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7031A -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 - Google Patents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7031A
KR20040077031A KR1020030012411A KR20030012411A KR20040077031A KR 20040077031 A KR20040077031 A KR 20040077031A KR 1020030012411 A KR1020030012411 A KR 1020030012411A KR 20030012411 A KR20030012411 A KR 20030012411A KR 20040077031 A KR20040077031 A KR 20040077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lider
main body
rack member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버
Priority to KR102003001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7031A/ko
Publication of KR20040077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7031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7/00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 D05C7/08Special-purpose or automatic embroidering machines for attaching cords, tapes, ban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02Tap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D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D05B AND D05C, RELATING TO SEWING, EMBROIDERING AND TUFTING
    • D05D2303/00Applied objects or articles
    • D05D2303/12Rigid objects
    • D05D2303/18Sequ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식 휴대형 단말기에 관련된 것으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본체,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1슬라이더,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제 1슬라이더와 마주보고 본체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2슬라이더 및 본체와 제 1, 제 2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로 전원을 공급하고 본체와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렉시블기판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그에 적용 가능한 랙모듈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는 일반 키보드에서와 같이 양손으로 타이핑할 수 있고, 입력키들의 설치공간이 넓어 많은 수의 입력키를 설치할 수 있어 그 기능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설치가 가능하고, 본체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Description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Rack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of both sides opening and shutting type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랙모듈 및 휴대형 전화기나 피디에이(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의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휴대형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식 휴대형 단말기는 본체와 본체에 슬라이드 가능케 설치된 덮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식 휴대형 단말기에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특허 공개번호 2002-0074870호 “슬라이드 모듈을 이용한 슬라이드 타입 휴대폰”(이하, “선원”이라함)이 있다.
선원에 기재된 휴대형 단말기는 공간 활용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의 크기, 설치 가능한 입력키의 수에 제한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 외에 입력키들이 좁은 면적에 배치되기 때문에 일반 키보드에서와 같이 양손을 이용해 타이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핑하기가 쉬운 슬라이드식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간활용성이 뛰어나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많은 수의 입력키를 설치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양측개폐식 휴대형 단말기에 적합한 랙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랙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5 랙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상부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단말기 110 : 본체
112, 113 : 디스플레이 132, 152 : 입력키
130 : 제 1슬라이더 150 : 제 2슬라이더
180, 182 : 플렉시블기판 200 : 랙모듈
210 : 제 1랙부재 220 : 제 2랙부재
230 : 피니언 240 : 케이싱
242 : 상부판 244 : 하부판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는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필요한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display)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본체,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sliding) 가능케 설치되는 제 1슬라이더(slider),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제 1슬라이더와 마주보고 본체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2슬라이더 및 본체와 제 1, 제 2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로 전원을 공급하고 본체와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렉시블기판(flexible substrate)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체의 일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1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1랙부재와 본체의 타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2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2랙부재와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 사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피니언을 구비는 랙모듈을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경우에 따라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는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랙모듈은 제 1랙부재, 제 2랙부재, 피니언을 사이에 두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피니언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여주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랙부재는 제 1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1연결부와 제 1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 보는 면의 반대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랙형성부를 구비하고, 제 2랙부재는 제 2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2연결부와 제 2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보는 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2랙형성부를 구비하고, 두 제 1랙형성부와 제 2랙형성부 사이에 한 쌍의 피니언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는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필요한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본체,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1슬라이더, 보조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제 1슬라이더와 마주보고 본체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2슬라이더 및 본체와 