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722A - 액정표시모듈 - Google Patents

액정표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722A
KR20040076722A KR1020030012058A KR20030012058A KR20040076722A KR 20040076722 A KR20040076722 A KR 20040076722A KR 1020030012058 A KR1020030012058 A KR 1020030012058A KR 20030012058 A KR20030012058 A KR 20030012058A KR 20040076722 A KR20040076722 A KR 20040076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optical she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0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120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6722A/ko
Publication of KR20040076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72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02F2201/465Snap -fit

Landscapes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광학 시이트의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램프와, 상기 램프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도광판과, 상기 램프와 도광판을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측면에 형성된 서포트 메인과, 상기 도광판 상에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도광판의 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서포트 메인의 측면에 돌출된 후크를 형성하고, 광학 시이트들의 귀부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귀부에 형성된 홀을 후크에 체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의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광학 시이트들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모듈의 생산 공정에서 종래의 패드를 부착하던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액정표시모듈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패드를 삭제함으로서 제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패드로 인한 오염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모듈{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모듈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광학 시이트의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모듈과 이 액정표시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부와 케이스로 구성된다.
액정표시모듈은 두장의 유리기판의 사이에 액정셀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 되어진 액정패널과, 이 액정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니트(Back Light Unit)으로 구성되게 된다. 아울러 액정표시모듈에는 백라이트 유니트으로부터 액정패널쪽으로 진행하는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세우기 위한 광학 시이트들이 배열되게 된다. 이러한 액정패널, 백라이트 유니트 및 광학 시이트들은 광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체화된 형태로 체결되어야 함과 아울러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지 않게끔 보호되어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액정패널의 가장자리를 포함한 백라이트 유니트 및 광학 시이트들을 감싸게끔 형성되어진 액정표시장치용 케이스가 마련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은 서포트 메인(Support Main)(14)과, 서포트 메인(14)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액정패널(6)과, 액정패널(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4)의 측면을 감싸기 위한 케이스 탑(Case Top)(2)을 구비한다.
액정패널(6)은 상부기판(3) 및 하부기판(5)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고 상부기판(3)과 하부기판(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6)의 상부기판(3)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패널(6)의 하부기판(5)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라 함)가 형성된다. TFT는 게이트라인으로부터의 스캔신호(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으로부터 액정셀 쪽으로 전송될 데이터신호를 절환하게 된다.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기판(5)의 일측부에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 각각 접속되는 테이프 패드영역이 형성되고, 이 테이프 패드영역에는 TFT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또한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러한, 액정패널(6)의 상부기판(3)에는 상부 편광 시이트(4a)가 부착되고, 하부기판(5)의 배면에는 하부 편광 시이트(4b)가 부착된다.
서포트 메인(14)은 몰드(Mold)물로서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성형되고 이 단턱면에는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이 안착되는 안착부(30)가 형성된다. 이 서포트 메인(14)의 내부 최저층에는 반사 시이트(12), 도광판(10),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 및 테이프 패드(25)와 도시하지 않은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가 장착된다.
백라이트 유니트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와, 램프를 감싸는 램프 하우징과,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패널(6)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도광판(10)과, 도광판(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이트(12)와, 도광판(10) 상에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시이트들(22, 24, 26, 28)과, 광학시이트들(22, 24, 26, 28) 위에 적층되는 테이프 패드(25)를 구비한다.
램프에서 발생되는 광은 도광판(10)의 입사면을 통해 도광판(10)에 입사된다. 램프 하우징은 램프로부터의 광을 도광판(10)의 입사면 쪽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이트(12)는 도광판(10)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0) 쪽으로 재 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램프로부터의 광이 도광판(10)에 입사되면 도광판(10)의 하면 및 측면으로 진행한 광은 반사 시이트(12)에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액정패널(2)에 입사되는 광은 수직을 이룰 때 광효율이 커지게 된다.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은 도광판(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도광판(10)에서 출사된 광을 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하부 확산 시이트(22)와, 하부 확산 시이트(22)에 의해 확산된 광의 진행각도를 액정패널(6)과 수직으로 일으켜 세우는 2매의 프리즘 시이트들(24, 26) 및 프리즘 시이트들(24, 26)을 경유한 광을 확산 시키는 상부 확산 시이트(28)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광판(10)에서 출사되는 광은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을 경유하여 액정패널(6)에 입사되게 된다.
