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505A - Pulverizer - Google Patents

Pulveriz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505A
KR20040078505A KR1020030013463A KR20030013463A KR20040078505A KR 20040078505 A KR20040078505 A KR 20040078505A KR 1020030013463 A KR1020030013463 A KR 1020030013463A KR 20030013463 A KR20030013463 A KR 20030013463A KR 20040078505 A KR20040078505 A KR 20040078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or
pulverized
grind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15521B1 (en
Inventor
강위수
장태균
이강열
Original Assignee
강위수
장태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위수, 장태균 filed Critical 강위수
Priority to KR10-2003-001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5521B1/en
Publication of KR2004007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5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5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5521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Abstract

PURPOSE: A pulverizing apparatus is provided to achieve a desired particle size of pulverized material through only one input operation into a hopper without requiring additional equipment or process. CONSTITUTION: The pulverizing apparatus comprises a housing(10) formed with an input opening(15) into which a material to be pulverized is poured, a cover plate(14) formed with a discharge opening(13) being fixed at one side end of the housing, a rotating shaft(20)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a motor, a rotor(40)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located inside the housing, a plurality of blades being formed at a disk(42) thereof, and a classifying space defin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rotor and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ose of the discharge opening and the rotor.

Description

분쇄기{PULVERIZER}Crusher {PULVERIZER}

본 발명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분쇄대상물이 초미립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verizer that allows the grinding object to be in an ultrafine state.

일반적으로 분쇄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이용하여 투입된 피분쇄물을 소정의 입자상태로 분쇄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종류의 피분쇄물로 된 덩어리를 호퍼로부터 공급받아 분쇄기를 거쳐 분쇄하여 입자상 물질로 만들고, 분쇄된 입자상 물질을 분급기를 통하여 입자 크기별로 분급하게 된다.In general, a pulverizer is a device that grinds the pulverized material introduced into a predetermined particle state by using a rotor rotating at a high speed, and receives lumps of various types of pulverized material from a hopper and pulverizes it through a pulverizer to make a particulate material. In addition, the pulverized particulate matter is classified by particle size through a classifier.

선등록된 실용신안 제130770호에 개시된 분쇄기에서는 고속회전이 불가하여 피분쇄물의 분쇄효율이 극히 저조한 단점을 보완할 목적으로 개량된 분쇄기를 제안하고 있는 데, 그 분쇄기는 분쇄기의 분쇄부 상의 케이싱 내연에 요철면으로 이루어지는 분쇄라이너를 형성하고, 분쇄용 로터는 고속구동하는 분쇄용 모터와 연결된 회동축 상에 상하로 고정원판을 축삽고정하여 다수개의 분쇄커터를 외연부에 방사상으로 설치하며, 상기 고정원판 상면에는 다수개의 환봉상의 파쇄돌편과 절단면이 사다리꼴인 파쇄돌편을 형성하며, 분쇄기의 분급용 로터는 분급용 모터에 의해 고속구동하는 회동축상에 원추형으로 다수개의 베인을 소정 경사각 갖도록 설치한 구조이다.The pulverizer disclosed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30770 proposes an improved pulverizer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ng for the disadvantage that the grinding efficiency of the pulverized material is extremely low because it cannot be rotated at high speed, and the pulverizer has a casing internal combustion on the pulverization portion of the pulverizer. Forming a grinding liner having an uneven surface on the grinding wheel, and rotating the fixed disk up and down on a rotating shaft connected to a grinding motor for high-speed driving to install a plurality of grinding cutters radially on the outer edge thereof.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 a plurality of round bar crushed stone pieces and a cutting surface of trapezoidal crushed stone pieces are formed. The classifying rotor of the crusher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vanes are conically formed on a rotating shaft driven at high speed by a classifying motor to have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

또한 분쇄기 중에서 종래의 미분쇄기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를 이용하여 피분쇄물을 분쇄하고, 피분쇄물이 정해진 입도로 분쇄되기까지 재료투입구로 재순환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ulverizer among the pulverizers is configured to pulverize the pulverized object by using a rotor rotating at a high speed, and to recycle the material pulverized until the pulverized object is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그러나 전술한 종래 선등록된 실용신안은 피분쇄물의 분쇄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안된 그 구성이 만족할 만한 분쇄가 이루어지지 못한 상태가 분급이 이루어질 경우 전체적으로 원하는 입도를 가진 분쇄물을 얻기 위해서 재분쇄를 반복해서 실시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registered utility model repeats the regrinding to obtain a pulverized product having a desired particle size as a whole when classification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proposed pulverization is not satisfactory. This will be accompanied by inconvenience.

따라서 재분쇄하는 과정에서 분급된 분쇄물을 호퍼로 다시 재투입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작업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refore, during the regrinding process, the classified powder must be re-injected into the hopper again, resulting in an increase in working time and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또한 호퍼에 피분쇄물을 한번만 투입하는 것으로는 원하는 입도를 가진 분쇄물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ulverized product having a desired particle size cannot be obtained by only adding the pulverized matter to the hopper once.

그리고 후술한 종래의 미분쇄기는 50㎛를 초과하는 굵은 입자를 미분쇄하는 경우에는 많은 열이 발생하여 피분쇄물의 물성을 변질시킬 수 있기 때문에 30 내지 50㎛까지의 입도로 된 입자만이 투입이 가능한 한계가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pulverizer described below, when pulverizing coarse particles larger than 50 μm, a large amount of heat may be generated to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ulverized object. Therefore, only particles having a particle size of 30 to 50 μm may be added. There is a possible limitation.

