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655A - 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655A
KR20040079655A KR1020030014635A KR20030014635A KR20040079655A KR 20040079655 A KR20040079655 A KR 20040079655A KR 1020030014635 A KR1020030014635 A KR 1020030014635A KR 20030014635 A KR20030014635 A KR 20030014635A KR 20040079655 A KR20040079655 A KR 2004007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mobile communication
main body
communication devic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46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문영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4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9655A/en
Publication of KR2004007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65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PURPOSE: A module exchange-type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is provided to exchange a body or a folder added with other functions or designs in a frame tube for connecting the body with the folder, thereby changing telephone designs. CONSTITUTION: A body(3) and a folder(5) are detachably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an oval ring-shaped frame tube consisting of a soft material portion(17) whose middle part can be foldable. Upper/lower socket portions are mounted on upper/lower ends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frame tube while being connected through a soft film passing through the tube. The frame tube is in oblong shape. The soft material portion(17) is made of a bellows tube.

Description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기기{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폴더형 휴대용 이동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형 이동통신 전화기와 같은 이동통신 기기의 다양한 기능을 하나씩 별도로 모듈화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소정의 기능을 갖는 모듈을 골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모듈 교환형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shel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modularize various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clamshell mobile communication phone one by one, and to select and replace a module having a predetermined function as desired by the consumer. A module interchangeabl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s provided.

이동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고성능의 이동통신 기기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그 종류도 또한 다양한데, 이러한 이동통신의 형태로는 이동체 상호간의 직접통신(무선송수신기), 하나의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체 사이의 통신(MCA 무선), 복수의 기지국에서 근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통신(자동차전화) 등이 있으며, 또한 공중이동통신과 전용이동통신으로 분류할 수도 있다. 다시 공중이동통신에는 자동차전화, 선박전화, 항공전화, 이동공중전화 등이 있으며, 전용이동통신에는 경찰, 구급차량, 소방 등의 공공기관 업무용도 있고 특정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상업용도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high-performance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are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and various kinds thereof are also available. In the form of such mobile communication,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mobile devices (wireless transceiver), one base station and many mobile devices Communication (MCA radio), communication for selecting a nearby base station from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car telephone), and the like, and may also be classified into public mobile communication and dedicated mobile communication. Public mobile communication includes car phones, ship phones, air phones, mobile public phones, and dedicated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for public agencies such as police, ambulances, and firefighting.

이러한 이동통신 기기들은 위와 같은 분류 외에도 그 형태에 따라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딩 폴더형(Sliding Folder type)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 중 바형 휴대용 전화기는 알려진 바와 같이 직사각 기둥 형태의 본체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 일측면 상단에 디스플레이용 액정화면이, 그 아래쪽에 키 패드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상하단에는 수화용 이어 피스(ear-piece)와 송화용 마이크가 각각 설치되어 있고, 본체 일측 모서리 부분에 축방향으로 삽탈식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항상 송수화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통화 개시 및 종료를 원하는 경우 통화버튼를 누르는 간단한 조작 구조를 가지나, 주지된 바와 같이 본체에 액정화면과 키 패드가 상하로 배열되어 설치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필연적으로 전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Such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a bar type, a flip type, a folder type, a sliding folder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type in addition to the above classification. Among them, the bar-type portable telephone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pillar-shaped main body,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for display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a keypad is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piece) and a microphone for transmission, respectively, and have a structure that is equipped with a detachable antenna in the axial direction at one corner of the main body. Therefore, since the handset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it has a simple operation structure of pressing a call button when it wants to start and end a call, but as it is well known, i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CD screen and the keypad are arranged up and down on the main bod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whole becomes large.