광학 시이트들(8)에는 도 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귀부(16a, 16b, 16c, 16d)가 형성된다. 이러한 귀부(16a, 16b, 16c, 16d)는 서포트 메인(14)의 단턱면에 형성된 안착부(30)에 적층된다.
테이프 패드(25)는 귀부(16a, 16b, 16c, 16d)와 서포트 메인(14)의 일측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배면에는 접착물이 도포된다. 이러한 패드(25)는 귀부(16a, 16b, 16c, 16d)와 서포트 메인(14)에 접착되어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을 고정시키게 된다.
케이스 탑(2)은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케이스 탑(2)은 액정패널(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4)에 체결되어 감싸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은 서포트 메인(14) 상에 반사 시이트(12) 및 도광판(1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그런 다음, 서포트메인(14)의 안착부(30)에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을 적층시키게 된다.
이어서,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이 적층된 서포트 메인(14)의 안착부(30) 상에 배면이 접착물이 도포된 테이프 패드(25)를 접착시켜 광학 시이트들(8)과 서포트 메인(14)의 일측을 덮게 된다.
서포트 메인(14)상에 광학 시이트(22, 24, 26, 28)들 및 테이프 패드(25)가 조립된 후,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 상에는 하부기판(5)과 상부기판(3)으로 구성된 액정패널(6)을 안착시킨다. 그런 다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액정패널(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4)의 측면을 감싸도록 케이스 탑(2)을 조립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은 광학 시이트들(8)을 고정시키기 위해 서포트 메인(14) 상에 광학 시이트들(22, 24, 26, 28)을 적층시킨 후 테이프 패드(25)를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테이프 패드(25) 부착으로 인해서 액정표시모듈의 조립 공정의 수가 증가하고 테이프 패드(25) 사용으로 인해 제품의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테이프 패드(25)에 열이 가해지면 테이프 패드(25)의 배면에 도포된 접착물로 인한 이물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정표시모듈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광학 시이트의 빠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정표시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학 시이트 및 서포트 메인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학 시이트 및 서포트 메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학 시이트 및 서포트 메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학 시이트 및 서포트 메인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2,202 : 케이스 3,103,203 : 상부기판
5,105,205 : 하부기판 6,106,206 : 액정패널
22,122,222 : 하부 확산 시이트 24,124,224 : 하부 프리즘 시이트
26,126,226 : 상부 프리즘 시이트 28,128,228 : 상부 확산 시이트
10,110,210 : 도광판 12,112,212 : 반사 시이트
14,114,214 : 서포트 메인 25 : 테이프 패드
130,230 : 홀 140,240 : 후크
16a,16b,16c,16d,116a,116b,116c,116d : 귀부
4a,4b,104a,104b,204a, 204b : 편광 시이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램프와, 상기 램프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도광판과, 상기 램프와 도광판을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측면에 형성된 서포트 메인과, 상기 도광판 상에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도광판의 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시이트는 양측 각각에서 일부분이 바깥쪽으로 신장된 다수의 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귀부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곡부를 가지는 광학 시이트는 상기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 중에서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학 시이트의 절곡부는 그 아래의 다른 광학 시트들의 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메인은, 상기 귀부가 삽입되어 상기 귀부를 구속하는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서포트 메인(Support Main)(114)과, 서포트 메인(114)의 내부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유니트 및 액정패널(106)과, 액정패널(10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을 감싸기 위한 케이스 탑(Case Top)(102)을 구비한다.
