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227A -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 Google Patents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227A
KR20040078227A KR1020030013044A KR20030013044A KR20040078227A KR 20040078227 A KR20040078227 A KR 20040078227A KR 1020030013044 A KR1020030013044 A KR 1020030013044A KR 20030013044 A KR20030013044 A KR 20030013044A KR 20040078227 A KR20040078227 A KR 2004007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dma
rain gauge
rainfall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국
김창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데이타 피씨에스
Priority to KR102003001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8227A/ko
Publication of KR2004007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22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8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details of associated display arrangements, e.g. mounting of LCD moni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 G02B21/361Optical details, e.g. image relay to the camera or image sens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5Optical accessories, e.g. converters for close-up photography, tele-convertors, wide-angle conver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Abstract

본 발명은 검보정이 가능한 무선 자기우량계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품질의 강우자료를 위해 자동으로 검보정이 가능하고 자료전송의 모든 과정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관리자로 하여금 빠르고 확실한 자료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우량계 자체의 이상 유,무 역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어 우량계의 유지관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계측된 자료는 인터넷망(5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웹서비스 함으로써 누구나 언제든지 자료를 열람 및 이용할 수 있어 기존의 강우관측망의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할 수 있는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전체가 저전력 회로로 설계되어 소비전력이 매우 작아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고,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된 기존 자기우량계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다고 해도 설치 및 유지 관리비가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검보정의 기능은 도 5에서와 같이 강우센서(31)(31')를 복수개로 구성하여 복수개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상호비교를 통해 검보정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값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기존의 단일 수수기를 이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자료의 결측율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뿐 아니라 신뢰도의 향상도 기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Automatically calibrated rainfall meter using dual rain sensors and CDMA wireless network}
본 발명은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우량계를 CDMA 무선 데이터 통신과 결합시켜 그 기능과 정확성을 높이고, 2개의 강우수수기를 동시에 측정하여 검보정 및 획득자료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설치 및 유지관리 등이 용이하며 계측된 자료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다양한 사람이 자료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개량한 것이다.
최근 수년동안 국내의 컴퓨터와 전자 정보통신, 인터넷 등 전체 사회의 정보통신 기간통신망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통신의 패러다임이 무선 디지털 통신으로 구축되는 대변혁의 시대를 맞고 있다.
일 예로서 자기우량계는 기상예보, 기상통계, 수자원 통계, 홍수 예보와 경보, 유수지 운영 등과 같이 물과 관련된 여러 산업분야에서 강우량의 정확한 관측을 위하여 가장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강우량 관측기기이다.
우량계는 강수량(降水量)을 측정하는 기상계기로서, 지시우량계와 자기우량계
(自記雨量計)로 나뉜다. 원리는 일정한 지름의 용기에 빗물을 받아서 깊이를 측정하는 것으로 무게 또는 부피를 측정하여 집수면적에 대한 깊이를 환산하고 ㎜단위로 표시한다. 용기의 지름은 대체로 20㎝이나 사용목적에 따라서 다른 규격을 쓰는 곳도 있다.
빗물은 물론, 눈, 진눈깨비, 우박, 이슬 등 용기에 들어온 것을 모두 물로 녹여서 우량되(雨量升)로 재고, 눈, 우박, 진눈깨비 등은 무게를 측정한 후 깊이(㎜)단위로 환산하여 강수량을 측정한다.
연속 강수량과 강우강도(降雨强度)분석을 위하여 자기우량계로 연속 기록하게 된다.
자기우량계는 사이펀식, 전도형식 등이 있으며 기상, 재해 예방, 토목, 기타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각 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자기우량계는 그 성능과 사용성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단순히 수동적인 강우량 측정에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자기우량계의 구성과 우량계의 유지 관리를 위한 관리자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우량계에 의해 측정된 자료 획득을 위하여 관리자(10)가 정기적으로 우량계 설치지 즉, 계측 현장을 방문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자기우량계(20) 유지 및 관리를 위해서는 별도의 관리자를 필요로 하였다.