또한, 플립형 휴대용 전화기는 도 1a 및 1b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시 본체(103)로부터 플립(105)을 열어 사용하는 구조로, 본체(103)와 이 본체(103)의 하단에 피벗 가능하게 결합된 플립(105)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03)는 위 바형 휴대용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상부에 디스플레이용 액정화면(107)이, 그 아래쪽에 키 패드(10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단에 수화용 이어 피스(111)와 송화용 마이크(113)가 설치되어 있고, 일측 모서리 부분에 삽탈식 안테나(115)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플립형 전화기(101)는 하단 일측에 플립 감지센서(117)가 설치되어 플립(105)의 개폐동작을 감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립(105)은 본체(103) 하단에 힌지축(119)을 통해 피벗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키 패드(109) 전체를 덮도록 되어 있다. 이 전화기(101)의 경우에는 통화 시플립(105)을 열고 통화를 하며, 통화가 끝난 후에는 플립(105)을 닫아 통화를 끊을 수도 있다. 이 때, 플립 감지센서(117)에 의해 플립(105)이 닫히고 열리는 것을 감지하여 통화를 연결하거나 끊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flip 105 is opened from the main body 103 and used during a call,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01 in FIGS. 1A and 1B. The main body 103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3 are used. And a flip 105 pivotably coupled to it. Here, the main body 103 has a liquid crystal display 107 for display on the top and a keypad 109 for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3, and an earpiece 111 for a sign language and a microphone for a talk (at the upper and lower ends). 113 is provided, and the detachable antenna 115 is attached to one corner part. In particular, the flip phone 101 is provided with a flip sensor 117 on one side of the bottom to detect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flip (105). In addition, the flip 105 is pivotal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3 through the hinge shaft 119 to cover the entire keypad 109. In the case of the telephone 101, the call is flipped 105 and the call is made. After the call, the flip 105 may be closed to terminate the call. At this time, the flip sensor 105 detects that the flip 105 is closed and opened so that the call can be connected or disconnected.

그런데, 플립형 전화기(101)도 플립(105) 자체가 본체(103)의 키 패드(105)를 덮는 기계적인 기능만을 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액정화면(107)과 키 패드(109)가 모두 설치되는 본체(103)를 소형화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바형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전체 크기가 대형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By the way, the flip telephone 101 also has a mechanical function that the flip 105 itself covers the keypad 105 of the main body 103, so that both the LCD screen 107 and the keypad 109 are installed. Difficult to reduce the size (103), and thus had a problem that the overall size must be large, like the bar-type telephone.

이와 같이 대형화된 바형이나 플립형 전화기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바와 같은 폴더형 휴대용 이동통신 전화기가 개발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bar-type or flip-type telephone is enlarged in this way, a folding portable mobile telephone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201 in FIG. 2 has been developed.

이 폴더형 전화기(201)는 도시된 것처럼, 본체(203)와 본체(203) 상단에 힌지축(205)을 통해 피벗식으로 연결된 폴더(207)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203)에는 폴더(207)에 의해 덮이는 전면에 키 패드(211)가 설치되어 있으며, 마주한 폴더(207)의 내측면에는 디스플레이용 액정화면(20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203)의 하단 부분에는 송화용 마이크(213)가, 폴더(207)의 상단에는 수화용 이어피스(2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전화기(201)는 통화 시 도시된 것처럼, 본체(203)에서부터 폴더(207)를 피벗식으로 돌려 올리게 되며, 통화가 끝나면 폴더(207)를 본체(203) 전면 쪽으로 접어 보관하도록 되어 있는 절첩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바형이나 플립형에 비해 보관 시의 전체 크기를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is folding telephone 201 is composed of a main body 203 and a folder 207 pivot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203 through a hinge shaft 205. The main body 203 is provided with a key pad 211 on the front surface covered by the folder 207,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209 for display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older 207 facing each other. In addition, the microphone 213 for sending is provided in the lower end part of the main body 203, and the earpiece 215 for hydration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of the folder 207, respectively. Thus, the phone 201 pivotally lifts the folder 207 from the main body 203 as shown in the call, and folds the folder 207 to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203 and keeps it at the end of the call. Because of th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overall size of the storage by about half compared to the bar or flip type.

