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784A -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 Google Patents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784A
KR20040073784A KR1020030009496A KR20030009496A KR20040073784A KR 20040073784 A KR20040073784 A KR 20040073784A KR 1020030009496 A KR1020030009496 A KR 1020030009496A KR 20030009496 A KR20030009496 A KR 20030009496A KR 20040073784 A KR20040073784 A KR 20040073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image data
mobile communication
digital imag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4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형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784A/en
Publication of KR20040073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784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PURPOSE: An image out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luetooth is provided to output digital image data output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a Bluetooth interface, and to continuously input the image data by using a Bluetooth protocol, thereby displaying the image data in various video formats. CONSTITUTION: A video decoder comprises as follow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303) inputs digital image data. An image decoder(304) decodes a received image. A Bluetooth slave module(305) interprets digital image data having a Bluetooth protocol type. A frame buffer(306) buffers the digital image data, and outputs the buffered digital image data. The first converter(307) converts the digital image data into digital data. A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308) converts the digital image data into an analog image, and outputs the analog image to an outer display device. The second converter(309) converts analog image data, and outputs the converted image data.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출력 장치{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Image out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luetooth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화상을 출력하고, 그 출력 화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output apparatus using Bluetooth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using Bluetooth for outputting an image using a Bluetooth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output image through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a terminal.

이동 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진보함에 따라, 단순한 무선 통신 수단을 넘어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과 같이 무선 통신 외적인 기능들이 이동 통신 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다.As the function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e advanced, functions beyo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camera function and a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have been add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eyond simple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개선과 고속 통신의 실현에 의해 점차 활용 범위를 넓혀가고 있으며, 이미 상용화되어 있어 이동 통신 단말기를 궁극적인 휴대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Such multimedia functions are being gradually expanded by improving display part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nd realizing high speed communication, and have already been commercialized to us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s the ultimate portable entertainment system.

이러한 멀티미디어 기능 중 카메라 기능과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은 가장 많이 보급된 고급 기능으로서, 카메라를 통한 촬영이 가능하며, 주문형 비디오(Video On Demend:VOD)를 시청할 수 있을 정도로 화면의 질이 높아졌다.Among the multimedia functions, the camera function and the multimedia playback function are the most popular advanced functions, and the quality of the screen is high enough to be able to shoot through the camera and to watch video on video (VOD).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 자체는 이동을 하며 통화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어서, 영상 및 각종 부가 서비스가 제공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단말기 자체의 액정 표시부의 크기에 한정되어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동이 거의 없는 가정 내에서는 액정 표시부가 작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해 부가기능을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며, 단순히 전화의 기능만을 이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self is intended to be used for moving and making phone calls, so that a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video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s limited to the siz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of the terminal itself. Therefore, in the home where there is little movement, the liquid crystal display will not use the additional function by using the sm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re arises a problem of simply using the function of the telephone.

도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화면 출력을 위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통신 및 화상 출력을 위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100)와, 상기 프로세서(10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버퍼링 하는 프레임 버퍼(101)와, 상기프레임 버퍼(101)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LCD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LCD 구동부(102)와, 상기 LCD 구동부(102)에 의해 구동되어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LCD 디스플레이(103)로 구성된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utput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cessor 100 performs an image processing operation for communication and image output, and buffer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processor 100. A frame buffer 101, an LCD driver 102 for driving an image data output through the frame buffer 101 through an LCD, and a digital image data driven by the LCD driver 102. LCD display 103 to display the.

또한, 도2는 종래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을 내장하여 블루투스 통신 및 화상 출력을 위한 영상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200)와, 상기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의 제어를 받아 실제 블루투스 프로토콜 통신을 하는 블루투스 통신 모듈(201)과, 상기 프로세서(20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버퍼링 하는 프레임 버퍼(202)와, 상기 프레임 버퍼(202)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LCD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동하는 LCD 구동부(203)와, 상기 LCD 구동부(203)에 의해 구동되어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LCD 디스플레이(204)로 구성된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The processor 200 includes a Bluetooth master module and performs an image processing operation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image outpu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201 performs actual Bluetooth protocol communic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Bluetooth master module, the frame buffer 202 buffering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processor 200, and the frame buffer 202. An LCD driver 203 is configured to drive the image data to be displayed through the LCD, and an LCD display 204 is driven by the LCD driver 203 to display digital image data.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자체에 내장된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사실상 상기 LCD 디스플레이는 단말기의 휴대성과 제조원가, 소비전력의 문제점 등으로 일정크기 이상의 LCD 디스플레이를 내장할 수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onfigured to output an image through an internal LCD display, but in fact, the LCD display has an LCD display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due to problems of portability, manufacturing cost,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t cannot be built.

