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1184A - 기저귀, 생리대 제조용 복합 흡수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기저귀, 생리대 제조용 복합 흡수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1184A
KR20040081184A KR10-2004-7012092A KR20047012092A KR20040081184A KR 20040081184 A KR20040081184 A KR 20040081184A KR 20047012092 A KR20047012092 A KR 20047012092A KR 20040081184 A KR20040081184 A KR 20040081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s
absorbent
structure according
absorben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클라우디오 기아코메티
Original Assignee
클라우디오 기아코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디오 기아코메티 filed Critical 클라우디오 기아코메티
Publication of KR20040081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1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04H1/4258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entanglement of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by ultrason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 D04H1/593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applying, incorporating or activating chemical or thermoplastic bonding agents, e.g. adhesives to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47Fibre dimension, e.g. denier or tex

Abstract

제 1비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제 1입수·분배층(S1)과; 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동시에 해당 부직포에 분포된 적어도 1종의 초흡수성 폴리머의 입자(P)를 함유하는 제 2흡수층(S2)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 2층이 스테이플 섬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기저귀, 생리대 제조용 복합 흡수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A COMPOSITE ABSORBENT STRUCTURE FOR THE PRODUCTION OF DIAPERS, SANITARY NAPKINS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흡수성 위생용품의 제조에 있어서, 2개의 수용외피를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외층사이에, 통상 체액의 입수 및 분배용의 층과 흡수층을 포함하는 각종 기능을 지닌 층이 배열되어 있는 복합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생리대 또는 기저귀는, 구멍이 뚫려 있거나 혹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액체가 투과할 수 있는 동시에 착용한 사람의 신체와 접촉하게 되는 상부시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생리대나 기저귀(이하, 간단히 "용품"이라 칭함)에 의해 흡수시키고자 하는 체액(혈액, 소변)은 상기 상부시트를 통과해서 해당 용품의 내부에 이르게 된다. 상기 상부시트는, 전형적으로, 구멍뚫린 플라스틱필름 및/또는 부직포층, 혹은 예를 들면, 직물의 1종이상의 스트립(strip)이나 웹(web)과 접합된 1종이상의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시트밑에는 입수·분배층(간단히 "ADL"이라 칭함)이 배열되어 있다. 상기 입수·분배층은, 체액이 생리대의 구조체내부로 신속하게 통과해서 분배되어, 해당 체액이 도달하는 지점 바로 밑에 위치된 영역에만, 또는 주로 이들 영역에 편중되는 방식으로 흡수되는 대신에, 하지의 저장층 혹은 코어의 두께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보증한다. 체액이 흡수되어 저장되는 저장층 바로 밑에는, 체액이 투과할 수 없는 백시트(backsheet)가 위치되어, 흡수된 체액이 새는 것을 방지한다.
이 구조체의 각종 구성층은, 통상 해당 용품의 가장자리를 따라 함께 용접되어 있다.
특수한 경우, 더욱 많은 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훨씬 복잡한 구조체도 이용된다.
이런 종류의 용품의 제조시에는, 매우 값비싼 기계류를 이용하여, 연속된 스트립의 형태로 제공된 각종 출발재료를 조립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조기계류의 복잡성을 저감하기 위해, 상기 열거한 기능들(즉, 용품의 상부시트, 분배, 흡수, 배면봉합 등)중 하나이상을 수행하는 스트립 형상의 재료로 이루어진 반제품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상기 종류의 흡수용품의 제조중 일어나는 다른 문제점은, 용품 자체의 용적에 있다. 특히, 여성용 흡수용품의 제조시, 얇은 층을 얻어 착용했을 때의 불편을 저감시키기 위해, 제한된 두께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다.
상기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완제품을 생산하는 데 이용되는 반제품을 형성하는 구조체를 구성하는 2개이상의 조립층으로 이루어진 복합재료가 연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287,251호에는, 예를 들면, 엉켜있는 복수층의 부직포로 이루어진 1회용 흡수성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층은, 특히, 가장자리를 따라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혹은 열가소성 섬유를 이용한 스폿용접에 의해 합께 접합되어 있다.
국제특허 공개공보(WO-A) 9963922호에는, 체액의 입수·분배를 위한 복합층과 1층이상의 흡수층을 구비한 흡수성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각종 층은, 에어레이드(air-laid)수법, 즉, 섬유가 놓여 있는 쪽과 반대쪽의 직물의 쪽에 흡인된 공기류가 통과하는 직물상에 단섬유의 웹을 부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흡수층은, 셀룰로스섬유,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 및 웹을 강화(consolidating)하기 위한 접착제로 이루어져 있다.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는, 형성중인 직물상에 부착시키기 전에 섬유와 혼합한다. 접착제는, 형성중인 직물상에 형성된 섬유의 웹위에 분사된 후, 1개이상의 오븐속으로 반제품을 통과시킴으로써 중합된다.
입수·분배층을 형성하는 웹도, 에어레이드수법을 이용해서 형성되고, 열적으로 중합된 접착제의 첨가에 의해 강화된다. 또는, 웹은, 상기 웹의 형성에 이용되는 혼합물중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에 의해 강화된다. 각종 층을 함께 접합하는 것은, 마찬가지로, 가열가교 접착제를 이용해서 혹은 열가소성 섬유의 부분적인 용융에 의해 수행된다.
미국특허 제 5,695,486호에는, 웹이 접착제의 첨가에 의해 강화된 에어레이드수법을 이용해서 형성된 복합 흡수성 구조체가 개시되어 있다.