이와 같이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201)는 소형화에 따른 이점은 있으나 이어피스(215)나 마이크(213)가 폴더(207)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통화를 하려면 반드시 폴더(207)를 열어야 할 뿐 아니라, 액정화면(209)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도 폴더(207)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folding portable telephone 201 has an advantage of miniaturization, but since the earpiece 215 or the microphone 213 is located inside the folder 207, the folder 207 must be opened in order to make a call. Even if you want to see the screen 209, there was a inconvenience to open the folder 207.

이러한 불편을 줄이기 위해 좀 더 발전된 형태로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폴더(207)의 외면에 액정화면이 설치되어 액정화면이 2개인 듀얼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나, 도 3에 도면부호 301로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가 개발된 바 있다.Although not shown as a more advanced form in order to reduce this inconvenience, a dual-fold portable phone having a liquid crystal screen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207 and two liquid crystal screens, or sliding 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301 in FIG. A clamshell phone has been developed.

이 중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301)는 폴더(305)가 본체(303)에 상단 중앙에 힌지축(307)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폴더(305) 중앙에 설치된 액정화면(311)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통화 중이든 아니든 폴더(305) 개방 여부와 관계 없이 항상 액정화면(311)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마이크(309)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폴더(305)의 길이가 본체(303)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경우 폴더(305)를 굳이 개방하지 않고도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슬라이딩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301)는 본체(303)와 본체(303)에 슬라이딩 회전하도록 결합된 폴더(305)에 기본적으로는 액정화면(311)과 키 패드(315)와 배터리 팩 등이 설치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카메라, 캠코더 등 최근에 개발된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서는 MP3, VCD 등의 기능도 점차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전체적으로 크기가 대형화되어 미관이 나빠지고, 취급이 불편해질뿐 아니라, 제조 시의 사양이나 기능을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시 디자인이나 기능에 쉽게 실증을 느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Among these, in the sliding folding type portable telephone 301 as shown in FIG. 3, the folder 30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about the hinge axis 307 at the top center of the main body 303, and the folder 305. (305) Since the LCD screen 311 installed at the center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regardless of whether the folder 305 is open or not during a call, the contents of the LCD screen 311 can always be checked, as well as the microphone 309. Since the length of the folder 305 is slightly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main body 303 so that the outsid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is sliding clamshell portable phone has the advantage of making a call without having to open the folder 305 if necessary. The 301 is basically a liquid crystal display 311, a keypad 315, a battery pack, and the like, in the folder 305 coupled to the main body 303 and the sliding body 303 to be rotated. , Recently, new functions such as camcorders should be added, and furthermore, functions such as MP3 and VCD are gradually being added. Since the function can not be changed or had a long time use, the design or function had a problem that can be easily demonstrated.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폴더와 본체를 별도의 모듈로 제작할 뿐 아니라, 최근 휴대용 전화기에 추가되고 있는 다양한 기능 들을 별도의 유닛으로 모듈화하거나 본체 또는 폴더 모듈에 추가하여, 이들 각각의 모듈을 벨로우즈관으로 중간 부분이 접을 수 있게 관절화되어 있는 타원형 고리 모양의 프레임 튜브 상하부에 임의로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모듈화된 본체나 폴더 또는 특정 기능의 모듈을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리성이나 기능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clamshell phone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o produce a folder and the main body as a separate module, modularized a variety of functions recently added to the portable phone into a separate unit Or in addition to a body or folder module, each of these modules can be optionally assembled on top and bottom of an elliptical annular frame tube, which is articulated to be foldable by a bellows tube, thereby allowing the modular body or folder or particular module to be assembled. The purpose is to greatly improve the ease of use and functionality by enabling the use of modules in any combination.

도 1은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플립형 이동통신 전화기의 사시도.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nventional flip mobile phone.