또한 종래의 자기우량계(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20cm, 높이47cm의 상단에 개방된 구조를 갖는 원통형 구리관(혹은 아연 도금철관)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내측 상단에 깔대기 모양으로 되는 수수기(22)를 설치하여 빗물을 받도록 되고, 상기 수수기(22)를 통해 공급된 빗물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만큼 선회하는 2개의 버켓(26)에 보내지며, 그 하부측에는 우량계 작동시 일정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스위치(23)가 내장되고, 측정된 자료를 출력하기 위해 기록기(24)와 디지털 표시기(25)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기우량계(20)는 우량계로 투입된 우량이 일정한 전기적 혹은 기계적 신호를 외부에 설치된 기록기(24) 혹은 디지털 표시기(25)와 같은 출력 장치로 보내어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즉, 비가 내리면 깔대기 모양의 수수기(22)에서 집수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 버켓(26)에 공급되어지는데, 일측 버켓(26)에 물이 채워지면 그 무게에 의해 반대편으로 기울면서 버켓(26)내부의 빗물을 아래로 흘러보낸다. 이때 흘러내린 물을 스위치(23)에서 인식하게 되는데 버켓(23) 하나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은 일정하므로 버켓(26)으로부터 빗물이 몇 번 공급되었는지를 세서 강우량을 계산하게 되며, 이와 같이 계산된 값은 기록지(24)에 도표의 형태로 표시되거나 디지털표시기(25)에서 수치값으로 표시된다.
상기 버켓(26)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하게되므로, 항상 빈 상태의 버켓(26)이 수수기(22) 아래 위치하게 되며 상기 버켓(26)에 물이 모여 자중에 의해 기울게되면, 반대편에 위치하는 빈 버켓(26)이 상기 수수기(22) 아래 오게되며, 다시 빗물이 모여 버켓이 기울게되면 반대편 버켓(26)이 수수기(22) 아래 오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서 강우량의 증가를 규칙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처럼 종래에는 1개의 자기우량계(20)의 자료를 별도의 기록지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어 자기우량계(20)에 의해 계측된 자료는 계측 현장으로부터 가져와 부가적인 정리과정을 거친 후 자료를 얻기까지는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자료 열람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기기가 고장이나 기타 이 물질(흙이나 나뭇잎 등)이 수수기내에 투입되어 강우량을 제대로 관측할 수 없을 경우 검보정 대책이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자기우량계(20)는 여러 부가적인 장비(외부에 설치된 기록기(24) 혹은 디지털 표시기(25)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한 관계로 전체 시스템이 복잡하여 설치 및 유지관리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경제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가 설치지를 방문하지 아니하고서도 계측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무선 통신망과 연결된 시스템을 통하여 획득하고 관리할 뿐 아니라, 계측된 자료는 인터넷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자료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된 자기우량계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나타낸 참고도,
도 2는 종래 자기우량계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DMA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검보정 자기우량계의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검보정 자기우량계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자동 검보정 자기우량계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관리자 20,30; 우량계
21,31,31'; 강우센서 22 ; 수수기
23 ; 스위치 24 ; 기록지
25 ; 디지털 표시기 32 ; 데이터 로거(Data Logger)
33 ; CDMA 무선모뎀 34 ; 케이스
35 : CDMA 무선모뎀 37 ; 서버
38 ; 모니터링 시스템 40 ; 무선통신망
50 ; 인터넷 60 ; 위성통신망
311 : 수수기 312 : 버켓
313 ; 스위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CDMA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자기우량계의 전체 시스템 구성과 함께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부가적인 서비스와 유지 및 관리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자기우량계(30)가 설치되는 계측지까지 관리자(10)가 방문하는 번거러움이 없이 설치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무선통신망(40)을 이용하여 사무실에서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하고, 계측된 자료는 인터넷망(5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웹서비스 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CDMA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자기우량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깔대기 모양으로 된 복수의 수수기(311)와 그 내부에 2개의 버켓(312)과, 상기 버켓(312)으로부터 공급된 빗물에 의해 전기적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313)로 구성되어진 강우센서(31)를 포함하는 자기우량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13)로부터 수신된 펄스신호를 카운팅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입력된 자료를 인터넷 서버(37) 혹은 모니터링 시스템(38)으로 전송하는 CDMA 무선모뎀(33)으로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로거(32)로부터 전송명령이 접수되면 CDMA 무선모뎀(33)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무선통신망(40)을 이용하여 사무실에서 관리하고 계측된 자료는 인터넷망(5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웹서비스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강우센서(31)의 구조는 종래와 큰 차이가 없는다. 즉, 원통형 구리관(혹은 아연도금 철판)으로 형성되는 본체의 내측 상단에 깔대기 모양으로 되는 수수기(311)를 설치하여 빗물을 받게 되고, 상기 수수기(311)를 통해 공급된 빗물은 가운데를 중심으로 일정각도의 선회운동을 반복하는 2개의 버켓(312)에 보내지며, 그 하부측에는 상기 버켓(312)으로부터 빗물이 공급될 때마다 전기적인 펄스(Pulse)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313)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추가된 데이터로거(32)는 상기 스위치(313)로부터 전달된 펄스신호를 지속적으로 카운팅하여 시간대비한 값으로 계산하는 실시간 클럭칩과 카운트된 펄스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펄스값을 카운트하고 일정조건이 되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CDMA 무선모뎀(33)을 통해 전송하도록 명령하는 소형 컴퓨터(CPU)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있어 강우센서(31)의 하부측에는 전장품 보호를 위해 케이스(34)가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34)의 내측에 데이터 로거(32), CDMA 무선모뎀(33) 베터리(36)가 내장되고 있다.
