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075A -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075A
KR20040079075A KR1020030013994A KR20030013994A KR20040079075A KR 20040079075 A KR20040079075 A KR 20040079075A KR 1020030013994 A KR1020030013994 A KR 1020030013994A KR 20030013994 A KR20030013994 A KR 20030013994A KR 20040079075 A KR20040079075 A KR 2004007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information
unit
rout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9439B1 (ko
Inventor
김면식
Original Assignee
김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면식 filed Critical 김면식
Priority to KR102003001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9439B1/ko
Priority to PCT/KR2004/000465 priority patent/WO2004079943A1/en
Publication of KR2004007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20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geographic position 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Abstract

무선통신단말기 및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이 개시된다. 테이블저장부에는 소정의 설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기록된 라우팅테이블이 저장된다. 제1통신부는 제1주파수밴드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제2통신부는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통신수단선정부는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면 제1통신부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고,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통신부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중계기지국이나 억세스 포인트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동중인 통신단말기를 위한 중계국을 설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통신경로를 탄력적으로 수립할 수 있고 ad-hoc방식의 단점인 지나친 호핑에 따른 통신망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및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용망과 복수의 기지국으로 구성되어 통신단말기와의 무선통신을 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무선통신망에서 통신단말기들을 관리하거나 원격으로 인터넷 등에 연결시켜 주거나 또는 멀리 떨어져 있는 통신단말기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지역에 중계역할을 하는 중간서버(기지국) 또는 중앙서버(기지국)를 설치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중계기지국이 파괴되거나 고장이 나면 그 지역에 있는 단말기들은 통신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신단말기간의 통신방식으로 ad-hoc이라는 방식이 있으나, ad-hoc방식의 경우 이동하는 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용망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단말기 및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거리를 기초로 선정된 중계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경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거리를 기초로 선정된 중계단말기를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 통신단말기에서의 수행되는 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2b는 송신측 통신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 패킷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c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a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중계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중계과정에서 중계단말기 선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지역서버 선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단말기 서버 또는 단말기 임시서버 지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각각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 및 통신단말기의 PROM에 저장되는 시스템 정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망의 구조을 도시한 도면,
도 7a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를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
도 7b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 및 지역의 서버포인트를 각 단말기에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
도 7c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 및 지역의 서버로 단말기를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
도 7d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 및 지역의 서버를 다른 통신단말기로 교체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
도 8a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일반 통신단말기 또는 지역서버 단말기에서의 통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b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서버 단말기에서의 통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9a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9b는 기본설정정보 관리부(904)에 저장되는 기본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c는 주변단말기정보 관리부(903)에 저장되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d는 주변단말기정보 관리부(903)에 저장되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라우팅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복수개의 통신단말기 중에서 GPS 기능에 의해 얻어지는 각각의 단말기의 좌표값을 기초로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과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들로 구성된 통신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 의한 통신경로 설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그리고,
도 14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 의한 정보검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는, 소정의 설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기록된 라우팅테이블이 저장되는 테이블저장부; 제1주파수밴드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1통신부;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1통신부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고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2통신부를 상기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는 통신수단선정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은, 소정의 설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라우팅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접속하고자 하는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면 제1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용망을 통한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도 ad-hoc방식에 의해 통신이 가능하며, 통신경로를 탄력적으로 수립할 수 있고 ad-hoc방식의 단점인 지나친 호핑에 따른 통신망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 환경에서, 반경 송수신 거리 내에 존재하는 무선통신 단말기간에는 주파수대만 일치하면 사방 어떠한 단말기와도 송수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송수신이 가능한 거리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중계기지국을 통하여야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원거리간의 통신이라면 중계기지국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할 것이나, 근거리의 범위 통신이라면 중계기지국을 이용할 필요 없이 중계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하면 편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신단말기에 브릿지와 라우터 기능을 추가하여 통신가능거리를 벗어나는 지점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와는 중간의 중계기능을 갖는 통신단말기를 이용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때,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이하, "중계단말기"라 함)를 선정하는 방법에는 복수개의 통신단말기 중에서 GPS 기능에 의해 얻어지는 각각의 단말기의 좌표값을 기초로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과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복수개의 통신단말기 중에서 GPS 기능에 의해 얻어지는 각각의 단말기의 좌표값을 기초로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때, 복수개의 통신단말기 중에서 GPS 기능에 의해 얻어지는 각각의 단말기의 좌표값을 기초로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가 중계기로 이용된다. 이 경우 GPS 기능이 없는 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단말기의 좌표값을 사전에 중계기의 기억장소에 저장시켜 놓을 수 있다. 여기서, 위치좌표는 MAC어드레스와 같은 기능으로 사용된다. MAC 어드레스는 물리어드레스(phisical address)라고도 불리우며, 랜카드 등 네트워크기기의 각 포트에 고유하게(unique)할당된 번호로 데이터 전송시 통신상대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된다.
지구상에서 특정 위치는 경도와 위도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값은 절대적인 값으로 상황에 따라 변하지 않는 값이다. 본 발명에서 각 단말기는 자기의 고유코드와 그 단말기의 위치(즉, 위도 및 경도 값)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 값은 GPS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얻어지거나 수동으로 사전에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통신단말기는 주기적으로 자기의 정보 즉 자신의 고유코드, 경도 및 위도를 포함하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주위 통신가능지역내의 다른 단말기로 전송한다.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다른 단말기들로부터 수신된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위치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모든 통신단말기는 주위 통신가능지역내의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테이블의 형태로 보유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데이터의 전송은 패킷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킷의 헤더부분에는 송신처 및 수신처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데이터 부분에는 각종 단말기를 제어하는 명령어 및 각 단말기에서 수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를 중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송신단말기의 메모리에 있는 다른 단말기의 위치정보 중에서 최종 목적지 단말기의 고유코드 또는 위치정보를 검색한다. 검색한 결과 최종목적지 단말기를 찾을 수 없는 경우에는 송신단말기의 송수신 가능지역 내에는 최종 목적지의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면 송신단말기는 최종 목적지의 단말기의 위치정보 즉 위도 및 경도의 값에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주위의 단말기의 위도 및 경도의 값을 뺀다. 주위의 단말기 중에서 이 뺀 값이 가장 작은 값을 갖는 단말기를 중계할 단말기로 선정해서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송신한 단말기에서 응답이 일정시간 내에 없으면 다음 차 순위의 단말기로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중계할 단말기로 선정된 단말기는 데이터 수신확인 신호를 데이터를 송신한 단말기로 먼저 보낼 수 있고, 데이터에 포함된 TTL값을 확인한 후 그 값이 0이면 데이터를 폐기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중계할 단말기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주위의 단말기 목록 중에서 최종 목적지 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단말기를 선정하여 다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데이터에 포함된 TTL 값에서 1을 빼고 보내게 할 수 있다. 이는 데이터가 무한히 중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통신단말기는 서버, 지역서버 또는 단말기로 설정될 수 있는데, 서버는 모든 무선 단말기의 종합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의 IP 주소를 가지고 있어 인터넷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 또는 수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다시 각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각 단말기들은 기본적으로 서버의 고유코드 및 위치정보(위도 및 경도)를 가지고 있게 할 수 있으며, 각 단말기가 데이터를 송신할 최종 수신처의 위치정보를 알지 못할 때에는 단말기는 서버를 거쳐서 최종수신처에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역서버는 전파 송수신 가능 지역을 일정한 구역으로 나누어중심에 있는 단말기를 지역서버로 정해 놓고, 검침 등 데이터를 수집해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할 때 이 지역서버가 일차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한 후에 이 수집된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역서버는 원격으로 서버를 통하여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단말기는 브릿지와 라우터 기능을 가지고 자기의 위치정보(위도 및 경도)를 저장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자기의 정보를 송신하여 수신 가능지역의 모든 단말기가 자기 정보를 공유하게 하고 자기 송수신 가능지역 내 모든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해서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데이터의 중계를 위해서 사용된다. 모든 단말기는 서버역할, 지역서버역할, 또는 중계역할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단말기라는 용어의 의미는 휴대전화, PDA폰 등 개인용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은 물론 무선통신기능을 갖는 수도물사용량 검침기, 전기사용량 검침기 등 각종 통신기능을 갖는 계측장비 및 무선호출장치를 구비한 차량 등 무선으로 호출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모든 장치를 뜻한다.
