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6689A -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6689A
KR20040076689A KR1020030012017A KR20030012017A KR20040076689A KR 20040076689 A KR20040076689 A KR 20040076689A KR 1020030012017 A KR1020030012017 A KR 1020030012017A KR 20030012017 A KR20030012017 A KR 20030012017A KR 20040076689 A KR20040076689 A KR 20040076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neycomb
honey
bees
beehive
queen be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2291B1 (ko
Inventor
김대립
Original Assignee
김대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립 filed Critical 김대립
Priority to KR10-2003-001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2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6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6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29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frames for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랍으로 지어진 반투명의 유백색 벌집이 변색되지 않도록 하여 벌집내에 저장된 벌꿀의 종류와 색상 등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품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유백색 벌집을 갖는 토종벌꿀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에 일벌들은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으나 여왕벌은 통과하기 어려운 구멍들이 형성된 장애물판을 일벌이 활동을 개시한 이후 벌집의 크기가 약 30∼40cm가 되었을 때(약 20∼30일정도 경과후) 벌통의 바닥면과 벌집의 하단부의 간격이 약 1∼1.5cm가 되도록 유지시키고 벌통의 상단부를 개봉하여 그 상단에 장애물판을 설치하되 장애물판의 표면에는 일벌의 통행은 자유로우나 여왕벌의 통행은 어려운 구멍들을 형성한 뒤 그 위로 새로운 벌통을 적층하여 밀봉한다.
일벌은 장애물판 하측의 벌집공간이 협소하기 때문에 분봉을 시도하려는 할 수 도 있으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벌통 주위에 물을 수일동안 뿌려 온도를 24℃이하로 낮추어 주고 습도를 높여주면 분봉을 하지 않고 장애물판 위로 올라가 새로운 집을 짓고 그 곳에 벌꿀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여왕벌은 장애물판에 형성된 구멍에 의해 몸이 통과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몸이 무거워 장애물판위로 올라가지 않지만 만일 장애물판 위로 여왕벌이 올라가더라도 일벌은 벌집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벌집을 짓기 때문에 벌집의 형태가 불규칙하고 그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산란이 매우 어려워 산란을 포기하게 된다.

Description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a honey manufacturing method for building a translucent honeycomb}
본 발명은 토종벌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밀랍으로 지어진 반투명의 유백색 벌집이 변색 혹은 변질되지 않도록 하여 반투명의 벌집내에 저장된 벌꿀의 종류와 그에 따른 색상 농도등을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서 품질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유백색 벌집을 갖는 토종벌꿀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사육되고 있는 꿀벌의 종류는 양벌과 토종벌 두 종류이다. 양벌은 토종벌에 비해 몸집이 크고 주위 환경 변화에 둔감하게 반응을 한다. 벌통과 벌집도 개방적이라서 여왕벌을 찾는 것도 매우 쉽다. 그래서 양벌은 예로부터 인공 분봉법으로 봉군을 증식시켜 왔으나 토종벌은 양벌에 비해 몸집이 작으면서 주위의 환경변화에 매우 민감하여 회귀성이 강하고 벌집이 벌통에 연결되어 있어서 여왕벌을 찾는 일이 매우 어려워 분봉이 어렵다.
이러한 분봉의 문제도 최근 활발한 벌의 생태연구를 통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봉이 이루어지고 있어 토종꿀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통상의 토종벌의 습성을 보면 일벌들은 벌통속에 밀랍을 소재로 벌집을 지으면 그 속에 여왕벌이 알을 낳아 일벌들을 번식시킨다. 이러한 일벌의 번식을 위해 여왕벌이 벌집속에 알을 낳게 되는데, 그 속에서 성장한 알은 대략 20∼22일정도가 되면 애벌레가 알을 깨고 벌집 밖으로 나와 일벌로서 활동하게 된다.
