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2Y1 - 위생대 - Google Patents

위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2Y1
KR200400792Y1 KR20-2005-0023303U KR20050023303U KR200400792Y1 KR 200400792 Y1 KR200400792 Y1 KR 200400792Y1 KR 20050023303 U KR20050023303 U KR 20050023303U KR 200400792 Y1 KR200400792 Y1 KR 2004007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itary napkin
powder
present
pegmatit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3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형기
Original Assignee
함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형기 filed Critical 함형기
Priority to KR20-2005-0023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7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18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1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inorganic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위생대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11), 흡수솜(12), 흡수시이트(13)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1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솜(12)에는 350 내지 450 메쉬의 페그마타이트, 동, 음이온 파우더 및 은 혼합분말(15)이 살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생대{Sanitary Napkin}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여성용 생리대, 기저귀와 같은 위생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중심흡수수단인 흡수솜에 페그마타이트, 동, 음이온 파우더 및 은 혼합 분말을 살포시킴으로써, 항균 및 악취제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혈액순환 증진 효과가 뛰어난 위생대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일반적으로, 위생대에는 여성의 생리혈, 질분비물, 유아 및 성인의 뇨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제품으로, 생리대, 팬티 라이너, 기저귀 및 템폰 등이 있다. 통상 위생대는 피부와 접촉하는 커버,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흡수솜, 고분자 흡수제를 함유하는 흡수시트와 액체불투과성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위생대는 일회용 제품이 대부분인데, 체액이 흡수층에 장시간 머무를 경우 생리물질에서 악취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피부 자극원이 되기도 하고 냉 ·대하, 가려움증 등을 유발하는 각종 부인성 질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일회용 위생대 사용시 다이옥신, 표백제 등으로 인해 생리통을 유발하여 최근에는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특허 출원번호 제2000-5167호에서는 한약재 용액을 도포하여 제조함으로써 살균효과가 있는 위생대 제조방법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한약재 용액은 제조방법이 복잡하고 재료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38580호에서는 옥분말이 내장된 생리대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세균 감소효과가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1999-22462호에서는 죽염분말이 내장된 생리대를 개시하고 있으나, 항균 및 탈취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으며, 피부가 민감한 사람에게는 적절하지 않다.
한편, 거정화강암이라고도 불리는 페그마타이트는 마그마의 분화광상 생성물로서, 일반 광물질인 칼슘, 칼륨, 마그네슘, 철 등과 특수 광물질인 나트륨, 셀레늄, 세륨, 란타늄, 게르마늄 및 홀뮴 등 알카리성을 띠는 20여종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각종 광물 성분과 이로부터 방출되는 원적외선이 체내의 세포 활성 및 혈액 순환 촉진, 신진대사 강화 및 조직재생 능력 증가 등의 약리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동(Cu)은 전기와 열의 양도체로서 전성과 연성이 풍부함은 물론 살균 및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고, 조혈, 빈혈 예방, 등의 약학적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월간 과학 91년 4월호), 숙면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병원성 대장균0157에도 항균성이 뛰어나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일본 동센터 발표;월간 세라믹스 97년 4월호). 또한, 미생물 번식 억제 작용도 뛰어나 습기가 많이 찬 곳의 냄새 제거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백금, 금, 은, 다음으로 전도성이 뛰어나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유도 흡수하고, 가스 배관의 방사성 라돈, TV, PC, 휴대폰 등의 차폐용 물질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은(Ag)은 냉대하와 같은 부인병 질환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동의보감에 기재되어 있으며,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항균,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오늘날에도 각종 감염, 염증 등 항생물질을 사용해야하는 질병의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흡수솜에 체내의 세포 활성 및 혈액 순환 촉진, 신진대사 강화 및 조직재생 능력 증가 등의 약리 작용이 있는 페그마타이트,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한 동과 은, 그리고 음이온을 발산시키는 음이온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 분말을 살포시킴으로써, 항균 및 악취제거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혈액순환 증진 효과가 뛰어나고, 착용만으로도 생리통 감소효과가 우수한 위생대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위생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악취 제거 효과가 뛰어난 위생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체내의 세포 활성, 혈액 순환 촉진, 신진대사 강화 및 조직재생 능력이 우수한 페그마타이트,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한 동과 은, 그리고 음이온을 발산시키는 음이온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분말을 위생대에 응용함으로써,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로 인한 생리통이나, 각종 부인병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위생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고안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위생대는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11), 흡수솜(12), 흡수시이트(13)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1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솜(12)에는 350 내지 450 메쉬의 페그마타이트, 동, 음이온 파우더 및 은 혼합분말(15)이 살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들 각각의 성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상기 상면 시이트(11)는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감촉이 부드럽고 피부에 자극성이 없어야 하고, 액체를 투과시키지만 흡수하지는 않아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어 사용자에게 안락함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직조 및 부직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및 레이온과 같은 성형 열가소성 필름이 사용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용도에 부합하는 어떠한 재료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흡수솜(12)은 상면 