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6760A -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 Google Patents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6760A
KR20040086760A KR1020040021488A KR20040021488A KR20040086760A KR 20040086760 A KR20040086760 A KR 20040086760A KR 1020040021488 A KR1020040021488 A KR 1020040021488A KR 20040021488 A KR20040021488 A KR 20040021488A KR 20040086760 A KR20040086760 A KR 20040086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er
housing
bracket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캐롤 로데스 카탈라노
아론 글린 더블
아담 카
맥심 다니엘 허위츠
Original Assignee
제이.다데어리오 앤드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다데어리오 앤드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다데어리오 앤드 컴퍼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8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676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10G7/02Tuning forks or lik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에 관한 것으로, 이 전자 튜너는 악기를 조율하기 위한 전자 회로부가 그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튜너 하우징, 그리고 이 튜너 하우징 상에서 왕복 활주 운동 및 선회 운동할 수 있는 다중 위치 설정 가능한 다기능성 브라켓을 포함한다. 이 브라켓은 튜너 하우징에 밀접하게 맞대어 놓여져 받침대로서 기능하는 한편, 전자 튜너를 수직 위치 또는 약간 각진 위치에 지지하는 폐쇄 위치, 그리고 전자 튜너가 조율된 악기에 매달릴 수도 있도록 하는 소정 위치에 설정 가능하다.

Description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ELECTRONIC TUNER FOR TUNING A MUSICAL INSTRUMENT}
본 발명은 악기용 튜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현악기용의 전자 튜너에 관한 것이다.
기타와 같은 현악기는 통상, 악기의 각각의 현을 튕기거나, 뜯거나, 치는 등의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주파수를 검출하여 그 발생 진동 주파수와 표준 음계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알려주는 전자 튜너를 사용하여 조율이 이루어지고 있다.
튜너의 사용 시에는, 악기 조율자가 발생 진동 주파수와 목표 주파수 사이의차이를 알려주는 영상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튜너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외부 간섭은 최소화하면서 악기가 내는 소리를 최대한도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변환기(예를 들어, 마이크로폰)를 악기의 공명판 구멍에 대면하는 상태로 튜너를 그 공명판 구멍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조율자가 양손으로 자유롭게 악기를 잡고, 연주하면서 조율을 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와 같은 목표가 달성되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 다수의 튜너 및 튜너 홀더가 개발되어 왔다.
미국 특허 제5,728,959호에는 마이크로폰 받침대 상에 튜너를 장착하기 위한 튜너용의 고정 홀더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홀더의 경우, 악기 조율자가 영상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하면서 변환기가 악기의 공명판 구멍에 대면하도록 튜너를 배치하는 데에는 효율적이지만, 튜너가 악기의 공명판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를 두고 장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899,636호에는 기타 본체에 튜너를 장착하기 위하여 흡입 컵이 일체로 합체되어 있는 기타용 튜너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튜너의 경우, 변환기가 공명판 구멍에 마주하는 상태로 튜너를 공명판 구멍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또한 기타 조율자가 영상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하기에는 대체로 효율적이지만, 기타 소유주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장치를 기타 본체에 부착하는 일이 상당히 달갑지 않은데, 그 이유는 흡입 컵이 기타 본체에 자국을 남기거나 본체를 긁어, 다시 말해 기타에 손상을 입힐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미국 의장 제353,826호에는 플랫폼을 기타의 공명판 구멍에 매달기 위한 형상 및 배열을 갖는 기타용 튜너 홀더가 묘사되어 있다. 이 홀더는 플랫폼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여 공명판 구멍을 통과하여 기타 본체의 내면과 정합하도록 되어 있는 중앙 부분에 위치한 상측 손잡이와, 좌우측 레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공명판 구멍 바로 아래에서 기타 본체의 외면과 정합하도록 되어 있는 한 쌍의 측방향으로 이격된 하측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다. 이 홀더의 경우, 기타 조율자가 튜너의 영상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하는 배향 상태에서 공명판 구멍에 최대한 가깝게 튜너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는 대체로 효율적이지만, 플랫폼이 공명판 구멍으로부터 외측으로 직선형으로 연장하여, 튜너가 기타줄 바로 직전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기타줄을 치는 일이 방해받게 되는 한편 변환기가 기타줄의 적어도 일부의 위쪽에 배치되는 결과가 초래된다.
따라서, 악기의 연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변환기가 공명판 구멍에 대면하는 상태로 그리고 악기 조율자가 영상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는 상태로 현악기의 공명판 구멍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될 수도 있는 튜너 및 홀더에 대한 요구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 위치 설정 가능한, 다기능성 튜너 브라켓을 구비하는 전자 튜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기의 공명판 구멍에 매달 수도 있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튜너를 거의 수직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기능할 수도 있는 다중 위치 설정 가능한 브라켓을 갖춘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콤팩트한 구성을 갖고 있으면서 악기에 부착되도록 신장 가능한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공지의 전자 튜너 및 튜너 홀더가 본래부터 갖고 있는 단점을 극복하는 악기용 전자 튜너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 공명판 구멍을 구비한 기타와 같은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는 튜너의 전자 회로부를 수용하는 튜너 하우징, 그리고 이 튜너 하우징에 선택적으로 활주 및 선회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 튜너 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튜너 하우징은 그 각각의 측벽에 형성된 두개의 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의 일 측벽 상의 홈은 하우징의 일 주변 단부에 개방 단부를 구비하며, 타측벽의 홈은 폐쇄되거나 동일한 주변 단부에 정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 튜너의 튜너 브라켓은 튜너 하우징 상에 선택적으로 선회 및 활주 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브라켓은 메인 본체, 이 메인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후크형 단부, 그리고 메인 본체로부터 후크형 단부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향하는 평행한 측벽을 구비한다. 튜너 브라켓의 측벽은 그 내면이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어, 그 사이에 튜너 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예정된 거리를 두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 측벽은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각각의 브라켓 측벽은 그 각각의 내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돌출부를 적어도 구비한다. 이들 제2 돌출부는 튜너 하우징의 측벽에 형성된 대응하는 홈에 수용되어그 홈 내부에서 활주 운동한다. 브라켓 측벽 중 하나에 형성된 제1 돌출부는 또한, 튜너 하우징에 형성된 두개의 홈 중 대응하는 하나의 홈에 수용되어 마찬가지로 그 홈 내부에서 활주 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특정 구조에 의하면 튜너가 여러가지 방식으로 사용 및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브라켓은 전자 튜너의 전방 표면 상에 놓여지며, 이 때 그 후크형 단부는 튜너의 일 단부 둘레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브라켓의 메인 본체는 연주자가 이 "폐쇄" 위치에서 브라켓을 구비한 튜너를 사용할 수도 있도록 전자 하우징 상에 장착된 영상 조율 표시 장치 또는 각종 전자 누름 버튼 스위치, 그리고 그외 구성 요소를 덮고 있지 않다.