이때 벌꿀은 일벌들의 먹이가 된다. 이처럼 일벌들은 수 없이 많은 벌집을 만들고, 그 벌집에 여왕벌이 알을 낳아 일벌로 증식시키게 되지만 벌집속의 알이 부화되면 벌집은 유백색에서 암갈색 혹은 검은 황갈색으로 변색 혹은 변질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이 밀랍으로 지어진 벌집의 변색 혹은 변질원인은 유충의 분비물에 의한 것으로, 이 분비물은 단백질같은 영양소가 풍부하여 병원균의 서식이 용이하여 변질되면서 벌집에 침착·변색되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벌집에 여왕벌이 알을 낳지 않은 벌집은 변색되지 않고 반투명의 유백색이 변색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 판매되는 토종벌꿀은 벌집의 밀랍을 여과하여 정제한 토종꿀과 정제하지 않고 벌집의 단면이 나타나도록 절단한 토종꿀이 있는데, 정제된 토종꿀인 경우 꿀벌이 모아둔 기간의 모든 꿀을 한꺼번에 압축하여 짜내기 때문에 육안으로 양봉꿀과 식별하기 어려워 소비자가 토종꿀을 가짜 토종꿀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
반면에 벌집을 절단한 벌꿀은 벌집의 단면이 나타내어 자연 그대로의 벌꿀임을 보증하는 효과가 있어 소비자가 토종꿀임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상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벌집을 절단면을 나타낸 토종꿀은 벌집의 색깔이 진한 황갈색 혹은흑색을 띠기 때문에 벌집속에 들어있는 꿀의 색상 혹은 투명도, 꿀의 종류 등을 식별하기 어렵워 자칫 하등품으로 오인하는 등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토종벌꿀은 자연상태에서 대략 일년동안 채집한 꿀이기 때문에 꽃의 개화시기별로 다양한 종류의 꿀들이 순차적으로 벌집에 저장되는 특징이 있는데, 예를 들어 아카시아 꿀은 투명하고 국화꿀은 노란색을 띠며, 밤꿀은 검은 갈색을 띠므로 벌집의 단면을 보면 계절별로 모은 꿀의 종류을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벌집의 색상이 벌집속에 들어 있는 꿀의 종류나 색상을 명확히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벌집의 색깔이 암황갈색을 띠므로 비위생적으로 보일 수 있고, 소비자가 벌집(밀랍)을 통째로 먹을 경우 딱딱하고 뻣뻣하여 이물감이 많아 상품적 가치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의 토종벌집에서와 같이 밀랍으로 지어진 벌집이 진한 황갈색 혹은 흑색으로 변색되지 않도록 방지하여 일벌에 의해 지어진 반투명의 유백색 벌집을 수확시까지 반투명의 유백색과 유연성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서 벌집의 절단시 벌집내에 저장된 벌꿀의 종류와 색깔을 볼 수 있도록 하고 미관상 반투명의 유백색을 띤 깨끗한 벌집을 갖는 토종벌꿀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벌집은 밀랍으로 지어져 일벌들이 개화된 꽃으로부터 채집한 각종 꿀을 저장하는 창고의 기능과 여왕벌의 산란장소의 역할을 제공하는데 벌집에 산란된 알은 성충으로 성장한다.
따라서, 통상 밀랍으로 지어진 벌집을 반투명의 유백색과 유연성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여왕벌이 접근하여 벌집에 산란하지 못하게 하거나 억제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투명의 유백색 벌집을 얻기 위해서는 여왕벌의 접근을 억제 혹은 차단시켜 벌집에 여왕벌이 산란을 하지 못하게 하는 기술이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이라 하겠다.
본 발명의 핵심기술의 구현방법으로서는 토종벌들이 활동을 시작한 뒤 대략 20∼30일이 경과하면 빈 벌통에 벌집 크기가 대략 30∼40㎝가 되었을 때 벌통의 바닥면을 벌집과 약 1∼1.5㎝정도 이격되도록 공간을 조절해주고 벌통의 상부를 개봉하여 그 상부에 일벌을 통과가 자유로우나 여왕벌의 통행은 어려운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구멍을 구비한 장애물판을 설치한 뒤 그 위로 충분한 공간을 갖는 새로운 벌통을 적층시키고 최상단부를 밀봉함으로서 장애물판의 하측에는 여왕벌이 산란을 하고 그 공간이 협소하여 일벌을 장애물판위로 올라가 장애물판 위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불규칙한 벌집을 짓고 그 속에 꿀을 저장하게 된다.
