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795A - 초지용 프레스펠트 - Google Patents

초지용 프레스펠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795A
KR20040076795A KR1020040012548A KR20040012548A KR20040076795A KR 20040076795 A KR20040076795 A KR 20040076795A KR 1020040012548 A KR1020040012548 A KR 1020040012548A KR 20040012548 A KR20040012548 A KR 20040012548A KR 20040076795 A KR20040076795 A KR 200400767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opening
needle
press felt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모다이라마수후미
오다히로유키
고바야시야수히코
오니쿠보아키라
Original Assignee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치가와 게오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6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79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 D21F7/083Multi-layer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2/00Paper making and fiber liberation
    • Y10S162/90Papermaking press fe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81Struck out portion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08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10T442/3016Including a preformed layer other than the elastic woven fabric [e.g., fabric or film or foil or sheet lay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854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Landscapes

  • Paper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착수성을 손상하지 않고 재습방지 효과가 우수한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프레스펠트(10)는 기체(30), 배트층(20) 및 무연신 필름으로 된 재습방지층(40)을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된 것이다.
재습방지층(40)은 개구연부(42)와 습지측 개구(42a)와 롤러측 개구(42b)로 되는 입체구조의 개구부(44)를 갖고, 습지측 개구(42a)는 롤러측 개구(42b)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닛프 가압상태에서 습지(W)로부터의 수분은 재습방지층(40)의 개구부(44)를 통과하여 롤러 표면측으로 이동한다. 프레스펠트(10)가 닛프 가압상태를 이탈하는 때에 재습현상이 일어나려고 하지만, 롤러측 개구(42b)는 습지측 개구(42a)보다도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은 개구부(44)를 통과하여 이동하기 어렵다.

Description

초지용 프레스펠트{Press felt for papermaking}
본 발명은 초지기의 프레스 파트에 프레스펠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초지용 프레스펠트 (이하 단순히 「프레스펠트」라고 한다)에 관한 것이다.
제지공정에 있어서, 습지로부터 착수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도 13에 도시한 프레스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프레스장치는, 한 쌍의 프레스롤러(P, P)와 습지를 협지하는 한 쌍의 프레스펠트(12, 12)로 구성되며, 프레스롤러(P, P)의 가압부에서 프레스펠트(12, 12)와 습지(W)에 압력을 가하여 습지(W)로부터 수분을 착수하는 것이다. 습지(W)로부터 착수된 수분은 프레스펠트(12, 12)에 흡수된다.
프레스펠트(12, 12)는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기체(도시 않음)와 기체의 양면 측에 설치된 배트층(도시 않음)으로 구성되며, 기체와 배트층은 기체와 배트층은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되어 있다.
도 14는, 도 13에서 가압부의 부분 확대도로 습지(W)로 짜내어진 수분의 이동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프레스펠트(12, 12)의 상세한 구성은 도시하고 있지 않다. 한 쌍의 프레스롤러(P, P)가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프레스롤러(P, P)에 협지된 프레스펠트(12, 12) 및 습지(W)는 가압부를 경유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보내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펠트(12, 12)와 습지(W)는 가압부에서 가압되고, 습지(W)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이 짜내어져서 프레스펠트(12, 12)에 흡수되어 진다.
그러나 가압부의 중앙(닛프부)으로부터 출구에 걸쳐서 습지(W)와 프레스펠트(12, 12)에 걸렸던 압력이 급격하게 해지되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프레스펠트(12, 12)의 체적이 급격하게 팽창한다. 이 결과 프레스펠트(12, 12)에는 부압이 발생하고 다시 습지(W)는 가는 섬유로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세관현상도 가해져서, 프레스펠트(12, 12)에 흡수되어 있던 수분이 다시 습지측으로 이동한다고 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것을 재습현상(re-wetting)이라고 부르며, 종래의 프레스 장치의 문제로써 알려져 있다.
이러한 재습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펠트가 있다(예, 특허문헌 1 참조).