또한 종래의 미분쇄기는 섬유질이 많고 지방이 함유된 식품이나 한약제를 초미분으로 생산하는 경우에 분급을 하기 위해 미분쇄기의 앞에 그물망을 배치하고,그 그물망의 메쉬를 통과하여 분급을 하고 있으나 상기한 식품이나 한약제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 미분쇄된 식품이나 한약제가 그물망에 엉겨붙어 미분쇄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grinding machine is placed in front of the grinding machine in order to classify in the case of producing a high-fiber, fat-containing food or herbal medicine in ultra-fine powder, and classified through the mesh of the mesh, but Food or herbal medicines contain moisture, so the finely ground foods or herbal medicines are entangled in the net, and thus, fine grinding is not easy.

아울러 종래의 미분쇄기는 분쇄시 발생하는 분쇄열을 낮추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분쇄열로 인한 식품의 영양소 파괴와 같은 생물학적 변화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화학약품을 미분하는 데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ulverizer does not have a separate configuration for lowering the heat of crushing generated during the pulverization, and thus it cannot be used to finely chemical chemicals because it is affected by biological changes such as nutrient destruction of foods due to the crushing heat. This will b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호퍼에 피분쇄물을 한번만 투입하는 것으로도 원하는 입도를 가진 분쇄물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nder configured to obtain a grind having a desired particle size even by putting a ground material into the hopper only onc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분쇄물의 분쇄시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nder that can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during the grinding of the workpiece.

아울러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의 미분쇄기에 비해 재료의 입자크기로부터 좀 더 자유롭게 미분쇄가 가능한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verizer capable of finely pulverizing more freely from the particle size of the material than the conventional pulverizer.

그리고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섬유질이 많고 지방이 함유된 식품이나 한약제도 용이하게 미분쇄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nder that can be easily pulverized a food or herbal medicine containing a lot of fiber and fat.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분쇄시 분쇄열이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nder that hardly generates heat of grinding during grind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분쇄기 내부에 삽입된 투입가이드의 투입공간 위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3 is a perspective view mainly showing the input space of the input guide inserted into the grind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이용한 실험예1의 결과치를 도시한 그래프이고,5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1 using a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이용한 실험예2의 결과치를 도시한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Experimental Example 2 using a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 11 : 모터10 housing 11 motor

12 : 구동축 13 : 배출공12: drive shaft 13: discharge hole

14 : 커버판 15 : 재료투입구14: cover plate 15: material inlet

16 : 재순환구 17 : 공기유입구16: recirculation port 17: air inlet

18 : 공기투입구 20 : 회전축18: air inlet 20: rotation axis

21 : 고정관 22 : 베어링21: fixed tube 22: bearing

30 : 투입가이드 32 : 투입공간30: Input guide 32: Input space

40 : 로터 41 : 관통공40: rotor 41: through hole

42 : 원판 43 : 블레이드42: disc 43: blade

50 : 충돌부 51 : 1차 트랙50: collision part 51: 1st track

52 : 2차 트랙 53 : 평행충돌홈52: secondary track 53: parallel collision groove

54 : 경사충돌홈54: slope crash groov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쇄기는 피분쇄물을 투입할 수 있는 재료투입구와, 배출공이 형성된 커버판이 일측단에 고정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모터와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원판이 고정된 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원판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로터; 및 상기 커버판과 로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터의 직경과 배출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분급공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ulverizer comprising: a housing in which a material inlet through which a pulverized object can be put and a cover plate having a discharge hole are fixed at one end thereof; 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motor; A rotor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with the disc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on the disc; And a classification space locat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rotor and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or and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분쇄기 내부에 삽입된 투입가이드의 투입공간 위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ve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ulve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mainly showing the input space of the input guide inserted into the pulverizer,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들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분쇄기는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모터(11)와 연결되는 회전축(20)과,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투입가이드(30)와, 투입가이드(30)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회전축(20)에 의해 회전되는 로터(40)와, 로터(40)의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하는 충돌부(50)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drawings, the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housing 10, the rotating shaft 20 is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10 and connected to the motor 11,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10 The input guide 30, the rotor 4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input guide 30 and rotated by the rotary shaft 20, and the impact portion 50 is located outside the edge of the rotor 40.

여기서 하우징(10)은 도 4를 기준으로 했을 때 좌측단이 개방되고 우측단이 일부 막혀 있는 데, 하우징(10)의 우측단은 그 중심부에 회전축(20)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좌측단에는 커버판(14)이 볼팅된다.Here, the housing 10 has a left end open and a part of the right end blocked when the reference is made to FIG. 4, and the right end of the housing 10 has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20 is inserted in the center thereof. The cover plate 14 is bolted to the left end of the 10.

커버판(14)은 분쇄된 미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공(13)이 형성된다. 이 배출공(13)의 직경은 상기한 하우징(10)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cover plate 14 is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13 through which the pulverized fine powder is discharged.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13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using 10 described above.