통상 일벌들은 모아온 꿀을 저장하기 위해 이미 지어진 벌집속으로 꿀을 저장하고 벌집의 부족한 경우 일벌들은 상기한 장애물판위쪽으로 밀랍을 분비하여 새로운 벌집을 짓는다.
하지만 벌집의 형태와 크기가 불규칙한 벌집을 짓게 됨으로 장애물판의 구멍을 통과하기 어려운 신체적 조건(알을 지니고 있어 몸이 무겁고 몸이 크기 때문)으로 인해 장애물판을 위아래를 반복적으로 왕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애물판 위쪽으로 올라간다 하더라도 불규칙한 벌집에 의해 알을 산란하지 않는다. 물론 일벌은 장애물판위에 지어진 벌집에 꿀을 저장해 둔다.
여왕벌은 하부로 내려가려는 습성이 있어 장애물판하부에 머물면서 장애물판에 의해 격리된 벌집과 분리되어져 여왕벌은 장애물판의 하측의 벌집속에 알을 낳고 알에서 깨어난 빈 벌집에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알을 낳아 번식시킨다.
장애물판 하부에는 공간이 좁기 때문에 추가로 벌집을 지을 수 없기 때문에 장애물판위로 올라가 새로운 집을 짓게 되지만 불규칙한 벌집의 크기와 형태에 의해 여왕벌이 매우 불편하게 알을 낳게 되고 장애물판의 왕래가 불편하여 장애물판위로 올라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여왕벌이 알을 낳는 벌집과 일벌이 벌꿀을 저장하는 벌집이 분리되어져 여왕벌 장애물인 장애물판 위에 꿀벌이 밀랍으로 벌집을 만들어 놓으면 여왕벌이 알을 거의 낳지 못하므로 반 투명의 유백색 벌집이 유지되는 것이다. 설사 장애물판위로 여왕벌이 올라 간다해도 장애물을 수차레 넘나들기에는 불편함이 많은 것을 알고 벌집에 알을 낳지 않고 다시 밑으로 내려온다.
그러나 여왕벌이 장애물판 위에 지어진 벌집에 산란을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일벌이 벌집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벌집을 지을 경우에는 벌집넓이와 높이가 불규칙하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여왕벌이 산란을 하기에는 매우 부적합한 벌집을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반투명의 유백색 벌집을 수확하여 절단하면 유백색 밀랍으로 지어진 벌집이 유지됨은 물론 그 벌집내의 저장된 꿀의 종류와 색상 농도등 그 상태를 육안으로 볼 수 있고, 벌집이 유백색의 반투명을 띠고 있기 때문에 벌집색깔도 더욱 위생적인 토종벌꿀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백색 벌집을 갖는 토종벌꿀 생산방법의 이해를 돕기 위해 토종벌들의 생활습관을 살펴보고, 계절별 생리현상을 살펴본다.
토종벌은 일벌(문지기벌, 병정벌 포함), 여왕벌, 수펄등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첫째 일벌은 여왕벌이 산란한 뒤 약 21이면 성충으로 성장되어지는데, 그 수명은 유밀기에는 40∼50일, 무밀기에는 150∼180일 정도이다. 일벌은 산란기관이 퇴화되어 여왕벌같이 산란능력은 없으나 각종의 특수기관이 잘 발달되어 있어서 꿀벌 사회의 90% 이상의 일을 도맡고 있는데 그 활동내용은 다음과 같다.
벌집 내부의 청소하기, 유충벌 영양 공급 및 돌보기, 벌집 만들기, 꿀과 화분 수집하기, 외적의 방어, 벌통 내부의 환기 조절 및 적정 온도의 유지, 여왕벌이 알을 낳는 일을 조정하는 일, 새로운 여왕벌집 만들기, 로얄제리 만들기, 여왕벌과 수펄의 시중들기, 기타 꿀벌들이 필요한 생산 소비 활동을 담당한다.