이것은 기체(31)와 기체(31)의 양측에 설치된 배트층(21, 21)으로 되는 펠트(11)에 있어서, 기체(31)상에 스판본드제의 소수성 필름(41)을 설치하고, 이 소수성 필름(41)에 의하여 프레스롤러측 층과 습지측 층을 구분한 것으로, 이 펠트(11)에 의하면, 펠트(11)에 걸렸던 압력이 급격히 해제되어도 프레스롤러측 층에 흡수된 수분이 습지측 층으로 이동하기 어렵기 때문에 재습현상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한다.
또한, 다공질 필름으로 되는 배리어층을 설치하여, 배리어층에 의하여 한번 더 흡수된 수분이 습지측에 이동하지 않도록 한 필름이 있다 (예,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독립기포를 갖는 기포층을 설치한 프레스펠트가 있다(예, 특허문헌 3 참조). 이 필름에 의하면, 기포 내에 수분이 유지되기 때문에 재습현상이 방지된다고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에서는, 대단히 많은 소공을 갖는 소수성 필름 및 다공질 필름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수분의 이동을 억제하는 것은 실제상 곤란하고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3의 펠트에서는 기포 중에 있는 수분을 어떻게 배출하는가가 개시되어 있지 않아서 프레스펠트 전체로서의 효과에는 의문이 있다.
[특허문헌 1]
미국 특허 제5372876호 명세서
[특허문헌 2]
공개 특허 평3-8888호 공보
[특허문헌 3]
미국 특허 제4830905호 명세서
도 1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니들침 선단의 확대도,
도 5a ~ 도5e는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재습방지층의 개구부의 형성과정을 보
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6a, 도 6b는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재습방지층의 개구부의 다른 실시형태
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다른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또 다른 제조공정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다른 장치의 설명도,
도 12는 실험결과를 보인 도,
도 13은 제지기계의 프레스장치의 개략 설명도,
도 14는 습지 중 수분의 이동상태의 설명도,
도 15는 종래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초지용 프레스펠트
20 : 배트층
30 : 기체
40 : 재습방지층
42 : 개구연부
42a : 습지측 개구
42b : 롤러측 개구
44, 44’: 개구부
46 : 개구통부
본 발명은 기체와, 습지접촉면과 롤러접촉면을 구비한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 기체와 배트층과 무연신 필름으로 되는 재습방지층을 갖고, 상기 재습방지층은 개구연부와 습지측 개구와 롤러측 개구로 이루어진 입체구조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습지측 개구가 롤러측 개구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의해 상기의 과제를 해결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재습방지층의 입체구조의 개구부는 유효하게 재습방지 기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프레스펠트에 관해서 도 1 내지 도 9 의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단면도이다.
이 프레스펠트(10)는 기체(30), 스테이플 화이버로 되는 배트층(20) 및 후술하는 재습방지층(40)으로 구성되고, 이들은 니들 펀칭에 의하여 결합 일체화 되어 있다.
기체(30)는 프레스펠트의 강도를 발현시키기 위하여 설계되어 있고, 그 소재로서는, 직포 또는 사재를 직제하지 않고 구성한 대상체(帶狀體) 등이 사용된다. 기체(30) 및 배트층(20)으로서는 양모 등의 천연섬유나 내마모성, 내피로성, 신장특성, 오염방지성 등에 우수한 나이론 6, 나이론 66 등의 합성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의 프레스펠트(10)에는 재습방지층(40)과 기체(30)와의 사이에 배트층(20)이 설치되어 있지만, 재습방지층(40)과 기체(30)가 직접 접촉하여도 좋다.
도 3은 본 발명 프레스펠트의 재습방지 기능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의 부분 확대도에 해당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습방지층(40)에는 다수의 개구부(44)가 있고, 이 개구부(44)는 습지측 개구(42a)가 롤러측 개구(42b)보다 넓게 되도록 누두형(漏斗型)으로 되어 있다.
