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8222A -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8222A
KR20040078222A KR1020030013036A KR20030013036A KR20040078222A KR 20040078222 A KR20040078222 A KR 20040078222A KR 1020030013036 A KR1020030013036 A KR 1020030013036A KR 20030013036 A KR20030013036 A KR 20030013036A KR 20040078222 A KR20040078222 A KR 20040078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peater
integrated
relay service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1460B1 (ko
Inventor
김종관
장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1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46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08Modulated-carrier systems arrangements for allowing a transmitter or receiver to use more than one type of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공용 안테나, 제1 공용 안테나와 연결되어 제1 공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급전선, 제1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모두 수신하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켜 송출하는 통합형 중계기, 통합형 중계기와 연결되어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급전선 및, 제2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2 공용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 공용 안테나의 개수는 각각 한 개이고, 제1 및 제2 급전선의 개수 역시 각각 한 개로서, 이를 통하여 저가의 고품질 중계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RELAY SERVICE}
본 발명은 통합형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사이에 위치하여 호를 연결하는 중계기는 기지국에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기지국의 통신 서비스 범위를 확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즉, 기지국이 관리하는 영역(셀) 내에 복수 개로 설치된 중계기는 각 이동 단말기의 호를 포착하여 기지국으로 연결함으로서, 기지국은 통신 서비스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중계기는 지역적인 특성으로 기지국이 설치되지 못하는 통화 불능지역이나 또는 도심의 빌딩 사이 및 지하와 같은 통신 음영 지역에 설치되어 통화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특징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타교환국의 교환기와 공중 교환 회선망(PSTN)간을 연결하는 국간 연결 교환기로 직접 가입자 채널을 전송할 수 있는 많은 기지국을 도심 지역에 촘촘히 설치하고, 상기 각 기지국을광케이블로 서로 연결하여 각 기지국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상기 각 기지국에서 자신의 서비스 영역 내에 위치한 가입자 단말기는 서비스 안테나를 통해 직접 서비스한다. 그리고, 전파 차폐 지역이나 음영 지역 또는 원거리에 위치한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서는, 전송 링크용 안테나를 통해 가입자 채널을 주파수 변환하여 전송하는 링크 중계기와, 그것을 무선 수신하여 재생한 후 가입자 단말기로 서비스하는 서비스 중계기를 일정 거리 이상 이격시켜 설치함으로써, 전파 차폐 지역이나 음영 지역 또는 서비스가 불가능한 원거리의 가입자 단말기에 대해서까지도 서비스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지상, 지하철, 터널 등의 여러 장소에 PCS, IMT-2000, 셀룰러(IS95C)등 여러 통신 사업자들이 제 각각 중계기를 설치함으로 인해 많은 시설비와 운영비가 소요되었다. 이러한 다수의 중계기 설치에 대한 표시예가 첨부된 도 1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WCDMA/CDMA)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는 특정 기지국과 WCDMA용 가입자 단말기(1)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WCDMA 중계기(2)와, 특정 기지국과 CDMA 방식의 가입자 단말기(3)간의 신호 송수신을 중계하는 CDMA 중계기(4)가 별도로 각각 설치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신호 송수신을 위한 각각의 서비스용 안테나(A1 내지 A4) 및 급전선(L1 내지 L4) 역시 별도로 각각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막대한 시설비 및 운영비를 소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도심 지역에 촘촘히 설치되는 중계기간의 신호 간섭에 의한 잡음 증가 및 미관상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잡음 증가로 인하여 중계기의 설치 수량 등에 각종 제한을 받게 된다.