둘째, 여왕벌은 다른 벌보다 빠르게 약 17일만에 태어나지만 수명은 4∼5년의 일벌의 10배 정도 길다. 어떤 여왕벌은 8년 이상의 장수 여왕벌도 있다. 그러나 여왕벌이 3년이 지나면 1일에 2,000개 이상의 산란 능력이 저하되어 토종꿀 생산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토종벌의 여왕벌은 1군에 여왕벌 1마리만이 존재하며 봉군의 종족 유지를 위해 1일에 2,000개 정도의 알을 낳는 막중한 업무를 맡고 있다.
그러나 처녀 여왕벌은 금방 태어나서 아직 수펄과의 사랑을 이루지 못하여알을 낳을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여왕벌이다. 처녀 여왕벌은 내부의 일벌 숫자를 점검하고 외부의 기후를 파악하여 분봉여부를 결정하는 역활을 담당한다.
처녀 여왕벌는 수펄들과 하늘을 날아다니며 교미를 하게 되는데 맑은날 오후에 이루어진다. 교미는 태어난지 3∼6일 사이에 주로 이루어지며 10일이 지나면 여왕벌의 호르몬의 감소로 성적욕구가 감소되어 2주일이 지나면 여왕벌은 영영 교미를 하지 못하게 되어 늙은 여왕벌이 되어 산란 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처녀 여왕벌은 교미를 위해 날면서 페르몬을 분비하며 그 냄새에 수펄들이 모여들어 여왕벌을 쫓아다니게 되며 그 중 체력이 왕성해 날렵한 수펄 1마리와 사랑을 나누게 되며 사랑을 나눈 수펄은 죽게 된다. 결국 수펄은 여왕벌에게 모든 것을 준 것이며 그 후 여왕벌은 어떠한 수펄과도 사랑을 나누지 않으며 벌통 속에서 분봉을 제외하고는 외부 출입을 삼가고 종족 번식에만 심혈을 기울인다.
여왕벌의 산란에 의해 탄생하는 유충들은 대개 태어난지 15일 이내의 어린 꿀벌들이 거의 도맡아 키우게 되는데, 여왕벌이 알을 낳은지 4일까지는 여왕벌, 일벌, 수펄등 성에 관계없이 모두 태어난지 7∼15일 정도의 어린벌들이 벌꿀을 먹여 키우며 여왕벌이 알을 낳은지 5∼8일까지는 여왕벌집속의 유충에게는 지속적으로 로얄제리를 공급하여 주고 일벌과 수펄의 유충벌에는 꽃가루와 꿀과 로얄제리를 혼합하여 공급한다.
이렇게 하여 여왕벌은 9일 일벌과 수펄은 10일이 지나면 봉개를 하게 된다. 봉개후 부터는 특별한 보살핌 없이 일벌들이 봉개된 부분을 일정 온도만 유지해 주면 된다.
셋째, 병정벌은 외부의 침입자를 감시하여 퇴치하는 역활을 하는 벌로서, 대개 나이가 많고 벌통의 하단부분에 있는 출입문 안쪽에 많다. 꽃이 많은 유밀기보다는 꽃이 적은 무밀기에 침입 벌들이 벌통속의 꿀냄새를 맡고 공격을 많이 하기 때문에 문지기 벌들은 수배로 늘어나 출입하는 꿀벌들을 일일이 조사하게 되는데 특히 출입구에서 휘휘 돌면서 주위를 살펴 들어오는 벌들이 있으면 세심한 검사를 하고, 수상하면 더듬이를 세우면서 다가가 냄새를 맡아 침입벌로 확인되면 다른 문지기 벌들에게 신호를 보내 일제히 공격하여 퇴치한다.
병정벌은 때때로 벌침을 빼어 침입자를 독(毒)으로 공격하며 벌침을 쏜 병정벌은 벌침과 함께 내장이 잘려 죽게 된다.
넷째, 수펄은 수명이 약120∼150일정도이나 수펄의 유일한 일은 처녀 여왕벌과의 교미하는 것이다. 그 외에는 아무것도 할 수 있는 일이 없으며 많은 꿀만 소비하게 된다. 교미를 끝낸 수펄은 생식기가 잘려서 죽게 되며 남은 수펄들도 꿀벌들에게 쫓겨나 출입문 밖에서 굶어 죽게 된다.