한편, 하우징(10)의 외측면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투입구가 형성되는 바, 좀 더 바람직하게는 피분쇄물 재료를 투입하는 재료투입구(15)와, 입도가 큰 분쇄입자를 원심력에 의해 충돌부(50)의 경계면에서 재순환되도록 하는 재순환구(16)와, 피분쇄물 재료의 체적만큼의 공기를 하우징(10)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공기유입구(17)와, 충돌부(50) 중 하나에서 미분입자들의 특성인 덩어리지는 현상의 해결과 경계면에서의 원심력의 향상을 통하여 재순환구(16)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공기투입구(18)가 형성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inlet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 more preferably, a material inlet 15 for injecting the material to be milled, and pulverized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A recirculation port 16 for recirculating at the interface of the collision part 50 by centrifugal force, an air inlet 17 for introducing air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material to be shredded into the housing 10, and a collision part ( In one of 50), the air inlet 18 is formed to smooth the circulation of the recirculation opening 16 through the resolution of the lumping,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fine particles and the improvement of the centrifugal force at the interface.

상기한 재료투입구(15)는 하우징(10)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도 4를 기준으로 하우징(10)의 우측에 위치하게 형성된다.The material inlet 15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using 10 and is positioned to the right of the housing 10 with reference to FIG. 4.

그리고 공기유입구(17)와 재순환구(16)는 상기한 재료투입구(15)에 대해 비켜간 위치에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재료투입구(15)에 대해 대략 45°되는 위치에 형성된다.In addition, the air inlet 17 and the recirculation port 16 are form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material inlet 15 described above, and are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approximately 45 ° with respect to the material inlet 15.

공기유입구(17)는 재료투입구(15)와 같이 도 4를 기준으로 하우징(10)의 우측에 위치하게 형성되고, 재순환구(16)는 도 4를 기준으로 하우징(10)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재순환구(16)와 공기유입구(17)는 상호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입도가 큰 입자는 재순환구(16)를 통해 다시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입도가 큰 입자는 재분쇄되어진다.The air inlet 17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10 with reference to FIG. 4, like the material inlet 15, and the recirculation opening 16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10 with reference to FIG. 4. Is formed. In particular, since the recirculation port 16 and the air inlet 17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again through the recirculation hole 16, and the particles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are regrinded. It is done.

그리고 공기유입구(17)에는 볼밸브(19)가 설치되어 공기유입구(17)를 통해유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다. 볼밸브(19)의 개폐량 정도에 따라 유입되는 공기량이 달라지므로 피분쇄물의 양에 비례하여 개폐정도를 조절하게 되며, 따라서 피분쇄물이 분쇄될 때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And the air inlet 17 is provided with a ball valve 19 to adjust the amount of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17). Since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varies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ball valve 19,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is adjusted in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he to-be-ground object, thus effectively reducing the heat generated when the to-be-ground object is pulverized.

한편, 공기투입구(18)에는 공기를 하우징(10)의 내부로 강제로 투입시키는 송풍팬(도시 생략됨)이 연결된다. 공기투입구(18)는 재료투입구(15)로 투입되는 피분쇄물의 양만큼 부족하게 유입되는 공기를 보충해주기 위해 형성되며, 설치각도는 재료투입구(15)에 대해 180°범위 내에서 곡물의 양에 따라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ir inlet 18 is connected to the blowing fan (not shown) for forcing air into the housing 10. The air inlet 18 is formed to compensate for the insufficient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material inlet 15 by the amount of the crushed material, and the installation angle is determined by the amount of grain within a range of 180 ° with respect to the material inlet 15. It is preferred that the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ly.

이상과 같이 구성된 하우징(10)에 삽입되는 회전축(20)은 하우징(10)의 외측에 고정된 고정관(21)에 삽입된 채로 고정관(21)의 내부에 설치된 베어링(22)에 의해 지지된다. 회전축(20)의 우측단에는 종동풀리(23)가 고정되어 모터(11)의 구동축(12)에 고정된 구동풀리(12a)와 벨트(12b)를 통해 연결된다.The rotary shaft 2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supported by a bearing 22 installed inside the fixed tube 2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fixed tube 21 fix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The driven pulley 23 is fixed to the right end of the rotating shaft 20 and is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12a and the belt 12b fixed to the drive shaft 12 of the motor 11.

하우징(10)의 내부 우측면에 밀착되는 투입가이드(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기한 회전축(20)이 관통하는 제1 관통공(31)이 형성되고, 이 제1 관통공(31)의 주변에는 재료투입구(15)와 공기유입구(17)에 대응되는 투입공간(32)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로터에 인접한 쪽에 격벽(3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injection guide 30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right side of the housing 10 has a first through hole 31 through which the rotating shaft 20 penetrates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An input space 32 corresponding to the material inlet 15 and the air inlet 17 is formed around the first through hole 31, and the partition 33 is preferably formed at a side adjacent to the rotor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제1 관통공(31)은 그 직경이 회전축(20)의 외경보다 크고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회전축(20)과 제1 관통공(31)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가 피분쇄물의 흡입통로로 작용하게 된다.Here, the diameter of the first through hole 31 is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20 and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using so that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rotating shaft 20 and the first through hole 31 is a suction passage of the pulverized object. It will work.