도 1은 거리를 기초로 선정된 중계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수신 경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D1 내지 D20은 통신단말기이며, C1 내지 C4는 1차 통신중계기이고 B1, B2는 2차 통신중계기이고 A1은 3차 통신중계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①->②의 통신경로만에 의하여 D1에서 D12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a는 거리를 기초로 선정된 중계단말기를 이용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때통신단말기에서의 수행되는 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수신측 통신단말기는 통신가능지역내의 다른 통신단말기의 정보를 전송받아(S200)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5). 다른 통신단말기의 정보에는 단말기 고유코드, 경도 및 위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송신측 통신단말기는 데이터를 패킷으로 만들어(S210) 전송한다(S215). 송신측 통신단말기에서 생성한 데이터 패킷의 일 예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데이터 패킷은 무선프리앰블, 프레임동기, 호출부호, 수신처 분류코드, 수신처 고유코드, 수신처 좌표, 최종수신처 고유코드, 최종수신처좌표, 송신처고유코드, 송신처좌표, 최초송신처고유코드, 최초송신처좌표, TTL, 데이터길이, 데이터, 프레임검사시퀀스 등으로 구성된다. 도 2b에 도시된 데이터 패킷의 가장 큰 특징은 수신처, 최종수신처, 송신처, 최초송신처의 조표 및 고유코드가 포함된다는 점이다.
무선 프리엠블은 데이터송신 시작에 앞서 동기를 맞추는데 필요한 동기확립을 위한 신호 1에서 시작하여 0으로 끝나는 길이가 일정한(예를 들면 56비트) 신호이다. 호출부호는 타 단말기와 구별하기 위한 신호이다.
수신처 분류코드는 수신처가 단일인지 그룹인지 등을 나타낸다. 수신처 고유코드는 송신단말기에서 수신단말기를 지정한 정보이다. 수신처 좌표는 수신처 단말기의 위치를 나타내는 경도 및 위도 정보이다. 이때 복수개의 단말기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이 수신처 좌표데이터는 널(NULL) 값을 지정할 수 있다. 최종수신처 고유코드는 최종수신처가 되는 단말기의 고유코드를 말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도 복수개의 통신단말기를 최후수신처로 지정하는 경우에는 통신단말기를 그룹으로 분류하여 부여한 그룹코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최종수신처 좌표는 최종수신처 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인 경도 및 위도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복수개의 통신단말기를 최종수신처로 지정한 경우에는 널(NULL) 값을 지정될 수 있다. 최초송신처 고유코드는 최초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송한 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로 상기 전송되는 데이터의 출처를 나타낸다. 최초 송신처 좌표는 최초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송한 통신단말기의 경도 및 위도 정보를 포함한다. TTL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으며, 데이터 길이는 전송되는 데이터의 길이 정보를 나타낸다.
수신측 통신단말기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버퍼에 저장하고(S220), 패킷의 헤더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처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5). 만약,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처로 확인되면, 패킷의 헤더데이터를 분석하여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의 최종 수신처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30),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처가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수신된 데이터를 삭제한다(S235).
S230단계에서 자신이 최종 수신처로 확인되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처리한다(S240). S230단계에서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의 최종 수신처가 아닌 경우에는 S205단계에서 저장한 통신가능지역 내의 다른 통신단말기 정보를 검색하여(S245) 최종 수신처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250) 최종수신처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최종수신처인 통신단말기로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S255).
이와 달리, 최종수신처가 저장된 통신가능지역내의 다른 통신단말기 정보에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가능지역 내의 다른 통신단말기 중에서 최종수신처 통신단말기와 가장 위치가 가까운 통신단말기를 선정하여(S260)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S265). 이 때, 통신가능지역내의 다른 통신단말기 중에서 최종수신처 통신단말기와 가장 위치가 가까운 통신단말기를 선정하는 방법은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인 경도와 위도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하는데, 여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S240단계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S255단계 또는 S265단계에서 다른 통신단말기로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는 데이터 처리완료 확인을 전송하고(S270), 송신측 단말기로부터 확인정보(ACK)를 수신한다(S275).
도 2c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c를 참조하면,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280)는 송수신부(282), 수신데이터분석부(284), 중계전송부(286), 단말기 좌표관리부(288), 연산처리부(290), 시스템제어부(292), 및 입출력부(294)를 구비한다.
송수신부(282)는 다른 단말기와 필요한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인터넷과 연결될 수도 있다.
수신데이터분석부(284)는 송수신부(282)를 통하여 수신된 패킷데이터의 헤더부분을 분석하여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하는지 여부 및 위에서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의 수신처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자신이 수신된 데이터의 최종수신처에 해당하는지 여부 등에 대한 판단을 수행한다.
단말기 좌표관리부(288)는 송수신부(282)를 통하여 수신된 통신가능지역 내의 다른 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 및 경도, 위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를 수신 받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계전송부(286)는 수신데이터분석부(284)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수신처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으나, 최종수신처에는 자신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단말기 좌표관리부(288)에서 저장한 통신가능지역내의 다른 통신단말기 중에서 최종수신처가 있는지 검색하여 최종수신처가 있으면 그 통신단말기로 전송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최종수신처 통신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를 선정하여 그 통신단말기로 수신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최종수신처 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를 선택하는 방법은 최종수신처 단말기의 경도 및 위도와 가장 가까운 경도 및 위도를 갖는 통신단말기를 선정하는 방법에 의한다.
연산처리부(290)는 수신데이터 분석부(284)에서 수신된 데이터의 수신처가 자신이고 최종수신처 역시 자신으로 판단한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입출력부(294)는 단말기에 특정한 정보를 주어서 데이터 입력이나 센서 등의 입력을 받는다든지 제어 출력이나 데이터 출력 등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시스템제어부(292)는 송수신부(282), 수신데이터분석부(284), 중계전송부(286), 단말기 좌표관리부(288), 연산처리부(290), 입출력부(294) 등을 시스템 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시스템 정보에는 단말기의고유번호, 단말기의 위치정보로 위도 및 경도, 단말기 상태정보로 이동 또는 정지, 인터넷 연결상태, 본 단말기의 서버 단말기에 대한 정보, TTL(Time-To-Live), IP주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TTL은 IP 패킷 내에 있는 것과 별도로 단말기를 거쳐 무한정으로 패킷이 중계 전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값이다.
도 3a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중계과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첫 번째 원(300)은 단말기1(305)의 통신가능 지역을 나타내고, 두 번째 원(310)은 단말기9(315)의 통신가능 지역을 나타내고, 세 번째 원(320)은 단말기17(325)의 통신가능 지역을 나타낸다. 단말기1의 메모리 데이터(330)에는 단말기1(305)의 고유코드 및 경도, 위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와 주위 통신가능지역 내에 있는 다른 단말기의 고유코드 및 경도, 위도 정보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1(305)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최종수신처인 단말기17(325)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단말기의 위치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단말기들의 정보 중 가장 위치가 가까운 단말기9(315)를 선택하여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단말기9(315)의 메모리 데이터(340)에는 자신의 위치정보 및 자신 주위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 내의 다른 통신단말기의 경도, 위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9(315)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최종수신처인 단말기29(335)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최종단말기의 위치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다른 단말기들의 정보 중 가장 위치가 가까운 단말기17(325)를 선택하여보내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단말기17(325)의 메모리 데이터(350)에는 자신의 위치정보 및 자신 주위의 통신이 가능한 지역 내의 다른 통신단말기의 경도, 위도를 포함하는 위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단말기17(325)은 전송 받은 데이터의 최종수신처가 자신이 아님을 확인한 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주위 통신단말기 정보를 검색하여 최종수신처가 되는 통신단말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위 과정을 거쳐 최종수신처가 되는 단말기29(335)의 정보를 자신이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고, 최종수신처가 되는 단말기29(335)로 상기 수신 받은 데이터를 전송한다. 참조번호 360은 단말기19(335)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나타낸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단말기1(305)에서 전송된 데이터는 단말기9(315) 및 단말기17(325)을 거쳐 데이터의 최종수신처 단말기인 단말기29(335)로 전송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통신단말기의 데이터 중계과정에서 중계단말기 선택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참조번호 370은 도 3a에서 전지역의 단말기 전체의 고유코드 및 위도, 경도 정보를 표로써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우측의 화살표는 단말기1(305)에서 단말기9(315)로, 단말기9(315)에서 단말기17(325)로, 다시 단말기17(325)에서 단말기29(335)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참조번호 380은 최초로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기1(305)의 고유코드 및 경도, 위도 정보와 최종수신처가 되는 단말기29(335)의 고유코드 및 경도, 위도 정보를 보이고 있다.
참조번호 390은 단말기1(305)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단말기로 단말기9(315)를 선정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최종수신처가 되는 단말기29(335)의 경도 및 위도 값과 단말기1(305)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주위 통신가능한 지역에 있는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경도 및 위도 값간의 차이 값를 구하여, 각 단말기별 위의 차이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값이 가장 작은 단말기를 데이터를 전송할 통신단말기로 선택하게 된다. 도면에서 위 차이 값을 단말기 별로 보면, 단말기8은 (12,3), 단말기 9는 (12,1), 단말기5는 (15,1), 단말기7은 (14,0), 단말기2는 (17.-1), 단말기6은 (14,2), 단말기4는 (15,4), 단말기3은 (16,1)값을 갖게되며 따라서 위 차이 값이 가장 작은 단말기는 단말기9(315)가 된다. 여기서 위도 경도를 나타내는 단말기8의 (12,3)은 편의상 나타낸 값이다
도 4a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지역서버 선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통신단말기의 통신가능거리가 500M로 가정할 때 상하좌우 500M에 위치한 단말기를 서버로 지정할 수 있다. 즉 91번 단말기를 기준으로 할 때 지역서버는 21번 단말기, 86번 단말기, 96번 단말기, 161번 단말기가 된다. 여기서 지역서버로 선정된 96번 단말기에 소속된 단말기는 66, 67, 68, 69, 70, 80, 81, 82, 83, 84, 94, 95, 97, 98, 108, 109, 110, 111, 112, 122, 123, 124, 125, 126이 될 것이다.