그래서 사실상 제명대로 살다가 죽는 수펄은 거의 많지가 않다. 겨울철에는 한마리도 없으며 주로 4∼6월에 주로 볼 수 있으며, 주로 12∼17시 사이에만 출입을 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그것은 오전에 충분한 휴식을 취해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여 날렵하게 다른 수펄을 젖히고 처녀 여왕벌을 만나기에 부족함이 없도록 체력을 보강하는 것이다. 그래서 수펄은 일은 하지 않고 좋은 꿀만 많이 소비하는 것이다. 그러다가 결국 꿀벌들에게 밋보여 벌집 밖으로 쫓겨나는 최후를 맞는다
아울러, 꿀벌들이 벌꿀을 모으고 꿀벌을 번식하는 생활습성을 설명한다.
밀랍은 벌집의 기본 재료가 되며 벌꿀을 많이 먹고 벌집 주변에서 조용히 열을 발산하여 온도를 30∼33℃을 유지하면서 일벌의 배마디에 있는 납샘에서 분비한 밀랍으로 가장 안정적이며 낭비가 없는 육각형의 벌집을 건설하게 된다. 벌집 짓기는 태어난지 12∼15일 정도의 어린 유아벌들이 만들며 대략 100g의 밀랍을 분비하기 위해서는 꿀 약 1kg이 소모된다.
벌집(벌집)은 새벌집일 때에는 유백색의 반투명 이지만 여왕벌의 산란횟수에 따라 옅은 갈색에서 짙은 황갈색 혹은 흑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벌집의 변색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충 분비물에 의한 것이다.
그리고 토종벌이 서식하기 위해서는 맑은 물의 공급이 있어야 한다. 푸른 산과 들에서는 토종벌의 먹이인 꽃가루와 꿀을 제공받아서 토종벌이 벌꿀을 저장할 때는 수분을 날개로 바람을 일으켜 농축하여 벌집에 저장하였다가 다시 꺼내어 물과 꽃가루와 혼합하여 먹고 시간이 지나면 일벌들은 유충벌의 먹이를 분비하고, 로얄제리를 분비하는 것이다.
그래서 특히 봄에는 꿀의 유입이 없어 모두 농축된 꿀만 주식으로 하다 보니 꿀벌들이 물을 많이 물어 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이렇게 맑은 물은 성충 벌에게 필요하고 벌통 내의 온, 습도 조절에도 필요하는 중요한 물질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백색의 벌집을 갖는 토종벌꿀 생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꽃의 개화시기와 기온은 우리나라의 지역별로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화및 일벌이 활동하는 시기는 지역적인 조건을 모두만족하지 않기 때문에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꽃의 개화시기를 3월초순으로 예시하였고, 토종벌의 활동시기를 개화시기에 맞추어 설명하였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우기는 우리나라의 통상적인 장마기간에 해당되는 7월 말부터 8월 초순까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장마는 년평균 기간에 해당되는 것일 뿐 우기는 예측할 수 없는 시기에 장시간 지속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우기는 적어도 3일이상 비가 오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기 바랍니다.
매월 3월초순경 바람직하게는 절기로는 입춘(立春)무렵에 토종벌들이 출입하여 주로 꽃가루와 물을 물어 들인다(지역별로 다를 수 있음). 꽃가루와 물의 유입이 많아지면 여왕벌의 산란력이 높아져 유아방의 영역이 넓어진다.
그리고 비교적 따뜻한 날 토종벌통을 들고서 하부에 싸여 있는 오물을 제거하여 주고 여왕벌이 벌통 내부에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한다. 무왕벌(여왕벌이 없는 벌)는 벌집모양과 벌집 속에 들어 있는 산란 개수와 모양을 보고 알 수 있으며 무왕벌통(여왕벌이 없는 벌통)은 주위의 약군(벌의 수가 적은 군의 벌)과 합봉해 준다.
토종벌이 먹이를 많이 소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3월 말경 어린 유아벌들이 많이 탄생하기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엔 꽃꿀의 유입도 많지 않아 벌통 상단에 벌꿀 유무를 확인하거나 벌통을 들어 벌통의 무게로 벌통 속에 남아 있는 벌꿀의 양을 어림잡을 수도 있다.