그러나, 기술 발전의 추세는 LCD를 이용한 고해상도 컬러 화면 출력을 보장하고, 고해상도 화면 출력을 이용한 휴대폰용 게임도 많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휴대폰에 내장된 좁은 LCD 화면만으로는 사용자의 시각을 좁고 갑갑하게 하여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tren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is to ensure a high-resolution color screen output using the LCD, and a lot of games for mobile phones using a high resolution screen output has appear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narrow LCD screen embedded in the conventional mobile phone does not satisfy the user's desires by narrowing and sharpening the user's vision.

또한, 블루투스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의 경우에도 화상 출력용 자료를 블루투스의 피코넷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제외하고는 모두 단말기의 프로세서 내부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구동되므로, 화상자료의 해상도가 높을 경우 프로세서에 많은 부하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terminal capable of Bluetooth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image output data to the piconet of the Bluetooth, all except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re driven in software inside the processor of the terminal, so if the resolution of the image data is high, the processor There is a problem that gives a lot of loa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화상을 출력하고, 그 출력 화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출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uses a Bluetooth to output an image using a Bluetooth interfa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 the output image through an external display device. Its purpose is to provide an image output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terminal.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와; 상기 프레임 버퍼에 버퍼링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수단의 종류에 따라 해당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하는 디코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Bluetooth interface means for receiving digital image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eans; A frame buffer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the digital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interface means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And decoder means for converting the digital image data buffered in the frame buffer into a corresponding video format according to the type of external display means.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화면 출력을 위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screen output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Bluetooth communication func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 출력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using Bluetooth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300 :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 301 : 영상 엔코더300: Bluetooth master module 301: video encoder

302,303 : 블루투스 통신 모듈 304 : 영상 디코더302303: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04: video decoder

305 :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 306 : 프레임 버퍼305: Bluetooth slave module 306: frame buffer

307 : 제1 컨버터 308 : 디에이 컨버터307: first converter 308: die converter

309 : 제2 컨버터309: second convert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입력받아, 티브이와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다양한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특징이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igital image data output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utput to the outside through a Bluetooth interface, and the image data can be continuously input using a Bluetooth protocol and displayed through an external display means such as a TV. It features so that it can be converted to various video formats and output.

즉, 본 발명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비디오 디코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디코더 사이에는 블루투스 피코 넷(Pico-net)이 형성되어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연속적인 동화상의 출력이 상기 디코더 장치 사이에서 가능해진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luetooth interface means for outputting digital image data and a video decoder device having Bluetooth interface means for receiving digital image data from the terminal. A Bluetooth pico-net is formed in the device to enable image data communication using the Bluetooth protocol, and to output continuous moving images between the decoder devices.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블루투스 통신 수단과 다양한 비디오 포맷 디코더를 구비한 장치라고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be a device having Bluetooth communication means and various video format decoder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화상 출력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에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하고, 단말기의 프레임 버퍼(101)에 버퍼링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구비된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300) 및 통신 모듈(302)을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300)과 블루투스 통신 모듈(302) 사이에는 영상 엔코더(301)가 더 포함된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image output apparatus using Bluetooth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Bluetooth master module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outputting digital image data to the outside. And output the digital image data buffered in the frame buffer 101 of the terminal through the Bluetooth master module 3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02. In this case, an image encoder 301 is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Bluetooth master module 300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02.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비디오 디코더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해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303)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303)을 통해 수신한 화상을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304)와, 상기 블루투스 프로토콜 형태의 디지털 화상자료를 해석하는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305)과, 상기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305)을 통해 입력받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306)와, 상기 프레임 버퍼(306)에 버퍼링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직/수평 동기 및 컬러 신호로 변환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1 컨버터(307)와, 상기 수직/수평 동기 및 컬러 신호에 의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화상으로 변환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디에이 컨버터(308)와, 상기 디에이 컨버터(308)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를 S-Video 포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제2 컨버터(30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Referring to FIG. 3, the video decod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codes a pictur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03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03 for receiving digital image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Bluetooth protocol. An image decoder 304, a Bluetooth slave module 305 for interpreting the digital image data of the Bluetooth protocol type, and a digital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slave module 305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A frame buffer 306, a first converter 307 for converting digital image data buffered in the frame buffer 306 into digital data converted into vertical / horizontal synchronization and color signals, and the vertical / horizontal synchronization and color Convert digital image data by signals to analog images and output them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Constitute including dieyi converter 308 and second converter 309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an analog image data converted in the dieyi converter 308 to S-Video format.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 및 마스터/슬레이브 모듈은, 단말기와 비디오 디코더 장치간의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으로써, 추후 더 고속의 통신 인터페이스로 변환 및 응용이 가능하다.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master / slave module are communication interface means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video decoder device, and can be converted and applied to a higher speed communication interface later.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300)은 프레임 버퍼(101)에 담긴 디지털 형태의 화상자료를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해 블루투스 피코 넷으로 출력한다. 블루투스 피코 넷을 통해 전송된 블루투스 프로토콜 형태의 디지털 화상자료는 연속적으로 비디오 디코더의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305)로 입력되고,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305)은 이 블루투스 프로토콜 형태의 디지털 화상자료를 해석하여 자체 프레임 버퍼(306)에 보관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luetooth master module 300 continuously operates the digital image data contained in the frame buffer 101 to output to the Bluetooth piconet using the Bluetooth protocol. The digital video data of the Bluetooth protocol type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piconet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Bluetooth slave module 305 of the video decoder. It is stored in the buffer 306.