상기 케이스(34)는 우량계 설치시 수평 유지기능과 지면으로부터 우량계 강우센서(31)가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강우센서(31)는 종래의 자기우량계에 사용되던 방식과 동일하게 전기적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다.
데이터 로거(32)는 실시간 계측이 가능하도록 내부에 도시하지 않은 실시간클럭 칩(시간을 나타내는 칩)이 내장되고 상기 데이터 로거(32)에는 단전시에도 동작할 수 있도록 별도의 예비 전력장치인 밧데리(36)가 구비되어 있다.
강우센서(31)로부터 발생된 펄스 신호는 로거 내의 소형컴퓨터를 이용하여 10분마다 계측을 수행하고 계측된 자료는 모두 저장용 메모리(EEPROM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되고, 상기 자료는 무선통신망(40)과 연결된 CDMA 무선모뎀(35)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CDMA 무선모뎀(35)에 수신된 데이터를 육안 식별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콜링 프로그램(Calling Program)이 내장된 모니터링시스템(38)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그 외에도 종래 공지된 다양한 방법들이 당연히 이용될 수 있을 것이므로 본원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상기 CDMA 무선모뎀(35)에 수신된 데이터를 인터넷망(50)에 연결된 서버(37)에도 함께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으므로,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37)에 전송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터넷망이 연결된 장소라면 어디에서나 수신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자기우량계의 예시도로서, 여기에서는 상기 강우센서(31)외에도 또 다른 강우센서(31')를 복수로 구성하여 상기 강우센서(31)(31')에서의 측정값이 상기 CDMA 무선모뎀(33)을 통해 함께 전송되어지도록 구성된다. 이 때 강우센서(31)(31')마다 CDMA 무선모뎀을 각각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으나 비용절감차원에서는 한 개의 CDMA 무선모뎀을 공유하도록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강우센서(31)를 한 개만 사용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측정값의 신뢰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제적으로 현장에 설치되는 강우량계에서는 장치의 유지관리 미숙에 따른 자료의 결측이나 집중강우로 인한 자료의 신뢰성문제가 발생되기 쉬우므로, 각각 다른 기관에서 측정한 비슷한 지점에서의 강우자료가 확연히 다른 결과를 나타내거나 우량계의 고장이 의심스러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도 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되어진 본원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강우(降雨)를 수수하기위한 강우센서(31)(31')를 각 현장마다 두 개를 한조로 설치하게되므로, 한 지점에서 두 개의 강우량값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두 개의 강우량값을 평균 등의 통계처리를 통해 강우량값을 산출할 경우, 강우센서가 한 개인 경우에 비해 훨씬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비가 내리면 강우센서(31)의 깔대기 모양의 수수기(311)에서 집수되어 그 하부에 위치한 버켓(312)에 공급되어지는데, 일측 버켓(312)에 물이 채워지면 그 무게에 의해 반대편으로 기울면서 버켓(312)의 내부의 빗물을 아래로 흘러보낸다.
이 때 흘러내린 물을 스위치(313)에서 인식하게되는데 버켓(312) 하나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일정하므로(주로 1버켓당 0.5㎖의 것을 사용하나 0.2㎖의 것도 함께 사용된다.)버켓(312)으로부터 빗물이 몇 번 공급되었는지를 세서 강우량을 계산하게 된다.
즉, 버켓(312)에서 물이 1회 공급될 때마다 스위치(313)에서는 전기적인 펄스가 1회 발생하며, 데이터로거(32)에서는 상기 펄스신호를 카운트하여 실시간 클럭칩에 의한 시간대비값으로 환산한 다음 메모리(EEPROM 메모리)에 저장한다.
