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3720A -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3720A
KR20040083720A KR1020030018288A KR20030018288A KR20040083720A KR 20040083720 A KR20040083720 A KR 20040083720A KR 1020030018288 A KR1020030018288 A KR 1020030018288A KR 20030018288 A KR20030018288 A KR 20030018288A KR 20040083720 A KR20040083720 A KR 20040083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magnetic
bodies
sliding structure
magnetic bod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789B1 (ko
Inventor
황도익
Original Assignee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7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7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등의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사용자가 쉽게 슬라이딩을 할 수고, 개폐 완료 시에 걸림턱과 같은 별도의 부재 없이도 개폐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제1 및 제2바디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구조에 있어서, 제1바디에는 순차적으로 N, S, N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가 설치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된 자성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S, N, S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가 설치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정보단말기의 슬라이딩에 이용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Sliding structure of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정보단말기 등에 사용되는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딩이 용이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등과 같은 정보단말기는 휴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형화되고 있다. 그러나, 기기의 소형화에 의해 휴대는 편리해졌으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가 작어지기 때문에 사용에 있어서의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폴더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더형은 휴대는 편리하면서도 폈을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할당되는 면적을 넓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드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제1 및 제2바디를 가지되, 각각은 슬라이드홈과 슬라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서랍형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슬라이드형은 열고 닫을 때, 일정한 힘을 가하여 걸림돌기와 걸림턱 등으로 구성된 구속수단의 저항을 극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일반적으로열림이나 닫힘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걸림돌기와 걸림턱을 두고 있음). 더욱이, 이러한 걸림턱이나 걸림돌기는 수회의 동작에 의한 마모에 따라 그 동작이 최초와는 달리 헐거워지고,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개폐가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가 용이하며, 마모에 따른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는 슬라이드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중간 개폐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바디 20 : 제2바디
11 : 제1자성체 21 : 제2자성체
15 : 제3자성체 25 : 제4자성체
151, 152, 153 : 제1, 제2, 제3 자석
251, 252, 253 : 제4, 제5, 제6 자석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바디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구조에 있어서, 제1바디에는 순차적으로 N, S, N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가 설치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된 자성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S, N, S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가 설치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닫힌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중간 개폐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는 휴대폰의 열린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바디(10, 20)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에서 슬라이딩이 용이하도록 제1 및 제2바디(10, 20)의 좌우에 한쌍씩의 자성체(11, 21, 15, 25)를 설치한 것이다. 제1바디(10) 에는 자성체(11, 15)가 좌우에 한쌍으로 설치되며, 제2바디(20)에는 제1바디(10)에 설치된 자성체(11, 15)에 대응하여 한쌍의 자성체(21, 25)가 설치된다.
제1바디에는 순차적으로 N, S, N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가 설치되되, 자성체(11, 15)는 제1 및 제2바디(10, 20)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제2바디(20)에는 제1바디(10)에 설치된 자성체(11, 15)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S, N, S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21, 25)가 설치되되, 자성체(21, 25)는 제1 및 제2바디(10, 20)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된다(표 1 참조).
S N S N
N S N S
S N S N
제1바디(100에 설치된 제1 및 제3자성체(11, 1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형의 제1자석(151)과, 제2자석(152)과, 제3자석(153)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제1자석(151)과, 제2자석(152)과, 제3자석(153) 각각은 N, S, N 극이 제2바디(20)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2바디(20)에 설치된 제2 및 제4자성체(21, 25)는, 제4자석(251)과, 제5자석(252)과, 제6자석(253)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제4자석(251)과, 제5자석(252)과, 제6자석(253) 각각은 S, N, S 극이 제1바디(10)로 향하도록 설치된다.
제3자석(153)은 제1 및 제2바디(10, 20)가 열린 상태(도2 및 도5 참조)에서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제3자석(153)이 설치된다.
따라서, 제4자석(251)은 제1 및 제2바디(10, 20)가 열린 상태에서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설치된다.
제1자석, 제3자석, 제4자석, 제6자석(151, 153, 251, 253)은 제1 및 제2바디(10, 20)의 개폐 완료시점에서의 상태유지를 위하여 사용되고, 제2자석과제5자석(152, 252)은 닫힌 상태 유지와, 개폐 중간 시점에서 동일 극간의 반발력을 이용한 슬라이딩에 사용된다.
가운데에 설치된 제5 또는 제2자석(152, 252)은 제4자석이나 제1자석(151, 251)보다 길이가 길어 슬라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자석은 N극과 S극을 가지기 때문에 S, N, S나 N, S, N의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11, 15, 21, 25)를 구성하려면 도4나 위 표에 나타냄과 같이 각각 3개의 자석을 결합하여 구성하여야 한다.
다만, 미국 스탠퍼드대학교의 물리학자 캐브리러가 주장한 바와 같이 단일한 극성만을 지니는 단자극물체를 결합하여 자성체(11, 15, 21, 25)를 구성할 수도 있다(표 2 참조).
N S
S N
N S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동작을 하기에 설명한다.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바디(10, 20)에 설치된 자성체(11, 15, 21, 25)가 서로 극성이 반대되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별도의 걸림턱이나 걸림돌기 없이도 일정정도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닫힌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1바디(10)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하여 힘을 가하게 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러면, 제3자석(153)과 제5자석(252), 제2자석(152)과 제4자석(251)이 서로 동일한 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슬라이드가 일정정도 이루어지면 제4자석(251)과 제3자석(153)이 서로다른 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별도의 걸림돌기나 걸림턱이 없어도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즉, 폴더형이나 플립형 단말기의 개폐 동작과 같이 일정한계를 넘어서면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슬라이드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및 제2바디(10, 20)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개폐완료 시에 별도의 걸림턱이나 걸림돌기가 불필요하며, 슬라이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걸림턱이나 걸림돌기의 마모에 따른 오동작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8)