도 2는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이동통신 전화기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foldable portable mobile phone

도 3은 종래의 슬라이딩 폴더형 휴대용 이동통신 전화기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sliding folding portable cellular telephon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적층형 이동통신기기의 각 모듈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module of the module stack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nfolded about a hinge axis;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 적층형 이동통신기기의 각 모듈이 접혀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each module of the module laminat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ld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모듈 적층형 이동통신기기(전화기)1: Module stack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elephone)

3 : 본체 5 : 폴더3: body 5: folder

7 : 배터리 팩 9 : 키 패드7: battery pack 9: key pad

11 : 마이크 13 : 액정화면11: microphone 13: LCD screen

15 : 이어 피스 17 : 힌지축15: ear piece 17: hinge axis

21 : MP4 23 : 디지털 카메라 모듈21: MP4 23: Digital Camera Module

27,33 : 박판 코일띠 29 : 고정용 돌기27,33: thin coil coil 29: fixing projection

31 : 수나사부 32 : 고정너트31: male thread portion 32: fixing nut

35 : 고정홈 37 : 고정돌기35: fixing groove 37: fixing protrusion

39 : 고정공39: fixing hole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키 패드 및 마이크가 일측면에 설치된 본체와 액정화면 및 이어 피스가 일측면에 설치된 폴더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체의 상부에 상하로 접힐 수 있게 폴더가 결합되어 있는 폴더형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에 있어서, 본체와 폴더는 중간 부분이 접힐 수 있는 연성 재질부로 되어 있는 타원형 고리 모양의 프레임 튜브 내주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튜브 내부를 지나는 연성필름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프레임 튜브의 내주면 상하단에 장착된 상하 소켓부에 각각 접속되어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 기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main body, a keypad and a microphone installed on one side, and a folder on which the LCD screen and ear pieces are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folder is combined to be folded up and down on the top of the main body. In the foldabl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are detachably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al annular frame tub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be folded in the middle, and the frame is connected through a flexible film passing through the tube. Provided is a module exchange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ockets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ub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 기기를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듈 적층형 이동통신 전화기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odule switch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modular stacked mobile communication phone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 전화기는 도 4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본체(3)와 본체 위쪽에 접힐 수 있게 설치되는 폴더(5)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by reference numeral 1 in FIG. 4, the module exchangeabl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lder 5 which is installed to be folded on the main body 3 and above the main body, as in the conventional folding portable telephone. )

따라서, 본체(3)의 전면에는 키 패드(7)가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 하단에는 송화용 마이크(9)가 설치되어 있으며, 폴더(5)에는 안쪽 면에 액정화면(11)이 설치되어 있고, 그 중앙 상단에 이어 피스(13)가 장착되어 있으며, 폴더(5)의 바깥쪽 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듀얼 액정화면(23)이 설치될 수 있다.Therefore, a key pad 7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main body 3, a microphone for a call 9 is provided at the lower center thereof, and a liquid crystal screen 11 is provided at the inner side of the folder 5. The ear piece 13 is mounted at the top of the center, and the dual liquid crystal display 23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lder 5 as shown in FIG. 6.

특히, 본 발명의 모듈 교환형 전화기(1)는 프레임 튜브(15)를 통해 아래쪽의 본체(3)와 위쪽의 폴더(5)가 접힐 수 있으면서도 기계적으로 또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 튜브(15)는 강체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태를 취하면서 전체적으로 상하로 긴 타원형의 고리모양을 이루며, 폴더(5) 부분을 아래로 접을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만은 벨로우즈 관과 같은 연성 재질부(17)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프레임 튜브(15)는 그 내부를 통해 본체(3)와 폴더(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성필름(미도시)이 지나가도록 되어 있으며, 연성필름은 튜브(15)의 내주면 상하단에 각각 돌출된 상하 소켓부(19,21)에 연결되어 이 소켓부(19,21)에 각각 접속되는 폴더(5)와 본체(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module changeable tele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body 3 and the upper folder 5 can be folded and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frame tube 15. To this end, the frame tube 15 takes the form of a pipe made of a rigid body and forms an oval ring of long oval shape as a whole, and only the center portion is a flexible material such as a bellows tube so that the folder 5 can be folded down. It consists of 17). In addition, the frame tube 15 is a flexible film (not show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3 and the folder 5 through the inside, and the flexible film is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ube 15, respectively The folder 5 and the main body 3 which are connected to the protruding upper and lower socket portions 19 and 21 and connected to the socket portions 19 and 21 respectively are electrically connected.