벌집에 산란한 알이 부화된 이후 즉, 3월초에 꽃이 개화되는 것으로 가정하면 3월 말경에 (일벌이 활동을 개시한 지 대략 20∼30일의 기간) 토종벌통의 내부에는 높이가 약 30∼40cm크기의 벌집이 지어지게 되는데 이시기에 벌집의 하단부와 벌통의 바닥면의 사이를 1∼1.5cm정도 되도록 조절해주고 벌통의 상부를 개방하여 그 개방된 곳을 가로지르는 장애물판 혹은 을 설치한다.
장애물판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의 직경은 일벌은 통과할 수 있으나 여왕벌은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이다.
한편 일벌은 장애물판의 아래의 공간은 벌집을 증축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이므로 채집한 꿀을 저장하기 위해 장애물판 위로 올라가 장애물판의 상측방향으로 새로운 벌집을 짓고 그 새 벌집에 꿀을 저장하게 된다.
그러나 일벌은 벌집을 지을 공간이 부족하면 분봉할 개연성이 많다. 예를 들어 외부온도 24℃이상 되면 분봉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만일 장애물판 설치이후 대기 온도가 40℃이상이 되면 그 이하로 벌통주위의 온도를 낮추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가습기 혹은 스프레이 분무기 혹은 물을 분무 혹은 미세한 물줄기를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통해 벌통주위의 반경 약 50㎝∼1m범위에 뿌려주는데 그 시간은 대략 일주일 정도가 적당하다.
그러나, 일벌은 생활 습성상 여왕벌과 알의 주위에 가까이 머물고자하는 습성이 있어 새로운 벌집을 짓더라도 장애물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벌집을 짓지 않고 가장가까운 장애물판 위에 아래에서 위쪽으로 벌집을 지어나가기 시작한다. 위쪽으로 지어진 새 벌집은 그 규격이나 크기가 불규칙한 벌집을 짓게 되므로 벌집이 기형형태를 띠게 된다.
통상적인 일벌은 위에서 밑으로 지어진 벌집은 그 크기와 규격의 일정한 반듯한 벌집이 되지만 밑에서 위로 지어진 집은 그 크기와 규격이 불규칙하다.
따라서, 장애물판에 지어진 벌집은 위에서 밑으로 지어져 여왕벌의 산란이 용이하지만 위쪽으로 지어 올릴 벌집은 산란조건이 불편하고, 또 장애물판의 구멍을 오르내리며 통과하기가 어려기 때문에 여왕벌은 산란을 포기하고 밑에 머물며 산란작업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여왕벌은 장애물판위에 새로 지어지는 벌집은 산란을 하지 않아 유연하고 부드러운 반투명의 유백색 벌집을 수확시기까지 유지할 수 있고, 그 속에 꿀을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여왕벌은 산란이 용이한 조건을 갖춘 장애물판의 밑부분의 벌집에 반복적으로 산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애물판을 통해 일벌이 꿀을 저장하는 벌집과 여왕벌이 알을 낳는 벌집이 분리되어 장애물판위로 지어진 벌집의 형태가 불규칙하여 여왕벌의 산란이 어려워지도록 함으로서 그 벌집에 산란하지 않아 장애물판위에 지어진 벌집은 유충 분비물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벌집이 변색되거나 변질되지 않아 벌집이 전체가 반투명체의 유백색 벌집으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확시 벌집의 단면을 절단하여 보면 그 단면이 유백색을 띤 반투명의 벌집으로 나타나고 그 속에 들어 있는 채집시기에 따른 꿀의 종류와 꿀의 색상등을 육안으로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시에도 깨끗하고 위생적이며 깔끔한 토종벌꿀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자가 의도하는 기술적사상을 상술하였으나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를 통하여 다양한 응용예와 실시예를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구멍이 뚫린 장애물판을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설치하여 여왕벌이 벌집으로의 통행을 단속하도록 한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진정한 의미의 기술적 사상과 범주에 포함되어지는 것이라 할 것이고 이러한 변형예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한 범주내에 포함됨을 밝혀두는 바이다.