재습방지층(40)은 얇은, 본래 구멍이 없는 필름으로 되고, 니들펀칭으로 배트층을 구성하는 스테이플 화이버가 관통하는 것에 의해 프레스펠트(10)에 고착된다. 이 배트층의 관통에 의해, 재습방지층(40)은 천공되고, 그 개구연부(42)가 하방으로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재습방지층(40)에는 개구연부(42)와 습지측 개구(42a)와 롤러측 개구(42b)로 되는 입체구조의 개구부(44)가 형성된다. 이때 개구연부(42)는 프레스펠트(10) 본체 내에 경사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때문에습지측 개구(42a)의 쪽이 롤러측 개구(42b)보다도 크게 형성되게 된다.
재습방지층(40)으로서는 무연신(無延伸)필름이 적당하다. 이 이유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 경우 「무연신」이라는 것은 전혀 늘어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소위 무연신 필름 제조과정에 있어서 필름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자연 연신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이 당업자 간에서 알려져 있는 정도의 연신을 당연히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필름 소재로서는 폴리에칠렌, 폴리프로플렌, 폴리비니리덴, 폴리에스테르 등의 저흡수성 필름 또는 나이론, 폴리우레탄 등의 흡수성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초지용 프레스펠트(10)의 배트층(20)이나 기체(30)에는 나아론이 빈번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필름 소재로서는, 펠트 제조공정에서 가열공정에 대한 내열성을 얻기 위하여 나이론,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등의 융점이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최적이다.
이점에 관해, 현재 배트층(20), 기체(30)의 소재로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나이론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재습방지층(40)으로서는 필름 전체가 습유한 경우의, 펠트 구성요소의 신장특성을 합치시키기 위하여 나이론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재습방지층(40)을 나이론계로 하는 경우, 두께 20~50㎛, 파단신도 300% 이상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실험에 의하여 확인됐다.
이 파단신도는 소재에 의하여 다르고, 그의 호적한 수치는 각각 폴리프로플렌은 300% 이상, 폴리비니리덴 200% 이상, 폴리에스테르 100%, 폴리우레탄 400% 이상이다. 이점에 관해, 파단신도가 이들 하한수치 보다도 작은 경우에는 그 수치를 갖는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 확인됐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관해 도 3에 의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화살표는 물의 이동방향을 표시한다.
먼저, 프레스 롤러에 의한 닛프 가압상태에서 습지로부터의 수분이 프레스펠트(10)로 이동한다. 이때, 펠트 표면에서 착수된 수분은 재습방지층(40)의 개구부(44)를 통과하여 롤러 표면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개구부(44)가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의 이행은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닛프 가압상태를 이탈한 후, 상기한 재습현상이 일어나려고 하지만, 재습방지층(40)보다도 롤러측에 이동한 수분은 이 재습방지층(40) 및 개구연부(42)에 차단되고 습지측의 배트층(20)에는 이동하기 어렵게 된다. 즉, 개구부(44)가 없는 곳에서는 수분의 이동은 일어날 수 없고, 또한, 재습방지층(40)의 롤러측 개구(42b)는 습지측 개구(42a)보다도 좁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분은 개구부(44)를 통과하여 이동하기 어렵다.
여기에서, 도 4 및 도 5에 의거 재습방지층(40)에서 개구부(44)의 바람직한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니들침(50)의 선단 확대도, 도 5는 개구부의 제조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 초지용 프레스펠트(10)의 제조 시에는, 도 4에 도시된 니들침(50)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51은 니들침 선단의 포인트부이다.
통상, 니들침(50)의 본체는 단면 다각형상으로, 그 모서리부(52)에는 스테이플 화이버를 밀어 넣기 위한 바브(barb)(52a)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스테이플 화이버를 재습방지층(40)에 밀어 넣고, 습지측 개구(42a)를 크게 구성할 필요상 적어도 2개 이상의 모서리부(52)에 바브(52a)를 설치하면 양호한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전에 대해, 도 4에 있어서는 단면 3각형상의 니들침(50)이 도시되어 있고, 3개의 모서리부(52)의 전부에 바브(52a)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니들침(50)의 포인트부(51)과 이 포인트부(51)에 가장 가까운 바브(52a)와의 사이에는 포인트 링크스(53)라고 칭하여 진다.