브라켓은 또한 받침대로서 배치 가능하다. 제1 돌출부가 그 개개의 홈의 개방 단부를 통과할 때까지 사용자가 튜너로부터 외측으로 브라켓을 활주시킨다. 브라켓은 그 후, 제1 돌출부가 튜너의 후방부에 접촉하여 연주자가 튜너의 전방 표면 상의 조율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거의 수직 위치 또는 예정된 각도에 튜너를 지지할 때까지 튜너 하우징에 대해 하방으로 제2 돌출부 상에서 선회된다. 이 제2 위치에서, 브라켓은 튜너가 평평한 표면 등에 놓여질 수도 있도록 튜너용의 받침대로서 작용한다.
브라켓은 또한 그 후크형 단부에 의해 연주자가 악기의 공명판 구멍에 튜너를 매달아 조율 시에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브라켓이 제1 돌출부가 대응하는 홈의 개방 단부를 관통하도록 하우징으로부터 완전히 신장된 경우, 브라켓은 튜너 하우징의 전방 표면을 향해 반대 방향으로 선회될수도 있다. 브라켓은 튜너 하우징의 전방 표면 위에 특정 각도로 적소에 잠금되어, 연주자가 그의 악기의 공명판 구멍의 가장자리 상에 브라켓의 후크형 단부를 배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은 따라서, 조율자가 그의 악기를 조율하는 동안 조율 표시 장치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각도로 공명판 구멍으로부터 튜너를 매달게 된다. 사용자가 손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브라켓은 이 위치로부터 하방으로 다시 선회될 수도 있으며, 그 후크형 단부가 튜너 하우징의 전방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즉 브라켓이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로 튜너의 가장자리와 접촉할 때까지 튜너 하우징 상에서 미끄러진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그 이외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이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읽음으로써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폐쇄 위치에 있는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등축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등축 전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는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제1 측면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에 있는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제2 측면도.
도 4는 튜너 하우징 상으로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있는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도 3에 도시된 바와 유사한 측면도.
도 5는 튜너 하우징 상으로 전체적으로 연장되고 있는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측면도.
도 6은 브라켓을 현악기의 공명판 구멍 상에 후크 체결되도록 배치된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등축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튜너가 악기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는 위치의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측면도.
도 8은 튜너용의 받침대로서 기능하는 위치에 있는 튜너 브라켓을 보여주는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등축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전자 튜너용의 받침대로서 기능하는 위치에 있는 브라켓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전자 튜너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자 튜너
4 : 튜너 하우징
6 : 튜너 브라켓
12 : 영상 조율 표시 장치
14 : 누름 버튼 스위치
16 : LED
본명세서에는, 본 발명과 동시에, 맥심 허윅즈(Maxim Hurwicz)에 의해 이루어진, PCT 출원에 기초하여 2001년 10월 2일자로 출원된 제PCT/US01/30903호의 "현악기 튜너 홀더"란 제목의 미국 특허 출원이 참조되어 있으며, 이 참조된 미국 특허 출원은 또한 2000년 10월 2일자 미국 가출원 제60/237,336호를 우선권 주장하고 있는 것으로, 그 각각의 명세서가 본원에 참조로써 합체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우선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전자 튜너(2)는 튜너 하우징(4), 그리고 이 튜너 하우징(4) 상에서 선택적으로 활주 이동하여 선회 이동하는 튜너 브라켓(6)을 포함함을 알 수 있다. 튜너 하우징(4)은 서로 협력하여 그 내부에 튜너(2)의 전자 회로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획정하는 두개의 짝을 이루는 절반체(8, 1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너(2)의 전자 회로부는 통상적인 것으로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사항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다루어지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인 사항을 말하자면, 전자 회로부는 악기로부터 방출된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변환기(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와, 악기 조율자가 볼 수 있는 영상 조율 표시 장치(12)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회로부는 사용자로 하여금 전자 튜너 및 그 관련 회로부, 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LED)(16)를 조작 또는 프로그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누름 버튼 스위치(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또한, 사용자에게 전자 튜너(2)를 사용한 악기 조율을 돕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전자 튜너(2)는 또한, 원거리에 위치한 변환기에 접속된 전자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전자 잭, 소켓 또는 그외 리셉터클(18)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변환기는 튕겨진 현의 진동을 감지하는 한편 분석을 위해 튜너 회로부에 제공되는 전자 신호를 발생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빌트인 구조의 변환기 또는 원거리 변환기는 진동 현의 주파수를 감지하여,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신호는 튜너(2)의 전자 회로부에 제공되며, 전자 회로부는 영상 표시 장치(12)가 인지 가능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영상 표시 장치(12)는 튕겨진 현의 진동 주파수와 표준 악기의 목표 주파수 사이의 차이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12)에 표시된 이 정보를 확인하여 그에 따라, 영상 표시 장치(12) 또는 LED(16) 상에 표시된 바와 같은 목표 주파수에 도달할 때까지 튕겨진 현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 명세서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써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899,636호(치바(Chiba)등에 의한)에 개시된,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미국 특허 제5,637,820호(위트만(Wittman) 등에 의한), 제6,291,755호(히네(Hine)등에 의한), 그리고 제5,777,248호(캠프벨(Campbell)) 중 하나에 개시된 전자 회로부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당업자의 능력 및 지식 범위 내에 있는 이러한 회로부의 변형예가 본 발명의 튜너용 회로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형태에 있어서, 튜너 하우징(4)은 전방 벽(20)과, 이 전방 벽(20)의 반대쪽에 배치된 후방 벽(22)과, 전방 및 후방 벽(20, 22)의 사이에 위치한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벽(24, 26)과, 제1 측벽(28), 그리고 이 제1 측벽(28) 반대쪽에 배치된 제2 측벽(3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측벽(28, 30)은 제1 및 제2 단부 벽(24, 26)과, 전방 및 후방 벽(20, 22)의 사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단부 벽(24)은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이 도 1에 도시된 제1 위치(폐쇄 또는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 튜너 브라켓(6)의 후크형 단부(32)가 제1 단부 벽(24)에 밀접하여 맞대어 배치되도록 곡선형으로 또는 원형으로 만곡되어 있다.