에어레이드 수법을 이용한 부직포 층의 형성은, 초흡수성 폴리머(SAP) 분체의 도입을 허용해서, 웹의 형성전에 섬유와 충분히 혼합되게 하는 이점을 지닌다. 초흡수성 폴리머는, 흡수층에 의한 유체의 흡수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수법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의 층을 형성하도록 섬유를 강화시켜 함께 접합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이런 유형의 생산에 필요한 공장설비의 복잡화를 위시한 몇몇 결점이 있다. 또는 열가소성 섬유와 가열 캘린더시스템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섬유강화수법은, 특히, 에어레이드 수법을 이용한 웹의 형성에 이용되는 섬유가 매우 짧다고 하는 사실에 비추어 임계적인 양상이 있다. 또, 얻어진 용품은, 반제품의 완제품의 제조로의 전환이라고 하는 후속 공정동안 결점을 구성하는 비교적 낮은 기계적 강도를 지닌다. 또한, 랜덤하게 배향된 단섬유의 이용은, 흡수층에 있어서의 액체의 최적이 아닌 분포를 구성하는 또 다른 문제도 지닌다. 사실상, 체액은, 흡수용품의 상부시트상의 상당히 제한된 영역에 방출된다. 상기 체액은, 여기서부터 횡단치수보다도 큰 길이방향치수를 지닌 용품의 하지의 흡수층안으로 통과한다. 섬유가 랜덤하게 분포하고 있을 경우, 흡수층에 상기 체액이 퍼져, 거의 원형의 연장부를 지닌 젖은 영역을 만들어, 체액의 입수지점으로부터 가장 먼 곳, 즉, 길이방향 단부에 가장 가까운 흡수성 재료의 부분에 함침되는 일없이 용품의 횡방향 가장자리영역에 이르게 된다. 이 결과, 흡수성 재료에 있어서는 용품의 커다란 영역에 사용되고 있지 않아, 체액이 횡방향으로 새어나갈 염려가 있다.
유럽특허 공고 제 0168196호에는, 생리대 제조용의 층형상 용품중에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 혹은 분체를 분포시키는 다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상기 입자는, 웹의 상부면상에 부착되고, 그 위로 제 2웹이 인가된다. 이들 2개의 웹은, 그 사이에 상기 입자가 포획되어 남도록 엠보싱수법에 의해 함께 접합된다. 따라서, 스트립 형상 재료의 섬유구조체 내부로의 입자의 분포는, 얻어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여성용 생리대, 유아용 기저귀, 실금(失禁)성 성인용의 기저귀 및 그 유사품 등의 위생용품 제조용의 복합 흡수성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유형의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재료의 제조를 위한 생산라인의 매우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복합재료의 단순화된 개략단면도
도 3은 도 1과 유사한, 생산라인의 약간 변형된 실시형태의 개략측면도
도 4는 두 층을 접합하기 전에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도입이 일어나는 생산라인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용품의 하나 이상의 결점을 적어도 일부 극복한 연속형 시트형상의 용품의 제조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생산라인을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는 생리대, 기저귀 혹은 기타 유사품의 제조시 반제품으로서 이용되는 복합 구조체의 제조에 있으며, 특히, 1종이상의 초흡수성 폴리머의 분체 혹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는 입자가 제한된 두께로 존재하고, 형성되는 각종 성분과 함께 접합하기 위한 복잡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구조체를 이용하는 용품으로부터 액체의 횡방향 누설을 피하기 위해, 흡수성 재료의 용적을 최적으로 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흡수체에 액체를 가능한 가장 균일하게 또한 정확하게 분포시키기 위한 높은 용량과 높은 기계적 강도와 동시에 높은 흡수용량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및 기타 목적과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판독함으로써 당업자에게는 명백해질 것이며, 특히, 비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제 1입수·분배층과; 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동시에 해당 부직포에 분포된 적어도 1종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하는 제 2흡수층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 2층이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s)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배향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에 의해 실현될 것이다.
실질적으로, 적어도 제 2층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분포되어 있는, 1종이상의 강화된 카드웹(card web)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로 형성되는 것을 상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웹 혹은 웹들의 강화 혹은 접착은, 기계식 혹은 수압식 엉킴에 의해 바람직하게 배향된다.
스테이플 섬유, 따라서 길이가 매우 긴 섬유에 의해 형성된 구조와, 적어도 1종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분포와의 배합으로 구성된 흡수층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흡수용량이, 에어레이드 수법에 의해 형성된 셀룰로스섬유의 웹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것과 동등이상으로 얻어질 수 있는 동시에, 섬유의 커다란 길이로 인해, 셀룰로스섬유보다도 훨씬 강한 강도와 그램중량이 낮게 된다. 또한, 제 2층이 바람직한 방향, 전형적으로 기계방향, 즉, 생산중에 반제품이 진행하는 방향으로 섬유의 배향을 지닐 경우, 흡수층중의 액체의 향상된 분포라고 하는 이점도 얻어진다.
본 발명 이전에 공지된 수법에 의하면, 스테이플 섬유, 즉, 전형적으로 카딩(carding)에 의해 얻어진 상당한 길이의 섬유로 형성된 구조체에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도입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사실상,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전형적으로, 에어레이드 수법에 의해 웹의 제조에 이용되는 제한된 길이의 셀룰로스 섬유와 혼합하고 있다. 본 발명의 특수한 개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층은, 엉킴에 의해 함께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층은, 바람직하게는 두 층의 접합을 얻을 수 있는 동일한 엉킴처리에 의해 접합되어 결합된 1개이상의 웹에 의해 형성된 부직포층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있어서, "엉킴"(entanglement)이란 용어는, 섬유의 웹을 강화 및/또는 섬유의 2종이상의 웹 및/또는 섬유의 1종이상의 웹을 함께 접합하고, 또, 해당 섬유를 기계식 혹은 수압식 처리에 의해 강화 혹은 결합해서, 개개의 층 혹은 웹에 놓여 있는 섬유를 그들의 원래의 위치로부터 일부 이탈시켜, 강화된 섬유 다발을 형성 및/또는 그들 층 혹은 중첩된 섬유의 웹을, 침투법에 의해, 상부 웹의 섬유의 적어도 일부중 하부 웹에 접합시키는 처리를 의미한다.