시이트(11)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생리혈이나 체액 등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흡수솜은 통상 면솜 이나 부직포 재질 등이 사용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흡수솜(12)에 350 내지 450 메쉬의 페그마타이트, 동, 음이온 파우더 및 은 혼합분말(15)이 살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페그마타이트에는 세포에 공명 흡수되어 산화되기 쉬운 혈액을 알카로이드화 시키는 일반광물질 성분인 칼슘, 칼륨, 마그네슘 및 철 등과 특수 광물질 성분인 나트륨, 셀륨, 셀레늄, 란타늄, 게르마늄 및 홀뮴 등의 알칼리성 이온을 띄는 성분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 성분이 체내의 세포활성, 혈액순환촉진, 신진대사강화, 조직재생의 능력증가로 피로와 노화현상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원적외선협회의 실험에 따르면, 페그마타이트는 원적외선 방사율이 93%에 이르며, 음이온 방출량도 2000/㏄, 항균효과는 99%, 탈취효과가 90%에 이른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페그마타이트의 성분 중 게르마늄은 체내에 산소를 공급하고 항암작용을 하는 인테페론을 만들며 혈액을 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고 미국식품의약보건기구인 FDA와 일본화학품검사협회 등 각 기관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바 있다. 또한 페그마타이트에 함유된 홀뮴은 피부질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페그마타이트에 함유된 셀레늄은 체내에 축적된 중금속을 흡착 제거하고 산소결핍을 이온 용출 작용으로 환원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페그마타이트 분말을 위생대 용품에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의 사용으로 인한 각종 부인병 질환을 방지함과 동시에 혈액순환과 신진대사 촉진시키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동(Cu)은 전기와 열의 양도체로서 전성과 연성이 풍부함은 물론 살균 및 악취 제거에 효과적이고, 조혈, 빈혈 예방, 등의 약학적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월간 과학 91년 4월호), 숙면효과 뿐 만 아니라 병원성 대장균0157에도 항균성이 뛰어나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일본 동센터 발표;월간 세라믹스 97년 4월호). 또한, 미생물 번식 억제 작용도 뛰어나 습기가 많이 찬 곳의 냄새 제거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백금, 금, 은, 다음으로 전도성이 뛰어나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유도 흡수하고, 가스 배관의 방사성 라돈, TV, PC, 휴대폰 등의 차폐용 물질로도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페그마트이트 분말에 동 분말을 혼합시킴으로써, 살균, 탈취 효과를 더욱 강화시킨 것이다.
상기 음이온 파우더는 음이온 파우더는 세라믹(복합 원료)계로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음이온은 두뇌활동을 향상시켜 주는 이외에도, 음이온의 전기적인 특성에 의해 미세한 먼지, 세균, 담배연기, 악취등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 따라서 위생대에 음이온이 발생된다면 세균 및 악취를 게서함은 물론, 착용만으로도 쾌적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은(Ag)은 냉대하와 같은 부인병 질환에 특효가 있는 것으로 동의보감에 기재되어 있으며,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뛰어나 항균, 탈취 효과가 우수하고, 오늘날에도 각종 감염, 염증 등 항생물질을 사용해야하는 질병의 치료에도 이용되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페그마트이트 분말에 은 분말을 혼합함으로써, 항균, 탈취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페그마타이트, 동, 음이온 파우더 및 은 혼합분말의 비율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50-90 중량% : 8-45 중량% : 1-30 중량% : 1-20 중량%의 비율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혼합분말은 350 내지 450 메쉬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그마타이트, 동, 음이온 파우더 및 은의 미세혼합분말은 고압공기로 분사되거나 압축공기를 사용하여 흡수솜에 통상의 방법으로 균일하게 살포시킨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혼합분말을 흡수솜에 결합하는 데에 있어서, 접착제와 같은 유해한 성분을 사용하지 않는다. 상기 분사 및 살포 방법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로부터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흡수솜 하부에는 흡수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흡수시이트(13)가 위치한다. 상기 흡수시이트는 흡수능이 우수한 고분자흡수제가 사용되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흡수시이트 하부에는 배면 시이트(14)가 위치하며, 필요에 따라 흡수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흡수솜(12)이 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배면 시이트는 액체 불투과성으로 사용자의 의복 오염을 방지한다. 당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상기 용도로 요철 가공하거나 요철 가공하지 않은 폴리에틸렌 및 적층 티슈를 사용한다. 본 고안에서는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용도로 사용되는 어떠한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면 시이트에는 위생대를 팬티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접착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위생대는 선택적으로 위생대의 중심부위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된 날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는 신체 분비물이 팬티 가장자리를 더럽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날개가 팬티 밑면으로 고정됨으로써 생리대가 제위치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날개의 크기나 모양 및 중심 흡수수단과의 결합 형태 등은 이미 당업계에 공지되어있으며, 본 고안의 위생대는 어떠한 형태의 날개도 적용 가능하다.
본 고안의 위생대는 여성용 생리대, 아동 및 성인용 기저귀, 팬티라이너 등의 제품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화될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페그마타이트 60 중량%, 동 30 중량%, 음이온 파우더 8 중량% 및 은 2 중량%로 혼합한 350 내지 450 메쉬의 혼합분말 0.1 g이 분사된 흡수솜을 사용하여 생리대를 제조하였으며, 항균 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Escherichia coli(ATCC 25922), Staphylococcus aureous(ATCC 25923) 및 Pseudomonas aeruginosa(KCTC 1636)에 대한 항균실험 및 암모니아에 대한 탈취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각각 나타내었다.
시험균주 초기농도(CFU/ml) 2 시간후 농도(CFU/ml) 24 시간후 농도(CFU/ml) 세균감소율(%)
Escherichia coli(ATCC 25922) 3.4 ×105 1.2 ×104 2.0 ×103 99.3
Staphylococcus aureous(ATCC 25923 5.2 ×105 3.3 ×104 1.0 ×103 99.8
Pseudomonas aeruginosa(KCTC 1636) 1.3 ×105 9.5 ×103 5.7 ×102 99.6
경과시간(분) 초기농도(ppm) 시료농도(ppm) 탈취율(%)
0 500 500 -
30 490 34.3 93
60 430 21.5 95
90 380 11.4 97
120 320 3.2 99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생리대는 항균 및 탈취 효과가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체내의 세포 활성, 혈액 순환 촉진, 신진대사 강화 및 조직재생 능력이 우수한 페그마타이트, 항균 및 탈취 효과가 우수한 동과 은, 그리고 음이온을 발산시키는 음이온 파우더를 혼합한 혼합 분말을 위생대에 응용함으로써, 종래의 일회용 생리대로 인한 생리통이나, 각종 부인병 질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균 및 항곰팡이성이 우수하고, 악취 제거 효과가 뛰어난 위생대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장벽수단을 갖는 생리대의 평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a-a' 선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위생대 11: 상면 시이트
12: 흡수솜 13: 흡수시이트
14: 배면 시이트 15: 혼합 분말