다음으로, 도 5a ~ 도 5e에 의거 재습방지층(40)에 개구부(44)를 형성하는 과정을 상술한다.
먼저 도 5a와 같이 재습방지층(40) 상에 스테이플 화이버를 재치한다. 그리고 니들침(50)을 스테이플 화이버 상부에 밀어 넣는다. 그러면 니들침(50)의 포인트부(51)은 스테이플 화이버를 통과하고 재습방지층(40) 상에 도달한다〔도 5b〕. 이때 니들침(50)은 바로 재습방지층(40)을 천공하는 것은 아니고 먼저 이것을 하방으로 누른다.
다시, 니들침(50)이 진행하면, 재습방지층(40)이 구멍 형상으로 파단 된다〔도 5c〕. 이것에 의해 롤러측 개구(42b)가 형성된다. 후술하지만 이 파단된 부분의 내측, 니들침(50)의 포인트 링크스(53)의 진행에 추종하여 하방으로 밀려진 부분이 개구통부(46)를 형성하게 된다.
다음으로, 니들침(50)의 포인트 링크스(53)가 진행하고, 바브(52a)가 스테이플 화이버를 끌어 재습방지층(40)의 하방에 밀어 넣는다〔도 5d〕. 이때, 바브(52a)가 복수의 모서리부(52)에 구성되어 있으면 보다 많은 스테이플 화이버를하방으로 밀어 넣을 수가 있다. 이 스테이플 화이버의 이동에 따라 재습방지층(40)의 개구연부(42)가 밀어 넣어지고 경사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재습방지층(40)에 습지측 개구(42a)가 롤러측 개구(42b)보다도 크게 형성된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진다〔도 5e〕. 니들침(50)은 소정의 위치까지 밀려진 후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진다. 그리고, 니들침(50)이 수평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한 후 니들침(50)은 다시 스테이플 화이버를 재습방지층(40) 상에 타격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며, 이하 이 동작을 반복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재습방지층(40)에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지지만, 이 재습방지층(40)에 무연신 필름이 사용되어지면, 천공시의 충격에 의하여 습지측 개구(42a) 주변의 재습방지층(40) 및 개구연부(42)가 크게 균열되고 개구부(44)들이 결합하여 필름을 파단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무연신 필름에 의하면 니들 펀칭시의 충격에 따라 필름 자체가 늘어나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은 침타밀도라도 개구부는 균열하는 일이 없으므로 침타밀도를 향상시켜 배트의 고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무연신 필름을 재습방지층에 사용하면 이하의 2가지 점에서 보다 우수한 재습방지 구조가 되는 것이 확인됐다.
(1) 배트섬유를 압입 니들침의 동작에 필름이 늘어나기 때문에 습지측 개구와 롤러측 개구와의 사이가 긴 구조로 된다.
(2) 니들 펀칭 시에 최하위 위치로 이동한 니들침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롤러측 개구부로부터 빠질 때 롤러측 개구부의 직경이 축소되므로 롤러측 개구부의직경이 작은 구조로 된다.
한편 1축 연신필름이나 2축 연신필름을 재습방지층으로 사용한 경우 개구부가 갈라지고 필름이 파단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2축 연신필름은1축 연신필름에 비하여 개구부가 갈라지기 어려운 것이 지만, 니들 펀칭의 조건이 엄격하여지면 개구부가 갈라지는 경향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니들 펀칭의 조건으로서 침타밀도가 1000회/㎠를 초과하는 것은 2축 연신필름에서 연신비가 높은 방향으로 갈라져 버리는 것이 실험에 의해 확인됐다.