도 3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측벽(28, 30)에는 각기 그 내부에 제1 홈(34) 및 제2 홈(3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홈은 측벽의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하우징의 제1 측벽(28) 상에 도시된 제1 홈(34)은 제1 측벽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할 수도 있으며, 또는 제2 단부 벽(26) 이전에서 종결될 수도 있다. 제2 측벽(30)에 형성된 제2 홈(36)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34)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측벽(28)의 제1 홈(34)은 도중에 중단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전자 잭 또는 리셉터클(18)이 포함된 경우에는 그 전자 잭 또는 리셉터클(18)이 제1 측벽(28)에 장착된 지점에서 보다 얕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홈(34)이 튜너 브라켓(6)과 튜너 하우징(4)의 작동 및 이들 두 구성 요소 사이의 협력 관계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배치된 경우, 튜너 하우징(4) 및 튜너 브라켓(6)의 특정 구조에 의해 제1 측벽(28)의 전자 잭 또는 리셉터클(18)의 배치가 보상된다.
바람직하게는, 튜너 하우징(4)의 제1 및 제2 측벽(28, 30) 중 하나 또는 모두에는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 부근으로 "정지부(stop)" 구조체가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정지부의 용도는,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이 튜너 하우징(4)으로부터 신장되는 경우 튜너 브라켓(6)의 피봇 핀(38)(본 명세서에서 또한 "제2 돌출부"로 일컬어지고 있는)이 대응 홈(34, 36)을 벗어나 활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정지부 구조체는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 부근으로, 제1 및 제2 홈(34, 36) 중 하나 또는 모두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은 튜너 브라켓의 피봇 핀(38)과 접촉하여 튜너 하우징(4)에 대한 튜너 브라켓(6)의 추가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 이 "정지부" 구조체는 제1 홈(34), 제2 홈(36), 또는 이들 양 홈의 양측을 둘러싸는 긴 U-자형 컵(40)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긴 U-자형 컵(40)은 대응 홈(34 또는 36)의 양측에 제공된, 그 홈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두개의 직선 세그먼트(42)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그먼트(42)는 기본적으로, 이것이 형성된 측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릿지(ridge) 또는 융기면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경사진 외면(44)을 구비하며, 튜너 브라켓(6) 상에 형성된 잠금 돌출부(46)(이후에 또한 "제3 돌출부"로 일컬어지고 있는)가 U-자형 컵의 직선 세그먼트(42) 위에 얹혀지도록 함으로써 그 돌출부(46)가 대응 홈(34 또는 36)에 의해 수용되어 그 내부에 선택적으로 유지될 수도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정지부" 구조체, 즉 긴 U-자형 컵(40)의 바람직한 형태에는 또한, 직선 세그먼트(42)에 인접하게 그 개개의 홈(34 또는 36)의 어느 한쪽에 형성된 한 쌍의 곡선형 세그먼트(48)가 포함되어 있다. 이 곡선형 세그먼트(48)의 내면이 이루는 반경은, 피봇 핀(38)이 긴 U-자형의 컵(40) 내부에 포획 유지되어 상기 홈 내부에서 왕복 활주 운동하여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튜너 브라켓(6) 상의 피봇 핀(38)의 반경과 적어도 동일하게, 또한 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약간 크게 결정된다. 상기 U-자형 컵(40)은 따라서, 피봇 핀(38)이 그 내부에서 이동하는 보다 깊은 트랙을 획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보다 상세히 후술되는 바와 같이, U-자형 컵(40)의 곡선형 세그먼트(48)는 리브(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돌출부(50)"로 일컬어지고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한 다른 돌출부가 그 사이를 통과하여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을 지나치도록 하기 위하여 예정된 거리를 두고 분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튜너 하우징(4)의 제1 및 제2 측벽(28, 30)에 각기 형성된 제1 및 제2 홈(34, 36) 중 하나 또는 모두에는 제1 횡방향 홈 폭을 갖는 제1 부분(52) 및 제2 횡방향 홈 폭을 갖는 제2 부분(54) 중 적어도 하나가 획정되어 있다. 제1 부분(52)에 걸친 제1 홈 폭은 제2 부분(54)에 걸친 제2 홈 폭보다 작다. 홈의 제1 부분(52)은 홈의 제2 부분(54)보다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에 가깝게 배치된 부분이며, 홈의 제2 부분(54)은 홈의 제1 부분(52)보다 튜너 하우징(4)의 제2 단부 벽(26)에 가깝게 배치된 부분이다. 또한, 제1 및 제2 홈(34, 36)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이러한 특정 구조를 갖출 수도 있다.
튜너 하우징(4)의 제1 및 제2 측벽(28, 30)에 각기 형성된 제1 및 제2 홈(34, 36) 중 하나 또는 모두는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에 위치한 개방 단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은 튜너 브라켓(6)의 제1 돌출부(50)가 홈의 개방 단부(56)와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 사이를 통과하여 이들을 지나치도록 하는 한편, 피봇 핀(38)(즉, 제2 돌출부)은 그 개개의 홈 내에 포획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홈의 보다 폭 넓은 제2 부분(54)과 폭이 보다 좁은 제1 부분(52) 사이의 접합부는 홈 내부에서 피봇 핀(38)이 추가로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다른 "정지부" 구조체를 형성한다.