그리고, 블루투스 피코 넷을 형성하여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할 경우, 사용 가능한 대역폭은 1Mbps 이하이다. 이것은 QCIF 크기의 화면을 전송하는 데에는 충분하지만, 그보다 큰 화면을 전송할 경우에는 상당히 부족하다. 그래서, 대역폭이 감당할 수 없는 화면을 연속적으로 전송할 경우,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300)과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305)은 각각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using the Bluetooth protoc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by forming a Bluetooth piconet, the available bandwidth is 1Mbps or less. This is enough to send a QCIF sized screen, but it is quite lacking when sending a larger screen. Thus, when continuously transmitting a screen that cannot handle the bandwidth, the Bluetooth master module 300 and the Bluetooth slave module 305 respectively compress and transmit the image data.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단말기로부터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동작할 수 없기 때문에, 자체적인 전원장치(310)를 내장하게 되는데, 이것은 배터리를 이용하거나 외부 전원장치(교류-직류 어댑터)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the video decoder is wirelessly connected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video decoder cannot operate by directly receiving power from the terminal, the video decoder has its own power supply 310, which uses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upply. Power supply using a direct current adapter).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단말기의 블루투스 마스터 모듈(300)은 프레임 버퍼(101)에 담긴 디지털 형태의 화상 데이터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이용해 영상 엔코더(301)와 블루투스 통신 모듈(302)을 통해 연속적으로 출력한다.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블루투스 통신 모듈(303)을 통해 영상 디코더(304)를 거쳐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305)로 입력된다.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305)은 이 블루투스 프로토콜 형태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자체 프레임 버퍼(306)에 보관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luetooth master module 300 of the terminal continuously outputs digital image data contained in the frame buffer 101 through the image encoder 301 and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02 using the Bluetooth protocol. . Digital image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interface is continuously input to the Bluetooth slave module 305 via the image decoder 304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303. The Bluetooth slave module 305 interprets the digital image data of the Bluetooth protocol type and stores it in its own frame buffer 306.

다음, 상기 프레임 버퍼(306)에 보관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는 디지털 출력을 위해서는 자체 프레임 버퍼의 데이터를 출력하게 되고, 아날로그 RGB와 컴포넌트(Component)를 위해서는 자체 프레임 버퍼(306)의 자료를 컬러 공간 변환과 디에이 변환, 그리고 수직동기 신호와 수평동기 신호의 발생을 통해 출력한다.Next, the digital image data stored in the frame buffer 306 outputs data of its own frame buffer for digital output, and converts the color space data of its own frame buffer 306 for analog RGB and components. The output signal is generated through the DMA conversion,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그리고, RCA와 S-Video를 위해서는 상기 아날로그 RGB를 위한 출력신호를 제2 컨버터(309)를 통해 해당 비디오 포맷에 맞도록 다시 한번 변환하여 출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디코더는 디지털 출력(DVI), 아날로그 RGB(D-Sub), 컴포넌트, RCA(Composite), S-Video를 위한 출력들을 제공한다.For the RCA and S-Video, the output signal for the analog RGB is converted once again to match the video format through the second converter 309 and output. In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ideo decoder provides outputs for digital output (DVI), analog RGB (D-Sub), component, RCA (Composite), S-Video.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표준 화상 출력 단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됨으로써, 여러 형태의 고해상도 외부 디스플레이 수단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게임 화면을 컴포넌트 단자나 RCA 단자, S-Video 단자를 통해 대형 TV 화면에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단말기를 가정용 게임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ndard image output terminal interface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various types of high resolution external display means can be mounted. Accordingly, the game screen operating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output to the large TV screen through the component terminal, the RCA terminal, and the S-Video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 home game machine.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동작하는 인터넷 웹 브라우저 화면을 DVI 단자나 D-sub 단자를 통해 고해상도 모니터에 출력함으로써,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인터넷 단말기 대용으로 사용하거나 프리젠테이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outputting the Internet web browser screen running on the mobile terminal to the high-definition monitor through the DVI terminal or the D-sub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the Internet terminal or for presentation purpos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출력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화상을 출력하고, 그 출력 화상을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mage output devi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luetoo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outputting an image using the Bluetooth interfac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outputting the output image through an external display device.