투입공간(32)은 투입가이드(30)를 정면에서 봤을 때 부채꼴 모양의 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입공간(32)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의 각도(α)는 180°범위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각도의 범위에 따라 회전축(20)의 회전시 회전축(20)의 주위에서 형성되는 진공도가 다르게 된다. 즉, 각도범위가 클수록 진공도가 낮게 된다.The input space 3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fan-shaped groove when the input guide 30 is viewed from the front, and the angle α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input space 32 is formed within a 180 ° range. It is preferable. According to the range of this angle, the degree of vacuum formed around the rotating shaft 20 dur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0 is different. That is, the greater the angular range, the lower the degree of vacuum.

격벽(33)은 후술하는 로터와 투입공간(32) 사이의 공간을 분리하도록 기능하며, 회전축(20)의 회전시 투입공간(32)에서 원심력이 발생되도록 한다.The partition wall 33 functions to separate the space between the rotor and the input space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llows centrifugal force to be generated in the input space 32 during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20.

이러한 투입가이드(30)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로터(40)는 중심부에 제2 관통공(41)이 형성된 원판(42)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블레이드(43)가 고정된 구조로서, 다수개의 블레이드(43)는 원판(42)의 중심부를 향해 수직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로터(40)의 회전속도는 9000rpm 내지 15000rpm의 범위에서 회전이 가능하다.The rotor 40 disposed close to the feeding guide 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lades 43 are fixed along the edge of the disc 42 having the second through hole 4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43 is fixed vertically toward the center of the disc 42.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40 can be rotated in the range of 9000rpm to 15000rpm.

원판(42)은 제2 관통공(41)에 인접한 가장자리가 상기한 회전축(20)의 좌측단에 덧대어진 결합판(46)과 함께 볼팅되어 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된다.The disc 42 is bolted together with the coupling plate 46, the edge of which is adjacent to the second through hole 41, which is padded on the left end of the rotation shaft 2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20.

블레이드(43)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단이 축방향에 대해 평행한 평행부(44)와,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45)로 이루어지며, 평행부(44)는 원판(42)을 기준으로 우측에 위치하고 경사부(45)는 좌측에 위치한다.As shown in FIG. 2, the blade 43 includes a parallel portion 44 having an outer end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and an inclined portion 45 formed to be inclined, and the parallel portion 44 includes a disc 42. It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inclined portion 45 is located on the left side.

이러한 로터(40)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투입가이드(30)를 통해 유입된 피분쇄물과 공기유입구(17)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회전축(20)의 중심부로 강제흡입되고, 흡입된 피분쇄물과 공기는 원심력에 의해 블레이드(43)의 평행부(44) 양측면에 충돌하게 된다.When the rotor 40 rotates at a high speed, the pulverized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guide 30 and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7 are forcedly sucked into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20, and the sucked crushed material is sucked. Water and air collide with both sides of the parallel portion 44 of the blade 43 by centrifugal force.

충돌된 피분쇄물과 공기는 후술하는 충돌부(50)를 거치게 되고, 이때 피분쇄물이 분쇄된다.The impingemented object and air pass through the impingement part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bject to be milled is pulverized.

충돌부(50)는 그 내부공간에 대한 횡단면의 형상이 사각 또는 사다리꼴로 제작이 가능하고, 일개 또는 복수개의 트랙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차 트랙(51)과 2차 트랙(52)으로 구성된다.The collision part 50 may be manufactured in a quadrangular or trapezoidal shape with respect to its inner space, and may be composed of one or a plurality of tracks, preferably the primary track 51 and the secondary track 52. It is composed of

여기서 1차 트랙(51)은 링 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하우징(1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 1차 트랙(51)은 투입가이드(30)의 좌측면에 밀착되고, 밀착된 상태가 되면 블레이드(43)의 평행부(44) 외측단에 인접하게 위치한다.Here, the primary track 51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he primary track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feeding guide 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end of the parallel portion 44 of the blade 43.

이러한 1차 트랙(51)은 내주면에 회전축방향으로 다수개의 평행충돌홈(53)이 형성된다. 평행충돌홈(53)은 원기둥을 축방향으로 절개한 모양인 반원기둥 모양으로 홈이 형성된 것으로, 다수개의 평행충돌홈(53)이 연속해서 형성되고 인접한 두 평행충돌홈(53)이 만나면서 날카로운 다수개의 모서리를 형성하게 된다.The primary track 5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arallel collision grooves 53 in the rotational axis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arallel collision groove 53 is a groove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ylinder is cut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parallel collision grooves 53 are formed in succession, and two adjacent parallel collision grooves 53 meet and are sharp. Will form four corners.

로터(40)의 회전시 원심력에 의해 분출된 피분쇄물은 상기 모서리와 평행충돌홈(53)에 다양한 각도로 충돌하여 깨지면서 분쇄되도록 한다.When the rotor 40 is rotated, the pulverized material eje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collides at various angles to the corner and the parallel collision groove 53 to be broken while being crushed.

2차 트랙(52)은 1차 트랙(51)과 연접되어 링 모양으로 형성된 트랙으로, 상기한 블레이드 경사부(45)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평행부(44)에 가까운 쪽의 내경이 그에 대응되는 먼 쪽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The secondary track 52 is a track formed in contact with the primary track 51 in a ring shape, and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ade inclined portion 45. In more detail, the inner diameter of the side closer to the parallel portion 44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ar side corresponding thereto.