제 1, 제 2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로 전원을 공급하고 본체와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렉시블기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역시 본체의 일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1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1랙부재와 본체의 타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2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2랙부재와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 사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피니언을 구비는 랙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랙모듈은 제 1랙부재, 제 2랙부재, 피니언을 사이에 두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피니언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여주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랙부재는 제 1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1연결부와 제 1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 보는 면의 반대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랙형성부를 구비하고, 제 2랙부재는 제 2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2연결부와 제 2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보는 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2랙형성부를 구비하고, 두 제 1랙형성부와 제 2랙형성부 사이에 한 쌍의 피니언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랙모듈은 본체와 본체에 이동가능케 설치되는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기기에 장착되어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가 양측으로 동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랙모듈에 있어서, 기기 본체의 일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1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1랙부재, 본체의 타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2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2랙부재 및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 사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피니언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랙모듈은 제 1랙부재, 제 2랙부재, 피니언을 사이에 두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피니언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여주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1랙부재는 제 1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1연결부와 제 1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 보는 면의 반대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랙형성부를 구비하고, 제 2랙부재는 제 2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2연결부와 제 2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보는 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랙형성부를 구비하고, 두 제 1랙형성부와 제 2랙형성부 사이에 한 쌍의 피니언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양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각각 장착된 제 1, 제 2슬라이더(130, 15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110)에는 LCD 등으로 된 디스플레이(112)가 장착된다. 이 본체(110)의 양 측면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 1, 제 2슬라이더(130, 1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14)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16)과 주기판(118)과 배터리(120), 랙모듈(200) 및 안테나(122)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구동모듈(116)은 주기판(118)에서의 입력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112)의 구동을 제어한다. 주기판(118)은 송수신되는 음성데이터와 영상데이터 및 입력키(132, 152)들을 통해 입력되는 키입력신호에 따라 각 부품의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120)는 단말기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10)의 측면에서 삽입하는 형태로 장착된다. 물론, 이 배터리(120)는 본체(110)의 배면에 착탈 가능케 부착하는 형식을 취할 수도 있다.
안테나(122)는 그 끝단을 제 1, 제 2슬라이더(130, 150)에 각각 연결하여 제 1, 제 2슬라이더(130, 150)와 함께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모듈(rack module, 200)은 제 1슬라이더(130)와 제 2슬라이더(150)가 상호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 1랙부재, 제 2랙부재, 피니언 및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서는 도 5∼도 7을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10)의 일측으로는 제 1슬라이더(130)가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슬라이더(130)는 본체(110)의 반 정도를 덮고 있으며, 그 개방된 상태는 도 3을 보면 알 수 있다. 제 1슬라이더(130)에는 제 1입력키(132)들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로 스위치(134)들이 장착된 제 1키입력기판(133)이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와 제 1슬라이더(130) 사이에는 제 1플렉시블기판(1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1플렉시블기판(180)은 주기판(118)과 제 1키입력기판(133)을 연결하는 것으로, 두 기판 사이의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제 1키입력기판(133)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슬라이더(130)는 연장부(138)를 통해 도 5∼도 7에 나타낸 랙모듈(200)의 제 1랙부재(210)의 일측과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타측으로 제 2슬라이더(150)가 좌우 이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슬라이더(150)는 본체(110)의 나머지 반 정도를 덮고 있다. 이 제 2슬라이더(150)에는 제 2입력키(152)들이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로는 제 2키입력기판(153)이 장착되어 있다.
제 2슬라이더(150)와 본체(110) 사이에 제 2플렉시블기판(18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 2플렉시블기판(182)은 주기판(118)과 제 2키입력기판(153)을 연결하는 것으로, 두 기판 사이의 신호를 송, 수신할 수 있도록 하고, 제 2키입력기판(153)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2슬라이더(150)는 도 5∼도 7에 나타낸 랙모듈(200)의 제 2랙부재(220)의 일측과 연장부(158)를 통해 연결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제 1슬라이더(130)를 왼쪽으로 당기면 제 1슬라이더(130)는 왼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고, 이와 동시에 제 1슬라이더(130)의 이동에 의한 힘이 랙모듈(200)에 의해 제 2슬라이더(150)로 전달되어 제 2슬라이더(150)는 오른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슬라이더(130)와 제 2슬라이더(150)를 양측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제 1입력키(132)들과 제 2입력키(152)들은 충분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는 양쪽 손 모두를 이용하여 일반 키보드에서와 같은 자세로 빠른 속도로 타이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 1슬라이더(130)와 제 2슬라이더(150)가 본체 양측에서 각각 개방되므로, 디스플레이(112)를 기존의 단말기에서보다 훨씬 큰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입력키들이 설치될 수 있는 면적이 넓으므로, 많은 수의 입력키 설치가 가능하다.