따라서, 저가로 고품질의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방안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가입자 단말기(PCS, IMT-2000 등)와 각 기지국간의 호 연결에 따른 신호 송수신을 한 쌍의 공용 안테나와 또 다른 한 쌍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수행함으로써, 저가의 고품질 중계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중계기(WCDMA/CDMA)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CDMA 중계기 120 : WCDMA 중계기
131, 132 : 공용 안테나 141, 142 : 급전선
151, 152 : 트리플렉서(Triplexer)
161, 162 : 듀플렉서(Duplexer)
170 : 통합형 중계기
200 : 제1 가입자 단말기(WCDMA)
300 : 제2 가입자 단말기(CDMA)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와 각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기가 포함된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공용 안테나; 상기 제1 공용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급전선;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모두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켜송출하는 통합형 중계기; 상기 통합형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급전선; 및 상기 제2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2 공용 안테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공용 안테나의 개수는 각각 한 개이며, 상기 제1 및 제2 급전선의 개수도 각각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공용 안테나; 상기 제1 공용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급전선;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하는 트리플렉서(TRIPLEXER);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제2 중계기; 상기 제2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급전선; 및 상기 제2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2 공용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플렉서는, 상기 제2 중계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공용 안테나; 상기 제1 공용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급전선;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하는 듀플렉서(DUPLEXER);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제2 중계기; 상기 제2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급전선; 및 상기 제2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2 공용 안테나를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는 제1 및 제2 중계기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통합형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단계; 및 c)상기 증폭된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한 후, 상기 결합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b)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기능; 및 c)상기 증폭된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한 후, 상기 결합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PCS 또는 DCS 가입자 단말기(300, CDMA)와 특정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위한 CDMA 중계기(110)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미 설치되어 있는 CDMA 중계기(110) 외에, IMT-2000과 같은 가입자 단말기(300)와 해당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위한 WCDMA 중계기(120)를 더 포함하며, WCDMA 중계기(120)는 제1 및 제2 내장형 트리플렉서(Triplexer, T1/T2, 151/152)를 포함한다. 이때, 제1 및 제2 내장형 트리플렉서(T1/T2, 151/152)는 입력 및 출력 단자 외에 CDMA 중계기(110)와의 연결 단자를 더 포함하고 있을 뿐, 일반적인 듀플렉서(DUPLEXER)의 구조 및 기능과 유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지국 또는 단말기와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급전선을 각 서비스 사업자별 중계기(110, 120)마다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한 쌍의 공용 안테나(A1/A2, 131, 132)와 또 다른 한 쌍의 급전선(L1/L2, 141, 142)을 이용하여 각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계기가 한 쌍의 공용 안테나와 또 다른 한 쌍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위한신호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가의 고품질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해당 가입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과정에 대해 언급하고자 하지만, 이는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가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특정 기지국으로 전달하기도 한다.
그러면, 첨부된 도 1과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공용 안테나(131)가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CDMA/WCDMA)에 따른 신호를 그대로 모두 수신(또는 송신, S501)하면, 공용 안테나(131)와 연결되어 있는 급전선(141)은 수신된 각 신호를 제1 내장형 트리플렉서(D1, 151)에 전달한다.
이때, 공용 안테나(131) 및 제1 내장형 트리플렉서(D1, 151)와 상호 연결되어 있는 급전선(141)은 기존에 이미 설치되어 있는 CDMA 중계기용 급전선일 수도 있으며, 신규로 설치된 급전선일 수도 있다. 더불어 그 종류는 단선, 평행 2선 또는 동축선 등이 될 수도 있다.
이후, 제1 내장형 트리플렉서(D1, 151)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통신 방식에 따라 분리(S502)하는데, 즉 사업자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filtering)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CDMA 신호와 WCDMA 신호로 각각 분리(또는 결합)한 후, 각 중계기(110, 120)로 전달한다. 이때, 제1 내장형 트리플렉서(D1, 151)는 일반적인 듀플렉서의 기능과 마찬가지로 공용 안테나(131)를 송신과 수신에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송신할 때는 송신 출력으로 수신기를 보호하며, 수신할 때는 반향 신호를 수신기에 공급하도록 하는 장치로서, 제2 내장형 트리플렉서(D2, 152) 역시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CDMA 중계기(110)는 수신된 CDMA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증폭(S503)시킨 후, 제2 내장형 트리플렉서(D2, 152)로 전송하며, WCDMA 중계기(120) 역시 수신된 WCDMA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증폭시킨 후, 제2 내장형 트리플렉서(D2, 152)로 전송한다.
이후, 제2 내장형 트리플렉서(D2, 152)는 수신된 각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S504, 또는 분리)하며, 결합된 신호는 급전선(L2, 142)을 통해 서비스용 안테나(공용 안테나, A2, 132)로 전달된다. 이후. 서비스용 안테나(132, A2)는 합성된 신호를 통합 송신(S505)하는데, 각 가입자 단말기(200, 300)는 송신된 신호 중 자신에 맞는 특정 신호만을 수신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비스 사업자별 중계기를 추가 설치하더라도, 한 쌍의 공용 안테나와 또 다른 한 쌍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저가의 고품질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CDMA 및 WCDMA 신호 등에 대한 통합형 중계서비스 제공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외 다른 신호(IS-95C 등)들에 대해서도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PCS 또는 DCS 가입자 단말기(300, CDMA)와 특정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위한 CDMA 중계기(110)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경우의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앞서 언급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외장형 듀플렉서(Duplexer, D1/D2, 161/162)를 포함한다.