이러한 2차 트랙(52)의 내주면에는 다수개의 경사충돌홈(54)이 형성되며, 경사충돌홈(54)은 상기한 평행충돌홈(53)에 형성된 모양과는 다르게 반원추 모양으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경사충돌홈(54)은 상호 연접되어 다수개의 모서리를 형성하게 된다.A plurality of inclined collision grooves 54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ary track 52, and the inclined collision grooves 54 are formed in a semiconical shape unlike a shape formed in the parallel collision groove 53. Four inclined collision grooves 5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plurality of corners.

그리고 이 경사충돌홈(54)은 평행충돌홈(53)의 위치와 동일하게 배치되어 평행충돌홈(53)에서 충돌하면서 이동된 분쇄된 피분쇄물이 다시 충돌되어 더욱 미분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collision groove 54 is dispos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parallel collision groove 53 so that the pulverized pulverized object moved while colliding in the parallel collision groove 53 collides again to be further finely divided.

이렇게 구성되는 충돌부(50)는 1차 트랙(51)과 동일한 형태의 것을 복수개로 설치할 수도 있고, 1차 트랙(51)과 2차 트랙(52)의 연접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The collision part 50 comprised in this way may be provided in multiple numbers of the same form as the primary track 51, and may be used by connecting the primary track 51 and the secondary track 52 in connection.

상기한 2차 트랙(52)이 하우징(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좌측단과 2차 트랙(52)의 좌측단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분급공간(55)을 형성하다.In the state where the secondary track 52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4,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left end of the housing 10 and the left end of the secondary track 52. It is arranged to form a classification space (55).

분급공간(55)의 직경은 하우징(10)의 내경에 대응되나, 좀 더 바람직하게는 분급공간(55)의 직경은 1차 트랙(51) 또는 2차 트랙(52)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만 형성되면 된다.The diameter of the classification space 55 corresponds to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housing 10, but more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classification space 55 is larger than the internal diameter of the primary track 51 or the secondary track 52. Only need be formed.

이 분급공간(55)은 상기한 공기투입구(18)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재순환구(16)를 통해 빠져 나가면서 피분쇄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되도록 한다.The classification space 55 allow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8 to escape through the recirculation port 16 to facilitate the circulation of the pulverized material.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쇄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낸다.The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본 발명의 분쇄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분쇄원리를 살펴보면, 로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회전궤도 상에 원심력과 항력의 경계가 형성되고, 항력에 영향을 받는 체적의 분쇄물은 커버판의 배출공을 통해 배출이 되는 것이고, 원심력의 영향을 받게 되는 체적의 분쇄물은 공기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공기에 의해 재순환구를 거쳐 투입가이드쪽으로 재순환하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grinding princi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fore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undary between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drag is formed on the rotational track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and the pulverized material affected by the drag is covered.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plate, and the volume of the pulverized product which is affected by the centrifugal force is recycled to the input guide through the recirculation port by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그리고 분쇄물의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로터의 회전속도와 커버판의 배출공에 연결된 집진장치(미설명)의 진공도에 따라 달라지겠으나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조건의 진공도를 가정하고 로터의 회전속도도 동일하다고 가정한다.In addition, there may be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discharge of the pulverized product, but it will vary depending o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and the degree of vacuum of the dust collector (not described)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f the cover plate. It is assumed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is also the same.

이와 같은 원리가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먼저 분쇄기의 모터(11)를 가동하여 구동축(12)을 회전시킨다. 구동축(12)의 회전에 따라 벨트(12b)로 연결된 회전축(2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송풍팬도 함께 회전시켜 공기투입구(18)로 공기를 강제로 투입하게 되며, 재료투입구(15)를 통해서도 피분쇄물이 투입된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which this principle is applied first rotates the drive shaft 12 by operating the motor 11 of the grinder. As the drive shaft 12 rotates, the rotating shaft 20 connected to the belt 12b also rotates together. At the same time, the blowing fan is also rotated together to force air into the air inlet 18, and the pulverized material is also introduced through the material inlet 15.

투입된 피분쇄물은 투입가이드(30)의 투입공간(32)으로 유입되고, 고속으로 회전되는 로터(40)의 흡입력에 의해 투입공간(32)에서 로터(40)의 우측면 쪽으로 유입된다.The injected pulverized matter is introduced into the input space 32 of the input guide 30 and is introduced into the right side surface of the rotor 40 from the input space 32 by the suction force of the rotor 40 which rotates at high speed.

이때 투입공간(32)이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투입공간(32) 하부에서 적체되는 현상없이 로터(40) 쪽으로 즉시 유입된다.At this time, since the input space 32 is formed in a fan shape, it immediately flows into the rotor 40 without being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input space 32.

유입된 피분쇄물은 로터(40)의 우측면 쪽에서 형성된 원심력에 의해 회전축(20)에 대해 외측 방향으로 뻗어 나가게 되고, 뻗어 나가던 피분쇄물은 블레이드(43)의 평행부 양측면에 충돌하여 1차 분쇄된 후, 외측으로 튕겨져 나간다.Inflowed to-be-pulverized object extends outward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20 by the centrifugal force formed in the right side of the rotor 40, and the to-be-ground grind | pulverized object collides with the both sides of the parallel part of the blade 43, and it will primary grinding | pulverization After that, it is bounced outward.

튕겨진 1차 피분쇄물은 1차 트랙(51)의 평행충돌홈(53)의 모서리에 충돌하면서 더욱 작은 입자로 2차 분쇄된다.The bounced primary crushed matter is secondarily crushed into smaller particles while colliding with the corners of the parallel collision groove 53 of the primary track 51.