한편, 데이터로거(32)에는 펄스값을 카운팅하는 기능과 함께 일정조건이 되면 메모리의 저장데이터를 CDMA 무선모뎀(33)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기능이 구비되어있으므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한시간에 한번씩 무조건 전송하도록 하거나, 강우량이 일정치 이상 증가한 경우에 한해 전송하도록 하는 등, 사용자가 전송조건을 임의로 정해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로거(32)의 소형컴퓨터(CPS)에서 강우량이 일정조건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되면 CDMA 무선모뎀(33)에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하라는 명령을 내리게 되므로, 상기 CDMA 무선모뎀(33)에서는 모니터링 시스템(38)과 연결된 CDMA 무선모뎀(35)에 전화를 걸어 데이터 전송하거나 고정 IP주소를 가지고 있는 인터넷서버(37)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가 전송되면, 수신측에서는 콜링 프로그램(Calling Program)이 자동 실행되므로 수신된 데이터를 화면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된다.
특히, 데이터가 인터넷을 통하여 서버(37)에 전송될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터넷망이 연결된 장소라면 어디에서나 수신데이터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강우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것이다.
자기 우량계(30)의 강우센서(31)는 일정한 강우량(0.5mm)마다 정기적인 펄스를 발생한다. 이때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는 데이터 로거(32) 내에서 디지털신호 변환 과정을 거친 후 CDMA 무선모뎀(35)과 무선통신망(40)을 이용하여 모니터링 시스템(38) 또는 인터넷서버(37)로 전송하게 된다.
전송 받은 자료는 모니터링 시스템과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에 설치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10분 간격 혹은 필요한 시간간격의 실시간 강우량 뿐 아니라 지속적인 강우량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실시간으로 전송 받은 자료는 근래에 국내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지역성 집중강우 양상을 신속히 파악하는데 크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며, 갑작스러운 자연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관리자에게 재해에 예방에 만전을 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든 과정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관리자로 하여금 빠르고 확실한 자료를 취득은 물론 우량계 자체의 이상 유,무 역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어 우량계의 유지관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저장용 메모리에는 약 4개월 간의 연속적인 강우자료가 저장할 수 있도록 여유가 있다.
그러므로 종례처럼 관리자의 정기적인 점검을 필요로 하는 관계로 자기우량계의 설치 장소가 관리자의 접근이 용이한 지역으로만 제한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자기우량계는 한번만 설치하면 되므로 설치 장소에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CDMA 무선통신이 가능한 곳이면 국내 어느 지역이나 설치가 가능하며 이들을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원공급장치를 태양열을 이용하게 되면 장시간 무인 자동계측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기유량계는 필요에 따라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더라도 설치 및 유지관리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복수의 강우센서(31)(31')를 한조로 구성할 경우에는 각 강우센서(31)(31')의 데이터로거에 의해 측정되어진 강우량값이 CDMA 무선모뎀(33)에 의해 무선 전송되는데, 또는 기타 다른 방법(기존 수동적 방법, 무선 텔레미터망을 이용한 방법, 인공위성 통신을 이용하는 방법 등)으로 자료를 전송하더라도 두 개의 강우센서 값을 비교하여 검보정 할 수 있다. 두 값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인근 지점의 측정값과 비교해봄으로써 시스템의 오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검보정 과정을 모니터링 시스템(38)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도록 하고, 자체적으로 처리된 값은 모니터 화면이나 인터넷을 통해 표시되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여러 부가적인 장비를 포함하는 관계로 전체시스템이 복잡하고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는데 반해 모든 장비를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초소형으로 제작한 결과 제품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쉽게수리가 가능하며 가벼워서 이동이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모든 과정이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관리자로 하여금 빠르고 확실한 자료를 취득은 물론 우량계 자체의 이상 유,무 역시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어 우량계의 유지관리가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계측된 자료는 인터넷망(5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웹서비스 하므로써 누구나 언제든지 자료를 열람 및 이용할 수 있어 산업 전반에 걸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전체가 저전력 회로로 설계되어 소비전력이 매우 작아 에너지 효율이 매우 높고,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된 기존 자기우량계에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다고 해도 설치 및 유지 관리비가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도 5에서와 같이 강우센서(31)(31')를 복수개로 구성할 경우에는 각 지점마다 복수개의 측정값을 얻을 수 있고, 이를 검보정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값을 산출할 수 있을 것이며, 강우자료의 결측율을 50%이상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근 지점의 측정값과 비교해봄으로써 각 시스템의 오동작 여부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깔대기 모양으로 된 수수기(311)와, 그 하부에 위치하여 가운데를 중심으로 시이소오 운동하도록 구성된 2개의 버켓(312)과, 상기 버켓(312)으로부터 공급된 빗물에 의해 전기적인 펄스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313)로 구성되어진 강우센서