엉킴은, 기계식 유형(기계식 재봉), 즉, 바늘 펀칭법이어도 된다. 이 경우, 적당한 형태의 바늘로, 섬유의 중첩된 층을 침투시키고, 해당 직물재료에 침투하는 동안 섬유를 반송시킨다. 이 수법은, 그대로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5,454,145호, 제 5,511,294호, 제 5,548,881호 및 제 4,935, 29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각종 출원에 있어서 부직포의 제조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소위 "스펀레이싱"(spunlacing)이라 불리는 수압식 엉킴 혹은 수력 엉킴(hydroentangling)처리가 이용된다. 이 공지의 수법에 의하면, 강화대상 재료 및/또는 함께 접합될 층이, 적절한 배치의 노즐에 의해 생성된 고압수의 가는 젯(jet)의 작용을 받게 된다. 이 수류의 젯은, 기계식 바늘의 효과와 마찬가지 효과를 처리층의 섬유에 작용시킨다. 이 엉킴수법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 3,485,706호, 제 3,493,462호, 제 3,620,903호, 제 4,665,597호, 제4,623,575호, 제 4,805,275호, 제 5,353,485호, 제 5,475,903호, 제 5,009,747호, 제 6,063,717호, 제 6,163,943호, 제 6,200,669호에 개시되어 있다.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함께 스테이플 섬유에 의해 형성된 제 2층을 지닌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구조체는, 상당한 이점을 지닌다.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에 의해 형성된 최종품에 있어서, 내부흡수층(또는 내부흡수층들중 하나)을 구성하는 제 2층에 대해 높은 흡수능을 부여한다. 또한, 이러한 스테이플섬유의 사용은, 완제품을 얻기 위한 후속의 변환공정동안 필연적인 이점으로 되는 높은 기계적 강도를 지닌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 구조체는, 완제품, 즉, 기저귀 혹은 생리대 등의 제조의 단계동안, 2개의 개별의 스트립 형상 재료, 즉, 흡수체 코어를 형성하기 위한 것과 입수·분배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을 사용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기계식 엉킴 혹은 수압식 엉킴을 이용해서 층을 결합해서 강화시킬 경우, 복합 구조체를 형성하는 층의 열가소성 섬유의 용융이나 접착제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고 하는 또다른 이점도 얻어진다.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 혹은 입자의 존재는, 재료의 흡수능을 증대시켜, 제한된 두께의 직조섬유의 층을 이용할 경우에도, 생리대나 기저귀의 제조에 특히 적합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엉킴에 의해 강화되어 함께 접합된 섬유의 웹을 사용함으로써 특히 박형의 완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스테이플 섬유"로서 분류되는 길이가 15 내지 60㎜정도인 섬유의 사용(바구조체의 양쪽 층 모두에 대해서)은, 높은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해서, 특히 완제품의 제조를 위한 변환라인을 따른 후속의 변환단계동안 재료의 파손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 또, 길이 30 내지 60㎜정도의 섬유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개선점은, 비흡수성 섬유의 층, 즉, 입수·분배층에 있어서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유지되는 일없이, 흡수성 섬유의 층에 있어서,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침투 및 유지를 일으키는 것이 가능한 경이로운 사실에 의거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2개의 웹중 엉킴처리에 의해 제 1결합을 수행하고, 이어서, 초흡수성 폴리머의 인가처리를 행하는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초흡수성 폴리머의 침투는, 예를 들면,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가 분포되어 있는 2개의 미리 결합된 층에 의해 형성된 복합재료가, 교류전계를 통과해서, 즉, 해당 교류전계 라인이 상기 복합재료를 통과함으로써 얻어도 된다. 또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제 1층과 제 2층을 결합하기 전에, 해당 제 2층, 즉, 흡수성 섬유의 층으로 침투시킨다. 유리하게는, 이 경우에도, 교류전계는, 섬유의 층에의 상기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침투 및 균일한 분포를 얻는 데 이용해도 된다. 사실질적으로, 이 경우, 스테이플섬유의 웹은, 예를 들면, 카딩처리에 의해 생산해도 된다. 다음에, 웹은, 예를 들면, 수압식 엉킴에 의해 강화하고, 건조시켜, 부직포층을 형성한다. 이어서, 폴리머의 분체 혹은 초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의 적당량을 상기 웹에 부착시키고 나서, 교류전계를 통과시켜, 해당 입자 혹은 분체를 상기 층에 침투시킨다. 교류전계를 이용함으로써, 부직포층의 전체 용적중에 있어서의 입자의 매우 균일하고 완전한 분포를 얻어,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에 의해 얻어진 용품의 사용중에, 액체를 흡수한 폴리머에 의해 형성된 겔의 커다란 응집을 일으킬 수도 있는 입자의 집중형성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강화는, 유리하게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인가전에 일어나, 해당 입자의 제한된 일관성의 결과로서, 해당 입자가, 엉킴단계 동안 혹은 엉킴전에도, 웹내부의 유지력의 상실에 의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인가는, 수압식 엉킴에 의해 얻어질 경우 반드시 접착후에 일어날 필요가 있다.
섬유구조체를 통한 분체의 침투를 얻기 위해 교류전계를 이용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922290호에는, 섬유, 예를 들면, 탄소섬유나 유리섬유로 보강된 중합수지의 매트릭스에 의해 형성된 복합재료를 제조할 목적으로 중합성 수지의 분체로 섬유구조체를, 그의 두께 전체에 걸쳐서, 균일하게 충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공지된 방법은, 섬유구조체의 두께 전체에 걸쳐서 분체의 균일한 분포를 얻는 데 편리하게 이용되고, 이어서, 중합을 행하여 중합수지 매트릭스를 얻고 있다.