도 1, 도 2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홈(34, 36)의 각각 또는 모두는 돌출부, 또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홈의 바닥을 획정하는 대응 측벽 표면에 형성된 램프(ramp;5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램프(58)는 "정지부" 구조체(홈의 폐쇄 단부, 긴 U-자형 컵의 곡선형 세그먼트(48), 또는 홈의 보다 폭 넓은 부분(54) 및 폭이 보다 좁은 부분(52)의 접합부와 같은)의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데, 특히 사용자가 튜너 하우징(4) 상에서 튜너 브라켓(6)을 그 폐쇄 위치로 활주시키는 경우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을 손으로 가압하여 피봇 핀(38)이 램프(58) 위에서 후진 이동하여 튜너 하우징(4)의 제2 단부 벽(26)을 향해 홈을 관통할 때까지 피봇 핀(38)(즉, 제2 돌출부)이 그 일측은 램프(58) 위에 얹혀지고 타측은 홈에 포획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거리로 이격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튜너 브라켓(6)의 바람직한 형태가 후술된다. 튜너 브라켓(6)은 메인 본체(60), 이 메인 본체(60)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형 단부(32), 제1 측벽(62), 그리고 이 제1 측벽(62)의 반대쪽에 배치된 제2 측벽(64)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은 메인 본체(60)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며, 또한 후크형 단부(32)의 연장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한다.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은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 각각은 외면(66) 및 그 대향하는 내면(68)을 구비한다.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벽(62, 64)의 내면(68)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어 있다. 튜너 브라켓(6)의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측벽(62, 64)은 튜너 하우징(4)을 그 사이에 수용하도록 예정된 거리를 두고 서로 분리되어 있다. 튜너 브라켓(6)과 튜너 하우징(4)은 적당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튜너 브라켓(6)의 두개의 제1 및 제2 측벽(62, 64)은, 이들이 튜너 하우징(4) 위에 끼워져 그 튜너 하우징(4)의 제1및 제2 측벽(28, 30)과 밀접하게 정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약간 탄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뿐만 아니라 도 3 내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형 단부(32)는 내측으로 곡선형으로 만곡되며,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의 곡률에 거의 일치하는 곡률을 갖고 있다. 이렇게 해서, 후크형 단부(32)는 튜너 브라켓(6)이 도 1, 도 3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서 튜너 하우징(4) 상에 배치되는 경우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과 당접하도록 꽉맞게 끼워질 수 있다. 튜너 브라켓(6)의 후크형 단부(32)는, 본 발명이 튜너(2)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율될 현악기의 공명판 구멍(70)에 매달릴 수도 있도록 하게 위해 제공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도 2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 모두가 피봇 핀(38)(즉, 제2 돌출부)을 포함하여, 이 피봇 핀(38)이 그 내면(68)으로부터 연장함으로써, 양 피봇 핀(38)이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 사이에 획정된 공간을 향해 내측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피봇 핀(38)은 튜너 하우징(4)의 제1 및 제2 측벽(62, 64)에 각기 형성된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홈(34, 36)에 수용된다. 피봇 핀(38)은 홈(34, 36)의 폭과 기껏해야 동일한(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이보다 약간 작은) 폭 또는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홈 내에 활주 및 선회 운동할 수도 있도록 수용된다. 홈에 상이한 횡방향 홈 폭을 갖는 제1 및 제2 부분(52, 54)이 형성된 경우, 피봇 핀(38)은 홈의 제2 부분(54)의 횡방향 홈 폭과 기껏해야 동일하지만(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약간 작지만), 홈의 제1 부분(52)의 횡방향 홈 폭보다는 큰 폭 또는 직경을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홈의 제2 부분(54)의 폭은 제1 부분(52)의 폭보다 넓다. 따라서, 홈에 상이한 폭을 갖는 두개의 부분이 형성된 경우, 피봇 핀(38)은 홈의 제2 부분(54) 내에서는 왕복 활주 운동할 수 있지만, 제1 부분(52)에는 진입할 수 없도록 되며, 그에 따라 홈의 제2 부분 내부에 유지된다. 따라서, 홈의 폭이 보다 좁은 제1 부분(52)과 폭이 보다 넓은 제2 부분(54) 사이의 접합부가 정지부로서 작용하여, 사용자가 튜너 브라켓(6)을 튜너 하우징(4)으로부터 신장시킴에 따라 피봇 핀(38)(즉, "제2 돌출부")이 홈의 내부에서 추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은 또한, 제1 및 제2 측벽(62, 64) 중 하나 또는 모두에 형성된 제1 돌출부(50)를 포함한다. 제1 돌출부(50)는 전술한 피봇 핀(38)과 상당히 동일한 방식으로, 이것이 형성된 제1 또는 제2 측벽(62 또는 64)의 내면(68)으로부터 연장한다. 이것은 피봇 핀(3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돌출부(50)가 튜너 하우징(4)의 제1 또는 제2 측벽(28, 30)의 대응 홈(제1 홈(34) 또는 제2 홈(36), 또는 이들 모두)에 의해 수용될 수도 있도록 튜너 하우징(4) 상에서의 튜너 브라켓(6)의 종방향 이동 방향과 대체로 동일한 방향으로 피봇 핀에 대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50)는 핀 또는 그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긴 하지만, 긴 리브(rib) 또는 휜(fin)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돌출부(50)의 폭(즉, 리브의 횡방향 폭)은 이것이 수용되는 튜너 하우징(4)의 제1 부분(52)의 폭과 기껏해야 동일하다(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약간 작다). 이로 인해 리브, 즉 제1 돌출부(50)가 홈의 폭이 보다 넓은 제2 부분(54) 뿐만 아니라 폭이 보다 좁은 제1 부분(52) 내에 수용되어 그 내부에서 왕복 활주 운동하도록 된다. 제1 돌출부(50) 또는 리브는 또한, 이것이 그 내부에 속하게 되는 튜너 하우징(4)의 홈의 제1 부분(52)의 길이와 적어도 동일한(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약간 큰) 거리를 두고 제2 돌출부 또는 피봇 핀(3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튜너 브라켓(6)의 측벽(62, 64) 중 하나 또는 모두 상에서의 제1 돌출부(50)와 제2 돌출부(즉, 리브와 피봇 핀(38)) 사이의 간격은 정지부 구조체(그 개개의 홈에서의 피봇 핀(38)의 추가의 이동을 방지하는) 및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 또는 홈의 개방 단부(56)로부터의 거리와 적어도 동일하여(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약간 커), 리브가 홈, 특히 그 제1 부분(52)이 제공된 경우 그 내부를 완전히 관통하여,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에 닿도록 된다. 이것은, 제2 돌출부 또는 피봇 핀(38)이 튜너 하우징(4)의 그 대응 홈의 내부에(특히, 그 대응 홈의 보다 폭이 넓은 부분(54)이 제공된 경우 그 내부에) 선회 가능하게 유지됨에 따라, 튜너 브라켓(6)이 튜너 하우징(4)에 부착된 채로 유지되면서, 또한 다수의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62, 64) 중 하나 또는 모두는, 도 2 내지 도 5, 그리고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돌출부 또는 잠금 돌출부(46)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잠금 돌출부(46)는 측벽이 경사진 완만한 절두 원추형 또는 "범프(bump)"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의 내면(68)으로부터 약간만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잠금 돌출부(46)는 튜너 하우징(4)에 대해 소정 각도를 이루는 특정 위치에 튜너 브라켓(6)을 유지하도록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튜너 브라켓(6)이 튜너 하우징(4)에 대해 그 피봇 핀(38)을 중심으로 선회됨에 따라, 제3 돌출부 또는 잠금 돌출부(46)가 튜너 하우징(4)의 대응 측벽과 맞닿아, 그 내부에 형성된 홈(34, 36)에 수용된다. 측벽(28, 30)에 하나 또는 양 홈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긴 U-자형 컵(40) 또는 다른 융기면이 제공된 경우, 튜너 브라켓(6)이 튜너 하우징(4) 상에서 선회 운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튜너 브라켓(6)을 손으로 가압하여 그 잠금 위치로부터 튜너 하우징(4)에 대하여 하방으로 역으로 선회시킬 때까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경우 잠금 돌출부(46)는 U-자형 컵 세그먼트(또는 다른 융기면)의 경사진 외면(44) 상에 얹혀져, 홈 내로 밀어 넣어진다.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 64)의 탄성력은 홈 내외로의 그리고 튜너 하우징(4)의 긴 U-자형 컵(40)(또는 다른 융기면) 위에서의 제3 돌출부, 즉 잠금 돌출부(46)의 이동을 촉진하는 것을 돕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은 그 폐쇄 또는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 튜너 하우징(4)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튜너 브라켓(6)의 후크형 단부(32)는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에 밀접하게 맞대어 놓여지며, 튜너 브라켓(6)의 메인 본체(60)는 튜너 하우징(4)의 전방 벽(20)의 적어도 일부 위에 놓여진다. 여기서, 튜너 브라켓(6)의 제1 및 제2 측벽(62,64) 및/또는 메인 본체(60)는 그 사이에 개방 관찰 영역(72)을 획정하고 있다. 이 개방 관찰 영역(72)은 영상 조율 표시 장치(12) 또는 LED(16)를 덮고 있지는 않으며 이를 관통하여 누름 버튼 스위치(14)에 접근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튜너 브라켓(6)이 튜너 하우징(4)에 완전히 정합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전자 튜너(2)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튜너 브라켓(6)이 이러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전자 튜너(2)는 그 보관을 위해 콤팩트한 형상을 가지며, 악기의 조율 시에도 조율자는 브라켓을 이 위치에 유지한 상태로 튜너(2)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 핀(38)(즉, 제2 돌출부) 및 제1 돌출부(50)(즉, 리브)가 튜너 하우징(4)의 제1 및 제2 측벽(28, 30)에 형성된 그 대응 홈 내에 배치되어 그 내부에서 왕복 활주 가능함이 분명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홈에 폭이 보다 넓은 제2 부분(54)과 폭이 보다 좁은 제1 부분(52)이 형성된 경우, 피봇 핀(38)과 리브, 즉 제1 돌출부(50)는 튜너 브라켓(6)이 튜너 하우징(4)에 대하여 폐쇄 또는 보관 위치에 있는 경우 제2 부분(54) 내에 위치한다.