이와 같이 프레임 튜브(15)는 상하 소켓부(19,21) 및 연성필름을 통해본체(3)와 폴더(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있을 뿐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재질부(17)를 제외한 내주면을 따라 상하로 대칭인 형태로 안내돌기(25)가 길게 연장된 상태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튜브(15)를 접은 상태에서 안내돌기(25)를 따라 폴더(5) 또는 본체(3)를 빼내거나 끼워 넣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폴더(5) 또는 본체(3)의 측면에는 안내돌기(25)에 끼워지는 안내홈(27)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As such, the frame tube 15 electrically connects the main body 3 and the folder 5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ocket portions 19 and 21 and the flexible film, as shown in FIG. 5. Since the guide protrusions 25 protrude in a state in which the guide protrusions 25 are extended in a symmetrical form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except for 17), the guide tubes 25 are folded in the folded state of the frame tube 15 as shown in FIG. 7. The folder 5 or the main body 3 can be pulled out or inserted. For this purpose, the guide groove 27 fitted to the guide protrusion 25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folder 5 or the main body 3. It is formed concave in the state.

이 때 프레임 튜브(15)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나, 횡단면 형상을 장방형이 되도록 사각 기둥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본체(3) 위로 폴더(5)를 접었을 때 서로 맞닿음되는 프레임 튜브(15)의 상하면 접촉면적을 원통형일 때보다 넓힐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rame tube 15 has a cylindrical cross section, as shown in the drawing, but the frame tube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folder 5 is folded over the main body 3 by making the cross-sectional shape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column to form a rectangular shape. The upper and lower contact areas of (15) are to be wider than when cylindrical.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기기의 한 실시예로서 위와 같이 구성된 모듈 적층형 이동통신 전화기(1)의 작동을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as an embodiment of the module-switch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modular stacked mobile phone 1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전화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와 폴더(5)를 일체로 형성된 고리 형태의 프레임 튜브(15)에 끼워넣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1)와 동일하게 통화 여부에 따라 폴딩 또는 언폴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추가적인 기능이나 디자인이 다른 본체(3)나 폴더(5) 또는 다른 기능을 가진 모듈과 현재 사용중인 본체(3)나 폴더(5)을 교체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 또는 취향에 따라 편리하게 전화기(1)의 성능이나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As the telephon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main body 3 and the folder 5 is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shaped tube 15 of the ring body formed integrally, so that the general folding portable telephone As in (1), it can be used by folding or unfolding depending on whether a call is made, as well as a body having another function or design (3) or a folder (5) or a module having different functions and a body currently in use (3). By replacing the folder 5,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change the performance or design of the telephone 1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r preferences of the user.

이와 같이, 폴더(5) 등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기(1)를 접은 다음 프레임 튜브(15)로부터 기존의 폴더를 빼낸 다음 안내돌기(25)에 다른 폴더(5)의 안내홈(27)을 맞추고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폴더(5)를 밀어 넣으면 된다. 이렇게 밀어 넣는 마지막 단계에서 폴더(5)는 상부 소켓부(19)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게 되면, 아래쪽의 본체(3)의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프레임 튜브(15)에 착탈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replace the folder 5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6, the phone 1 is folded and the existing folder is removed from the frame tube 15, and then the guide protrusion 25 of the other folder 5 is removed. Align the guide groove 27 and slide the folder (5) in the direction opposite the arrow. When the folder 5 is connected to the upper socket part 19 to make an electrical connection in the last step of the pushing, the folder 5 may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frame tube 15 through the above proces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 기기에 의하면, 일체로 되어 있는 프레임 튜브를 통해 별체로 구성된 본체와 폴더를 기계적,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본체 위로 폴더를 접을 수 있는 폴더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 중 원하는 기능에 따라서 본체나 폴더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폴더의 액정화면이나 본체의 키 패드 디자인에 따라 선호하는 적절한 본체나 폴더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전화기의 기능이나 디자인이 하나로 고정되지 않으므로 장기간 사용하여도 새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고, 특정 기능의 모듈을 임의의 조합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이나 기능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dule exchange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intaining the folder function that can fold the folder on the main body by mechanically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composed of a separate body through an integrated frame tube. In addition, you can replace the main body or folder according to the desired function amo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igital camera, camcorder, MP3 player, etc., and also select the appropriate main body or folder according to the LCD screen of the folder or the keypad design of the main body. Since the function and design of the phone are not fixed to one, it can be used like a new one even if you use it for a long time, and you can expect the convenience of use or the improvement of functionality by using a combination of modules with a certain function. have.