상기와 같이, 니들공정은 니들침(50)이 다수 배치된 니들 보드(도시 무)를 상하로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이때, 단일 종류, 단일 굵기의 니들침(50)에 의하여 상기 재습방지층(40)에 스테이플 화이버를 타입하여 개구부(44)를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통기도 등 소망하는 초지용 펠트의 성능에 따라서 복수의 니들침을 단일 니들 보드에 배치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기도를 확보하는 목적이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든 모서리부(52)에 구성된 바브(52a)를 갖는 니들침(50)의 타측에 이 니들침(50)보다도 굵고 니들침 선단이 뾰족하고 또한 바브(52a)가 하나의 모서리부(52)에만 구성된 니들침(50)을 단일 니들 보드 상에 혼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재습방지층(40) 상에는 습지측 개구(42a)가 롤러측 개구(42b)보다도 크게 형성된 입체구조의 개구부(44)와 이 개구부(44)보다도 큰 평면상의 개구부(도시 무)가 형성되어 진다. 이와 같이 하여 재습현상을 어느 정도 방지함과 동시에 통기성이 우수한 펠트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무연신 필름의 파단 신연도의 차이에 의하여 개구부(44)의 구성을 다르게 한 예를 설명한다.
도 6a와 도 6b에 개구부(44)가 형성된 재습방지층(40)을 도시한다. 도 6a와 도 6b의 개구부(44)의 형성에는 어떤 니들침(50)도 전 모서리부(52)에 바브(5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6a는 파단 신연도가 큰 무연신 필름을 사용한 경우의 개구부(44)가 도시되어 있다. 이 니들침(50)의 사용에 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연부(42)의 단부에 개구통부(46)가 형성되어진다. 이 개구통부(46)에 의해 개구부(44) 전체가 누두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롤러측 개구(42b)로부터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쉬운 구성으로 된다.
파단 신연도가 작은 무연신 필름을 사용한 경우의 개구부(44’)는 도 6b와 같은 형상으로 된다. 즉, 재습방지층(40)에는 바브(52a)가 들어가는 스테이플 화이버에 의해 경사형상의 개구연부(42)가 형성되어 있지만, 개구통부(46)가 형성되기 어렵다. 이 구성은 개구통부(46)를 갖는 개구부(44)보다도 재습방지 효과는 열등하지만, 생산성 향상등의 요구에 의하여 적절히 채용할 수가 있다.
펠트 전체의 제조공정은 후술하지만, 스테이플 화이버층 위에 재습방지층(40)을 배치하고 다시 이 재습방지층(40) 위에 스테이플 화이버층을 배치한 상태에서 니들 펀칭을 행하면 개구연부(42)가 재습방지층(40)의 하측의 스테이플 화이버층에 지지된 상태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경사형태로 하방으로 돌출하기 쉽게 된다. 더욱이 니들 펀칭의 충격이 이 하측 스테이플 화이버층에 의해 완화되기 때문에 재습방지층(40)의 파단이 보다 적게 된다. 즉, 재습방지층(40)의 하측에 스테이플 화이버층을 배치한 상태로 니들 펀칭을 행하면, 습지측 개구(42a)가 롤러측 개구(42b)보다도 큰 개구부(44)를 보다 양호하게 제조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프레스펠트(10) 전체의 제조공정을 설명한다. 이 제조공정은 각종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하의 공정은 예시에 불과한 것은 물론이다.
먼저, 기체(30)상에 스테이플 화이버층을 배치하여 니들 펀칭을 행하고 양자를 결합 일체화 시킨 후, 기체(30)의 표리를 반전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기체(30)와 롤러측의 배트층(2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습지측 면을 형성하는 것이지만, 이것은 대별하여 2개의 패턴이 있고, 어느 구성을 채용하여도 가능하다.
(1) 기체(30)상에 재습방지층(40),스테이플 화이버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니들 펀칭에 의하여 기체(30)에 결합 일체화 하는 방법.