사용자가 악기에 튜너를 매달기 위한 받침대 또는 후크로서 튜너 브라켓(6)을 채용할 경우,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하우징(4)의 홈(34, 36)의 종축선을 따라 외측으로 튜너 브라켓(6)을 활주 운동시킨다. 제1 및 제2 돌출부(50, 38)는 그 개개의 홈 내부에서 활주 운동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 즉 제1 돌출부(50)의 길이가 튜너 하우징(4)의 측벽에 전자 잭 또는 소켓(18)이 제공된 경우 그 전자 잭 또는 소켓(18)의 폭과 적어도 동일하여(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커), 이러한 잭이 홈을 간섭하거나 잭이 위치한 부분에서 홈이 보다 얕게 형성될 수도 있음에 따라, 리브, 즉 제1 돌출부(50)가 전자 잭이 위치한 그 개개의 홈(34, 36)을 부주의로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다시 말해, 리브, 즉 제1 돌출부(50)는 잭(18)이 위치한 홈에 간극 또는 공간을 두고 연결되어 있어, 결과적으로, 튜너 브라켓(6)은 튜너 하우징(4)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된 채로 유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은 그 측벽(62, 64) 중 하나 또는 모두 상의 피봇 핀(38)이 "정지부" 구조체에 도달할 때까지 신장될 수도 있다. 이것은 예를 들어, 홈의 폭이 보다 넓은 제2 부분(54)이 폭이 보다 좁은 제1 부분(52)과 만나도록 할 수도 있다. 피봇 핀(38)의 폭이 보다 넓은 부분이 피봇 핀(38)이 홈의 폭이 보다 좁은 제1 부분(52)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튜너 브라켓(6)의 추가의 외측으로의 종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긴 U-자형 컵(40)이 튜너 하우징(4)의 측벽 상에 제공된 경우, 이 U-자형 컵의 곡선형 세그먼트(48) 사이의 분리 거리는 피봇 핀(38)의 폭 또는 직경보다 작으며, 이로 인해 또한, 피봇 핀(38)이 홈으로부터 해제되거나 U-자형 컵(40)의 곡선형 세그먼트(48) 사이의 분리 공간에 진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긴 U-자형 컵(40)의 직선 세그먼트(42) 사이의 분리 공간은 피봇 핀이 그 U-자형 컵(40)의 직선 세그먼트(42) 사이에 유지되어 그 개개의 홈 내부에 유지되도록 피봇 핀(38)의 폭 또는 직경과 적어도 동일(바람직하게는 이보다 약간 큰)함에 또한 주목하여야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 또는 제1 돌출부(50)는 홈의 폭이 보다좁은 제1 부분(52)을 통과한다. 이것이 예정된 거리만큼 피봇 핀(38)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므로, 리브 또는 제1 돌출부(50)는 홈의 개방 단부(56)를 관통하여 튜너 하우징(4)의 제1 단부 벽(24)에 맞닿는다. 이 위치에서, 튜너 브라켓(6)은 튜너 하우징(4)에 대하여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그 피봇 핀(38)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은 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공명판 구멍(70)에, 바람직하게는 기타줄(71) 아래에 매달릴 수도 있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은 튜너 하우징(4)의 전방 벽(20)을 향해 상방으로 그 피봇 핀(38)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제3 돌출부 또는 잠금 돌출부(46)를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하여, 이것이 튜너 하우징(4)의 측벽에 형성된 개개의 홈에 수용되어 튜너 브라켓(6)의 측벽(62, 64)의 탄성으로 인해 그 내부에 유지될 때까지 U-자형 컵(40)의 경사진 외면(44) 상에 얹혀지도록 된다. 잠금 돌출부(46)는 그 개개의 브라켓 측벽의 내면(68) 상에 피봇 핀(38)에 대해 배치되어, 피봇 핀(38)이 배치된 것과 동일한 홈에 수용된 경우, 튜너 하우징(4)의 전방 벽(20)에 대하여 특정 각도로 튜너 브라켓(6)을 유지하도록 된다. 이 위치에서, 튜너 브라켓(6)은 바람직하게는 그 메인 본체(60)가 튜너 하우징(4)의 전방 벽(20)과 약 80°내지 120°사이의 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00°의 각도로 튜너 하우징(4)의 전방 벽(20)과 각을 이룬다. 이러한 각도는 연주자가 영상 조율 표시 장치(12)를 볼 수 있도록 하면서 본 발명의 전자 튜너가 악기의 공명판 구멍(70)의 가장자리에 맞닿아 있는 그 후크형 단부(32)에 의해 악기에 매달릴 수 있도록 하기에 바람직한 각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무(또는 다른 쿠션 재료)로 된 발(74)이 튜너 하우징(4)의 곡선형 제1 단부 벽(24) 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너(2)가 악기의 공명판 구멍(70)에 매달린 경우, 고무 발(74)이 악기 표면 상에 놓여져, 튜너(2)가 악기 표면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고무 발(74)은 또한, 악기가 조율 시에 악기의 공명판 상에서의 튜너의 이동 또는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도록 본 발명의 전자 튜너(2)에 미끄럼 방지 특징을 제공한다. 연주자는 단지 손으로 튜너 하우징(4)에 대하여 튜너 브라켓(6)을 재배치하기만 하면 되며, 즉 긴 U-자형 컵(40) 또는 다른 융기면이 제공된 경우 개개의 홈 밖으로 그 긴 U-자형 컵 또는 융기면 위로 돌출부(50)를 가압하기만 하면 된다.