즉,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미 설치되어 있는 CDMA 중계기(110) 외에도, IMT-2000 가입자 단말기(300) 등과 특정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위한 WCDMA 중계기(120)를 더 포함하지만,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다수의 기지국 또는 단말기(200, 3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각각 분리하여 각각의 중계기(110, 120)로 전달하는 제1 및 제2 외장형 듀플렉서(D1/D2, 161/162)를 더 포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공용 안테나(131)가 다수의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CDMA/WCDMA)에 따른 신호를 그대로 모두 수신(또는 송신)하면, 공용 안테나(131)와 연결되어 있는 급전선(141)은 수신된 각 신호를 제1 외장형 듀플렉서(D1, 161)에 전달한다.
이후, 제1 외장형 듀플렉서(D1, 161)는 수신된 신호를 각각의 통신 방식에 따라 분리, 즉 통신 사업자별 각각에 대한 주파수 대역으로 각각 필터링(filtering) 한다.
이후, 제1 외장형 EB플렉서(D1, 161)와 케이블(cable) 등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CDMA 중계기(110)는 수신된 CDMA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증폭시킨 후, 제1 외장형 듀플렉서(D1, 161)로 전송하는 반면, WCDMA 중계기(120) 역시 수신된 WCDMA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증폭시킨 후, 제2 외장형 듀플렉서(D2, 162)로 전송한다.
이후, 제2 외장형 듀플렉서(D2, 162)는 수신된 각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또는 분리)하며, 결합된 신호는 급전선(L2, 142)을 통해 서비스용 안테나(공용 안테나, A2, 132)로 전달된다. 이후. 서비스용 안테나(132, A2)는 합성된 신호를 통합 송신하는데, 각 가입자 단말기(200, 300)는 송신된 신호 중 자신에 맞는 특정 신호만을 수신하게 된다.
이처럼, 제2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역시 제1 및 제2 외장형 듀플렉서(161, 162)를 포함할 뿐,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공용 안테나와 또 다른 한 쌍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단말기와 해당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저가의 고품질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이미 설치되어 있는 중계기가 하나도 없는 경우의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급전선(141)을 통해 공용 안테나(131)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CDMA/WCDMA)에 따른 신호를 모두 수신한 후, 수신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증폭시켜 다시 급전선(L2, 142)으로 송출하는 통합형 중계기(17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및 제2 실시예와는 달리, 신호 분리에서부터 신호 증폭 및 증폭된 신호를 송출하는 단일 개수의 통합형 중계기(170)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공용 안테나와 또 다른 한 쌍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특정 단말기와 해당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함으로써, 저가의 고품질 중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과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과 가입자 단말기와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기를 이용한 관련 서비스 제공시 한 쌍의 공용 안테나와 또 다른 한 쌍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제공함으로써, 저가의 고품질 중계 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다수의 가입자 단말기와 각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공용 안테나;
    상기 제1 공용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급전선;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모두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켜 송출하는 통합형 중계기;
    상기 통합형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통합형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급전선; 및
    상기 제2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2 공용 안테나
    를 포함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용 안테나의 개수는 각각 한 개이며, 상기 제1 및 제2 급전선의 개수도 각각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중계기는,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하는 트리플렉서(TRIPLEXER); 및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켜 송출하는 중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 중계기는,
    상기 중계부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부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 따른 단말기와 특정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CDMA 중계부; 및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 따른 단말기와 특정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WCDMA 중계부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플렉서(TRIPLEXER)는,
    상기 CDMA 중계부 또는 상기 WCDMA 중계부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하는 듀플렉서(DUPLEXER)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통합형 중계기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공용 안테나;
    상기 제1 공용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급전선;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하는 트리플렉서(TRIPLEXER);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제2 중계기;
    상기 제2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급전선; 및
    상기 제2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2 공용 안테나
    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플렉서는, 상기 제2 중계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플렉서는,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단자;
    상기 각각 분리된 신호를 송출하는 제2 송출 단자; 및
    상기 제1 중계기와 연결되는 제3 연결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용 안테나의 개수는 각각 한 개이며, 상기 제1 및 제2 급전선의 개수도 각각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와 각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부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중계기를 포함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공용 안테나;
