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4381A -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4381A
KR20040084381A KR1020030019414A KR20030019414A KR20040084381A KR 20040084381 A KR20040084381 A KR 20040084381A KR 1020030019414 A KR1020030019414 A KR 1020030019414A KR 20030019414 A KR20030019414 A KR 20030019414A KR 20040084381 A KR20040084381 A KR 2004008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system
call
srm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9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송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9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4381A/ko
Publication of KR2004008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438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오버레이망을 형성하여 어느 한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또는 통신자원의 부족 상태가 유발되면,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호를 전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세대의 제 1 및 제 2이동통신 시스템이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호발신을 시도하는 상태에서 해당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 또는 통신자원 부족 상태로 판정되면, 그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ervice Redirection Massage; SRM)가 전송되는 제 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의해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주파수를 동조하여 정상적인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METHOD FOR PROCESSING CALL REDIRECTION SERVICE AT SYSTEM OVERLOAD/COMMUNICATION RESOURCE SHORT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또는 통신자원이 부족하게 되면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오버레이망을 형성하여 호를 전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디지털 셀룰러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s System)의 서비스 방식을 갖는 2G(2세대)(또는 2.5G)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CDMA 동기방식을 채택하는 CDMA 2000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진화되어 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2G 이동통신 시스템은 주파수의 부족과 고가의 이용 요금이 부과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2.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GHz 대역의 주파수를 확보하여 주파수의 효율적인 사용과 저렴한 이용 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국제적인 로밍과 지능망과의 완전한 연계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에는 꾸제간의 완전한 로밍과 광대역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한 CDMA 2000 1X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실제로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은 CDMA 2000 1X 시스템과 2G 이동통신 시스템이 각기 독립적으로 운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2G 이동통신 시스템의 경우에는 전국망의 커버리지(Coverage)를 갖고서 운용되고 있고, CDMA 2000 1X 시스템은 현재 주요한 도시를 중심으로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CDMA 2000 1X 시스템과 2G 이동통신 시스템은 각 시스템에서 과부하가 발생되거나 예컨대 트래픽 채널이나 왈시코드 또는 출력 파워의 부족과 같은 통신자원의 부족 상태가 발생되는 경우에,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신규한 호가 발생되더라도 발신호를 타 세대의 시스템으로 넘겨주는 알고리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호가 전부 실패할 수 밖에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러한 실패된 호는 단말기 가입자의 재발신 조작에 의해 재시도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과부하의 해소 시간의 지연을 초래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서로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 간에 오버레이망을 형성하여 어느 한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과부하 또는 통신자원의 부족 상태가 유발되면, 다른 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호를 전환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세대가 오버레이(Overlay)되어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세대 별 구성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호 전환처리 방법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시에 다른 세대 시스템의 오버레이망으로 호를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호 전환처리 방법에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자원 부족시에 다른 세대 시스템의 오버레이망으로 호를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이동통신 단말기, 20:CDMA 2000 1X 시스템,
22,32:이동통신 기지국(BTS), 24,34:기지국 제어 프로세서(BCP),
26,36:기지국 제어기(BSC), 28:기지국 제어기 메인 프로세서(BMP),
29,39:기지국 관리기, 30:2G 이동통신 시스템,
38:호제어 프로세서(CCP).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세대의 제 1 및 제 2이동통신 시스템이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호발신을 시도하는 상태에서 해당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로 판정되면, 그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ervice Redirection Massage; SRM)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의해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주파수를 동조하여 정상적인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세대의 제 1 및 제 2이동통신 시스템이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호발신을 시도하는 상태에서 해당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자원이 부족하게 되면, 그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전환메시지(SRM)가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의해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주파수를 동조하여 정상적인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서로 다른 세대가 오버레이(Overlay)되어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이 구현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10)와, CDMA 2000 1X 시스템(20),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구성된다.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은 기존의 IS-95 A/B망에서 한단계 진화한 2.5세대의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고속의 패킷데이터 서비스 및 모바일 IP 서비스의 지원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바, 이는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오버레이(Overlay) 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은 해당 시스템 내부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통신자원(즉, 트래픽 채널/왈시코드/출력 파워)이 부족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로부터 신규한 호가 유입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발신 호를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전환시켜 주게 된다.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은 IS-95 A/B 망으로 형성된 셀룰러나 PCS 시스템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과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과부하 상태 또는 통신자원 부족상태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발신호를 전환하기 위한 처리가 이루어지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부터의 발신호를 정상적으로 처리하여 상대방과의 호접속에 의한 음성통화나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다음에,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세대 별 구성상태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은 기지국(Base Transmission Station; BTS)(22)과,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26), 기지국 관리기(Base Station Manager; BSM)(29)로 구성되는 바, 상기 기지국(22)은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BTS Control Processor; BCP)(24)를 갖추고 있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26)는 기지국 제어기 메인 프로세서(BSC Main Processor)를 갖추고 있다.