  1. 제1 및 제2바디를 가지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순차적으로 N, S, N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가 설치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된 자성체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S, N, S 극성을 가지도록 자성체가 설치되되, 상기 자성체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슬라이딩면에 인접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된 자성체는,
    제1자석과, 제2자석과, 제3자석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1자석과, 제2자석과, 제3자석 각각은 N, S, N 극이 제2바디로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 설치된 자성체는,
    제4자석과, 제5자석과, 제6자석이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4자석과, 제5자석과, 제6자석 각각은 S, N, S 극이 제1바디로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열린 상태에서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상기 제1바디의 제3자석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열린 상태에서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상기 제2바디의 제4자석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가운데에 설치된 제5 또는 제2자석은 제4자석이나 제1자석보다 길이가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상기 자성체가 좌우에 한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바디에 설치된 자성체에 대응하여 한쌍의 자성체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자성체는,
    단자극체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KR10-2003-0018288A 2003-03-24 2003-03-24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KR10050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288A KR100509789B1 (ko) 2003-03-24 2003-03-24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8288A KR100509789B1 (ko) 2003-03-24 2003-03-24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720A true KR20040083720A (ko) 2004-10-06
KR100509789B1 KR100509789B1 (ko) 2005-08-23

Family

ID=3736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288A KR100509789B1 (ko) 2003-03-24 2003-03-24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78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60B1 (ko) * 2005-03-23 2007-04-04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그를 채용한 응용기기
KR100713499B1 (ko) * 2006-04-12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07119988A1 (en) * 2006-04-14 2007-10-25 Hitech Part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riving means using electromagnetic force
KR100781165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41313A (ko) * 2006-11-07 2008-05-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42625B1 (ko) * 2006-12-14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900017B1 (ko) * 2007-11-05 2009-06-01 (주)하이텍파츠 자기 스프링을 구비한 반자동 슬라이드 장치
KR101143831B1 (ko) * 2006-11-09 2012-05-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427275B1 (ko) * 2008-02-29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200012697A (ko) * 2018-07-27 2020-02-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슬라이딩 레일 및 모바일 단말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3860B1 (ko) * 2005-03-23 2007-04-04 한 상 이 슬라이딩 개폐장치 및 그를 채용한 응용기기
KR100713499B1 (ko) * 2006-04-12 2007-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WO2007119988A1 (en) * 2006-04-14 2007-10-25 Hitech Part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riving means using electromagnetic force
KR100781165B1 (ko) * 2006-09-08 2007-11-30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20080041313A (ko) * 2006-11-07 2008-05-1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1143831B1 (ko) * 2006-11-09 2012-05-0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용 슬라이딩 구조체
KR100842625B1 (ko) * 2006-12-14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900017B1 (ko) * 2007-11-05 2009-06-01 (주)하이텍파츠 자기 스프링을 구비한 반자동 슬라이드 장치
KR101427275B1 (ko) * 2008-02-29 2014-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KR20200012697A (ko) * 2018-07-27 2020-02-05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슬라이딩 레일 및 모바일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9789B1 (ko) 200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7081B2 (en) Electronic device sliding mechanism
US8159834B2 (en) Magnetic hinge electronic mobile device
KR100509789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구조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TWI271087B (en) Mobile phone with slidable cover
KR20040003257A (ko)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ATE418837T1 (de) Verschiebbares bewegliches telefon mit motor
EP2372982B1 (en) Sliding hinge mechanism
KR100713499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492892B2 (en) Slide opening/closing type mobile device
WO2006088013A1 (ja) 携帯端末装置
KR100543794B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및 슬라이드 방법
KR200338957Y1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활주모듈.
KR100678039B1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도어 개폐장치
KR20030027212A (ko)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573452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50037649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US8478370B2 (en) Slide device and slide assembly
KR100690717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전 가능한 슬라이딩 장치
EP2326064A1 (en) Magnetic hinge electronic mobile device
KR200338943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31097A (ko) 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50048877A (ko) 휴대용 단말기용 슬라이드 타입 자석힌지
KR200338317Y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
KR100702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