튜너 브라켓(6)은 또한, 본 발명의 전자 튜너(2)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소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너 브라켓(6)은 그 완전히 신장된 위치에서, 리브 또는 제1 돌출부(50)가 튜너 하우징(4)의 후방 벽(22)에 맞닿을 때까지 튜너 하우징(4)에 대하여 하방으로 선회될 수도 있다. 이 위치에서, 튜너 브라켓(6)은 연주자가 그의 악기를 조율할 때에 이를 볼 수 있도록 튜너 하우징(4)이 수직 위치로 또는 약간 각진 위치로 배치되는 상태로 테이블 표면 또는 다른 평평한 표면 상에 놓여질 수도 있다. 또한, 고무 발(74)은 튜너(2)가 테이블 상면 또는 다른 평평한 표면 상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튜너로 인해 그 표면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위치에서, 튜너 브라켓(6)(바람직하게는 그 메인 본체(60))이 튜너 하우징(4)의 후방 벽(22)에 대하여 약 45°내지 약 85°사이의 각을 형성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튜너 하우징(4)의 후방 벽(22)에 대하여 약 65°의 각을 형성한다. 이 각도는 튜너 브라켓(6)이 받침대로서 배치된 경우 튜너 하우징(4)의 전방 벽(20) 상의 영상 조율 표시 장치(12) 및 LED(16)를 관찰하기에 바람직한 각도이다.
본 발명의 튜너 하우징(4) 및 이와 협력하는 튜너 브라켓(6)으로 이루어진 전자 튜너(2)는 다양한 위치 및 모드로 사용될 수도 있다. 튜너 브라켓(6)이 튜너 하우징(4)과 완전히 정합된 경우 폐쇄 또는 보관 위치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주머니에 넣어져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는 콤팩트한 형상을 제공한다. 다중 위치 설정 가능한 다기능성 브라켓(6)은 또한, 받침대로서 작용함으로써 테이블 상면 또는 다른 평평한 표면 상에 본 발명의 전자 튜너(2)를 지지하는 한편, 전자 튜너(2)가 조율될 악기의 공명판 구멍(70)에 매달릴 수도 있도록 위치 설정 가능하고, 또한 악기 조율자가 튜너 하우징(4)의 전방 벽(20)에 위치한 영상 조율 표시 장치(12) 및 LED(16)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도 있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튜너 하우징(4)의 양 측벽(28, 30)에 "정지부" 구조체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긴 하지만, 튜너 하우징(4)에 튜너 브라켓(6)을 유지하도록 단 하나의 측벽에만 이러한 구조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튜너 브라켓(6)이 이러한 돌출부를 갖는 튜너 브라켓(6)의 단 하나의 측벽에 의해 튜너 하우징(4)에 대하여 여전히 활주 가능하면서 선회 가능함에 따라, 튜너 브라켓(6)의 단 하나의 측벽이 리브, 즉 제1 돌출부(50) 또는 잠금 돌출부(46)(즉, 제3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가정할 수도 있다. 또한, 리브, 즉 제1 돌출부(50)는 잠금 돌출부(46)가 배치된 것과 다른 브라켓 측벽(62, 64) 상에 위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영역 내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폭이 보다 좁은 제1 부분(52)과 폭이 보다 넓은 제2 부분(54)을 갖는 홈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측벽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긴 하지만, 튜너 하우징(4)의 제1 및 제2 측벽(28, 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 상에 폭이 일정한 홈(34, 36)을 구비하는 것을 또한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튜너(2)가 기타와 같은 현악기의 조율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긴 하지만, 현악기 및 그 이외 악기를 불문하고, 즉 공명판 구멍이 없는 현악기, 관악기 및 그외 악기 모두에 상당히 적당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기술되어 있긴 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구체적인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그외 각종 변경 및 수정이 본 발명의 정신 또는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본 명세서 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위치 설정 가능한, 다기능성 튜너 브라켓을 구비하면서, 악기의 공명판 구멍에 매달릴 수도 있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가 제공된다. 상기 브라켓은 이러한 전자 튜너를 거의 수직 위치에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튜너는 보관 시에 콤팩트한 구성을 가지면서 사용 시에는 악기에 부착되도록 신장 가능하다.

Claims (30)

  1. 전방 벽, 이 전방 벽 반대쪽의 후방 벽,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에 위치하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벽, 제1 측벽, 그리고 이 제1 측벽 반대쪽의 제2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제1 및 제2 단부 벽과 전방 및 후방 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벽은 그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내부에 형성된 제1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벽은 그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내부에 형성된 제2 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단부 벽에 배치된 개방 단부를 구비하는 튜너 하우징; 그리고
    메인 본체, 이 메인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후크형 단부, 제1 측벽, 그리고 이 제1 측벽 반대쪽에 배치된 제2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메인 본체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후크형 단부가 연장하는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및 제2 측벽은 외면 및 대향 내면을 구비하고,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측벽의 내면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서로 예정된 거리를 두고 분리되어 그 사이에 튜너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되며, 적어도 상기 제1 측벽은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측벽의 제1 및 제2 돌출부는 서로 이격 배치된 튜너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튜너 브라켓은 그 제1 측벽의 제1 및 제2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측벽에 형성된 제1 홈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면서 그 제2 측벽의 제2 돌출부는 튜너 하우징의 제2 측벽에 형성된 제2 홈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튜너 하우징에 장착되고, 또한 제2 돌출부를 중심으로 튜너 하우징 상에서 선택적으로 선회 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 정지부를 구비하여, 그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튜너 브라켓의 제2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는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 각각에 형성되어 튜너 하우징의 제1 단부 벽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며, 각각의 정지부는 튜너 하우징의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홈 내부에 튜너 브라켓의 제2 돌출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에 형성된 정지부는 제1 홈 내부에 튜너 브라켓의 제1 측벽 상에 형성된 제2 돌출부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며, 제1 홈의 개방 단부를 통과하도록 튜너 브라켓의 제1 측벽에 형성된 적어도 제1 돌출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제3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제3 돌출부는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에 형성되고, 튜너 브라켓이 제2 돌출부를 중심으로 튜너 하우징 상에서 선회 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3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어, 제2 및 제3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튜너 브라켓과 튜너 하우징의 전방 벽이 서로 약 80°내지 약 12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어, 제2 및 제3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튜너 브라켓과 튜너 하우징의 전방 벽이 서로 약 100°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추고 있어, 사용자가 튜너를 손으로 가압하여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 내외로 상기 제3 돌출부를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측 상에 배치된 융기면을 포함하여 이 융기면이 그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상기 제3 돌출부를 