2차 분쇄된 2차 피분쇄물은 로터(40)의 원판(42) 주위에 형성된 공기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여 블레이드(43)의 경사부(45)에 일부 충돌되고 일부는 2차 트랙(52)의 경사충돌홈(54)에 충돌되어 더더욱 작은 입자로 3차 분쇄된다.The secondary pulverized secondary pulverized material moves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air formed around the disc 42 of the rotor 40 to partially collide with the inclined portion 45 of the blade 43, and part of the secondary track 52. Collided with the inclined collision groove 54 of the) and is pulverized into three smaller particles.

3차 분쇄된 3차 분쇄물 중에서 정해진 입도범위에 속하는 것들은 로터(40)의 회전에 따라 형성된 공기의 흐름, 즉 2차 트랙(52)을 거치면서 내경이 줄어듬으로 해서 더욱 가속력을 갖게 된 공기의 흐름은 정해진 입도범위 내의 피분쇄물을 원판(42)의 제2 관통공(41)을 통과하도록 유도하게 된다.Among the tertiary pulverized tertiary pulverized, those belonging to the predetermined particle size range are the flow of air form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40, that is, the inner diameter is reduced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ary tracks 52, and the air is further accelerated. The flow guides the pulverized material within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range to pass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41 of the disc 42.

그러나 미처 분쇄되지 않은 입도가 상대적으로 큰 피분쇄물은 2차 트랙(52)을 벗어나면서 갑자기 넓어진 분급공간(32)과, 공기투입구(18)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외측으로 벗어나려는 원심력이 크게 작용함으로써 재순환구(16)를 통과하여 공기유입구(17)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However,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that has not been crushed has a large centrifugal force to escape to the outside by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inlet 18 and the classification space 32 suddenly widened out of the secondary track 52. By acting, it passes through the recirculation port 16 and moves toward the air inlet 17.

즉,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제안된 분급공간(32)은 그 직경이 배출공(13)과 2차 트랙(52)의 배출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내주면이 경사진 2차 트랙(52)을 통과하면서 원심력이 제한되면서 가속된 피분쇄물이 2차 트랙(52)을 벗어나는 순간 재순환구를 향하도록 한다.That is, the classification space 32 propos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scharg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13 and the secondary track 52 so that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econdary track 52. While the centrifugal force is limited while the accelerated pulverized material exits the secondary track 52, it is directed toward the recycle port.

공기유입구(17)로 이동한 입도가 상대적으로 큰 피분쇄물은 로터(40)의 회전에 의한 흡입력에 의해 공기유입구(17)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투입가이드(30)의 투입공간(32)로 유입된다. 이때 공기유입구(17)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투입공간(32)을 통해 유입되는 피분쇄물의 체적만큼 유입된다.Grinded matter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size moved to the air inlet 17 i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7 by the suction for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rotor 40, and thus the input space of the input guide 30 is reduced. Flows into (32). At this time,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7 is introduced by the volume of the pulverized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space (32).

이렇게 유입된 재순환된 피분쇄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정해진 입도범위에 속할 때까지 계속 재순환되면서 분쇄되고, 정해진 입도범위 내에 속하게 된 피분쇄물은 커버판(14)의 배출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recycled pulverized material thus introduced is pulverized while being recycled continuously until it is in the predetermined particle size range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e pulverized object falling in the predetermined particle size range is discharged from the cover plate 14 (13). Is discharged to outside.

본 발명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붉은자루 동충하초를 미분쇄한 실험예들을 아래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공기투입구로 공기를 투입하지 않아 재순환이 발생하지 않을 때의 입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공기투입구로 공기를 투입할 때의 입도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들 그래프에서 d는 입자의 지름(diameter)을 지칭하고, 괄호안의 수치는 입자분포도 곡선의 최정점을 통과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0.1은 좌우측을 통틀어 10%까지를, 0.5는 50%까지를, 0.9는 90%까지의 체적을 의미한다.Experimental examples of finely pulverizing red Cordyceps sinensis using the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below. 5 is a graph show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when recirculation does not occur because no air is input into the air inlet, and FIG. 6 is a graph show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when air is input into the air inlet. In these graphs, d refers to the diameter of the particle, and the values in parentheses are based on the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peak of the particle distribution curve, where 0.1 is up to 10% across the left and right, 0.5 is up to 50%, and 0.9 Means volume up to 90%.

[실험예1]Experimental Example 1

실험예1에서는 공기투입구(18)를 통해 공기를 투입하지 않고, 로터(40)의 회전수는 9000rpm이고, 호퍼에 투입되는 피분쇄물의 양은 2kg이며, 볼밸브(19)를 완전히 개방한다.In Experimental Example 1, without introducing air through the air inlet 18,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40 was 9000 rpm, the amount of pulverized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hopper was 2 kg, and the ball valve 19 was completely opened.

이 상태로 분쇄를 시작하면, 공기투입구(18)로 공기가 투입되지 않기 때문에 피분쇄물은 재순환과정없이 1회의 분쇄만 이루어진 채로 커버판(14)의 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된다.When the grinding is started in this state, since no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8, the pulverized material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3 of the cover plate 14 with only one grinding being performed without a recycling process.