    상기 제1 공용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공용 안테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급전선;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하는 듀플렉서(DUPLEXER);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제2 중계기;
    상기 제2 중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중계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 급전선; 및
    상기 제2 급전선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제2 공용 안테나
    를 포함하며,
    상기 듀플렉서는 제1 및 제2 중계기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제1 급전선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 단자; 및
    상기 분리된 신호를 상기 제1 및 제2 중계기로 각각 송출하는 제2 송출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공용 안테나의 개수는 각각 한 개이며, 상기 제1 및 제2 급전선의 개수도 각각 한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중계기는,
    상기 단말기와 각 기지국간의 호 연결을 수행하는 중계부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통합형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b)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단계; 및
    c)상기 증폭된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한 후, 상기 결합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내지 상기 c)단계는,
    한 쌍의 제1 및 제2 공용 안테나와 또 다른 한 쌍의 제1 및 제2 급전선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중계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방법을 포함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a)각 기지국으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른 각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
    b)상기 수신된 신호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각각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신호를 소정 크기의 레벨로 각각 증폭시키는 기능; 및
    c)상기 증폭된 신호를 단일 신호로 결합한 후, 상기 결합된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기능
    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KR1020030013036A 2003-03-03 2003-03-03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KR100871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036A KR100871460B1 (ko) 2003-03-03 2003-03-03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036A KR100871460B1 (ko) 2003-03-03 2003-03-03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222A true KR20040078222A (ko) 2004-09-10
KR100871460B1 KR100871460B1 (ko) 2008-12-03

Family

ID=37363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036A KR100871460B1 (ko) 2003-03-03 2003-03-03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4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377B1 (ko) * 2005-05-27 2007-08-02 주식회사 사라콤 통합 중계기
KR100903207B1 (ko) * 2008-08-20 2009-06-18 (주)알에프씨 트리플 밴드 통합형 중계기 시스템
KR101010814B1 (ko) * 2005-03-31 2011-01-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무선 중계 장치
KR101442588B1 (ko) * 2013-05-03 2014-11-03 (주)와이브로텍 듀얼 밴드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101674612B1 (ko) * 2016-02-24 2016-11-09 (주)한위드정보기술 계기착륙시설 통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836B1 (ko) 2000-06-23 2003-03-19 (주)하이게인안테나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KR20020070729A (ko) * 2001-03-03 2002-09-11 주식회사 한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 중계 장치
KR100433152B1 (ko) 2001-08-01 2004-06-04 알트론 주식회사 중계 시스템의 안테나 장치
KR200304926Y1 (ko) 2002-08-14 2003-02-19 주식회사 복스오라테크놀로지코리아 이동통신용 안테나 급전선 공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0814B1 (ko) * 2005-03-31 2011-01-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합 무선 중계 장치
KR100745377B1 (ko) * 2005-05-27 2007-08-02 주식회사 사라콤 통합 중계기
KR100903207B1 (ko) * 2008-08-20 2009-06-18 (주)알에프씨 트리플 밴드 통합형 중계기 시스템
KR101442588B1 (ko) * 2013-05-03 2014-11-03 (주)와이브로텍 듀얼 밴드 중계기 및 그 중계 방법
KR101674612B1 (ko) * 2016-02-24 2016-11-09 (주)한위드정보기술 계기착륙시설 통합 감시 및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1460B1 (ko) 200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4034A (ko) 케이블 손실 보상이 가능한 초소형 중계기
US20090307739A1 (en) Remote distributed antenna
US20070010197A1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elay apparatus, and remote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JPH09102977A (ja) 基地局システム
KR19990016371A (ko) 고출력 증폭기와 광 안테나의 정합 시스템을 이용한 양방향성 옥외용 기지국
KR20040102947A (ko) 분리형 기지국에서 에프에이 증설이 가능한 원격 유니트
KR100871460B1 (ko) 통합형 중계 서비스 제공 장치
EP1325556B1 (en) High frequency amplification circuit
KR200200707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신호 중계 장치
CN102098071B (zh) 通信信号传输方法、装置及系统
KR100375836B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JP2022517304A (ja) 外部テレビアンテナおよび関連システムを使用して、限られた空間で移動無線接続を提供する方法
KR101958924B1 (ko) Fm 및 dmb 중계 장치
KR200208281Y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시스템
KR100319549B1 (ko) 휴대용 중계기
US9136919B2 (en) System for extending wireless internet coverage
KR101001020B1 (ko) 복수의 통신망을 지원하는 중계 장치
KR20000066634A (ko) 이동통신 공용 기지국 시스템
KR20100056641A (ko) 다중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한 안테나 결합기
CN107612624A (zh) 通信中继装置、通信中继系统、方法以及记录介质
EP1499028A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64822B1 (ko) 통합형 이동통신 중계기
KR10054782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지원하는 소용량기지국 장치
KR100285963B1 (ko) 음영지역용기지국
KR19990007620A (ko) 무선통신 중계용 부스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