액정패널(106)은 상부기판(103) 및 하부기판(105) 사이에 액정이 주입되고 상부기판(103)과 하부기판(105)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스페이서를 구비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6)의 상부기판(103)에는 도시하지 않은 컬러필터, 공통전극, 블랙 매트릭스 등이 형성된다. 또한, 액정패널(106)의 하부기판(105)에는 도시하지 않은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등의 신호배선이 형성되고,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의 교차부에 TFT가 형성된다. TFT는 게이트라인으로부터의 스캔신호(게이트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으로부터 액정셀 쪽으로 전송될 데이터신호를 절환하게 된다.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 사이의 화소영역에는 화소전극이 형성된다. 또한, 하부기판(105)의 일측부에는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 각각 접속되는 테이프 패드영역이 형성되고, 이 테이프 패드영역에는 TFT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드라이버 집적회로가 실장된 도시하지 않은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가 부착된다. 이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는 드라이버 집적회로로부터 데이터신호를 데이터라인들에 공급한다. 또한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들에 공급한다.
이러한, 액정패널(106)의 상부기판(103)에는 상부 편광 시이트(104a)가 부착되고, 하부기판(105)의 배면에는 하부 편광 시이트(104b)가 부착된다.
서포트 메인(114)은 몰드(Mold)물로서 그 내부의 측벽면이 계단형 단턱면으로 성형되고 이 단턱면에는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이 안착되는 안착부(130)가 형성된다. 아울러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는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을 고정시키기 위해 돌출된 후크(140)가 형성된다. 이 서포트 메인(114)의 내부 최저층에는 반사 시이트(112), 도광판(110),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과 도시하지 않은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니트가 장착된다.
백라이트 유니트는 램프와, 램프를 감싸는 램프 하우징과, 램프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액정패널(106) 쪽으로 진행시키기 위한 도광판(110)과, 도광판(110)의 배면에 배치되는 반사 시이트(112)와, 도광판(110) 상에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시이트들(122, 124, 126, 128)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니트의 도광판(11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한 수지물로 형성되고 램프로부터 출사되어 입사면을 통하여 입사되는 선광을 면광으로 변환한다. 또한 광의 진행방향을 액정패널(106) 쪽으로 진행하도록 변환한다.
램프 하우징은 램프를 감쌈과 아울러 램프로부터의 광을 도광판(110)의 입사면 쪽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이트(112)는 도광판(110)의 배면을 통해 자신에게 입사되는 광을 도광판(110) 쪽으로 재 반사시킴으로써 광손실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즉, 램프로부터의 광이 도광판(110)에 입사되면 도광판(110)의 하면 및 측면으로 진행한 광은 반사 시이트(112)에 반사되어 전면 쪽으로 진행하게 된다.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은 도광판(11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수직으로 일으켜 광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도광판(110)에서 출사된 광을 전영역으로 확산시키는 하부 확산 시이트(122)와, 하부 확산 시이트(122)에 의해 확산된 광의 진행각도를 액정패널(106)과 수직으로 일으켜 세우는 2매의 프리즘 시이트들(124, 126)과 프리즈 시이트들(124, 126)을 경유한 광을 확산 시키는 상부 확산 시이트(128)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도광판(110)에서 출사되는 광은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을 경유하여 액정패널(106)에 입사되게 된다.
이러한,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에는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귀부(116a, 116b, 116c, 116d)가 형성된다. 이 귀부(116a, 116b, 116c, 116d)는 중간부분에서 90°로 절곡되어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과 접하게된다. 도광판(110) 적층된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의 귀부(116a, 116b, 116c, 116d)에는 사각형 형태의 홀(130)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130)이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 형성된 후크(140)에 삽입되어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의 유동을 방지한다.
케이스 탑(102)은 직각으로 절곡된 평면부와 측면부를 가지는 사각띠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케이스 탑(102)은 액정패널(10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14)에 체결되어 감싸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의 조립방법은 서포트 메인(114) 상에 반사 시이트(112) 및 도광판(11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그런 다음, 도광판(110)에 광학 시이트들(108)을 적층시키게 된다. 즉, 귀부(116a, 116b, 116c, 116d)에 형성된 홀(130)이 도광판(110) 측면에서 될출된 후크(120)에 삽입된다.