Claims (3)

키 패드(7) 및 마이크(9)가 일측면에 설치된 본체(3)와 액정화면(11) 및 이어 피스(13)가 일측면에 설치된 폴더(5)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본체(3)의 상부에 상하로 접힐 수 있게 상기 폴더(5)가 결합되어 있는 폴더형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1)에 있어서,The keypad 7 and the microphone 9 are composed of a main body 3 provided on one side, and a liquid crystal screen 11 and a folder 5 provided on one side thereof. In the foldable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1) to which the folder (5) is coupled so as to be folded up and down at the top, 상기 본체(3)와 상기 폴더(5)는 상기 중간 부분이 접힐 수 있는 연성 재질부(17)로 되어 있는 타원형 고리 모양의 프레임 튜브(15) 내주면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튜브(15) 내부를 지나는 연성필름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상기 프레임 튜브(15)의 내주면 상하단에 장착된 상하 소켓부(19,21)에 각각 접속되어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 기기.The main body 3 and the folder 5 are detachably mount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n elliptical annular frame tube 15 having a flexible material portion 17 to which the middle portion can be folded, and inside the tube 15. Module exchange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and lower sockets (19, 21) mount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ame tube (15) while being connected through a flexible film passing through .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프레임 튜브(15)는 횡단면 형상이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 기기.The frame tube (15) is a module exchangeab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sectional shape is rectangula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연성재질부(17)는 벨로우즈 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 교환형 이동통신 기기.The flexible material unit 17 is a modular exchang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ellows tube.
KR1020030014635A 2003-03-08 2003-03-08 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796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635A KR20040079655A (en) 2003-03-08 2003-03-08 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4635A KR20040079655A (en) 2003-03-08 2003-03-08 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655A true KR20040079655A (en) 2004-09-16

Family

ID=3736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4635A KR20040079655A (en) 2003-03-08 2003-03-08 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965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15101B (en) Cellular phone for mobile communication, has control unit with phase detection unit to supply electric signals to drive unit based on position of camera so as to control operation of camera
US20040209645A1 (en) Portable terminal
CN100433567C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triple-axis hinge folder and rotation locking device thereof
KR100747539B1 (en) A cellular phone with dual LCD screens
KR100663486B1 (en) Interface connector cover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KR20060037182A (en) Camera swivel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80011574A (en) Watch type portable terminal
JP6522603B2 (en) Foldable curv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putting in back pockets
KR100595640B1 (en) Double rotation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20040079655A (en) module exchang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741156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ual display module structure
KR200384472Y1 (en) Curved line slide type mobile phone
JP2005159406A (en) Mobile phone
KR20040079654A (en) module accumulat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842627B1 (en) Portable terminal
KR20030095968A (en) twist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4350880B2 (en) Magnifying lens for mobile phone display
KR100523893B1 (en) Triple-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299190Y1 (en) The sliding type mobile phone which embeded key interface connector
KR200180372Y1 (en) Cellulaphone having a movil compter
KR200357154Y1 (en) a single unit receiver and speaker for mobile phone
KR200276837Y1 (en) Folder type celluar phone
KR100313146B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mobile phone
JPH08317027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set
KR100605492B1 (en) Folder-type handphone having two folder body on front and back 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