Claims (1)

  1. 액체 투과성 상면 시이트(11), 흡수솜(12), 흡수시이트(13) 및 액체 불투과성 배면 시이트(14)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솜(12)에는 350 내지 450 메쉬의 페그마타이트, 동, 음이온 파우더 및 은(Ag)의 혼합분말(15)이 살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대.
KR20-2005-0023303U 2005-08-11 2005-08-11 위생대 KR2004007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03U KR200400792Y1 (ko) 2005-08-11 2005-08-11 위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3303U KR200400792Y1 (ko) 2005-08-11 2005-08-11 위생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2Y1 true KR200400792Y1 (ko) 2005-11-09

Family

ID=4370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3303U KR200400792Y1 (ko) 2005-08-11 2005-08-11 위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9273B (zh) 抑菌去味卫生巾
CN201019927Y (zh) 纳米银离子卫生巾及护垫
KR20160022024A (ko) 티트리, 명반, 맥반석 및 제올라이트 조성물과 고흡수성수지(sap)가 함유된 생리대 제조방법
KR101894760B1 (ko) 원적외선 방사기능을 가지면서 허브향을 발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패치
JP2011254903A (ja) 吸収性物品
KR200400792Y1 (ko) 위생대
KR101791314B1 (ko) 위생용품용 활성 미네랄 함유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26038Y1 (ko) 기능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배출물 흡수용위생제품
KR20000009463U (ko) 원적외선 방사 세라믹이 함유된 여성용 생리대
KR100853341B1 (ko) 황토를 주재로 하는 건강 파스
CN103157128A (zh) 一种日用保健品及其制作方法
CN208989374U (zh) 一种抑菌负离子多功能卫生巾
KR200163280Y1 (ko) 1회용생리대
KR100786164B1 (ko) 일라이트 조성물을 함유한 개인용 위생대 및 그 제조방법
KR200394388Y1 (ko) 1회용생리대에 부착되는 면 패드
KR100772041B1 (ko) 생리대
KR200397096Y1 (ko) 1회용 생리대
KR200261029Y1 (ko) 생리대
KR200410126Y1 (ko) 숯과 약쑥 성분이 포함된 위생커버
KR200235266Y1 (ko) 여성용 건강팬티
CN204863689U (zh) 一种新型保健型卫生巾
KR20080032923A (ko) 개선된 생리기능의 일회용기저귀의 제조방법
CN217448251U (zh) 一种吸收制品
KR20160037444A (ko) 한방 성분이 포함된 기저귀 및 그의 제조 방법
TWI225795B (en) Additive for hygiene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