배출된 미분쇄물의 입도를 근거로 그래프를 그려보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입자분포도가 넓게 나타남을 알 수 있고, 그 입자분포도를 근거로 확인해보면, d(0.1)에서는 입자의 지름이 6.841㎛를 넘지 않고, d(0.5)에서는 입자의 지름이 36.03㎛를 넘지 않으며, d(0.9)에서는 190.068㎛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graph on the basis of the particle size of the discharged fine pulverization as shown in FIG. From this graph, it can be seen that the particle distribution is widely re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particle distribution, the diameter of the particle does not exceed 6.841 μm at d (0.1), and the diameter of the particle at d (0.5). It does not exceed 36.03 μm and d (0.9) does not exceed 190.068 μm.

[실험예2]Experimental Example 2

실험예2에서는 공기투입구(18)를 통해 공기를 투입하고, 로터(40)의 회전수는 9000rpm이고, 호퍼에 투입되는 분쇄물의 양은 2kg이며, 볼밸브(19)를 완전히 개방한다.In Experimental Example 2, air was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8,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40 was 9000 rpm, the amount of pulverized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hopper was 2 kg, and the ball valve 19 was completely opened.

이 상태로 분쇄를 시작하면, 공기투입구(18)로 공기가 투입되기 때문에 피분쇄물은 재순환과정이 발생하면서 분쇄가 이루어지고, 분쇄된 분쇄물은 커버판(14)의 배출공(13)을 통해 배출된다.When pulverization is started in this stat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inlet 18, so that the pulverized material is pulverized while a recycling process occurs, and the pulverized pulverized product opens the discharge hole 13 of the cover plate 14. Is discharged through.

배출된 미분쇄물을 근거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입도분포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분쇄물의 입도 분포가 d(0.1)에서는 3.414㎛이고, d(0.5)에서는 10.137㎛이고, d(0.9)에서는 29.791㎛가 가장 큰 입자임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as shown in Figure 6 on the basis of the discharged fine pulverized as follows. It can be seen from the graph that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pulverized product is 3.414 μm in d (0.1), 10.137 μm in d (0.5), and 29.791 μm in d (0.9).

위와 같은 두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공기투입구(18)를 통해 공기를 투입해서 피분쇄물을 재순환시킨 결과, 더욱 입도가 작게 미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What can be seen through the above two experiments is that as the result of recirculating the pulverized material by introducing air through the air inlet 18, it is possible to finely finer particle size.

그리고 체적에 비해 수분, 섬유질 등이 많이 함유된 한약제도 용이하게 미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In addition, herbal medicines containing a lot of moisture, fiber and the like compared to the volume can be easily finely divid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호퍼를 통해 투입된 피분쇄물이 로터에 의해 1차 분쇄되고, 1차 트랙과 2차 트랙에서 다시 분쇄되며, 그래도 분쇄되지 않은 피분쇄물은 공기투입구를 통해 공급된 공기에 의해 재순환구를 거쳐 재분쇄되어 입도범위 내에 존재할 때까지 분쇄가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lverized material introduced through the hopper is first pulverized by the rotor, and pulverized again in the first and second tracks, but the pulverized material is not pulverized through the air inlet. The supplied air is regrind through the recirculation port and pulverized until it is within the particle size range.

따라서 호퍼에 피분쇄물을 한번만 투입하는 것으로도 원하는 입도를 가진 분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별도의 장비나 작업공수가 소요되지 않아도 된다.Therefore, the pulverized material having the desired particle size can be obtained even by putting the pulverized material into the hopper only once, so that no separate equipment or labor is required.

또한 피분쇄물의 분쇄시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빠른 시간안에 원하는 입도범위의 분쇄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no additional work is required when grinding the pulverized material, it is possible to obtain a pulverized product having a desired particle size range in a short time.

아울러 본 발명의 분쇄기는 미분쇄시 발생되는 열을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미분쇄기에 비해 재료의 입자크기로부터 좀 더 자유롭게 미분쇄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ulve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heat generated during the pulverization to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inlet, so that the fine pulverization is more free from the particle size of the material than the conventional pulverizer.

그리고 본 발명의 분쇄기는 재순환을 통해 반복해서 미분쇄를 실시하기 때문에 분급을 위한 그물망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섬유질이 많고 지방이 함유된 식품이나 한약제도 용이하게 미분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ulve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repeatedly pulverizes through recirculation,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install a net for classification, so that foods or herbs containing a lot of fiber and fat can be pulverized easily.

Claims (14)