동 도면에서,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은 기지국(32)과, 기지국 제어기(36) 및, 기지국 관리기(39)로 구성되는 바, 상기 기지국(32)은 기지국 프로세서(Base Station Processor; BSP)(34)를 갖추고 있고, 상기 기지국 제어기(36)는 호 제어 프로세서(Call Cotrol Processor; CCP)(38)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 제어기(26)와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 제어기(36)은 각기 15개씩의 기지국과 연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각의 기지국 관리기(29,39)는 각각의 기지국(22,32)에 기능이 향상된 새로운 버전의 기지국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사용하도록 관리하게 된다.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22)에 갖추어진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와,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32)에 갖추어진 기지국 프로세서(34)는 호처리와, 예컨대 트래픽 채널/왈시코드/전송로 등과 같은 통신 자원의 관리, 각 프로세서들의 상태관리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 제어기(26)에 갖추어진 기지국제어기 메인 프로세서(28)와,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기지국 제어기(36)에 갖추어진 호 제어 프로세서(38)는 호처리와, 예컨대 보코더(Vocoder) 등과 같은 통신 자원 관리, 각 프로세서 들의 상태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과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은 각각 독립적인 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는 바, 각각 통신 자원의 관리와 호처리를 별도로 처리하고 있고, 각기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통신 교환기(도시되지 않음)를 별도로 운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과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주요 도시나 일정 지역 단위로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운용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이 과부하 상태이거나 통신자원 부족에 의해 서비스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CDMA 2000 1X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자신의 PRL(Preferred Roaming List)에 따라 2G 주파수를 찾아서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동조되어 서비스를 진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은 그 기지국 제어기(26)의 메인 프로세서(26)가 과부하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신규한 호를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제어기 메인 프로세서(26)에서 기지국(22)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에 과부하 상태를 통보하게 되고,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ervice Redirection Message; SRM)를 전송하여 오버레이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 즉,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주파수 동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방향을 재전환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로서 새로이 동조될 2G 이동통신 시스템(30)에 대한 주파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은 기지국(22)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가 통신 자원이 부족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신규한 호를 발신하는 경우에, 상기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전송하여 오버레이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주파수 동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시에 다른 세대 시스템의 오버레이망으로 호를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는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22)에 신규한 호를 발신하게 되고(단계 S10), 상기 기지국(22)에서는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의 제어처리에 따라 상기 기지국 제어기(26)에 호접속 요청을 수행하게 된다(단계 S11).
그 상태에서,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 제어기(26)를 구성하는 메인 프로세서(28)는 자신이 과부하 상태임을 판단하고(단계 S12), 상기 기지국(22)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에 과부하 상태를 통보하게 된다(단계 S13).
그에 따라, 상기 기지국(22)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에서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26)로부터의 과부하 통보에 따라 해당 CDMA 2000 1X 시스템(20)과 오버레이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의 동조 주파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전송하게 된다(단계 S14).
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2G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주파수 동조를 수행하게 되지만(단계 S15),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서비스 모드(Preferred Mode)가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에 대한 호등록 또는 호발신이 실패하게 된다(단계 S16).