서포트 메인(114)의 안착부(130)에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이 적층된 후, 하부기판(105)과 상부기판(103)으로 구성된 액정패널(106)이 놓여진다. 그런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액정패널(106)의 가장자리와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을 감싸도록 케이스 탑(102)을 조립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모듈은 서포트 메인(114)의 측면에 돌출된 후크(140)를 형성하고,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의 귀부(116a, 116b, 116c, 116d)가 직각으로 절곡되어 귀부(116a, 116b, 116c, 116d)에 형성된 홀(130)을 후크(140)에 체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의 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광학 시이트들(122, 124, 126, 128)을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액정표시모듈의 생산 공정에서 종래의 패드를 부착하던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어 액정표시모듈의 조립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패드를 삭제함으로서 제품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고 패드로 인한 오염물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램프와,
    상기 램프로부터 광이 입사되는 도광판과,
    상기 램프와 도광판을 지지하며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측면에 형성된 서포트 메인과,
    상기 도광판 상에 적층되는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을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도광판의 홀에 체결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절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이트는
    양측 각각에서 일부분이 바깥쪽으로 신장된 다수의 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귀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귀부로부터 직각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를 가지는 광학 시이트는 상기 다수의 광학 시이트들 중에서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가장 멀리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시이트의 절곡부는 그 아래의 다른 광학 시트들의 측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메인은,
    상기 귀부가 삽입되어 상기 귀부를 구속하는 다수의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모듈.
KR1020030012058A 2003-02-26 2003-02-26 액정표시모듈 KR200400767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58A KR20040076722A (ko) 2003-02-26 2003-02-26 액정표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58A KR20040076722A (ko) 2003-02-26 2003-02-26 액정표시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722A true KR20040076722A (ko) 2004-09-03

Family

ID=3736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058A KR20040076722A (ko) 2003-02-26 2003-02-26 액정표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6722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37B1 (ko) * 2011-11-04 2013-03-21 희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의 도광판 고정 구조
KR20130140512A (ko) * 2012-06-14 2013-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 장치
WO2014036746A1 (zh) * 2012-09-07 2014-03-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其液晶显示器
KR101442583B1 (ko) * 2012-12-12 2014-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4089216A (zh) * 2014-06-05 2014-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和显示装置
KR20180077635A (ko) * 2016-12-29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37B1 (ko) * 2011-11-04 2013-03-21 희성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장치의 도광판 고정 구조
KR20130140512A (ko) * 2012-06-14 2013-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 장치
WO2014036746A1 (zh) * 2012-09-07 2014-03-1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其液晶显示器
KR101442583B1 (ko) * 2012-12-12 2014-09-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CN104089216A (zh) * 2014-06-05 2014-10-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和显示装置
KR20180077635A (ko) * 2016-12-29 2018-07-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3437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20015238A (ko) 액정표시장치
KR10160426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905333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40076722A (ko) 액정표시모듈
US7304695B2 (en) Liquid crystal module comprising a stopper including a convex step coverage protruding from support main and a concave step coverage defined at light guide plate
KR10106647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0493616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200885B1 (ko) 액정 표시 모듈
KR20070116507A (ko) 액정표시모듈
KR20040097467A (ko) 액정표시모듈
KR20050070197A (ko) 액정표시모듈
KR100918652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40071833A (ko) 액정표시장치
KR20040058579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926102B1 (ko) 액정표시모듈
KR101001990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40077176A (ko) 액정표시모듈
KR100939208B1 (ko) 액정표시모듈
KR20040031514A (ko) 액정표시장치
KR10126935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8460B1 (ko) 백 라이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20050105387A (ko) 액정표시모듈
KR20070057473A (ko) 액정 표시 모듈
KR100927019B1 (ko) 백라이트 유니트와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