(2) 재습방지층(40)상에 스테이플 화이버층을 배치하여 니들 펀칭으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먼저 준비층(60)을 얻는다. 이 준비층(60)을 기체(30)상에 배치한 후 니들 펀칭에 의하여 양자를 결합 일체화 시키는 방법.
이 경우 재습방지층(40)과 기체(30)와의 사이에 배트층(20)이 형성된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얻는 경우는, 기체(30)에 스테이플 화이버층을 배치한 후 스테이플 화이버층 위에 재습방지층(40) 또는 준비층(60)을 배치하는 것에 의해 제조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 도 9에 의하여, 기체상에 재습방지층(40) 또는 준비층(60)의 배치 방법을 설명한다. 도면에서 70은 재습방지층(40) 또는 준비층(60)이 권회되어 있는 재료 롤러, 80은 기체(30)를 구성하는 스트레치 롤러이다.
먼저, 도 7에 보인 제조방법은 거의 기체(30)와 모양의 CMD방향의 폭을 갖는 재습방지층(40) 또는 준비층(60)을 배치하는 경우다.
이 경우, 먼저 기체(30)상에 재습방지층(40), 준비층(60)의 일단을 고정한다. 그리고 기체(30)의 회전에 따라 재습방지층(40), 준비층(60)을 재료롤러(70)로부터 인출하고 기체(30)에 재습방지층(40), 준비층(60)을 배치한다. 그리고 재습방지층(40), 준비층(60)이 전 기체(30)상에 배치된 후 상기 기체(30)에 고정된 단부와 거의 같은 위치에서 재습방지층(40), 준비층(60)을 절단하고 이 절단된 단부를 기체(30)상에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8 또는 도 9에는 기체(30)의 CMD방향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갖는 재습방지층(40)을 사용하는 경우의 제조방법을 보인다. 이 경우 도 8에 보인 것처럼 기체(30)의 거의 MD방향에 따라서 재습방지층(40), 준비층(60)을 스파이럴 형상으로 권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8에 보인 것처럼 기체(30)의 거의 MD방향에 따라서 재습방지층(40), 준비층(60)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준비층(60)을 사용하지 않고 재습방지층(40)만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재습방지층(40)을 CMD방향에 대하여 적절한 각도로 설치한 상태에서 기체(3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배치한다. 그 후 재습방지층(40)을 되 꺽어서 기체(30)의 일단 방향으로 매설하고, 이하 이것을 반복한다. 이 경우 재습방지층(40)은 기체(30)에서의 꺽인 부분의 중량에 의하여 기체(30)상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또한 재습방지층(40)의 꺽임각도는 기체(30) 위를 재습방지층(40)이 전부 피복되도록 하는 각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재습방지층(40)에는 무공상(無孔狀)의 필름이 사용되어 지지만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특성에 따라서 통기성을 향상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재습방지층(40) 만을 적절히 니들 펀칭하고 천공하는 제조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다같이 제조건을 공통으로 하기 위하여, 전 펠트의 기본구성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기체(나이론모노필라멘트의 연사를 평직) : 중량 300g/㎡
배트층(나이론6의 스테이플 화이버) : 총 중량 550g/㎡
침타밀도 : 100회/㎠
사용 니들침 : 선단에 포인트부(51)(R=0.075㎜)가 형성되고, 단면이 3각형상이며 전 모서리부(52)에 바브(52a)가 형성되어 있는 것.
(실시예 1)
재습방지층(40) : 나이론제의 무연신필름
파단신도 : 500%
두께 : 25㎛
개구부(44)의 형상 : 누두상
통기도 : 5㏄/㎠/sec
(실시예 2)
재습방지층(40) : 나이론제의 무연신필름
파단신도 : 300%
두께 : 25㎛
개구부(44)의 형상 : 누두상
통기도 : 6㏄/㎠/sec
(비교예 1)
재습방지층(40) : 나이론제의 2축 연신필름
파단신도 : 125%
두께 : 25㎛
개구부(44)의 형상 : 누두상이지만 필름의 연신방향으로의 균열이 인정된다. 균열은 개구부(44)들을 연결하는 정도는 아니다.