그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22)에 호발신을 재차 시도하게 되고(단계 S17), 상기 기지국(22)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을 재차 전송하게 된다(단계 S18).
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22)으로부터 재차 전송되는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따라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이동통신 시스템 즉,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주파수를 동조하게 되고(단계 S19),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2G 이동통신 시스템(30) 간에 정상적인 호처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단계 S20).
한편,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은 기지국 제어기(26)의 과부하 상태가 해소되면, 이후에 새로이 유입되는 여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호에 대해서 오버레이 망으로 전환하지 않고서 정상적으로 호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자원 부족시에 다른 세대 시스템의 오버레이망으로 호를 전환시키기 위한 동작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통신 단말기(10)는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22)에 신규한 호를 발신하게 되고(단계 S30), 상기 기지국(22)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는 해당 CDMA 2000 1X 시스템(20)이 예컨대 트래픽 채널이나 왈시코드 또는 출력 파워의 부족과 같은 통신자원의 부족상태임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단계 S31), 해당CDMA 2000 1X 시스템(20)과 오버레이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2G 이동통신 시스템(30)의 동조 주파수정보가 포함된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전송하게 된다(단계 S32).
이에,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2G 이동통신 시스템(30)과 주파수 동조를 수행하게 되지만(단계 S33),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서비스 모드(Preferred Mode)가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에 대한 호등록 또는 호발신이 실패하게 된다(단계 S34).
그 상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22)에 호발신을 재차 시도하게 되고(단계 S35), 상기 기지국(22)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24)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을 재차 전송하게 된다(단계 S36).
그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의 기지국(22)으로부터 재차 전송되는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따라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주파수를 동조하게 되고(단계 S37),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2G 이동통신 시스템(30) 간에 정상적인 호처리가 수행될 수 있게 된다(단계 S38).
한편, 상기 CDMA 2000 1X 시스템(2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가 상기 2G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 동조되어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지국(22)의 통신자원 부족상태가 해소되면, 이후에 새로이 유입되는 여타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호에 대해서 오버레이 망으로 전환하지 않고서 정상적으로 호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에 의하면, CDMA 2000 1X 이동통신 시스템과 2G 이동통신 시스템이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운용되는 상태에서 어느 한 시스템에서 시스템 과부하 또는 통신자원의 부족상태가 유발되면, 신규하게 유입되는 호를 여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발신호가 유실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호처리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안정된 이동통신 서비스의 운용이 가능하고, 망 운용의 효율성을 기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시스템의 부하 해소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서로 다른 세대의 제 1 및 제 2이동통신 시스템이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호발신을 시도하는 상태에서 해당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로 판정되면, 그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ervice Redirection Massage; SRM)가 전송되는 제 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의해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주파수를 동조하여 정상적인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발신을 시도하면,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기지국 제어기에 호접속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메인 프로세서(BMP)에서 시스템의 과부하 상태를 판정하고 상기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BCP)에 과부하를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첫 번째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수신받음에 따라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과 주파수를 동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모드가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유로 호등록 및 호발신이 실패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 재차 호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두 번째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두 번째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의해 제 2이동통신 시스템과 주파수를 동조하여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는 제 2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동조되는 서비스 주파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은 CDMA 2000 1X 시스템이나 2세대(2G) 이동통신 시스템 중에 어느 하나에 해당되고,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은 2세대(2G)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CDMA 2000 1X 시스템 중에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6. 서로 다른 세대의 제 1 및 제 2이동통신 시스템이 오버레이 망으로 연결되어 운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망운용 방법에 있어서,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 대해 호발신을 시도하는 상태에서 해당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의 통신자원이 부족하게 되면, 그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가 전송되는 제 1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의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의해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주파수를 동조하여 정상적인 호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 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특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호발신을 시도하면,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의 기지국 제어 프로세서(BCP)에서 통신자원의 부족 상태를 인지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첫 번째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수신받음에 따라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과 주파수를 동조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모드가 제 1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설정되어 있는 이유로 호등록 및 호발신이 실패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 재차 호발신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두 번째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두 번째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 의해 제 2이동통신 시스템과 주파수를 동조하여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전환 메시지(SRM)에는 제 2이동통신 시스템으로 동조되는 서비스 주파수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이동통신 시스템은 CDMA 2000 1X 시스템이나 2세대(2G) 이동통신 시스템 중에 어느 하나에 해당되고,
    상기 제 2이동통신 시스템은 2세대(2G)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CDMA 2000 1X 시스템 중에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 방법.