도 4b는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단말기 서버 또는 단말기 임시서버 지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기 서버를 지정하는 단계는 중앙 서버 단말기를 선정하고(S400), 전지역을 전파수신거리를 기반으로 지역을 분할한다(S410). 다음으로, 분할된 각 지역의 중심위치의 단말기를 지역서버로 선정하고(S420), 각 지역서버에 중앙서버정보를 송신함과 함께 선정된 지역서버의 정보를 전송하고(S430), 지역서버는 자기 지역의 모든 단말기를 탐색하여 그 정보를 중앙 서버에 송신한다(S440).
단말기를 임시로 서버 단말기로 지정하는 과정은 임시 중앙 서버 단말기를 선정하고(S450), 전 지역을 전파수신 거리를 기반으로 임시 지역을 분할하다(S460). 다음으로, 임시 지역분할된 각 지역의 중심위치의 단말기를 임시 지역서버로 선정하고(S470), 각 지역 서버에 임시 중앙서버정보를 송신함과 함께 선정되 인시지역서버의 내용(정보)을 전송하고(S480), 임시 지역서버는 자기 지역의 모든 단말기를 파악하여 그 정보를 임시 중앙 서버에 송신한다(S490).
도 5a 및 도 5b는 각각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 및 통신단말기의 PROM에 저장되는 시스템 정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통신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에서 다른 구성요소들의 기능과 구성은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CSMA/CA(502)는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CSMA/CD의 변형으로서, 애플의 LocalTalk나, 기타 다양한 무선 접속방법들과 함께 사용된다. 장치들은 항상 네트웍의 반송파를 감지하고 있다가, 네트웍이 비어있을 때 목록에 등재된 자신의 위치에 따라 정해진 만큼의 시간을 기다렸다가 데이터를보낸다. 목록 내에서 장치들간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이를 재 설정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사용된다. 일부 버전에서는 충돌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충돌 감지 절차가 수행된다. 또한 MAC(Media Access Control)/LLC (Logical Link Control)(504)는 IEEE의 802 근거리통신망을 위한 표준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을 이루는 2개의 계층이다.
한편,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부(506)는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으로 위치 및 시간정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24개의 GPS 위성 (실제로는 보충 위성 3개 포함 27개)이 서로 다른 궤도로 지구 대기권을 계속 회전하고 있는데, 이는 지구상 어느 시간 어느 곳에서도 4개 이상의 위성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최소 4개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야 하고, GPS 수신기는 동시에 처리하는 위성신호의 개수에 따라 4 채널, 8 채널 등이 있다. 주로 비행기, 선박, 차량의 항법장치에 전자 지도(GIS)와 함께 GPS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람들이나 차량 등 이동하는 물체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또한, USB (Universal Serial Bus)(508)는 범용 직렬 버스로 윈도우98의 출시와 더불어 관심을 끌게된 직렬 포트의 일종으로서, 오디오플레이어, 조이스틱, 키보드, 전화, 스캐너 및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와 컴퓨터간의 플러그 앤 플레이 인터페이스이다. USB의 원리는 직렬 포트와 동일하지만 직렬 포트보다 더 빠르고, 연결하기 편리하다. USB는 12 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지원하므로 웬만한 주변기기를 연결해도 속도가 충분하고, 최대 127개까지 장치들을 사슬처럼 연결한다.또한 PC를 사용하는 도중에 연결해도 인식을 하며, 주변기기의 전원이 필요 없다. 일반적으로 PC에는 2개의 USB 포트가 있지만 USB 허브가 있어서 하나의 포트를 다수의 포트로 나누어주기 때문에 다양한 주변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단말기 고유코드(552)는 단말기의 사용 용도와 규격에 따라 다른 단말기와 겹치지 않게(기본적으로는 이더넷 하드 번호와 같게 할 수 있다) 부여하여 지정할 수 있으며, 이 정보는 2 바이트의 크기를 갖게 할 수 있다.
위치(위도, 경도)정보(554)는 단말기에서 GPS의 수신보드를 사용할 때에는 자동으로 위의 보드에서 검출된 데이터가 입력되나, 무선단말기가 정지 상태로만 이용될 때에는 위 보드는 필요가 없을 것이며 이 때에는 수동으로 이 값을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 역할 정보(556)는 서버, 지역서버, 인터넷 연결서버, 데이터 수집, 중계, 주위 단말기 또는 소정의 연결된 장치의 제어, 입출력 등의 단말기 역할을 지정하는 정보이다. 상태정보(558)는 단말기의 이동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인터넷 연결서버 정보(560)는 인터넷 연결 단말기에 대한 정보(고유코드, 위치 좌표 등)에 관한 정보를 말한다. 서버 정보(562)는 서버의 고유코드 및 위치 정보이다. 서버2 정보(564)는 또 다른 서버의 고유코드 및 위치 정보이다. 지역서버 정보(566)는 지역서버의 고유번호와 위치 데이터 정보를 말하는데, 단말기는 서버에 자기 정보를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지역서버는 자기 지역내의 모든 단말기의 정보를 서버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게 할 수 있다. 수신조건지정 정보(568)는 데이터를 수신할 때 자기 고유코드와 그룹 공통 코드를 저장하여 수신할 때 수신된 데이터를 필터링하게 할 수 있다. 발신조건지정 정보(570)는 데이터를 최초로 전송할 때 수신처가 되는 단말기를 특정한 단말기 또는 소정의 그룹단말기 등으로 지정하는 정보이다. 정보암호(572)는 단말기에 설정된 데이터를 수정할 때에는 요구되는 암호를 의미하며, IP주소(574)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단말기에 설정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PROM에 저장시켜 지위지지 않게 할 수 도 있다.
임시서버 지정경우에는 RAM에 임시 시스템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시켜 사용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특정한 무선단말기에게 처음부터 설정된 역할이외의 역할을 일시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일의 처리가 완료되거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RAM에 저장된 데이터를 지워지고 PROM에 저장된 원래의 시스템 정보에 따라 단말기가 역할을 수행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임시정보 데이터에는 임시단말기 역할, 임시서버의 정보, 임시지역 서버 정보, 임시 수신 조건 지정, 임시암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TL(576)은 time-to-live의 의미로 무선 단말기간에 패킷데이터가 무한정 중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이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모든 통신단말기가 중계기능을 갖도록 하고 중계서버의 역할은 일정한 지점(서버포인트)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통신단말기가 담당하도록 한다. 서버포인트는 지구의 경도 및 위도로 이루어지는 절대좌표값에 의해 표시되며,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위치정보를 주변의 다른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상호간에 위치정보를 공유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경우, 항시적으로 중계서버 역할을 하는 특정한 통신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며, 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는 통신단말기가 중계서버 역할을 일시적으로 수행한다. 즉, 임의의 통신단말기가 이동하던 중에 일시적으로 서버포인트로 설정된 지점에 근접한 경우에는 중계서버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이 계속되어 자신보다 서버포인트에 더 근접한 통신단말기가 존재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새로운 통신단말기가 중계서버로 기능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무선통신망은 중계서버 통신단말기가 바뀌어도 유지되며,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지역서버 또는 중앙서버를 통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중앙 및 지역의 서버포인트 값은 관리자 단말기로 선정된 통신단말기에 의해 설정된다. 관리자 단말기는 각 지역서버에서 수집된 통신단말기에 관한 정보를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는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관리자 단말기, 중앙서버 단말기, 지역서버 단말기, 및 일반적인 통신단말기로 구성되는 계층적 구조를 갖는 무선통신망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계층의 수는 더욱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즉, 지역서버를 중앙서버 단말기와 제2지역서버 단말기간의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제1지역서버와 제1지역서버와 통신단말기간의 중계역할을 수행하는 제2지역서버로 구분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이러한 계층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앙서버 포인트에서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가 중앙서버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중앙서버 단말기는 동일한 통신그룹(동일한 관리자 단말기의 통제를 받는 통신단말기들의 집합)내의 모든 통신단말기의 ID(고유코드), 위치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또한, 중앙서버 단말기는 지역서버 단말기 또는 통신단말기로부터 존재하는 통신단말기에 대한 검색을 요청받아 이를 처리한다. 또한, 중앙서버 단말기는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명령을 지역서버 단말기 및 일반 단말기로 전달하고, 수집된 통신단말기의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나아가, 중앙서버 단말기만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보유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지역서버의 위치(지역서버포인트)로 설정된 위치에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가 지역서버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지역서버 단말기는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자신이 담당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취합하여 중앙서버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지역서버 단말기는 통신단말기로부터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에 대한 질의를 받고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또는 다른 지역서버 또는 중앙서버를 통하여 위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응답한다.