선택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면은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긴 U-자형 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긴 리브 형태이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원통형 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은 전기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소켓을 구비하며, 이 전기 소켓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 중 하나 상에 장착되며 소정 폭을 갖추고 있고, 상기 리브는 전기 소켓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은, 제2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에 각기 형성된 제1 및 제2 홈에 상응하게 배치하도록 하는 한편 적어도 제1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후방 벽과 정합하도록 튜너 하우징에 위치 설정 가능하며, 상기 튜너 브라켓은 튜너 하우징의 후방 벽과 튜너 브라켓의 사이에 획정된 특정 각도로 튜너 하우징을 지지하는 받침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과 튜너 브라켓 사이에 획정된 특정 각도는 약 45°내지 약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과 튜너 브라켓 사이에 획정된 특정 각도는 약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6. 전방 벽, 이 전방 벽 반대쪽의 후방 벽, 전방 벽과 후방 벽 사이에 위치하는 대향하는 제1 및 제2 단부 벽, 제1 측벽, 그리고 이 제1 측벽 반대쪽의 제2 측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제1 및 제2 단부 벽과 전방 및 후방 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측벽은 그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내부에 형성된 제1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벽은 그 길이를 따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그 내부에 형성된 제2 홈을 구비하며, 적어도 상기 제1 홈에는 제1 횡방향 홈 폭을 갖는 제1 부분과 제2 횡방향 홈 폭을 갖는제2 부분 중 적어도 하나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분에 걸친 제1 홈 폭은 제2 부분에 걸친 제2 홈 폭보다 좁으며, 상기 제1 홈의 제1 부분은 제1 홈의 제2 부분보다 상기 제1 단부 벽에 가깝게 위치하고, 제1 홈의 제2 부분은 제1 홈의 제1 부분보다 상기 제2 단부 벽에 가깝게 위치하며, 상기 적어도 제1 홈은 상기 제1 단부 벽에 배치된 개방 단부를 구비하는 튜너 하우징; 그리고
    메인 본체, 이 메인 본체로부터 연장하는 후크형 단부, 제1 측벽, 그리고 이 제1 측벽 반대쪽에 배치된 제2 측벽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벽은 메인 본체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면서 후크형 단부가 연장하는 방향과는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으며, 각각의 제1 및 제2 측벽은 외면 및 대향 내면을 구비하고, 이격 배치된 제1 및 제2 측벽의 내면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며 서로 예정된 거리를 두고 분리되어 그 사이에 튜너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되며, 각각의 제1 및 제2 측벽은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1 측벽은 그 내면으로부터 연장하며 그 위에 형성된 제2 돌출부와 이격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 돌출부는 각기 제1 및 제2 폭을 가지고, 상기 제1 폭은 제2 폭보다 좁으며, 제2 측벽의 제2 돌출부의 제2 폭은 튜너 하우징의 제2 홈의 폭과 기껏해야 동일하여 제2 돌출부가 그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적어도 제1 측벽 상에 형성된 제1 돌출부의 제1 폭은 그 제1 부분에 걸친 튜너 하우징의 적어도 제1 홈의 제1 홈 폭과 기껏해야 동일하여 제1 돌출부가 그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측벽 상에 형성된 제2 돌출부의 제2 폭은 적어도 제1 홈의 제2 부분의 제2 홈 폭과 기껏해야 동일하면서 적어도 제1 홈의 제1 부분의 제1 홈 폭보다 커 제2 돌출부가 적어도 제1 홈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하면서 그 제2 부분에 걸쳐서만 그 내부에서 활주 가능하도록 하는 튜너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튜너 브라켓은 그 제1 측벽의 제1 및 제2 돌출부 그리고 그 제2 측벽의 적어도 제2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에 각기 형성된 제1 및 제2 홈에 활주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도록 튜너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튜너 브라켓이 튜너 하우징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선회 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의 후크형 단부는 튜너 하우징의 제1 단부 벽의 형상과 거의 일치하는 형상을 가지며, 튜너 브라켓의 후크형 단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 단부 벽에 최대한 가깝게 배치되고 튜너 브라켓의 메인 본체가 튜너 하우징의 전방 벽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 관계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제1 및 제2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홈에 위치하도록 제1 위치에서 튜너 하우징에 위치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의 적어도 제1 측벽의 제1 및 제2 돌출부는 서로 거리를 두고 이격 배치되며, 그 이격 거리는 튜너 브라켓이 적어도 제2 위치에서 튜너 하우징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튜너 하우징에 형성된 적어도 제1 홈의 제1 부분의 길이와 적어도 동일하고,
    상기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각각의 제2 돌출부는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내에 각기 선회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튜너 브라켓의 적어도 제1 측벽의 제1 돌출부는 튜너 하우징의 제1 홈 외측에 위치하여, 튜너 브라켓이 제2 돌출부를 중심으로 튜너 하우징 상에서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은 제3 돌출부를 구비하며, 이 제3 돌출부는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내면 상에 형성되고, 튜너 브라켓이 제2 돌출부를 중심으로 튜너 하우징 상에서 선회 운동함에 따라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 내부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제2 및 제3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튜너 브라켓의 메인 본체와 튜너 하우징의 전방 벽이 그 사이에 약 80°내지 약 12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돌출부는 제2 및 제3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튜너 브라켓의 메인 본체와 튜너 하우징의 전방 벽이 그 사이에 약 10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의 제1 및 제2 측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을 갖추고 있어, 튜너의 사용자가 튜너 브라켓을 손으로 가압하여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 내외로 상기 제3 돌출부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측 상에 배치된 융기면을 포함하여 이 융기면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상기 제3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돕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면은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적어도 하나의 양측 상에 위치하는 긴 U-자형 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 각각은 원통형 핀 형태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돌출부는 긴 리브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은 전기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소켓을 구비하며, 이 전기 소켓은 튜너 하우징의 제1 및 제2 측벽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장착되며 소정 폭을 갖추고 있고, 상기 리브는 전기 소켓의 폭과 적어도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은 그 전방 벽에 장착된 표시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튜너 브라켓은 그 위에 개방 관찰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개방 관찰 영역은 튜너 브라켓이 튜너 하우징에 대하여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표시 장치와 중첩 관계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브라켓은, 제2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대응하는 제1 및 제2 홈에 배치하도록 하는 한편 제1 돌출부가 튜너 하우징의 후방 벽과 정합하도록 튜너 하우징에 위치 설정 가능하며, 상기 튜너 브라켓은 튜너 하우징의 후방 벽과 튜너 브라켓의 사이에 획정된 특정 각도로 튜너 하우징을 지지하는받침대로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과 튜너 브라켓 사이에 획정된 특정 각도는 약 45°내지 약 8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튜너 하우징과 튜너 브라켓 사이에 획정된 특정 각도는 약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KR1020040021488A 2003-04-01 2004-03-30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KR200400867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404,623 2003-04-01