미설명부호 136은 마이크, 156은 스피커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102)는 경우에 따라서는 제 2슬라이더(130)의 제 2입력키(152) 대신에 보조디스플레이(113)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제 1, 제 2슬라이더(130, 150)의 개방 없이도 보조디스플레이(113)를 통해 간략한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나머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랙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5 랙모듈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5에서 상부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모듈(200)은 제 1랙부재(210)를 구비한다. 이 제 1랙부재(210)는 긴 막대 모양의 일측을 따라 랙(214)이 형성된 랙형성부(212)와 랙형성부(212)의 일단에 형성되어 제 1슬라이더(130)와 연결되는 제 1연결부(216)로 되어 있다. 랙형성부(212)는 1개만 형성하여도 되지만, 도 6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좌우 균형을 맞출 수 있어 바람직하다.
랙모듈(200)은 제 2랙부재(2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랙부재(220)는 제 1랙부재(210)와 마주보고 배치되며, 제 2랙부재(220)에 형성된 랙(214)과 마주보는 부분에 랙(224)이 형성된 랙형성부(222)를 구비한다. 이 제 2랙부재(220) 역시 랙형성부(222) 2개를 제 1랙부재(210)에서보다는 넓고 평행하게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랙형성부(212)의 일단에는 제 2슬라이더(150)와 연결되는 제 2연결부(226)가 구비된다.
제 1연결부(216)와 제 1슬라이더(130) 또는 제 2연결부(226)와 제 2슬라이더(150)의 연결은 제 1슬라이더(130)와 제 2슬라이더(150)의 대응부위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38, 158)를 형성하여 그 끝단을 제 1, 제 2연결부(216, 226)에 삽입하여 연결하면 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연장부(138, 158)를 제 1, 제 2연결부(216, 226)에 일체로 형성하고, 그 끝단을 제 1, 제 2슬라이더(130, 150)에 각각 연결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제 1랙부재(210)와 제 2랙부재(220) 사이에 피니언(230)이 설치된다. 이 피니언(230)은 제 1랙부재(210)의 랙형성부(212)와 제 2랙부재(220)의 랙형성부(222) 사이에 맞물려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되어 있다. 피니언의 회전축(230a)은 분리형으로 하거나 상, 하부판 또는 피니언(230)에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랙부재(210)가 왼쪽으로 이동되면, 피니언(120)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제 2랙부재(220)를 오른쪽으로 밀어주어 단말기의 양측 개방이 이루어진다. 제 1, 제 2슬라이더(130, 150)를 닫는 과정은 그 역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 2랙부재(220)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양측 개폐가 이루어진다.
제 1랙부재(130)와 제 2랙부재(150)의 작동은 수동으로 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피니언(230) 등을 모터로 구동하여 제 1랙부재(210)와 제 2랙부재(220)가 작동되도록 하여도 된다.
위에서 설명한 제 1랙부재(210), 제 2랙부재(220) 및 피니언(230)은 케이싱(240)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케이싱(240)은 제 1랙부재(210), 제 2랙부재(220) 및 피니언(230)을 사이에 두고 상부판(242)과 하부판(244)을 마주보고 배치한 상태에서 이동통로(246)를 벗어나는 지점들이 점용접되어 접합된다. 물론, 상부판(242)과 하부판(244)의 접합은 가장자리를 따라 용접하거나, 끼워맞춤방식, 리벳팅 등의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케이싱(240)은 제 1랙부재(210)와 제 2랙부재(220)의 직선이동을 허용하는 이동통로(246)를 구비하며, 피니언(230)이 제자리 회동될 수 있도록 지지하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케이싱(240)의 4모서리 부근에는 본체(110)의 내부에 볼트 등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구(248)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단말기는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가 양측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양측 입력키들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해주므로, 단말기 사용자는 일반 키보드에서와 같이 양손으로 타이핑할 수 있고, 입력키들의 설치공간이 넓어 많은 수의 입력키를 설치할 수 있어 그 기능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양측 개폐식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크기를 크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설치가 가능하고, 본체의 길이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해준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랙모듈은 휴대형 단말기 외에도 양측 개폐식 기기의 개발을 용이하게 해준다.