통기도 : 10 ㏄/㎠/sec
(비교예 2)
재습방지층(40) : 나이론제의 1축 연신필름
파단신도 : 45%
두께 : 25㎛
개구부(44)의 형상 : 누두상이지만 필름의 연신방향으로의 균열이 현저하다. 균열에 의해 개구부(44)들을 연결되어 있다.
통기도 : 15 ㏄/㎠/sec
이상의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준비한 후 도 10 및 11에 도시된 장치에 의하여 실험을 행하였다.
먼저, 도 10 및 11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도면에서, P는 프레스 롤러, 110은 상부측 펠트, 10은 하부측 펠트, SC는 흡입 튜브, SN은 샤워 노즐이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모든 장치에서 하부측 펠트(10)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상부측 펠트로서는 비교예 1에 도시한 것과 같은 프레스펠트를 사용했다. 또한, 도 10 및 11에 도시된 장치는 모두, 펠트의 주행속도가 500m/min이고, 프레스 압력이 100㎏/㎠이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닛프압 상태를 벗어난 습지가 하부측 펠트(10)에 재치되어 반송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닛프압 상태를 벗어난 후, 하부측 펠트(10)에 재치되어 반송된 위치(프레스 출구 Ⅰ)에서 습지의 습윤정도를 계측하면, 재습현상이 발생한 습지의 수분함유량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1에 도시된 장치는, 하부측 펠트(10)가 프레스 롤러에 접촉하는 면적이 크고, 닛프압 상태를 벗어난 습지가 펠트(10, 110)에 접촉하는 시간이 대단히 짧은 것이다. 여기서, 이 닛프압을 이탈한 직후의 위치(프레스 출구 Ⅱ)에서 습지의 습윤정도를 계측하면, 재습현상이 그다지 발생하지 않는 습지의 수분함유량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0의 장치에 의한 수분함유량 테이터와 도 11의 장치에 의한 동 테이터의 차를 구해, 재습현상의 평가를 행하였다. 이 때, 양자의 차가 0.5% 이하의 것은 재습현상이 생기지 않는 것으로, 0.5% 이상의 것은 재습현상이 생기고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 결과를 정리한 것을 도 12에 보인다. 도 12에 보인바와 같이, 본 발명의 초지용 프레스펠트는 재습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확인됐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재습방지 효과가 우수한 초지용 프레스펠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4)

  1. 습지접촉면과 롤러접촉면을 구비한 초지용 프레스펠트에 있어서, 기체와 배트층과 무연신 필름으로 되는 재습방지층을 갖고, 상기 재습방지층은 개구연부와 습지측 개구와 롤러측 개구로 이루어진 입체구조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습지측 개구가 롤러측 개구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초지용 프레스펠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개구통부를 갖는 누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3. 제 1항에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습방지층이 나이론이고, 파단신도가 3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4. 제 1항에 또는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평면상의 개구부를 다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용 프레스펠트.