US10/404,623 US6797872B1 (en) 2001-10-02 2003-04-01 Electronic tuner for tuning a musical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6760A true KR20040086760A (ko) 2004-10-12

Family

ID=3299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488A KR20040086760A (ko) 2003-04-01 2004-03-30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797872B1 (ko)
EP (1) EP1473704B1 (ko)
KR (1) KR20040086760A (ko)
CN (1) CN1536556A (ko)
AT (1) ATE353155T1 (ko)
DE (1) DE602004004564T2 (ko)
ES (1) ES2281706T3 (ko)
TW (1) TWI2631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4998B2 (en) * 2000-10-02 2006-07-11 Maxim Hurwicz Stringed instrument tuner holder
US7049502B2 (en) * 2003-10-24 2006-05-23 Korg, Inc Music tuner
GB2459824B (en) * 2007-02-27 2012-03-07 Andrew Moyle Tuner Strap
US7507891B2 (en) * 2007-03-21 2009-03-24 The Hong Kong Polytechnic University Fiber Bragg grating tuner
DE102009009936A1 (de) * 2009-02-20 2010-08-26 Metabowerke Gmbh Elektrohandwerkzeuggerät
US8294014B2 (en) * 2009-08-13 2012-10-23 Jeffry Voorhees Portable stand and mount for securing a portable media or audio player to a support
US8373053B2 (en) 2009-08-14 2013-02-12 The T/C Group A/S Polyphonic tuner
WO2011090843A2 (en) 2010-01-22 2011-07-28 Si X Semiconductor Inc. Drum and drum-set tuner
CN102853225A (zh) * 2011-06-28 2013-01-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支撑装置
USD666664S1 (en) * 2011-09-19 2012-09-04 Richard Ned Steinberger Tuner for musical instruments
EP2786369A4 (en) * 2011-11-30 2016-12-07 Overtone Labs Inc BATTERY AND BATTERY DRUM TUNER
DE102012007026A1 (de) 2012-04-05 2013-10-10 Walter Schneider Elektrisches Stimmgerät für Musikinstrumente
US9153221B2 (en) 2012-09-11 2015-10-06 Overtone Labs, Inc. Timpani tuning and pitch control system
US9240170B2 (en) * 2012-12-03 2016-01-19 Petar Chekardzhikov Vibration-sensing stringed instrument mountable device
US9548044B2 (en) * 2012-12-03 2017-01-17 Petar Chekardzhikov Vibration-sensing music instrument mountable device
USD793471S1 (en) 2016-05-31 2017-08-01 Kyser Musical Products, Inc. Capotasto and tuner assembly
US10586518B2 (en) * 2017-03-27 2020-03-10 Band Industries, Inc. Automatic tuning methods 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97508A (en) * 1926-06-16 1929-01-01 Regal Musical Instr Co Device for tuning stringed instruments
US3437002A (en) * 1966-07-25 1969-04-08 American Plating & Mfg Co Music holder
US3704646A (en) * 1970-07-23 1972-12-05 Richard P Davis String depress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3691894A (en) * 1970-10-14 1972-09-19 Laser Products & Dev Corp Inc Tuning device
USD279905S (en) 1983-05-12 1985-07-30 Whited Earl B Harmonica holder
US4899636A (en) * 1988-02-03 1990-02-13 Seiko Instruments Inc. Instrument for tuning musical instruments
GB2202075B (en) * 1988-02-19 1991-07-17 Harder Reginald Bruce Tuning apparatus for stringed instruments
USD353826S (en) 1993-06-14 1994-12-27 Ron Mayo Holder for a guitar tuner
US5637820A (en) * 1995-01-06 1997-06-10 Wittman; Kenneth L. Stringed instrument with on-board tuner
US5777248A (en) * 1996-07-22 1998-07-07 Campbell; James A. Tuning indicator for musical instruments
US5728959A (en) * 1996-11-06 1998-03-17 O'rorke; John D. Guitar tuner holder
US5877444A (en) * 1997-03-21 1999-03-02 Arthur H. Hine Tuner fo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US5990403A (en) * 1998-12-11 1999-11-23 Onboard Research Corporation Lyre mounting bracket for a musical instrument tuner
US7074998B2 (en) * 2000-10-02 2006-07-11 Maxim Hurwicz Stringed instrument tuner holder
US6653543B2 (en) * 2002-03-07 2003-11-25 Charles J. Kulas Musical instrument tuner with configura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3197B (en) 2006-10-01
DE602004004564T2 (de) 2007-10-25
ES2281706T3 (es) 2007-10-01
CN1536556A (zh) 2004-10-13
TW200511204A (en) 2005-03-16
EP1473704A1 (en) 2004-11-03
EP1473704B1 (en) 2007-01-31
US6797872B1 (en) 2004-09-28
ATE353155T1 (de) 2007-02-15
US20040182224A1 (en) 2004-09-23
DE602004004564D1 (de)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6760A (ko) 악기 조율용 전자 튜너
US6835883B2 (en) Readily transportable musical instrument stand
US20060180004A1 (en) Stringed instrument tuner holder
US9087497B1 (en) Adjustable cajón instrument
JP5345165B2 (ja) シンバルの取付構造、ハイハットスタンド、及びクローズドハイハットアタッチメント
US4693161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 musical instrument
US6422522B1 (en) Stand for supporting a musical instrument
US5422955A (en) Wireless amplification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US20240040292A1 (en) Loudspeaker accessory tray
US5346168A (en) Guitar hanging fixture
US6559365B2 (en) Stand
US6399865B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KR101669923B1 (ko) 악기 스탠드
JP2001067065A (ja) 楽器用あご当て
US20010035084A1 (en) Musical instrument tuner integral with a connector
US8403276B2 (en) Vertical support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CN215868604U (zh) 一种吉他调音夹
US20070113719A1 (en) Sound box for floor-standing string instrument
ES2684790T3 (es) Batería acústica, así como un conjunto instrumental musical que consta de tal batería acústica
US7866857B2 (en) Display device
US20170186410A1 (en) Support Stand for a Musical Instrument
CA2748551A1 (en) Vertical support system for musical instruments
KR20220083559A (ko) 흡착컵을 구비한 벽걸이 랙 및 흡착컵을 구비한 벽걸이 랙을 통해 진공청소기의 거치대를 고정하는 방법
JPH08185155A (ja) 弦楽器
KR200226441Y1 (ko) 전통악기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