Claims (9)

  1.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필요한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본체;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1슬라이더;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상기 제 1슬라이더와 마주보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2슬라이더;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 제 2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본체와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렉시블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식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1랙부재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 2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2랙부재와 상기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 사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피니언을 구비하는 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식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랙모듈은 상기 제 1랙부재, 상기 제 2랙부재, 상기피니언을 사이에 두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피니언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여주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식 단말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랙부재는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1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 보는 면의 반대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랙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랙부재는 상기 제 2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2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보는 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랙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 제 1랙형성부와 제 2랙형성부 사이에 한 쌍의 피니언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식 단말기.
  5. 필요한 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키들과 필요한 사항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본체;
    입력키들이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1슬라이더;
    보조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상기 제 1슬라이더와 마주보고 상기 본체의 타측에 슬라이딩 가능케 설치되는 제 2슬라이더; 및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 제 2슬라이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슬라이더와제 2슬라이더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본체와 필요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렉시블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식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1랙부재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상기 제 2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2랙부재와 상기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 사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피니언을 구비는 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측 개폐식 단말기.
  7. 본체와 본체에 이동가능케 설치되는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를 구비하는 기기에 장착되어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제 2슬라이더가 양측으로 동시에 개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랙모듈에 있어서,
    기기 본체의 일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1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1랙부재;
    상기 본체의 타측에서 이동 가능케 설치되고 일단은 제 2슬라이더와 연결되는 제 2랙부재; 및
    상기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 사이에 제자리 회동 가능케 설치된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모듈.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랙모듈은 상기 제 1랙부재, 상기 제 2랙부재, 상기피니언을 사이에 두고 상부판과 하부판이 마주보고 결합되어 상기 제 1랙부재와 제 2랙부재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피니언을 제자리 회동 가능케 지지하여주는 케이싱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모듈.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랙부재는 상기 제 1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1연결부와 상기 제 1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 보는 면의 반대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1랙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랙부재는 상기 제 2슬라이더와 연결하기 위한 제 2연결부와 상기 제 2연결부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마주보는 면을 따라 랙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 2랙형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두 제 1랙형성부와 제 2랙형성부 사이에 한 쌍의 피니언이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모듈.
KR1020030012411A 2003-02-27 2003-02-27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 KR20040077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411A KR20040077031A (ko) 2003-02-27 2003-02-27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411A KR20040077031A (ko) 2003-02-27 2003-02-27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7031A true KR20040077031A (ko) 2004-09-04

Family

ID=37363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411A KR20040077031A (ko) 2003-02-27 2003-02-27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70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06B1 (ko) * 2005-11-28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94842B1 (ko) * 2006-10-10 2008-01-15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전자 장치
KR100872024B1 (ko) * 2008-05-26 2008-12-09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506B1 (ko) * 2005-11-28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94842B1 (ko) * 2006-10-10 2008-01-15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 아게 전자 장치
KR100872024B1 (ko) * 2008-05-26 2008-12-09 (주)쉘-라인 개인휴대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5737B1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multiple keypads
EP1783984B1 (en) Mobile terminal with a sliding cradle and the sliding cradle thereof
EP1924058B1 (en) Electronic device with three movable layers
KR100742877B1 (ko)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는 휴대정보단말
EP1806909B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games and user interfacing device thereof
KR100800769B1 (ko) 멀티미디어 휴대 통신 장치
KR20060114905A (ko) 복합형 휴대 단말기
KR20080086354A (ko) 폴더식 휴대단말
KR20060089334A (ko) 단말기
EP1376629A1 (en) Foldable keyboard
KR20040077031A (ko) 랙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측 개폐식 휴대형 단말기
KR20060122583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71462A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0008240A (ko) 슬림형 슬라이드 폰
EP1594291B1 (en) Sliding/folding-type portable apparatus
KR101086721B1 (ko) 모바일 기기
KR100690866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 슬라이드 모듈을 갖는 휴대 단말기
CN103260368B (zh) 电子装置
KR20110060683A (ko) 단말기 및 이의 슬라이딩장치
KR100692715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1279511B1 (ko) 이동형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H10222272A (ja) キーボード設置台及びその使用方法
KR20070069548A (ko) 폴딩 슬라이딩 일체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1257865B1 (ko) 휴대 단말기
KR100724417B1 (ko)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