KR1020030019414A 2003-03-28 2003-03-28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방법 KR200400843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414A KR20040084381A (ko) 2003-03-28 2003-03-28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9414A KR20040084381A (ko) 2003-03-28 2003-03-28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4381A true KR20040084381A (ko) 2004-10-06

Family

ID=3744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9414A KR20040084381A (ko) 2003-03-28 2003-03-28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4381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251B1 (ko) * 2005-06-17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2g srm을 이용한 1x 서비스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723691B1 (ko) * 2005-06-16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2G 시스템에서 1x 시스템으로 액세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769453B1 (ko) * 2006-05-10 2007-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씨디엠에이 통신망의 서비스 중첩 지역에서 2세대 시스템고장시 서비스 복구 방법
KR100827766B1 (ko) * 2005-06-2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동작 방법 및시스템
KR101117421B1 (ko) * 2007-01-18 2012-02-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을 위한 가입자수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관리 장치
KR101345423B1 (ko) * 2012-05-11 2013-12-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691B1 (ko) * 2005-06-16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2G 시스템에서 1x 시스템으로 액세스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673251B1 (ko) * 2005-06-17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2g srm을 이용한 1x 서비스 전환 방법 및 시스템
KR100827766B1 (ko) * 2005-06-28 2008-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오버레이 통신 시스템에서 초기 동작 방법 및시스템
KR100769453B1 (ko) * 2006-05-10 2007-10-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씨디엠에이 통신망의 서비스 중첩 지역에서 2세대 시스템고장시 서비스 복구 방법
KR101117421B1 (ko) * 2007-01-18 2012-02-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리디렉션을 위한 가입자수 관리방법과 이를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관리 장치
KR101345423B1 (ko) * 2012-05-11 2013-12-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4424B (fi) Menetelmä ja laite tietoliikenteen kanavanvaihdon suorittamiseksi viestintäjärjestelmässä
RU2193290C2 (ru) Беспроводные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е сети, совместно использующие глобальную систему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множественный доступ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RU2366107C2 (ru) Контроллер связи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соединения связи во время повторного выбора сотовой ячейки
US8380205B2 (en) Transmission of filtering/filtered information over the Iur interface
KR100509407B1 (ko) 시스템간 소프트 핸드오프
JP4939529B2 (ja) 専用及び高速共有チャネルのハードハンドオフ手順
CA231384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base addresses in a wireless network
JP2002521912A5 (ko)
KR2009004542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 분할 듀플렉스 및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 사이의 자원 배당을 통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997216B (zh) 长期演进网络中的用户设备切换方法
CN1154370C (zh) 可升级的无线通信网络和方法
JP2014512747A (ja) 異種システム間のリダイレクション方法及びシステム
CN101009940A (zh) 最小化分组呼叫重连延迟时间的切换方法及其多模终端
RU2263399C2 (ru) Гибридная сотовая сетевая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связи
JP2006211129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US20020009998A1 (en) Method for radio transmission in a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with a hierarchical radio cell structure
KR20050072323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핸드오버 방법
KR20040084381A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과부하/통신자원 부족시 호 전환처리방법
KR2006007364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 분할 듀플렉스 및 주파수 분할듀플렉스 사이의 자원 배당을 통합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50106638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채널 할당 방법
CN115334607A (zh) 基于ng接口降低daps切换时延的方法及系统
KR100756193B1 (ko) Wcdma와 cdma-2000 간의 서비스모드 전환 방법 및시스템
CN1996912A (zh) 长期演进网络中用户设备切换方法
KR100270578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연결제어 방법
US20230308971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witching of traffic corresponding to a communication session between two non-3gpp access path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