KR1020040012548A 2003-02-26 2004-02-25 초지용 프레스펠트 KR200400767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8970A JP4133433B2 (ja) 2003-02-26 2003-02-26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
JPJP-P-2003-00048970 2003-0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795A true KR20040076795A (ko) 2004-09-03

Family

ID=3276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548A KR20040076795A (ko) 2003-02-26 2004-02-25 초지용 프레스펠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42426B2 (ko)
EP (1) EP1452641B1 (ko)
JP (1) JP4133433B2 (ko)
KR (1) KR20040076795A (ko)
CN (1) CN100376745C (ko)
AT (1) ATE346974T1 (ko)
CA (1) CA2458781A1 (ko)
DE (1) DE602004003402T2 (ko)
TW (1) TW2004176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47136A1 (en) * 2004-10-21 2006-05-04 Albany International Corp. Sacrificial recoverable displacing agent for improved paper dewatering
JP5062815B2 (ja) * 2006-11-01 2012-10-31 イチカワ株式会社 湿紙搬送用ベルト
JP5199601B2 (ja) * 2007-03-29 2013-05-15 イチカワ株式会社 スムージングベルト
EP2893079A1 (de) * 2012-09-04 2015-07-15 Voith Patent GmbH Pressband in einer papiermaschine
US11098450B2 (en) 2017-10-27 2021-08-24 Albany International Corp. Methods for making improved cellulosic products using novel press felt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29769B (sv) * 1980-04-01 1983-09-26 Nordiskafilt Ab Arkaggregat och sett att tillverka detsamma
EP0346307A3 (en) 1988-06-09 1991-03-06 Nordiskafilt Ab Wet press felt to be used in a papermaking machine
US4830905A (en) 1988-08-22 1989-05-16 Appleton Mills Papermaker's felt incorporating a closed cell polymeric foam layer
US5071697A (en) * 1990-01-22 1991-12-10 Appleton Mills Structure for extracting water from a paper web in a papermaking process
US5372876A (en) 1993-06-02 1994-12-13 Appleton Mills Papermaking felt with hydrophobic layer
JPH1150386A (ja) * 1997-06-30 1999-02-23 Christian Schiel 改善された両面構造を有する抄紙用フェ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089990A (ja) * 2001-09-14 2003-03-28 Ichikawa Woolen Textile Co Ltd 抄紙用プレスフェルト
US6616812B2 (en) * 2001-09-27 2003-09-09 Voith Paper Patent Gmbh Anti-rewet felt for use in a papermak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6757A1 (en) 2004-08-26
ATE346974T1 (de) 2006-12-15
DE602004003402D1 (de) 2007-01-11
CN100376745C (zh) 2008-03-26
JP2004256949A (ja) 2004-09-16
EP1452641B1 (en) 2006-11-29
EP1452641A1 (en) 2004-09-01
US7442426B2 (en) 2008-10-28
DE602004003402T2 (de) 2007-09-20
CA2458781A1 (en) 2004-08-26
JP4133433B2 (ja) 2008-08-13
CN1525003A (zh) 2004-09-01
TW200417654A (en) 200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93602B1 (en) Papermaking press felt
KR101006295B1 (ko) 초지용 프레스펠트 및 초지용 프레스장치
FI95613C (fi) Paperinvalmistushuopa, menetelmä paperinvalmistushuovan valmistamiseksi sekä menetelmä märän paperirainan kuivaamiseksi
EP0995835A1 (en) Fibers having improved dewatering characteristics for press felts
KR101102211B1 (ko) 습지 반송용 벨트
KR20040076795A (ko) 초지용 프레스펠트
EP1225265A1 (en) Vapor-permeable and water-resistant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213789B1 (en) Felt for papermaking
EP1460172A1 (en) Wet paper web transfer belt
US11306437B2 (en) Clothing for a machine for producing a fibrous web and method for producing a clothing of this type
DE60121810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essfilzes sowie pressfilz
EP2206828A1 (en) Belt for conveying wet web
US20080185115A1 (en) Paper machine clothing with auxetic fibers and/or yarns
EP1749932A2 (en) Open-ended base fabric for papermaking press felt and papermaking press felt
US20070240844A1 (en) Paper Transporting Felt and Press Apparatus of Paper Machine Having the Paper Transporting Felt
US20080073052A1 (en) Paper Transporting Felt for Shoe Press, and Press Apparatus of Shoe Press Type Paper Machine having the Paper Transporting Felt
EP1944411A1 (en) Press felt for papermaking
KR20060055396A (ko) 초지반송펠트 및 상기 초지반송펠트를 구비한 초지기의프레스 장치
KR20240077438A (ko) 프레스 펠트
JP2008248461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