Claims (3)

블루투스 통신 수단을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수단과;Bluetooth interface means for receiving digital image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luetooth communication means;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입력받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버퍼링하여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기 위한 프레임 버퍼와;A frame buffer for buffering and outputting the digital image data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interface means to an external display device; 상기 프레임 버퍼에 버퍼링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외부 디스플레이 수단의 종류에 따라 해당 비디오 포맷으로 변환하는 디코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출력 장치.And decoder means for converting the digital image data buffered in the frame buffer into a corresponding video format according to the type of external display mea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더 수단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직/수평 동기 신호의 발생 및 컬러 공간(Color Space) 변환, 디에이 변환 등을 위한 다수의 컨버터 및 디에이 변환기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출력 장치.The Bluetooth device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decoder means comprises a plurality of converters and a De-D converter for generation of vertical /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s, color space conversion, and die conversion. Image out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수단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한 화상을 디코딩하는 영상 디코더와, 상기 블루투스 프로토콜 형태의 디지털 화상자료를 해석하는 블루투스 슬레이브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화상 출력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uetooth interface means comprise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digital image data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 image decoder for decoding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 digital image in the form of the Bluetooth protocol. An image output devi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luetooth, comprising a Bluetooth slave module for interpreting data.
KR1020030009496A 2003-02-14 2003-02-14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KR2004007378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496A KR20040073784A (en) 2003-02-14 2003-02-14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496A KR20040073784A (en) 2003-02-14 2003-02-14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784A true KR20040073784A (en) 2004-08-21

Family

ID=37360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496A KR20040073784A (en) 2003-02-14 2003-02-14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784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956B1 (en) * 2005-01-25 2007-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for moving picture and method thereof
KR100853783B1 (en) * 2008-01-14 2008-08-25 벨록스소프트(주) System for operating projector associated with mobile device
WO2009088365A1 (en) * 2008-01-04 2009-07-16 Jook,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956B1 (en) * 2005-01-25 2007-03-0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for moving picture and method thereof
WO2009088365A1 (en) * 2008-01-04 2009-07-16 Jook,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0853783B1 (en) * 2008-01-14 2008-08-25 벨록스소프트(주) System for operating projector associated with mobi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9531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multimedia information from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TWI520050B (en) Display controller, screen transfer device, and screen transfer method
US2010021650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iv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Using a Mobile Phone Device
CN102740076B (en) Wireless micro-display system
KR1008261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digital broadcasting in Mobile Phone
CN1210947C (en) Ce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emera device
KR100650251B1 (en) Handset having image processing function and method therefor
JPH10200960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N112351234A (en) Intelligent near-eye display device, system and extended display method
KR20040073784A (en)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bluetooth
WO2007074947A1 (en) Image display device, portable telephone, display method and display program
US11605328B2 (en) Split-type display system
KR100930562B1 (en) External image output de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39948A (en) Outside type video output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527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hancing image qu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18125B1 (en) Business method for monitoring multi-media playback by television and the mobile terminal therefor
CN213426310U (en) Intelligent near-to-eye display device and system
KR20030019773A (en) Hands free set with lcd monitor
KR20030008358A (en) Video display apparatus using radio communication
CN114268824A (en) Separated display system
KR20040106658A (en) High speed preview method of image data
KR20040045135A (en) Method for display/transmission of external image in mobile phone
KR20080024303A (en) Portable terminal
KR20050009778A (en) Apparatus for outputting a/v signal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66968A (en) Handset for displaying vidio in plural number of lc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