이제, 이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의 제조에 이용가능한 것도 확립되었으며, 특히, 교류전계의 영향하에,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가 침투해서 흡수층에 편입·유지되는 한편, 해당 분체는 입수·분배층에는 침투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입수·분배층의 외표면상에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를 분포시켜, 흡수층에 침투할 때까지 상기 층을 통해서 분체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도 발견하였다.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는, 입수·분배층에 의해 유지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상기 복합구조체를 얻기 위해, 이하의단계, 즉
비흡수성 섬유로 형성된 상기 제 1층을 준비하는 공정과;
제 2층을 형성도록 흡수성 섬유의 웹을 생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웹을 서로 접해서 나란히 배열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을 형성하는 웹을 함께 엉키게 해서 접합하여 복합 스트립 형상의 재료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층중에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침투 및 유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방법이 상정되고 있다.
비흡수성 섬유의 제 1층은, 예를 들면, 카딩기계 또는 섬유의 웹을 생산하는 다른 직조기로부터 공급된,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방향으로 배향된 비접착 섬유의 단일 혹은 다수의 웹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또는, 제 1층의 섬유는, 이미 경화 혹은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즉, 이 프로세스의 제 1단계에서 사용되는 제 1층은, 예를 들면, 접착된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엉킴에 의해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도, 바람직한 방향에 있어서의 섬유의 뛰어난 배향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면, 카딩기에 의해 배향될 수 있는 이 배향은, 흡수 용품의 바깥쪽으로부터 해당 용품 자체의 코어를 향해서 액체의 분포능을 향상시킨다. 또, 이 배향은, 기계방향의 의미에서, 즉, 형성중인 웹의 공급방향이 바람직하다. 완성품에 있어서, 입수·분배층은, 섬유의 바람직한 배향의 방향이 완성품의 길이방향연장부에 대해서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흡수성 재료의 거의 중앙영역에 축적된 체액이, 그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걸쳐서 분포되어, 그 결과 흡수성 코어의 사용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제 1형태에 의하면, 섬유의 제 2층은, 제 1층과 결합하는 단계의 바로 상류에서 생성된 비접착된 섬유의 (단일 혹은 다수의) 웹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웹은, 랜덤하게, 또는, 섬유의 바람직하게 배향된 분포, 즉, 섬유의 바람직한 배향, 이 경우에도 기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직조층의 용적 전체에 걸친 체액의 균일한 흡수가 가능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층의 제조방법은,
상기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상기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 1쪽에 분포시키는 공정과;
상기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를 통해 교류전계를 인가해서 제 2층안으로 상기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반송하는 공정을 상정할 수 있다.
섬유의 강화 혹은 접착 및 복합구조체를 형성하는 층의 접합이 수압식 엉킴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에는, 수압식 엉킴 후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인가전에 건조단계를 상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을 수행하는 다른 형태에 의하면, 제 1 및 제 2층은, 결합전에 강화되고, 또,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 혹은 입자는, 결합전에, 제 2층안으로 도입된다. 제 1층 및/또는 제 2층은, 단일 혹은 다수의 카드웹의 강화에 의해 얻어도 된다. 강화 혹은 접착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삽입전에 건조를 적절하게 행하는 경우에, 수압식 엉킴처리에 의해 일어나도 된다.
제 1층 및 제 2층의 섬유의 카운트(count: 실의 굵기를 나타내는 번수임)는, 예를 들면, 1 내지 15dtex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제 2층의 섬유의 카운트는, 1 내지 2dtex 정도인 반면, 제 1층의 섬유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dtex의 카운트를 지닌 것이 이용된다. 따라서, 제 2흡수층의 섬유는, 입수·분배층의 섬유보다도 실질적으로 얇다.
제 1층의 단위표면적당의 중량은, 제 2층의 단위표면적당의 중량보다도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평량, 즉, 제 1층의 단위표면적당의 중량은, 20 내지 120g/㎡정도인 반면, 제 2층에 대해서는, 초흡수성 폴리머의 비율을 배제한 상태에서 40 내지 200g/㎡정도이다. 또, 초흡수성 폴리머는, 제 2층의 중량의 5 내지 50%를 구성해도 되며, 즉, 2 내지 10 및 20 내지 100g/㎡의 범위이면 된다. 따라서, 복합구조체의 단위표면적당 중량은, 초흡수성 폴리머를 도입하기 전에, 62 내지 320g/㎡이다.
입수·분배층를 구성하는 제 1층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또는 기타 친수성 혹은 소수성 비흡수성 섬유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소수성 재질의 섬유를 이용하고 2층의 접합이 수압식 엉킴에 의해 일어날 경우, 제 1층의 섬유는, 그들을 친수화하는 제제로 편리하게 처리해서, 노즐로부터 수류젯의 침투를 용이하게 해서 수압식 엉킴을 행한다.
제 2웹의 섬유는, 비스코스섬유, 셀룰로스섬유 혹은 어느 경우에나 흡수성 섬유이어도 된다.
또한, 제 1 및/또는 제 2웹의 일부, 또는 이들 사이의 중간층에 대해서는,접착 혹은 비접착 셀룰로스(다공질 혹은 비다공질 페이퍼의 시트)의 웹에 의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친환경적으로 접착 혹은 비접착된 섬유를, 제 1 및 제 2웹에 삽입해도 된다.