피분쇄물을 투입할 수 있는 재료투입구와, 배출공이 형성된 커버판이 일측단에 고정되는 하우징;A housing into which a material input opening into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can be put and a cover plate having a discharge hole formed are fixed to one end;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모터와 연결되는 회전축;A rotating shaft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motor; 상기 회전축에 원판이 고정된 채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원판에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는 로터; 및A rotor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with the disc fixed to the rotating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on the disc; And 상기 커버판과 로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로터의 직경과 배출공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분급공간A classification space locat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rotor, the classification space formed of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or and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을 포함하는 분쇄기.Grinder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공간과 상기 피분쇄물이 투입되는 쪽과 연통되도록 하는 재순환구를 상기 하우징에 더 형성하는 분쇄기.The pulveriz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irculation port in the housing for communicating with the classification space and the side into which the pulverized material is introduc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급공간과 연통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공기를 투입하는 공기투입구를 더 형성하는 분쇄기.The grinder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an air inlet for communicating with the classification space to inject air into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의 직경이 상기 로터를 통과한 피분쇄물의 경로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분쇄기.The pulveriz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ameter of the discharge hole is smaller than a path diameter of the pulverized object passing through the rot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재료투입구와 연결되는 투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와 투입공간을 분리시키는 격벽이 형성되는 투입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분쇄기.The grinder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input guid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material inlet, and an input guide having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rotor and the input spa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가이드는 중심에 상기 회전축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의 직경보다 작은 제1 관통공이 상기 투입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분쇄기.The grind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eeding guide is formed such that a first through-hol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communicates with the feeding space at the center thereof.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공간에 연통되는 공기유입구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분쇄기.6. The grinder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n air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put space is formed in the hous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구와 상기 재순환구가 상호 연통되는 분쇄기.The grinder of claim 7, wherein the air inlet and the recirculation por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는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에 원판의 중심부를 향해 수직으로 고정되는 분쇄기.The grinder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lades are vertically fixed at an edge of the disc toward the center of the disc.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블레이드는 외측단이 축방향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원판에 대해 우측에 위치한 평행부와, 외측단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원판에 대해 좌측에 위치한 경사부로 이루어지는 분쇄기.10. The grinde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plurality of blades have a parallel portion whose outer end is parallel to the axial direction and is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disc, and an inclined portion whose outer end is inclined and is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disc.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의 가장자리 외측에 위치하며 자체 내부공간에 대한 횡단면의 형상이 사각 또는 사다리꼴로 형성되어 상기 피분쇄물이 충돌하게 되도록 하는 충돌부를 더 포함하는 분쇄기.11. The grinder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colliding portion which is located outside the edge of the rotor and has a cross-sectional shape with respect to its inner space in a quadrangular or trapezoidal shape so that the workpieces collid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부는 상기 평행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평행충돌홈이 형성된 1차 트랙과, 상기 1차 트랙에 연접하여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 위치하고 링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다수개의 경사충돌홈이 형성된 2차 트랙으로 구성되는 분쇄기.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impact portion is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outer side of the parallel portion and a plurality of parallel collision groov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n contact with the primary track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clined portion in a ring shape A mill comprising a secondary track formed with a plurality of inclined crash groove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트랙에 형성된 다수개의 충돌홈은 상기 블레이드의 평행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원기둥을 축방향으로 절개한 모양인 반원기둥 모양으로 다수개가 연속으로 형성되는 분쇄기.The crusher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a plurality of collision grooves formed in the primary track are formed in parallel to the parallel portions of the blades, and the plurality of crash grooves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semi-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cylinder is cut in the axial direc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트랙에 형성된 충돌홈은 상기 블레이드 경사부의 경사각도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면에 반원추 모양으로 형성되는 분쇄기.The crusher of claim 12, wherein the impact groove formed in the secondary track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lade inclined portion, and is formed in a semiconical shape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KR10-2003-0013463A 2003-03-04 2003-03-04 Pulverizer KR1005155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63A KR100515521B1 (en) 2003-03-04 2003-03-04 Pulveriz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463A KR100515521B1 (en) 2003-03-04 2003-03-04 Pulveriz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505A true KR20040078505A (en) 2004-09-10
KR100515521B1 KR100515521B1 (en) 2005-09-16

Family

ID=3736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463A KR100515521B1 (en) 2003-03-04 2003-03-04 Pulveriz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55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435A (en) * 2018-03-22 2019-10-02 장태균 A crusher including a gas-vaporized raw material cool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057B1 (en) 2008-05-22 2010-02-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 classification and shattering equipment
KR101085543B1 (en) 2010-12-16 2011-11-24 장태균 Closed loop classification and shattering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435A (en) * 2018-03-22 2019-10-02 장태균 A crusher including a gas-vaporized raw material coo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5521B1 (en) 200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5930B1 (en) Crushing equipment
US3688991A (en) Jet and anvil comminut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1043877A2 (en) Apparatus for pulverizing and drying particulate material
EP0568941B1 (en) Pulverizing apparatus
JP2007111574A (en) Crusher
US5419499A (en) Treatment of particulate material
KR100515521B1 (en) Pulverizer
US6375103B1 (en) Mill for pulverizing and classifying particulate material
KR200182514Y1 (en) Crusher
CN2357828Y (en) Internal sorting loosening ultrafine pulverizer
KR101907137B1 (en) Crushing and grinding blade crush net of the grain crusher
JP2003010712A (en) Method for pulverizing raw material such as powder and granular substance
CA20789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verizing glass
JPH0642737Y2 (en) Impact crusher with built-in classification mechanism
CN209680275U (en) A kind of new medicine pulverizer
JP3107670B2 (en) High-speed rotary impact crusher
KR100469759B1 (en) Mill
JP4230050B2 (en) Jet crushing apparatus and jet crushing method
JPS60129144A (en) Finely pulverizing machine
WO2024077715A1 (en) Ultrafine grinding system for rhizom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P3135715B2 (en) High-speed rotary impact crusher
JPS5973065A (en) Super-pulverizer
KR102483271B1 (en) Batch type centrifugal classifier and activated carbon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598853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ed impact comminution of wood
JPS6366582B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