창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 결과 최소한의 크기로 축소될 수 있고, 내강의 굽어진 부위에서 원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고, 내강의 굽어진 부위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용 와이어 개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3)

  1. 와이어로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방향의 축을 가지는 원통형 스텐드에 있어서,
    [ⅰ] 와이어가 원주면을 따라 직선부(1a)들로 연결되는 다수의 피크부(1c)와 밸리부(1b)를 가지면서 지그재그로 일회전 하면서 형성하는 기준턴(1)들이 원통 길이방향을 따라 기준턴의 높이(h)의 2배 간격으로 서로 교차점 없이 배열되어 있는 복수개의 기준턴과,
    [ⅱ] 상기 기준턴의 좌·우 경사방향으로 배열되면서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코일 상으로 감아 상기 복수개의 기준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연결턴(2)들이 좌·우 경사방향으로 기준턴 직선부 간의 거리(d)의 2배 간격으로 배치 되어있는 복수개의 연결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스텐트.
  2. 1항에 있어서, 와이어가 형상기억 합금인 니타놀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스텐트.
  3. 1항에 있어서, 연결턴(2)이 이와 겹쳐지는 기준턴의 직선부(1a)들을 2-10회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스텐트.
KR1020030021914A 2003-04-08 2003-04-08 원통형 스텐트 KR100548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914A KR100548782B1 (ko) 2003-04-08 2003-04-08 원통형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1914A KR100548782B1 (ko) 2003-04-08 2003-04-08 원통형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493A true KR20040087493A (ko) 2004-10-14
KR100548782B1 KR100548782B1 (ko) 2006-02-01

Family

ID=3736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1914A KR100548782B1 (ko) 2003-04-08 2003-04-08 원통형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112A1 (en) * 2008-07-16 2010-01-21 S&G Biotech, Inc. Stent used in blood vess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056B1 (ko) * 2021-12-31 2023-12-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복수의 형상기억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팽창 스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8112A1 (en) * 2008-07-16 2010-01-21 S&G Biotech, Inc. Stent used in blood vess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782B1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3699A (en) Extending ribbon stent
US6241757B1 (en) Stent for expanding body's lumen
CN100581504C (zh) 维持可变状态型移植片固定模及其制造方法
US5860999A (en) Stent and method of using same
AU712001B2 (en) An expandable endovascular stent
JP2010521217A (ja) 内腔拡張用ステント
KR100267019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JP2011504407A (ja) 円筒形ステント
EP1235535B1 (en) Stent
KR100548781B1 (ko) 원통형 스텐트
EP1542761B1 (en) A cylindrical stent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KR100320239B1 (ko) 내강확장용스텐트와그제조방법
KR200194614Y1 (ko) 스텐트
US8323331B2 (en) Radially expansible stent
JP7252671B2 (ja) ステントおよびその製作方法
KR100240832B1 (ko) 인체내의 내강 확장용 스텐트와 그 제조 방법
KR100269572B1 (ko) 내강 확장용 스텐트 및 그 제조방법
WO2004105853A1 (en) A cylindrical stent
KR100190755B1 (ko) 내강 확장용 의료용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26385A (ko) 스텐트 제조 방법
KR10042429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담즙관 확장기구의 제조방법과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KR100298047B1 (ko) 내강확장용스텐트
JP2019118810A (ja) 内腔拡張用3重構造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72698A (ko) 복수조합으로 구성된 내강확장용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