엉킴은, 높은 치밀도를 지닌 흡수층을 제공하도록 적절하게 행하는 한편, 제 1층은, 덜 치밀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층과 제 2층간에 다른 치밀도를 얻기 위해, 동일한(수압식 혹은 기계식) 엉킴처리를 양 층에 수행하는 한편, 제 2층을 치밀하게 하고 제 2층을 치밀하지 않게 하도록 두 층을 형성하는 섬유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제 2층의 형성을 위한 비스코스와 제 1층을 위한 폴리에스테르의 선택은, 엉킴의 효과의 결과로서 비스코스섬유가 치밀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폴리에스테르섬유는 엉킴처리후 그들의 원래의 용적을 되찾기 때문에 최적이다. 이것에 의해, 제 1입수·분배층을 형성하는 섬유사이에 유지되는 높은 공백 용적을 고려해서, 해당 제 1입수·분배층을 통과하는 체액의 급속한 유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입수·분배층의 저밀도는,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보유를 피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역으로, 흡수층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적절하게 유지하여 완성품의 전체 용적을 감소시키도록 보다 치밀성을 지닌다. 체액이 이 층에 축적되면, 초흡수성 폴리머는 팽윤해서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체액을 저장하는데 충분한 용적을 만들어낸다.
천연에서 소수성인 폴리에스테르섬유를, 미리 처리해서 친수성을 획득시키는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수압식 엉킴의 경우 수류젯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급속한 유출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생산라인의 제 1실시형태예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것이다. (1) 및 (3)은, 일반적으로 비강화된 웹, 즉, 비접착 섬유를 생산가능한 2대의 카딩기(carding machines) 혹은 다른 직조기이다. 카딩기 대신에, 공기역학방식의 형성시스템, 랜덤카딩기 혹은 소위 랜도웨버(rando webber), 소위 크로스 랩퍼(cross-lapper) 또는 기타 적절한 기계를 이용하면 된다.
"비강화 혹은 비접착 섬유"란 표현은, 섬유에 의해 형성된 섬유의 (단일 혹은 다수의) 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그 접착은, 일반적으로, 접착제의 첨가 및/또는 접착처리의 부여없이, 오로지 각각의 개별의 섬유의 고유의 접착력에 의거한 것이다. 섬유의 웹은 이런 의미에서 부직포와는 다른 것이다. "부직포"는, 섬유의 웹의 접착에 의해 얻어진 가요성 직조품을 의미하는 것(DIN 61210에 의거함)으로 이해하면 된다. 접착은, 본 발명의 경우에, 기계적으로, 예를 들면, 바늘펀칭이나 수력 엉킴에 의해 행하면 된다.
특히, (1)로 표시되는 직조기는, 바람직하게는, 배향된 섬유의 웹, 즉, 섬유가 기계방향, 즉 형성되는 웹의 공급방향과 일치하는 주방향으로 원칙적으로 배열된 웹을 형성하는 기계이다. 따라서, 이것은 카딩기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3)으로 표시되는 직조기는, 바람직하게는, 비배향 웹, 즉, 섬유가 단일의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 전체적으로 랜덤한 방법으로 혹은 하나이상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웹을 형성한다. (V1) 및 (V2)는 2대의 직조기(1), (3)에 의해 생성된 2개의 웹이다.
2개의 웹(V1), (V2)은 서로 공급로를 따라 중첩된 후, 기계식 혹은 수압식 강화처리에 의해 강화, 즉, 2개의 웹의 섬유의 접착을 행하는 스테이션으로 반송된다. 강화스테이션은, 개략적으로 (5)로 표시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련의 상부의 노즐(7)을 지닌 수력 엉킴부와, 웹공급로 바로 밑에 위치된 물수집부(9)를 포함하고 있다. 2개의 웹(V1), (V2)은, 강화스테이션으로부터의 출구에서, 웹(V1)에 의해 형성된 제 1층과 웹(V2)에 의해 형성된 제 2층의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스트립 형상의 재료(N)를 형성하는 단일의 접착구조체를 형성한다. 스테이션(5)을 통과하는 웹(V1), (V2)을 때리는 고압수류젯의 효과는, 자연적으로 이중인 한편, 2개의 웹은 함께 접합되고, 반면에, 개별의 웹의 섬유는 접착된다.
스테이션(5)의 하류에서, 스트립 형상의 재료(N)는, (예시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일련의 가열롤러(13)를 구비한 건조스테이션(11)을 통과한다. 이 스테이션에서, 스트립 형상의 재료(N)가 보유한 나머지 물이 제거되고, 스트립 형상의 재료(N)는, 건조스테이션으로부터의 출구에서 거의 건조된다.
건조스테이션의 하류에는, 초흡수성 폴리머가 웹(V2)에 의해 형성된 층에 도입되는 스테이션(15)이 있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이 스테이션에서는, 스트립 형상의 재료(N)가 위쪽을 향한 웹(V2)에 의해 형성된 층으로 들어간다. 호퍼(17)는, 이 층의 자유면상에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를 놓은 후, 후술하는 방법으로 해당 층 자체에 침투시킨다. 구조체(S)의 단위표면적당 부여된 폴리머의 양은, 예를 들면, 스트립 형상의 재료(N)의 제 2층을 형성하는 웹(V2)의 단위 표면적당의 중량의 5 내지 50%중량로 다양하다. 이 양은, 예를 들면, 복합구조체로 만들고자 하는 완성품에 따라 선택하면 된다.
이들 용도를 위한 초흡수성 폴리머는, 당업자에게는 공지되어 있고, 또 시판되고 있다. 이들의 예로서는, 미국의 훽스트-셀라네스(Hoechst-Celanese)에서 상품명 IM1000으로 시판하고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일본의 산요카세이코교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산웨트®(Sanwet®), 미국의 스톡하우젠사 제품인 파보®(Favor®), 미국의 쳄달(Chemdal)사에서 상품명 ASAP®로 시판중인 폴리머, 일본의 스미토모 카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품인 폴리머 스미카 겔®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적절한 제품도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그들중 일부는,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963922호, 유럽특허공보 0168196호 등에 언급되어 있다.