본 발명에서, 중앙서버의 위치(중앙서버포인트) 및 지역서버의 위치(지역서버포인트)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하여 설정된다. 중앙서버는 하나만 존재하고 그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값에 의해 설정된다. 그러나, 지역서버는 복수개가 존재하므로, 각각의 지역서버에 대해 지역서버포인트값이 지정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서버포인트의 위도 및 경도값을 기준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지역서버포인트가 설정된다.예를 들면, 중앙서버포인트의 위도 및 경도 값이 각각 35°5′및 127°5′이고 지역서버포인트의 위도 및 경도 간격을 1′로 설정하였다면, 지역서버포인트는 중앙서버포인트의 위도 및 경도값에 2′씩을 더하거나 뺀 값이 된다. 즉, 지역서버포인트를 (위도, 경도)로 표시할 때, 각각의 지역서버포인트는 (35°5′, 127°7′), (35°5′, 127°9′), …, (35°7′, 127°7′), (35°7′, 127°9′) 등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지역서버포인트를 설정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지역서버포인트를 설정할 때 필요에 따라서는 위도와 경도의 간격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망의 구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기1은 자신의 위치좌표를 실시간으로 GPS나 다른 방법으로 파악한다. 단말기1의 좌표값은 (35°8′10″, 127°1′9″)이다. 여기서, 중앙서버포인트가 (35°5′, 127°5′)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하고, 지역서버 간격은 위도 및 경도 모두 2′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중앙서버포인트의 좌표값과 단말기1의 좌표값의 차이는 (0°3′10″, -0°3′51″)가 된다. 설정되어 있는 지역서버 간격값을 고려하면, 단말기1은 중앙서버포인트를 기준으로 상(위도)으로 2번째, 좌(경도)로 2번째에 위치해 있는 통신지역(어떤 지역서버가 일반 통신단말기를 관리하는 범위)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중앙서버포인트의 좌표값을 기초로 통신지역에 위치하는 지역서버포인트를 계산하면, 위도로 2′를 더하고 경도로 2′를 뺀 (35°9′, 127°1′)이 해당 지역서버포인트의 값이 된다.
해당 지역의 지역서버 단말기를 선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단말기1은 통신가능거리 내에 존재하는 모든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단말기의 고유코드, 역할 정보 및 위치좌표 등을 자신의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단말기1은 해당 통신지역에는 현재 지역서버 단말기로 선정된 통신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며, 단말기2 및 단말기3이 존재함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 내지 단말기3 중에서 지역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인 단말기2가 해당 통신지역의 지역서버 단말기로 설정된다.
중앙서버의 위치(중앙서버포인트)는 (35°5′, 127°5′)(위도, 경도)로 설정되었으며, 각 지역의 서버의 위도 및 경도의 간격은 2′으로 설정되었다. 이와 같은 기준에 의해 설정된 지역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2 및 단말기4가 각각 지역서버로 설정된다. 그리고, 일반 통신단말기인 단말기1 및 단말기3은 지역서버 단말기2에 연결되어 있고, 일반 통신단말기인 단말기5는 지역서버 단말기4에 연결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통신망에서 먼저 관리자 단말기를 선정하고, 관리자 단말기와 동일한 통신그룹에 속하는 통신단말기에게 중앙 및 지역서버포인트를 선정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중앙 또는 지역서버 단말기 선정방법에 따라 중앙 및 지역서버 단말기를 선정한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무선통신망이 설정된다.
도 7a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를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관리자 단말기 설정과정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를 후보통신단말기로 표현한다.
도 7a를 참조하면, 후보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1암호를 입력받는다(S700). 다음으로, 후보통신단말기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1암호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받은 제1암호가 정당한지 여부를 검사한다(S702). 후보통신단말기는 입력받은 제1암호가 정당한 것으로 판정되면, 동일한 통신그룹에 속하는 다른 단말기 중에서 관리자 단말기로 이미 설정되어 있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704). 이 과정은 동일한 통신그룹에 속하는 모든 통신단말기들의 역할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함으로써 수행된다.
동일한 통신그룹에 속하는 다른 통신단말기 중에서 하나 이상의 통신단말기가 관리자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S706), 후보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2암호를 입력받는다(S708). 그리고, 저장되어 있는 제2암호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입력받은 제2암호가 정당한지 여부를 검사한다(S710). 후보통신단말기는 제2암호가 정당한 것으로 판정되면, 동일한 통신그룹내에서 관리자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로 관리자 단말기의 설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명령신호를 전송한다(S712). 마지막으로, 후보통신단말기는 자신의 역할 정보를 관리자 단말기로 설정한다(S714). S706단계에서 관리자 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S714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S702단계 및 S710단계에서 입력받은 암호가 정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관리자 단말기 설정과정을 종료한다. S702단계 및 S710단계에서는 암호를 이용하여 정당성여부를 판단하나, 정당성여부에 대한 판단은 지문 또는 홍채를 이용하여 정당성여부를 판단하는 방법 등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7b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 및 지역의 서버포인트를 각 단말기에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7b에는 각각의 통신단말기가 관리자 단말기로 설정된 통신단말기로부터 중앙 또는 지역서버포인트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중앙 및 지역의 서버포인트 정보를 수신한다(S720). 다음으로,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수신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메시지를 전송한 통신단말기의 고유코드 정보, 역할 정보를 분석하여 수신된 정보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22). 만약, 수신된 서버포인트 정보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이면,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수신된 중앙 또는 지역의 서버포인트 정보를 저장한다(S724). 그러나, 수신된 서버포인트 정보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것이 아니면,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서버포인트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로 에러정보를 전송한다(S726). 이 때, 각각의 통신단말기는 수신된 서버포인트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폐기한다.
도 7c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 및 지역의 서버로 단말기를 설정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중앙 또는 지역서버 설정과정을 수행하는 통신단말기를 후보통신단말기로 표현한다.
도 7c를 참조하면, 후보통신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좌표 값을 GPS 신호등을 이용하여 획득하고(S730), 획득한 자신의 위치정보 및 역할정보(현재는 일반 통신단말기로 설정되어 있는 역할 정보)를 주변의 단말기로 전송한다(S732). 그리고, 후보통신단말기는 주변의 다른 통신단말기의 ID(고유코드), 역할 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보유하고 있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기록한다(S734). 다음으로, 후보통신단말기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다른 단말기 중에서 중앙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S736). 만약, 중앙서버 역할을 하는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후보통신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 및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이 중앙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38). 이 때, 후보통신단말기가 중앙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로 판단되면, 후보통신단말기는 자신의 역할정보를 중앙서버로 설정한다(S740).
한편, S736단계에서 다른 단말기 중에서 중앙서버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S738단계에서 후보통신단말기 자신이 중앙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후보통신단말기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 중 자신이 속해 있는 통신지역내의 단말기들을 선별한다(S742). 그리고, 선별된 다른 통신단말기 중에서 후보통신단말기가 위치하는 통신지역을 담당하는 지역서버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44). 만약, 지역서버 단말기가 존재하지 않으면, 후보통신단말기는 자신의 위치정보와 S742단계에서 선별된 다른 통신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지역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가 자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46). 후보통신단말기 자신이 지역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로 판단된 경우에는 자신의 역할을 지역서버로 설정한다(S748). 한편, S744단계에서 지역서버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가 존재하거나, S746단계에서 후보통신단말기 자신이 지역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가 아닌 경우에는 지역서버 설정과정을 종료한다.
도 7d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 및 지역의 서버를 다른 통신단말기로 교체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7d는 도 7c에 도시된 과정을 통하여 선정된 중앙 또는 지역서버 단말기가 이동하는 경우에 중앙 또는 지역서버를 중앙 또는 지역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로 교체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중앙 또는 지역서버 단말기로 선정되었다가 일반단말기로 역할이 변경되는 통신단말기를 구서버, 일반 통신단말기였다가 중앙 또는 지역서버 단말기로 설정되는 통신단말기를 신서버로 호칭한다.