Claims (2)

  1. 토종벌들이 활동을 시작한 뒤 대략 20∼30일이 경과하면 빈 벌통에 벌집 크기가 대략 30∼40㎝가 되었을 때 벌통의 바닥면을 벌집과 약 1∼1.5㎝정도 이격되도록 공간을 조절해주고 벌통의 상부를 개봉하여 그 상부에 일벌을 통과가 자유로우나 여왕벌의 통행은 어려운 직경을 갖는 다수개의 구멍을 구비한 장애물판을 설치한 뒤 그 장애물판의 위로 새로운 벌통을 밀봉적층하고, 여왕벌은 상기 장애물판의 하측의 벌집에 산란을 하도록 하고, 일벌은 상기 장애물판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새로운 벌집을 짓고 그 속에 꿀을 저장하도록 하여 여왕벌의 산란과 꿀저장용 벌집을 분리시켜 벌집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내의 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의 벌집에 벌집을 지을 수 없는 환경에서 대기온도가 24℃이상인 경우 상기 벌통의 주위에 물을 분무 혹은 분사하여 그 주변의 온도가 24℃이하로 유지되도록 수일동안 물을 분무하여 함으로서 벌의 분봉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집내의 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KR10-2003-0012017A 2003-02-26 2003-02-26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482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17A KR100482291B1 (ko) 2003-02-26 2003-02-26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2017A KR100482291B1 (ko) 2003-02-26 2003-02-26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6689A true KR20040076689A (ko) 2004-09-03
KR100482291B1 KR100482291B1 (ko) 2005-04-14

Family

ID=3736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20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482291B1 (ko) 2003-02-26 2003-02-26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99B1 (ko) * 2005-10-21 2007-04-06 김대립 고밀도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CN104304095A (zh) * 2014-10-22 2015-01-28 申磊 中华蜜蜂瓶式巣蜜平箱生产方法、生产装置及生产用巢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99B1 (ko) * 2005-10-21 2007-04-06 김대립 고밀도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CN104304095A (zh) * 2014-10-22 2015-01-28 申磊 中华蜜蜂瓶式巣蜜平箱生产方法、生产装置及生产用巢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2291B1 (ko) 2005-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kratanakul Beekeeping in Asia
CN108782463A (zh) 一种蜂王的培育方法
CN105010241A (zh) 一种人工驯养胡蜂的方法
KR102554257B1 (ko) 먹이공급이 편리한 벌통용 먹이공급판
KR20200031844A (ko) 해충 유인용 인조벌집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벌꿀 생산방법
CN103798191A (zh) 一种防治杨梅果园果蝇使用家蝇蝇蛹替代果蝇蝇蛹繁育寄生蜂的方法
KR100482291B1 (ko) 벌집내의 벌꿀을 볼 수 있는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KR20090024043A (ko) 곤충을 양서류의 먹이로 제공하는 육성장치
KR100502708B1 (ko) 빈 벌집이 없는 토종벌꿀 생산방법
CN107494445A (zh) 产蜜量高的蜜蜂养殖方法
WO2015186977A1 (ko) 양봉용 소초
Tower Bee Keeping in Porto Rico
Devanesan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Apis florea in Kerala and Its Role in Agriculture Production
KR200186570Y1 (ko) 꿀벌먹이통 겸용 채유광
Sharma Beekeeping: For Beginners
KR200342097Y1 (ko) 기능성 양봉용 소초
Awasthi Rol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 Beekeeping and Bee Welfare
Phillips Beginning Beekeeping: Everything You Need to Make Your Hive Thrive!
CN107494444A (zh) 繁殖速度快的蜜蜂养殖方法
Warré Beekeeping for all
KR100704199B1 (ko) 고밀도 유백색 벌집 토종벌꿀 생산방법
Fitzpatrick Territorial aggression among males of three syrphid species
Hegde Nesting sites, nesting biology and trap nesting of leaf cutter bees (Hymenoptera: megachilidae)
Mucsi The Beekeeper's Handbook
Layek et al. Biology of the Indian Stingless Bee: Tetragonula iridipennis Sm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5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