다음에, 스트립 형상의 재료는, 예를 들면, 국제특허 공개공보 제 992292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 사이에 교류전계가 발생되고 있는 2개의 전기자(armature)(21), (23)사이를 통과한다. 이 교류전계는, 스트립 형상의 재료(N) 자체의 내부에 해당 스트립 형상의 재료(N)의 상부면상에 놓인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반송을 유발시킨다.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는, 웹(V2)에 의해 형성된 제 2층에 의해 유지되는 한편, 웹(V1)에 의해 형성된 제 1층에 의해서는 유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면이 도 2에 개략적으로 표시된 외관을 지닌 구조체(S)가, 스테이션(15)으로부터의 출구에서 얻어진다. 이것은, 층(S2)을 형성하는 인접하는 웹(V2)에 접착되어 접합된 웹(V1)에 의해 주로 형성된 제 1층(S1)으로 구성된다. 층(S2)은, 해당 층 자체를 형성하는 섬유의 망에 의해 유지된 초흡수성 폴리머 분체를 함유한다. 상기 폴리머는 개략적으로 (P)로 표시되어 있다.
개시된 설비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된 구조체(S)는, 생리대, 기저귀 등 기타 유사품의 생산용의 라인에서 반제품의 출발재료로서 사용하도록, 롤 혹은 릴(R)의 형태로 감겨 있다.
도 3은, 도 1에 표시한 설비의 변형예를 표시한 것이다. 도 1의 설비의 부품과 동일 또는 대응하는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두 실시예에 있어서의 차이점은, 이 실시예의 경우의 층(S1)이 직조기, 특히 카딩기에 의해 공급된 비접착섬유의 웹으로부터 생성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있다. 대신에, 공급로를 따라, 복합구조체의 제 2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웹(V2)이, 다른 설비에서 미리 형성된 릴(B)에서 공급된 부직포(NT)와 결합된다. 구조체(S)의 제 1층(S1)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직포는, 다른 방법으로 엉킴 혹은 강화처리된 재료이어도 된다. 이 실시예의 이점은, 층(S1), (S2)을 형성하고자 하는 두 성분을 수력 엉킴처리하기 위한 강화스테이션(7)에 있어서, 부직포(NT)의 층의 밀도가 실제로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점에 있다. 따라서, 최종 구조체(S)의 두 층(S1), (S2)의 밀도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고, 흡수층(S1)에 비해서 실제로 작은 밀도(섬유간의 빈 공간이 큼)를 지닌 입수·분배층(S1)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변형된 생산라인을 표시한 것이다. 이 경우, (101)은, 기계방향으로 바람직한 배향으로 배향된 스테이플섬유의 웹(V102)을 형성하는 직조기, 예를 들면, 카딩기이다. 웹(V102)은, 강화섬유, 즉 부직포의 웹으로 이루어진 층(S102)을 얻기 위한 수력 엉킴처리에 의해 강화스테이션(105)에서 강화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해서 강화된 층은, 층(S102)을 형성하는 재료중에 남아있는 잔류 물을 제거하기 위해 일련의 가열롤러(113)에 의해 형성된 건조스테이션(111)을 통과한다. 이어서,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 혹은 초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은, 건조스테이션(111)의 하류에서, 호퍼(117)에 의해, 층(S102)의 상부면에 균일하게 분배된다. 상기 건조스테이션의 하류에는, 선행하는 실시예의 전기자(21), (23)를 참조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그들 사이에 교류전계가 발생되고 있는 1쌍의 전기자(121), (123)가 설치되어 있다. 교류전계는, 층(S102)의 두께 전체에 걸쳐서 상기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침투를 일으킨다.
전기자(121), (123)의 하류에는, 층(S102)이, 층(S101)과 결합되고, 이 층(S101)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공급롤로부터 공급된 부직포의 층이지만, 선행하는 실시예를 참조해서 설명한 것에 따라, 예를 들면, 카딩기 또는 기타 직조기에 의해 생산라인을 따라 제조된 부직포의 층일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공지된 유형의 초음파 용접부로 이루어진 접합스테이션(130)은, 2개의 층(S102), (S101)을 결합하는 영역의 하류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용접부에 의해, 규정된 영역에서 층(S102), (S101)의 스폿용접, 가열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층의 한쪽 혹은 양쪽은, 두 층사이의 스폿용접을 보증하도록, 적어도 접합스테이션(130)에서 이들을 가열하는 온도에서 용융되는 열가소성 섬유의 분획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층(S102)과 층(S101)중 한쪽 혹은 양쪽상에, 접착제, 예를 들면, 가열활성화될 수 있는 접착제를 분포시켜, 예를 들면, 접착에 의해 이들 층을 함께 접합시키는 다른 시스템을 상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이들 두 층을 1쌍의 가열실린더로 이루어진 캘린더안으로 통과시켜, 접착제를 활성화시킨다. 또는, 가열된 실린더로 이루어진 캘린더는, 상기 층들중 한쪽 또는 양쪽을 형성하는 혼합물에 존재하는 열가소성 섬유를 부분적으로 용융시키는 데 사용해도 된다. 또, 용접은, 이 경우에는, 캘린더의 실린더의 적어도 한쪽의 절개에 의해, 즉, 일련의 돌기물 혹은 돌출점을 형성함으로써 스폿방식으로 행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접합스테이션(130)으로부터의 출구에서, 두 층사이의 접합부의 형태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 도 2에 표시한 것과 마찬가지의 단면을 지닌 제품이 얻어진다. 이 경우, 두 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단지 부분적인 용융을 포함한 용융 및/또는 접착제의 완전한 제거의 이점은 없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생산라인을 이용해서 제조할 수 있는 생리대, 기저귀 혹은 기타 유사품 등의 용품의 제조시 반제품으로서 이용되는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히, 1종이상의 초흡수성 폴리머의 분체 혹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는 입자가 제한된 두께로 존재하고, 형성되는 각종 성분과 함께 접합하기 위한 복잡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또한, 구조체를 이용하는 용품으로부터 액체의 횡방향 누설을 피하기 위해, 흡수성 재료의 용적을 최적으로 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흡수체에 액체를 가능한 가장 균일하게 또한 정확하게 분포시키기 위한 높은 용량과 높은 기계적 강도와 동시에 높은 흡수용량을 지니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49)

  1. 실제적으로 비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 제 1입수·분배층과; 흡수성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형성된 동시에 해당 부직포에 분포된 적어도 1종의 초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함유하는 제 2흡수층을 구비하고, 적어도 상기 제 2층이 스테이플 섬유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은, 길이가 15 내지 60㎜정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정도인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이 스테이플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은, 전체 길이가 15 내지 60㎜정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정도인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의 섬유의 카운트가 1 내지 15dtex정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dtex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의 섬유의 카운트가 1 내지 15dtex정도,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dtex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의 단위 표면적당의 중량이 20 내지 120g/㎡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8. 제 1항 내지 제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의 초흡수성 폴리머를 배제한 단위 표면적당의 중량이 40 내지 200g/㎡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은,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해당 제 2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중량의 5 내지 50%정도의 양만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은 함께 엉킴처리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은 함께 수압식 엉킴처리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은 함께 기계식 엉킴처리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3. 제 1항 내지 제 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상기 제 2층은, 각각의 강화 카딩처리된 섬유의 웹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4. 