먼저, 구서버는 정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주변의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저장하고 관리한다(S750). 그리고, 구서버는 주변단말기로부터 수신받은 위치정보와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자신이 서버포인트(중앙 또는 지역의)에 가장 근접한 통신단말기인지를 확인한다(S752). 구서버는 자신보다 서버포인트에 근접한 다른 통신단말기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통신단말기를 서버(신서버)로 선정한다(S754). 그리고, 구서버는 선정된 통신단말기로 역할정보를 서버(중앙 또는 지역)로 설정할 것을 명령하는 서버선정정보 및 자신이 관리하고 있던 서버관리정보(주변단말기 정보, 중앙서버 정보 및 중앙서버 단말기인 경우에는 최상위 관리자 단말기 정보)를 신서버로 전송한다(S756). 이 때, 일정한 시간이상 해당 통신단말기가 서버포인트에 자신보다 근접한 상태가 유지되는 경우에만 구서버가 S754단계 및 S756단계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구서버는 자신의 역할정보를 일반 통신단말기로 변경하고(S758), 주변단말기에 자신의 변화된 역할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760). 한편, 신서버는 전송받은 서버선정정보에 따라서 자신의 역할 정보를 해당하는 서버(중앙 또는 지역)로 변경하고, 전송받은 서버관리정보를 저장한다(S762). 그리고, 신서버는 주변단말기에 자신의 변화된 역할정보 및 위치정보를 전송한다(S764).
한편, 구서버(중앙 또는 지역)가 갑자기 고장나거나 파괴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중앙 또는 지역서버를 선정한다.
이하에서, 도 6에 도시된 단말기5가 단말기2가 지역서버로 선정되어 있는 지역서버포인트9의 지역에서 이동을 시작하여 단말기4가 지역서버로 선정되어 있는 지역서버포인트10의 지역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기5의 위치를 추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모든 통신단말기는 주변의 단말기 및 자기 지역의 서버단말기에 자기의 ID, 위치정보, 역할 정보 등을 정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한 일정한 시간 내에 일정한 거리 이상을 이동한 경우에도 자신의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지역서버 단말기는 이러한 정보를 수신하여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저장하고, 중앙서버단말기로 이러한 정보를 전송한다. 중앙서버단말기는 지역서버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 단말기로 수신받은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망에서는 임의의 통신단말기(송신단말기)에서 임의의 다른 통신단말기(수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송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수신단말기가 송신단말기의 통신거리 내에 위치하면, 송신단말기는 직접 수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달리, 수신단말기가 송신단말기의 통신거리 밖에 위치하면, 송신단말기는 수신단말기의 위치좌표 방향에 있는 지역서버로 데이터 중계요청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지역서버는 자신의 통신거리 내에 수신단말기가 위치하면 직접 수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달리, 수신단말기가 지역서버의 통신거리 밖에 위치하면, 지역서버는 다시 수신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에 존해하는 다른 지역서버로 데이터 중계요청 메시지 및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통신거리밖에 위치하는 통신단말기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특정한 수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알아야 한다.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송신단말기는 먼저 자신의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을 검색한다. 만약, 수신단말기의 위치가 파악되지 않으면, 송신단말기는 지역서버에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한다. 지역서버는 요청받은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중앙서버에 해당 정보를 요청한다. 그리고, 지역서버는 자신의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있는 수신단말기의 과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단말기가 이동한 방향 또는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지역서버는 수신단말기에 대해 추정된 이동방향 또는 위치를 담당하는 다른 지역서버에 수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먼저, 지역서버 단말기는 위치정보를 알고자 하는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자신의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서 검색한다.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검색되고 검색된 위치정보가 현재시간으로부터 소정의 기준시간이내의 정보이면, 지역서버 단말기는 검색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러나, 검색된 위치정보가 현재시간으로부터 소정의 기준시간을 경과한 정보인 경우에는 검색된 정보보다 이전에 기록된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다시 검색한다. 이에 의해, 지역서버 단말기는 수신단말기에 대한 두 개의 위치 및 시간 정보로 이루어진 정보쌍을 얻게 된다. 지역서버 단말기는 정보쌍을 기초로 수신단말기가 이동한 방향 및 속도를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방향과 속도를 고려하여 수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한다.
지역서버는 상술한 방법에 의해 추정한 수신단말기의 위치를 담당하는 지역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일예로, 수신단말기가 17시 20분 21초에는 (35°8′, 127°1′)의 지점에 위치하였다가 17시 20분 51초에는 (35°8′, 127°2′)의 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수신단말기는 30초 동안에 정동방향으로 1′이동하였으므로, 수신단말기는 216km/h의 속도로 동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서, 경도 1′는 약 1.8km에 해당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송신단말기에서 수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시각이 17시 21분 21초인 경우에는수신단말기는 (35°8′, 127°3′)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결과적으로, 송신단말기는 (35°8′, 127°3′)의 위치를 담당하는 지역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지역서버로 기능하는 단말기2는 이동중인 단말기5의 위치정보를 정기적 또는 실시간으로 수신받아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저장한다. 그 후에 단말기5는 지역서버 단말기2가 담당하는 통신지역을 벗어나게 된다. 이 때, 단말기1 또는 단말기3이 단말기5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지역서버인 단말기2로 단말기5의 위치정보를 요청한 경우에, 단말기2는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5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5의 위치를 추정한다. 위치추정결과 단말기2는 단말기4에게 단말기5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여기서는 지역서버 단말기에서만 위 추정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 단말기에서도 위와 같은 추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수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는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는 경우에, 단말기2는 중앙서버 단말기에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요청하게 된다.
도 8a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일반 통신단말기 또는 지역서버 단말기에서의 통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송신단말기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서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색한다(S800).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검색되면(S805), 송신단말기는 검색된 데이터 중에서 최근의 정보를 기록한 시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소정의 기준시간 내의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10). 최근정보 기록시간이 기준시간이내인 경우에 송신단말기는 검색된 최근 데이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815).
그러나, S810단계에서 검색된 최근정보 기록시간이 현재시간으로부터 소정의 기준시간이 경과된 경우에는 송신단말기는 검색된 최근의 정보를 기록하기 직전에 기록한 목적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색한다(S820). 송신단말기는 검색된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S825), 검색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검색된 최근의 정보 및 최근의 정보를 기록하기 직전에 기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단말기의 위치 또는 이동방향을 추정한다(S830). 다음으로, 송신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라우팅수에서 1을 감산하고(S835), 라우팅수가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가를 판단한다(S840). 라우팅수가 기준값보다 크면, 송신단말기는 수신단말기의 추정위치를 담당하는 지역서버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45). 그 후, 추정위치를 담당하는 지역서버 단말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송신단말기는 자신의 지역서버를 통해 해당 지역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850). 여기에서, 수신단말기의 위치추정과정은 일반 단말기에서 수행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한편, S805단계에서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전혀 검색되지 않는 경우, S825단계에서 최근의 정보를 기록하기 직전에 기록된 목적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 라우팅수가 설정된 수보다 작은 경우, 또는 목적 단말기의 위치로 추정되 통신지역을 담당하는 지역서버가 없는 경우에 송신단말기는 자신의 지역서버를 통하여 중앙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S855).
도 8b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중앙서버 단말기에서의 통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8b에는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송신단말기가 중앙서버 단말기로 데이터를 전송한 경우에 중앙서버 단말기에서의 통신메시지를 처리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중앙서버 단말기는 수신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데이터)를 지역서버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면(S860),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서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검색한다(S865). 만약,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존재하면(S870, 중앙서버 단말기는 검색된 수신단말기의 위치를 담당하는 지역서버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한다(S875). 이와 달리, 수신단말기의 위치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S870), 중앙서버 단말기는 송신단말기로 에러메시지를 전송한다(S880).
도 9a는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경우에 통신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통신단말기는 송수신부(901), 단말기 위치정보 관리부(902), 주변단말기정보 관리부(903), 기본설정정보 관리부(904), 중계서버 설정부(905), 입출력부(906), 및 데이터전송 제어부(907)로 구성된다.
송수신부(901)는 주변의 통신단말기와 무선을 통하여 필요한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말기 위치정보 관리부(902)는 GPS 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정보를 발생시켜 기본설정정보 테이블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주변단말기정보 관리부(903)는 송수신부(901)에서 수신한 주변의 통신단말기의 ID, 위치정보, 역할 정보, 라우팅수 정보 등을 도 9c 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에 저장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설정정보 관리부(904)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이 속하는 통신그룹 ID, 단말기 ID, 통신지역 ID, 단말기 역할 정보, 관리자 단말기 ID, 관리자 단말기 위치정보, 중앙서버 설정위치(포인트), 중앙서버 단말기 ID, 중앙서버 현재위치, 지역서버 설정위치, 지역서버 단말기 ID, 지역서버 현재위치 등의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통신그룹 ID 및 단말기 ID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통신지역 ID는 지역서버 포인트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고, 단말기 역할정보는 중계서버 설정부(905)에서 생성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 ID, 관리자 단말기 위치정보, 중앙서버 설정위치, 및 지역서버 설정위치는 관리자 단말기 ID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한다. 또한, 중앙서버 단말기 ID 및 중앙서버 단말기 현재위치는 중앙서버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서버 단말기 ID 및 지역서버 현재위치는 지역서버 단말기로부터 수신받아 저장하게 된다.