    (31)를 포함하는 기존 자기우량계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313)로부터 수신된 펄스신호를 카운팅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강우량이 초기 설정조건에 도달하면 CDMA 무선모뎀(33)에 데이터 전송명령을 발생시키기 위한 데이터로거(32)와, 상기 데이터로거(32)로부터 데이터 전송명령이 접수되면 무선통신망(40)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CDMA 무선모뎀(33)과, 전송된 데이터를 육안 식별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 구성되어, 설치 현장에서 발생하는 모든 상황을 무선통신망(40)을 이용하여 사무실에서 관리하고 계측된 자료는 인터넷망(5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웹서비스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무선모뎀(35)에 수신된 데이터를 육안 식별가능한 형태로 변환하기 위한 표시수단으로는 콜링 프로그램(Calling Program)이 내장된 모니터링시스템(38)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DMA 무선모뎀(35)에 수신된 데이터가 인터넷망(50)에 연결된 서버(37)에 함께 전송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우센서(31)(31')를 복수로 구성하여 이들로부터의 측정값이 상기 CDMA 무선모뎀(33)을 포함하여 기타 기존 통신방법을 통해 함께 전송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로거(32)에는 별도의 밧데리(36)가 구비되며, 강우센서(31)로부터 발생된 펄스 신호는 로거내의 소형컴퓨터를 이용하여 저장용 메모리에 저장 후 무선통신망(40)과 연결된 CDMA 무선모뎀(35)으로 보내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CDMA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KR1020030013044A 2003-03-03 2003-03-03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KR20040078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044A KR20040078227A (ko) 2003-03-03 2003-03-03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044A KR20040078227A (ko) 2003-03-03 2003-03-03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227A true KR20040078227A (ko) 2004-09-10

Family

ID=3736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044A KR20040078227A (ko) 2003-03-03 2003-03-03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82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00B1 (ko) * 2006-07-11 2008-03-06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우수토실 감시경보시스템
KR101710638B1 (ko) * 2016-08-25 2017-02-27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침투도랑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2848B1 (ko) * 2017-12-19 2018-05-14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분포형 근적외선 우량계
CN117152936A (zh) * 2023-11-01 2023-12-01 辽宁省气象服务中心(辽宁省气象影视中心) 一种铁路水害风险预警装置及其预警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700B1 (ko) * 2006-07-11 2008-03-06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 우수토실 감시경보시스템
KR101710638B1 (ko) * 2016-08-25 2017-02-27 에덴녹화산업 주식회사 침투도랑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842848B1 (ko) * 2017-12-19 2018-05-14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분포형 근적외선 우량계
CN117152936A (zh) * 2023-11-01 2023-12-01 辽宁省气象服务中心(辽宁省气象影视中心) 一种铁路水害风险预警装置及其预警方法
CN117152936B (zh) * 2023-11-01 2024-01-09 辽宁省气象服务中心(辽宁省气象影视中心) 一种铁路水害风险预警装置及其预警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5718A (ko) 유체운반 도관 망을 감시하는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073918B1 (ko) 사면 변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사태 예보 시스템
KR101684427B1 (ko) 산사태 및 토석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6027986A (zh) 城市内涝监控系统及监控方法
CN104535134B (zh) 一种毫米级数字式水位传感器检测方法
CN105319433A (zh) 一种机电一体化线路避雷器用计数器
US7584656B2 (en) Floatless rain gauge
CN105185043A (zh) 山体滑坡灾害监测终端
CN215768567U (zh) 一种土壤蒸渗测量系统
KR20040078227A (ko) 복수의 강우센서를 이용하는 자동 검보정 무선자기우량계
KR101032679B1 (ko) 사통식 저수지에서 압력센서를 이용한 수위 관측 시스템
CN204965689U (zh) 工作可靠的山洪灾害监测采集装置
Sakuradani et al. Development of a slope disaster monitoring system for expressway operation and maintenance control
KR20200139085A (ko) 전력 효율이 우수한 원격검침 시스템
KR20000071948A (ko) 피씨에스 통신망을 이용한 원격 자기우량계
CN106442910A (zh) 一种地下水自动监测系统
CN106257245A (zh) 管道断面监测系统
US20110056289A1 (en) Floatless Rain Gauge
CN104808261A (zh) 一种无机械结构的雨量测量传感器
AU2014202604A1 (en) Wirelessly networked fluid monitoring method, system and apparatus
CN212460337U (zh) 一种弃渣场边坡稳定性监测系统
KR100908484B1 (ko) 강우량계의 교정장치
CN218570479U (zh) 一种基于5g通信技术的水文遥测装置
Omoruyi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rainfall measurement using a tipping bucket rain gauge mechanism
CN103926943A (zh) 一种水文水资源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