제 1항 내지 제 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은, 상기 제 2층에 접합되기 전에 강화된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을 형성하는 섬유가 서로 결합되어 강화 부직포를 형성하고, 해당 강화 부직포는 엉킴처리에 의해 상기 제 2층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을 형성하는 섬유가 서로 접착되어 강화 부직포를 형성하고, 해당 강화 부직포는 스폿용접에 의해 상기 제 2층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제 2층중 적어도 1층이 열가소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해당 섬유의 용융에 의해 해당 두 층간에 용접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8. 제 1항 내지 제 1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의 섬유가 1방향의 바람직한 배향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19. 제 1항 내지 제 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의 섬유가 1방향의 바람직한 배향을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0. 제 1항 내지 제 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의 두께가 0.15 내지 1.5㎜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1. 제 1항 내지 제 2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의 두께가 0.5 내지 2㎜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2. 제 1항 내지 제 2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의 섬유가, 폴리에스테르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셀룰로스섬유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3. 제 1항 내지 제 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의 섬유가 비스코스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4. 제 1항 내지 제 2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롤형상으로 감긴 스트립 형상 재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5. 제 1항 내지 제 2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의 치밀성이 제 2층의 치밀성보다도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구조체.
  26. 액체를 입수해서 분배하는 제 1층과 해당 액체를 흡수해서 유지하는 제 2층을 지닌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층을 스테이플 섬유로 형성하고, 해당 제 2층에 적어도 1종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 2층을 섬유의 바람직한 배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비흡수성 섬유로 형성된 상기 제 1층을 준비하는 공정과;
    흡수성 섬유의 웹을 생성해서 상기 제 2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을 서로 접해서 나란히 배열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을 함께 엉킴처리해서 접합하여 복합 스트립 형상의 재료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2층중에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침투 및 유지시키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상기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한쪽에 분포시키는 공정과;
    상기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를 통해 교류전계를 인가해서 상기 제 2층안으로 상기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반송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상기 제 2층의 자유면에 걸쳐 분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1. 제 26항 내지 제 3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은, 길이가 15 내지 60㎜정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정도인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2. 제 26항 내지 제 3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은, 길이가 15 내지 60㎜정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정도인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3.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섬유의 웹이, 상기 제 1층과 접합되기 전에 강화되지 않고 카딩처리된 섬유의 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4. 제 26항 내지 제 3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은, 상기 흡수성 섬유의 층과 접합되기 전에 강화된 부직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5. 제 26항 내지 제 3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은, 상기 흡수성 섬유의 웹과 접합되기 전에 강화되지 않은 섬유의 웹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층과 제 2층은 1회의 엉킴작업에 의해 강화되어 함께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6. 제 26항 내지 제 3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을 섬유의 바람직한 배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7.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상기 제 2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흡수성 섬유의 웹을 함께 수압식 엉킴처리에 의해 접합하고, 스트립 형상 재료를 건조한 후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8.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상기 제 2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상기 흡수성 섬유의 웹을 함께 기계식 엉킴처리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39. 제 26항 내지 제 3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은, 1 내지 15dtex정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dtex정도의 카운트를 지닌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0. 제 26항 내지 제 3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은, 1 내지 15dtex정도,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dtex의 카운트를 지닌 섬유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1. 제 26항 내지 제 4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의 단위 표면적당의 중량이 20 내지 120g/㎡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재료의 제조방법.
  42. 제 26항 내지 제 4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흡수성 웹의 단위 표면적당의 중량이 40 내지 200g/㎡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3. 제 26항 내지 제 4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층을 형성하는 섬유의 중량에 비해서 5 내지 50중량%정도의 양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상기 제 2층에 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4.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입수·분배층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 2흡수층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 2흡수층에 상기 적어도 1종의 초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삽입하는 공정과;
    상기 제 2층과 상기 제 1층을 접합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5. 제 4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상기 제 2층을 함께 스폿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6. 제 4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상기 제 2층을 함께 초음파 용접에 의해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7. 제 45항 또는 제 4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층 및 제 2층중 적어도 1층에 열가소성 섬유의 비율을 상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8. 제 44항 내지 제 4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층과 제 2층사이에 접착제를 인가해서, 해당 제 1층과 제 2층을 접착에 의해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49. 제 4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감열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의 복합 스트립 형상 재료의 제조방법.