중계서버 설정부(905)는 도 7c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을 통하여 중앙 또는 지역서버 단말기로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부(906)는 다른 통신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메시지 및 통신단말기에 설정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다른 통신단말기로 전송할 메시지를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전송 제어부(907)는 도 8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수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메시지를 목적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전송경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9b는 기본설정정보 관리부(904)에 저장되는 기본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b에서 통신그룹 ID는 동일한 관리자 단말기의 통제를 받는 통신단말기의 집합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이며, 단말기 ID는 특정한 통신단말기를 동일 통신그룹 내에서 다른 통신단말기와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이며, 통신지역 ID는 하나의 지역서버 단말기에 의해서 통신기능이 담당되는 지역을 다른 지역과 구분하기 위한 식별코드로 예를 들면 지역서버포인트 값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단말기는 역할별로 일반 단말기, 지역서버, 중앙서버, 관리자 단말기로 구분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이러한 계층의 수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 ID는 관리자 단말기로 선정된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이다. 관리자 단말기 ID는 중앙서버 단말기에서만 저장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 위치정보는 관리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의미하며, 이 정보 역시 중앙서버 단말기에서만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중앙서버 설정위치(포인트)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설정한 중앙서버의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또한, 중앙서버 단말기 ID는 상기 중앙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로 현재 중앙서버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단말기의 ID이며, 중앙서버 현재위치는 중앙서버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지역서버 설정위치(포인트)는 관리자 단말기에서 설정한 지역서버의 위치정보(중앙서버포인트를 기준으로 위도, 경도의 일정한 간격)를 의미한다. 또한, 지역서버 단말기 ID는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통신지역의 지역서버포인트에 가장 근접한 단말기로 현재 지역서버 단말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단말기의 ID이며, 지역서버 현재위치는 지역서버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통신단말기의 현재 위치정보를 의미한다.
도 9c는 주변단말기정보 관리부(903)에 저장되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c에 도시된 단말기 ID, 역할 정보는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라우팅수는 해당 통신단말기가 자신과 통신을 하는 경우 몇 번의 중계를 거쳐야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라우팅수 정보는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전송받을 때 몇 번의 중계과정을 거쳐서 전송받은 것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몇 번의 중계과정을 거쳤는지 여부는 어떤 데이터를 전송할 때 최초로 설정되는 라우팅수와 수신된 메시지의 라우팅수를 비교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도 9d는 주변단말기정보 관리부(903)에 저장되는 주변단말기정보 테이블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9c와 도 9d에는 통신단말기의 좌표값을 위도 및 경도 값으로 표기한 것이 아니고, 위도 및 경도의 값을 소정의 유리수값에 사상시켜 얻은 값을 사용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1000)는 제1통신부(1010), 제2통신부(1020), 테이블저장부(1030), 통신수단선정부(1040), 테이블갱신부(1050), 정보검색부(1060), 송수신부(1070), 위치수신부(1080), 및 호관리부(1090)를 구비한다.
제1통신부(101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1000)와 다른 무선통신단말기(이하, "타단말기"라 함)간의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제1통신부(1010)는 ISM밴드(Industral, Scientific, Medical Band)와 같이 제2통신부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역과 상이한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한다. 제2통신부(1020)는 상용망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대표적인 예로 1.8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CDMA 또는 GSM 모듈을 들 수 있다.
테이블저장부(1030)에는 라우팅테이블이 저장된다. 도 11에는 라우팅테이블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라우팅테이블은 단말기식별정보, 위치정보, 거리정보, 라우팅홉수, 제공정보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중에서 단말기식별정보, 위치정보, 및 제공정보는 다른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단말기정보이다. 이러한 단말기정보는 타단말기로로부 제1통신부(1010)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용망의 단말기 관리서버(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중계기 또는 위성을 경유해 수신된다. 각각의 타단말기는 자신의 단말기정보를 주기적으로 방송한다.
통신수단선정부(10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가를 검색한다. 통신수단선정부(1040)는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면 제1통신부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고,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통신부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한다. 한편, 통신수산선정부(1040)는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는경우에도 목적단말기까지 통신경로상에서의 호핑수가 설정된 기준호핑수보다 크면 제2통신부(1020)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통신수단선정부(1040)에서 제1통신부(1010)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한 경우에, 제1통신부(1010)는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타단말기 중에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여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이 때, 제1통신부(1010)는 거리, 호핑수 등에 의해 중계단말기를 선정한다. 거리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제1통신부(1010)는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타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선정한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목적단말기에 이르는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이와 달리, 호핑수를 기초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는 경우에, 제1통신부(1010)는 라우팅테이블을 참조하여 검색된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 중에서 호핑수가 가장 작은 통신경로에 존재하는 타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선정된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목적단말기에 이르는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목적단말기까지의 거리 및 호핑수는 테이블관리부(1050)가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 및 통신가능거리를 기초로 산출하여 라우팅테이블에 기록한다.
한편, 통신수단선정부(1040)는 제2통신부(1020)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한 경우에, 제2통신부(1020)는 지상에 설치된 중계기 및 교환기로 구성되는 공중통신망을 통해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이러한 공중통신망은 위성을 통신중계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통신부(1020)를 통해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가 수립되면, 수립된 통신경로를 통해 목적단말기의 단말기정보가 수신된다. 테이블관리부(1050)는 수신된 목적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라우팅테이블에 기록하여 라우팅테이블을 갱신한다. 이 때, 제1통신부(1010)는 상술한 중계단말기의 선정과정 및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 수립과정을 수행한다. 제1통신부(1010)에 의해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가 수립되면, 통신수단선정부(1040)는 제2통신부(1020)에 의해 수립된 통신경로를 해제하고 제1통신부(1010)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여 제1통신부(1010)에 의해 수립된 통신경로를 통해 목적단말기와 통신하도록 한다.
테이블관리부(1050)는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타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정보를 각각의 단말기식별정보를 중심으로 정리하여 라우팅테이블에 기록한다. 타단말기에 대한 단말기정보는 제1통신부(1010)를 통해 각각의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며, 이와 달리, 상용망을 통해 단말기 관리서버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한편, 테이블관리부(1050)는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초로 각각의 타단말기와의 거리 또는 호핑수를 산출한다.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는 경위도좌표이므로, 테이블관리부(1050)는 위치수신부(1080)로부터 입력된 자신의 위치정보와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로부터 각각의 타단말기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관리부(1050)는 상술한 중계단말기 설정방법에 의해 각각의 타단말기까지의 호핑수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중앙서버포인트 및 지역서버포인트와 같은 중계점의 좌표에 대한 정보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테이블관리부(1050)는 각각의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위치정보와 중계점의 좌표로부터 각각의 타단말기까지의 호핑수를 산출할 수 있다. 테이블관리부(1050)는 산출한 거리 및 호핑수를 각각 타단말기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라우팅테이블의 거리 및 호핑수 필드에 기록한다. 이 때, 테이블관리부(1050)는 타단말기 중에서 일정한설정영역내에 존재하는 타단말기에 대한 정보만을 라우팅테이블에 기록한다. 설정영역은 무선통신단말기(1000)의 통신가능영역보다 크게 설정된다.
정보검색부(1060)는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제공정보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요청정보를 제공하는 타단말기를 검색한다. 저장용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공정보는 소정의 코드형태로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공정보를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상세분류, 및 최하위분류와 같이 5계층의 분야로 분류하고 각각의 계층에 대해 1바이트를 부여하면, 5바이트의 코드로 제공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다음은 이러한 계층적 분류의 일예이다.
<대분류> 1:파일공유, 2:취미, 3:업종 …
<대분류가 3:업종인 경우 중분류> 1:음식, 2:교통, 3:가전 …
<중분류가 2:교통인 경우 소분류> 1:버스, 2:택시, 3:지하철 …
<소분류가 2:택시인 경우 상세분류> 1:모범, 2:일반 …
<상세분류가 1:모범인 경우 최하위분류> 1:서울, 2:경기, 3:강원 …
도 11에 도시된 라우팅테이블의 제공정보 필드에는 위의 분류에 따라 코드화된 제공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식별정보가 01912345678인 타단말기의 제공정보는 32211이며, 이는 순차적으로 업종, 교통, 택시, 모범, 및 서울을 의미한다. 즉, 서울에서 운행하는 모범택시에 대한 정보임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무선통신단말기(1000)에 구비된 버튼과 같은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정보검색메뉴를 선택하면 무선통신단말기(1000)의 출력수단(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음)에는 상술한 계층분류가트리구조의 형태로 출력된다. 사용자가 최하위분류까지 선택한 후 검색을 명령하면 정보검색부(1090)는 라우팅테이블의 제공정보 필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타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검색한다. 무선통신단말기(1000)에 출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단말기의 식별정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타단말기가 목적단말기로 선정되며, 통신수단선정부(1040)는 선정된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술한 과정을 수행하여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수립하고 정보를 제공받는다.
한편, 사용자는 무선통신단말기(1000)에 구비된 사용자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제공정보설정메뉴를 선택하면 무선통신단말기(1000)의 출력수단에는 상술한 계층분류가 트리구조의 형태로 출력된다. 사용자가 최하위분류까지 선택한 후 정보제공을 명령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제공정보항목은 코드화되어 단말기 식별정보 및 단말기 위치정보와 함께 타단말기로 방송된다. 검색어 및 제공정보항목의 코드화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송수신부(1070)는 타단말기, 단말기 관리서버 등의 외부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수단을 제공한다. 위치수신부(1080)는 GPS위성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거나 공중통신망을 구성하는 기지국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위치수신부(108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테이블관리부(1050)에 제공한다.
호관리부(1090)는 송수신부(1070)를 통해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요청이 무선통신단말기(1000)로의 통신요청이면 제1통신부(1010) 또는 제2통신부(1020)로수신된 통신요청을 전달하여 통신을 요청한 타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수립하도록 한다. 이와 달리, 송수신부(1070)를 통해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통신요청이 다른 타단말기로의 통신요청이면 무선통신단말기(1000)는 통신을 요청한 타단말기와 다른 타단말기와의 사이에서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한다.
호관리부(1090)는 수신된 통신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에 의해 해당 통신요청의 목적단말기를 파악한다. 무선통신단말기(1000)가 중계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호관리부(1090)는 통신수단선정부(1040)로 수신된 통신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목적단말기의 식별번호를 전달한다. 통신수단선정부(1040)는 호관리부(1090)로부터 입력된 목적단말기의 식별번호를 기초로 라우팅테이블을 검색하여 상술한 통신수단 선정과정을 수행하여 통신경로를 수립한 후 수신된 통신요청을 목적단말기로 전달한다.
도 12a 및 도 12b는 각각 복수개의 통신단말기 중에서 GPS 기능에 의해 얻어지는 각각의 단말기의 좌표값을 기초로 목적지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과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서버포인트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들로 구성된 통신망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다른 무선통신단말기로 통신연결을 요청하는 단말기를 소스단말기, 통신연결의 대상이 되는 단말기를 목적단말기, 그리고 소스단말기와 목적단말기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단말기를 중계단말기라 한다.
먼저, 목적단말기(1270)가 일정영역(일예로, 소스 단말기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R1의 원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소스단말기(1210)와 목적단말기(1270)간의 통신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소스단말기(1210)는 자신의 라우팅테이블에 목적단말기(1270)의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소스단말기(1210)가 보유하고 있는 라우팅테이블에는 일정영역(반지름이 R1인 영역)내에 존재하는 타단말기들의 단말기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목적단말기(1270)는 R1보다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므로 소스단말기(1210)는 제1통신부(1010)를 통해 목적단말기(1270)와의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이 때, 목적단말기(1270)가 소스단말기(1210)의 통신가능영역 내에 존재하면 소스단말기(1210)와 목적단말기(1270)는 중계단말기의 중계없이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그러나 목적단말기(1270)가 소스단말기(1210)의 통신가능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타단말기의 중계가 필요하다. 중계단말기의 선정 및 중계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목적단말기(1230)가 일정영역(일예로, 소스 단말기를 중심으로 반지름이 R1의 원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 밖에 존재하는 경우에 소스단말기(1210)와 목적단말기(1230)간의 통신연결에 대해 설명한다. 소스단말기(1210)는 자신의 라우팅테이블에 목적단말기(1230)의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목적단말기(1230)는 R1보다 먼 위치에 존재하므로 라우팅테이블에는 목적단말기(1230)의 식별정보가 기록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소스단말기(1210)는 제2통신부(1020)를 통해 목적단말기(1230)와의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이 때, 제2통신부(1020)는 지상에 고정되어 있는 제1중계기(1280-1), 교환기(1290-1), 및 제2중계기(1280-2)를 경유하는 통신경로 또는 위성(1290-2) 및 교환기(1290-1)를 경유하는 통신경로를 수립한다.
제2통신부(1020)를 통해 목적단말기(1230)와의 사이에 통신경로가 수립되면 목적단말기(1230)로부터 단말기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목적단말기(1230)의 단말기정보는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며, 제1통신부(1010)를 통한 통신경로의 수립과정을 수행한다. 제1통신부(1010)를 통한 통신경로의 수립과정 및 중계단말기의 설정과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때, 목적단말기와의 거리를 기준으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면 참조번호가 1220 및 1240인 단말기가 중계단말기로 선정되며, 서버포인트를 기준으로 중계단말기를 선정하면 참조번호가 1250 및 1260인 단말기가 중계단말기로 선정된다. 도 12에서 R2 및 R3는 각각 참조번호가 1220 및 1240인 단말기에 대해 설정된 설정영역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계단말기는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호핑수를 기준으로 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목적단말기(1230)까지의 호핑수가 설정되어 있는 기준 호핑수보다 크면 제2통신부(102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도 13은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 의한 통신경로 설정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소스단말기는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기초로 라우팅테이블을 검색한다(S1300). 라우팅테이블에 목적단말기의 단말기정보가 존재하면(S1310), 목적단말기까지의 라우팅 호핑수가 설정되어 있는 기준호핑수보다 작거나 목적단말기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작은가를확인한다(S1320). 목적단말기까지의 라우팅 호핑수가 설정되어 있는 기준호핑수보다 작거나 목적단말기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작으면, 소스단말기의 통신가능범위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중에서 목적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기 또는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서버포인트에 인접한 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한다(S1330). 이러한 중계단말기의 선정과정은 목적단말기가 소스단말기의 통신가능범위의 밖에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다음으로, 제1통신부(1010)를 통해 ad-hoc방식에 의해 선정된 중계단말기로 통신중계를 요청한다(S1340). 중계단말기는 자신의 라우팅테이블을 검색하여 또다른 중계단말기를 선정하여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를 수립하거나 목적단말기로의 직접적인 통신경로를 수립하며, 이로써, 소스단말기와 목적단말기간에 통신경로가 수립되어 상호간의 통신이 가능해 진다(S1350).
한편, 소스단말기의 라우팅테이블에 목적단말기의 단말기정보가 존재하지 않거나, 라우팅 호핑수가 설정되어 있는 기준호핑수보다 크거나, 또는 목적단말기까지의 거리가 설정된 기준거리보다 크면, 제2통신부(1020)가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되어 상용망을 통해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가 수립된다(S1360). 제2통신부(1020)에 의해 통신경로가 수립된 후 수립된 통신경로를 통해 목적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목적단말기의 위칭정보는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된다(S1370). 다음으로, 소스단말기의 통신가능범위내에 존재하는 단말기 중에서 목적단말기와 가장 근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기 또는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서버포인트에 인접한 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한다(S1380). 제1통신부(1010)를 통해 ad-hoc방식에의해 선정된 중계단말기로 통신중계를 요청한다(S1340). 이러한 중계단말기의 선정과정은 목적단말기가 소스단말기의 통신가능범위의 밖에 존재하는 경우에 수행된다. 중계단말기는 자신의 라우팅테이블을 검색하여 또 다른 중계단말기를 선정하여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를 수립하거나 목적단말기로의 직접적인 통신경로를 수립하며, 제2통신부(1020)를 통해 수립된 통신경로는 해제된다(S1390).
도 14는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통신망에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 의한 정보검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수단을 통해 희망하는 정보에 대한 검색어를 입력한다(S1400). 정보검색부(1060)는 입력받은 검색어를 기초로 라우팅테이블의 제공정보 필드로부터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타단말기를 검색한다( S1410). 만약, 검색어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타단말기가 존재하면(S1420), 해당 타단말기를 목적단말기로 선정한다(S1430). 다음으로,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 통신경로 수립과정(S1300 내지 S1390)을 수행하여 목적단말기와의 사이에 통신경로를 수립한다(S1440). 목적단말기와의 사이에 통신경로가 수립되면 목적단말기로부터 희망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1450).