KR10-2004-7012092A 2002-02-05 2003-01-30 기저귀, 생리대 제조용 복합 흡수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811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2425055.7 2002-02-05
EP02425055 2002-02-05
PCT/IT2003/000038 WO2003065951A2 (en) 2002-02-05 2003-01-30 A composite absorbent structure for the production of diapers, sanitary napkins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184A true KR20040081184A (ko) 2004-09-20

Family

ID=2767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092A KR20040081184A (ko) 2002-02-05 2003-01-30 기저귀, 생리대 제조용 복합 흡수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165371A1 (ko)
EP (1) EP1471860A2 (ko)
JP (1) JP2005516676A (ko)
KR (1) KR20040081184A (ko)
AU (1) AU2003209689A1 (ko)
WO (1) WO2003065951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74B1 (ko) * 2005-12-20 2013-12-20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80023B (zh) * 2005-03-23 2011-01-12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BRPI0615715A2 (pt) 2005-09-06 2011-05-24 Tyco Healthcare curativo de ferimento independente com microbomba
WO2009036483A1 (en) * 2007-09-19 2009-03-26 Senevens International Ltd Non-woven biodegradable hygiene product
WO2010053875A1 (en) * 2008-11-04 2010-05-14 The Systems Group, Inc. Cross-woven spunlace compacted towel with recoverable texture
DE102009055951A1 (de) * 2009-11-27 2011-06-01 Glatfelter Falkenhagen Gmbh Absorbierende Struktur
US20110162989A1 (en) 2010-01-06 2011-07-07 Ducker Paul M Ultra thin laminate with particulates in dense packages
US9549858B2 (en) 2010-01-06 2017-01-24 Ching-Yun Morris Yang Ultra-thin absorbent article
CN105963074B (zh) 2011-07-14 2020-01-17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敷料和治疗方法
EP3354293B1 (en) 2012-05-23 2019-12-11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CA3178997A1 (en) 2012-08-01 2014-02-06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US10076449B2 (en) 2012-08-01 2018-09-18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treatment
WO2014145326A1 (en) 2013-03-15 2014-09-18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ulti-layered absorbent article
US9789014B2 (en) 2013-03-15 2017-10-17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9566198B2 (en) 2013-03-15 2017-02-1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composite and absorbent articles employing the same
US10201462B2 (en) 2013-07-03 2019-02-12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bsorbent composite, an absorbent article employing the same, and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absorbent composite and/or article
EP3666237B1 (en) 2014-06-18 2023-11-01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FR3027926B1 (fr) * 2014-10-29 2017-04-21 Ntp Procede de realisation d'un complexe non-tisse/particules actives et complexe obtenu par ce procede
RU2698398C1 (ru) * 2016-06-27 2019-08-26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масляной композицией и маслозащитным слоем
GB2555584B (en) 2016-10-28 2020-05-27 Smith & Nephew Mult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JP6960381B2 (ja) * 2018-08-22 2021-11-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210612360U (zh) * 2019-03-01 2020-05-26 滕州市华宝卫生制品有限公司 一种复合吸收芯体及吸收性物品
IT201900004821A1 (it) * 2019-04-16 2020-10-16 Fameccanica Data Spa Struttura assorbente e procedimento per realizzare tale struttura assorbente
CN112760808A (zh) * 2020-12-29 2021-05-07 稳健医疗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水刺复合面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AU2021411425A1 (en) * 2020-12-31 2023-08-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web and surge layer made from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7251A (en) * 1978-06-16 1981-09-01 King Mary K Disposable absorbent nonwoven structure
US4655757A (en) * 1984-04-23 1987-04-07 Kimberly-Clark Corporation Selective layering of superabsorbents in meltblown substrates
FR2592896B1 (fr) * 1986-01-15 1988-04-22 Boussac Saint Freres Bsf Matelas absorbant perfectionne, notamment pour des articles d'hygiene.
US4931355A (en) * 1988-03-18 1990-06-05 Radwanski Fred R Nonwoven fibrous hydraulically entangled non-elastic coform material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US6025050A (en) * 1994-06-15 2000-02-15 Bba Nonwovens Simpsonville, Inc. Thermally appertured nonwoven laminates for wipes and coverstock for hygienic articles
US5552012A (en) * 1994-09-09 1996-09-03 Kimberly-Clark Corporation Placement of electric-field-responsive material onto a substrate
HU221029B1 (hu) * 1994-11-09 2002-07-29 The Procter & Gamble Co. Perianális szennyeződések eltávolítására alkalmas víz a lipidben emulzióval kezelt tisztítókendő és eljárás az előállítására
MY124298A (en) * 1994-12-28 2006-06-30 Kao Corp Absorbent sheet,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US6314627B1 (en) * 1998-06-30 2001-11-13 Polymer Group, Inc. Hydroentangled fabric having structured surfaces
JP2960927B1 (ja) * 1998-07-21 1999-10-12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シート状高吸水性複合体の製造法
US6589892B1 (en) * 1998-11-13 2003-07-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icomponent nonwoven webs containing adhesive and a third compon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3874B1 (ko) * 2005-12-20 2013-12-20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시트 및 그것을 사용한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516676A (ja) 2005-06-09
US20050165371A1 (en) 2005-07-28
AU2003209689A1 (en) 2003-09-02
WO2003065951A3 (en) 2004-03-18
WO2003065951A2 (en) 2003-08-14
EP1471860A2 (en) 2004-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1184A (ko) 기저귀, 생리대 제조용 복합 흡수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EP3560469B1 (en) Absorbent article
US20230301841A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fluff-free absorbent cores
US20230039880A1 (en) Absorbent article with capillary acceleration sheet
WO2003073971A2 (en)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 and structure formed in this way
EP3549566B1 (en) Absorbent article with reduced absorbent core
NL2027163B1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bottom distribution assembly
US20240099911A1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structure
US20240041668A1 (e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bottom layer
NL2028199B1 (en) Absorbent article with resilient bottom layer
US20240024172A1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apillary acceleration sheet
NL2027169B1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apillary acceleration sheet
US20230404822A1 (en)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apillary acceleration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