이러한 정보검색의 일예로 택시를 호출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택시를 호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소스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특정 지역에서 운행하고 있는 택시를 검색어로 선택한 후 검색을 실행한다. 소스단말기는 라우팅테이블의 제공정보 필드에서 검색어와 일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타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이때,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검색된 타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타단말기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검색된 타단말기중에서 이용하고자 하는 지역에 위치한 타단말기의 호출을 선택하면 선택된 타단말기는 목적단말기로 선정되어 상술한 통신방법에 의해 소스단말기와 목적단말기 사이에 통신경로가 수립된다. 한편, 목적단말기는 택시에 장착되거나 택시기사가 소지하는 무선통신단말기이며, 소스단말기로부터의 통신요청이 수신되면 목적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는 소스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출력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중계기지국이나 엑세스 포인트(Access Point)를 따로 설치하지 않고도, 이동중인 통신단말기를 위한 중계국을 설치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계서버로 선정되어 서버역할을 하는 통신단말기가 파괴되어도 다른 단말기가 그 기능을 승계하여 수행하므로 통신이 단절되는 일이 없이 안정된 무선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통신하고자 하는 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알지 못할 때 먼저 해당 통신단말기의 위치를 추정하여 추정된 위치를 담당하는 지역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중앙서버 단말기로의 통신이 집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라우팅테이블에 기록되어 있는 다른 단말기의 단말기정보를 기초로 상용망에 의한 통신과 ad-hoc방식에 의한 통신을 선택함으로써, 통신경로를 탄력적으로 수립할 수 있고, ad-hoc방식의 단점인 지나친 호핑에 따른 통신망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Claims (24)

  1. 소정의 설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기록된 라우팅테이블이 저장되는 테이블저장부;
    제1주파수밴드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1통신부;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제1통신부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고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제2통신부를 상기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는 통신수단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고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 중에서 상기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제2통신부는 지상에 설치된 중계기 또는 위성을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 중에서 호핑수가 가장 작은 통신경로에 존재하며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상기 라우팅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한 후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제2통신부는 지상에 설치된 중계기 또는 위성을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영역은 상기 통신가능영역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말기는 소정의 중계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테이블을 갱신하는 테이블갱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테이블을 갱신하는 테이블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가 설정된 후 상기 테이블관리부에 의해 상기 라우팅테이블이 갱신되면,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고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 중에서 상기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통신수단선정부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설정된 통신경로를 해제하고 상기 제1통신부를 상기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테이블을 갱신하는 테이블관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가 설정된 후 상기 테이블관리부에 의해 상기 라우팅테이블이 갱신되면,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 중에서 호핑수가 가장 작은 통신경로에 존재하며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상기 라우팅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통신수단선정부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설정된 통신경로를 해제하고 상기 제1통신부를 상기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말기는 소정의 중계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 또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다른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1단말기정보 또는 소정의 중계점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자신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제2단말기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1. 제 1항에 있어서,
    통신경로의 설정을 요청한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연결대상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며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 중에서 상기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2. 제 1항에 있어서,
    통신경로의 설정을 요청한 통신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연결대상 통신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자신의 식별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제1통신부는 상기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 중에서 호핑수가 가장 작은 통신경로에 존재하며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상기 라우팅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말기는 소정의 중계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부가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된 경우에,
    상기 목적단말기까지 통신경로상에서의 호핑수가 소정의 기준호핑수보다 크면, 상기 통신수단선정부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신제공수단으로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테이블에는 상기 다른 통신단말기의 식별번호와 링크된 파일공유, 취미, 및 업종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단말기제공정보가 기록되며,
    상기 라우팅테이블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단말기를 검색하는 정보검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목적단말기는 상기 검색된 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제공정보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룹핑되고, 각각의 그룹은 소정 비트의 분류코드로 표현되며,
    상기 정보검색부는 상기 검색정보를 대응하는 분류코드로 변환한 후 변환된 분류코드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테이블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단말기.
  17. 소정의 설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라우팅테이블을 작성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접속하고자 하는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면 제1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밴드는 ISM주파수 밴드이며,
    상기 제2주파수밴드는 지상에 설치된 중계기 또는 위성으로 구성되는 공중통신망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설정영역은 상기 제1주파수밴드를 통해 통신가능한 영역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통신경로 설정단계는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 중에서 상기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며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통신경로 설정단계는 상기 목적단말기까지의 통신경로 중에서 호핑수가 가장 작은 통신경로에 존재하며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상기 라우팅테이블로부터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고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22. 제 20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단말기는 소정의 중계점과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통신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파수밴드 또는 상기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수신된 다른 통신단말기들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24.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가 설정된 후,
    상기 제1주파수밴드 또는 상기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수신된 상기 목적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라우팅테이블을 갱신하는 단계;
    상기 라우팅테이블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 중에서 상기 목적단말기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존재하며 통신가능범위 내에 존재하는 통신단말기를 중계단말기로 선정하는 단계;
    상기 제1주파수밴드를 통해 상기 중계단말기를 경유하여 상기 목적단말기와의 통신경로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주파수밴드를 통해 설정된 통신경로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030013994A 2003-03-06 2003-03-06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KR100589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994A KR100589439B1 (ko) 2003-03-06 2003-03-06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PCT/KR2004/000465 WO2004079943A1 (en) 2003-03-06 2004-03-05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994A KR100589439B1 (ko) 2003-03-06 2003-03-06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075A true KR20040079075A (ko) 2004-09-14
KR100589439B1 KR100589439B1 (ko) 2006-06-13

Family

ID=32960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994A KR100589439B1 (ko) 2003-03-06 2003-03-06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89439B1 (ko)
WO (1) WO2004079943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67B1 (ko) * 2005-01-26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드 혹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KR100683417B1 (ko) * 2005-04-27 2007-02-20 주식회사 에이로직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0839594B1 (ko) * 2006-12-06 2008-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달 망을 이용한 역방향 데이터 전송 방법과 그를 위한 역방향 데이터 전송 관리 방법
KR100936603B1 (ko) * 2007-10-11 2010-01-1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접속 중계 방법
KR100956755B1 (ko) * 2006-05-03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신호구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73589B1 (ko) * 2008-06-02 2010-08-11 한국과학기술원 차세대셀룰러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비가시채널단말간통신방법 및 중계채널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466B1 (ko) * 2007-10-08 2009-07-02 한국과학기술원 차세대 셀룰라 통신시스템에서의 중계 통신방법
KR101494404B1 (ko) * 2010-07-02 2015-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셀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1214984B1 (ko) 2012-07-31 2012-12-24 주식회사 하이텍이피씨 이중통신방식을 적용한 차량검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054A (en) * 1996-11-14 1999-03-30 Telxon Corporation Emergency mobile routing protocol
ES2170535T3 (es) * 1998-03-11 2002-08-01 Swisscom Mobile Ag Procedimiento de enrutado para sistemas de comunicacion inalambricos y distribuidos.
US7239618B1 (en) * 1998-12-11 2007-07-03 Lucent Technologies Inc. Single phase local mobility scheme for wireless access to packet-based networks
US6763007B1 (en) * 1998-12-11 2004-07-13 Lucent Technologies Inc. Two phase local mobility scheme for wireless access to packet based network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267B1 (ko) * 2005-01-26 2007-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애드 혹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통신 방법
KR100683417B1 (ko) * 2005-04-27 2007-02-20 주식회사 에이로직스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패킷 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KR100956755B1 (ko) * 2006-05-03 201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신호구분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7953178B2 (en) 2006-05-03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ignal in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KR100839594B1 (ko) * 2006-12-06 2008-06-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방송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달 망을 이용한 역방향 데이터 전송 방법과 그를 위한 역방향 데이터 전송 관리 방법
KR100936603B1 (ko) * 2007-10-11 2010-01-13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통신접속 중계 방법
KR100973589B1 (ko) * 2008-06-02 2010-08-11 한국과학기술원 차세대셀룰러통신시스템에서의 기지국과 비가시채널단말간통신방법 및 중계채널 형성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9439B1 (ko) 2006-06-13
WO2004079943A1 (en)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0319B2 (en) Mobile terminal device, topology management device, location management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424722B1 (ko) 단말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한 통신방법 및 그 장치
AU2008345574B2 (en) Providing Wi-Fi location information to a mobile device in order to estimate its position
KR101038025B1 (ko)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방법 및 장치
US20060149905A1 (en)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context information based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and method thereof
CN101390311A (zh) 基于接收的信号确定物理位置
JP2002536648A (ja) 関連交通情報を得るためかつ動的経路最適化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CN101449526A (zh) 无线传输系统及其运行方法
CN104154922A (zh) 一种路径导航方法、服务器及移动终端
KR100589439B1 (ko) 무선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방법
US7158791B2 (en) Route updating method for micromobility network
CN109565781A (zh) 定位装置、方法、移动节点和无线通信设备
US20180109656A1 (en)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position change
KR101813505B1 (ko) 무선랜 인프라에서의 핑거프린트 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422683B1 (ko) 이동 단말, 이동 단말의 이동 수단 식별 방법 및 이동 단말의 이동 수단 식별 시스템
Callaghan et al. Internal location based service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RFID technology
KR102436157B1 (ko) 스마트 기기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이용한 특정 또는 불특정 스마트 기기 간 접촉 위치 및 범위 확인 시스템
KR101031268B1 (ko) 싱크 노드와 소스 노드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 방법 및 그 싱크 노드
JP4286291B2 (ja) パケット通信網における近隣ルータの認識方法
KR102193327B1 (ko) 핑거프린트 자동 라벨링 방법 및 라벨링 서버
JP2018152765A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KR20170100220A (ko) 이동 단말과 고정 노드를 이용한 패킷 데이터 전달 방법 및 이동 단말과 고정 노드를 포함하는 라우팅 경로 결정 방법
Chaudhary A Wireless Sensor Network Breadcrumb Trail for an Autonomous Vehicle
JP2003258900A (ja) パケット通信網における近隣ルータの認識方法
KR20240026949A (ko) 이웃 전송 디바이스들의 하나 이상의 식별자에 기초한 단말기의 지오로케이션의 신뢰성 증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