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3402A -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3402A
KR20040073402A KR1020040013942A KR20040013942A KR20040073402A KR 20040073402 A KR20040073402 A KR 20040073402A KR 1020040013942 A KR1020040013942 A KR 1020040013942A KR 20040013942 A KR20040013942 A KR 20040013942A KR 20040073402 A KR20040073402 A KR 20040073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ection
input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영민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양영민
김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영민, 김기현 filed Critical 양영민
Priority to KR1020040013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3402A/en
Publication of KR20040073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402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PURPOSE: A device and a method for offering the repetitive learning using the selective or divided playback of a moving image or a sound source are provided to maximize a learning effect by making a learner review a desired part from the contents of a moving image file, and minimize the time for searching the desired part from the moving image file. CONSTITUTION: A server(100) comprises a file database storing the moving image or sound source file having an ID by each section, the ID, and the division information, an input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the user information and the playback or input information of each section in the moving image or sound source file of each user, and a controller. The controller receives the moving image or sound source file and the division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the file database, transmits the ID and an input menu if the user inputs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f the user selects the section and inputs a playback command, the controller transmits the data of the selected section.

Description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을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학습이해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복습을 원하는 부분, 틀린 문제 또는 중요하다고 표시한 부분만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표시하고, 상기 표시를 통하여 선정되어진 원하는 부분만을 반복적으로 서버와 접속된 상태에서 학습하거나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학습할 수 있고, 별도의 검색을 진행할 필요가 없어 동영상 검색에 따른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학습용 프로그램 제작자에 의하여 공급되어지는 동일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만의 맞춤 오답노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내용을 학습진행에 대한 정보로 활용하여 서버내의 학습진행도 파악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 개인별 학습진행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취약점에 대처하는 학습능력개발 프로그램을 진행하도록 하여 개인별 맞춤학습지도를 통한 학습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와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petitive learning service using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and more specifically, to classify a video or sound source for learning by a user's desired unit and reviewing the user according t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user. Mark only the desired part, wrong problem or the part that is marked as importan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only the desired part selected through the display can be repeatedly learned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erver or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can be separately There is no need to proceed with the search to reduce the time wasted according to the video search, it is possible to create a custom incorrect note for each user for the same video file supplied by the learning program maker, the user's selection To use as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process Identifying the progress of learning for each individual by the program of learning progress in the server and conducting the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program to cope with the weakness according to the video or sound source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through personalized learning i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peti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a learning method using reproduction.

정보화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학습방법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학습방법으로서 동영상을 통한 동영상학습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방법을 통하여 시간과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수준 높은 교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VOD서비스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경우에는 서비스업자가 제공하는 동영상 파일이 학습내용에 따라 구분되어 있지 않거나, 구분되어진 경우에도 서비스업자가 일방적으로 정한 틀에 따라 구분이 되어 있어서 자신이 접속하여 재생시킨 VOD 파일로 공부를 마친 후에 복습을 하기 위해서는 동영상학습에 제공되는 동영상파일의 경우, 동영상 내부에 자신이 원하는 내용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그 중에서 중요한 부분, 자신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나 틀린 문제를 일일이 찾아가면서 다시 복습하여야 하므로 상기 해당 부분을 찾아내기 위하여 일일이 전 파일을 찾아보아야 하고, 원하는 부분의 시작점을 정확히 찾아내지 못함에 따라 시작점 근처의 앞뒤를 반복적으로 검색하게 되어 검색만으로도 학습자의 학습의욕을 떨어뜨리고, 시간을 낭비하게되어 원하는 부분만을 빠른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집중하여 정리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learning methods are also changing. This change is mainly a learning method through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nd video learning through video is widely used. Through the above method,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 high quality education service can be provid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pla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general VOD service, the video files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are not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s, or even if they are classified, they are classified according to a unilaterally determined frame by the service provider. In order to review after studying with a file, the video file provided in the video learning, because you can not know where the desired content is located inside the video,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important parts, parts that you do not understand well or wrong problems Since you have to go back to review one by one, you have to search all the files one by one in order to find the relevant part, and because you can't find the starting point of the part you want, it searches repeatedly before and after the starting point.Dropping Uh, it is a waste of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cleaned effectively concentrate within the desired area only a short time.

또한 일부 VOD서비스의 경우는 각 문제별로 구분한 풀다운 메뉴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동영상파일을 각각 완전히 분리하여 구성한 것으로 각 문제중 하나의 문제만을 재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방법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다수의 문제를 선택하여 선택되어진 문제만을 연속적으로 재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다수의 문제에 대한 풀이를 보기 위해서는 한 문제를 실행하고 난 뒤에 다시 본 메뉴로 돌아와서 다음 문제를 선정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즉, 상기의 과정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메뉴화면의 재로딩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각각의 문제 재생을 위하여 별도의 버퍼링시간이 소요되어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많은 문제를 다루지 않아도 되는 교육 프로그램에서는 가능할 수도 있으나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대입수능준비를 위하여 많은 양의 문제를 각 과목별로 다루어야 하므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진행하는 경우에 그 시간적 낭비는 더욱 심해진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some VOD services may provide pull-down menus for each problem. In this case, however, the video files are completely separated from each other. Does not occu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you can not play back only the problems selected by selecting a plurality of problems, and to see the solution to a plurality of problems, after running one problem, you must return to this menu and select the next problem. In other words, when the above process is performed, a considerable time is required for reloading the menu screen, and a separate buffering time is required for reproducing each problem, thereby preventing learning from being performed efficiently. This problem may be possible in educational programs that do not deal with many problems, such as kindergarten or elementary school education programs. However, in the case of high school, a large amount of problems must be dealt with for each subject to prepare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s. The waste of time gets worse.

이외에 종래의 VOD서비스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경우에는 주어진 전체 내용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으로 이루어진 동영상을 별도로 얻을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 경우에 있어서는 동영상의 분할 또는 인덱싱(indexing)이 동영상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나누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곳을 기준으로 동영상 파일을 구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conventional VOD service, it is not possible to separately obtain a video consisting of only the desired part of the given contents, and in this case, the segmentation or indexing of the video is divid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video produc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 not distinguish the video file based on the user wants.

또한 학습자가 복습을 하는 경우에 각 구분되어진 부분에 대하여 추가적인 정보의 기록을 할 수 없으므로 자신만의 학습도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learner reviews, additional information cannot be recorded for each divided part, and thu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rner does not have a sufficient role as a learning tool.

특히, 상기 동영상파일이 문제풀이에 관한 경우에는 각각의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방법을 제공하는 정도에서 동영상파일의 제공효과가 끝나고 있으며, 개별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를 평가하고 향후 개선점의 모색을 위하여 각 문제에 대한 개인별 정/오답 여부에 대한 정보를 활용한 취약점 파악 및 관련문제 또는 관련자료 제공을 통한 학습효과 개선 및 이해도 향상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when the video file is related to problem solving, the effect of providing the video file is finished to the extent that the problem solving method for each problem is provided, and each problem is evaluated to evaluate the learning comprehension of individual learners and to seek for further improvement. There is no improvement in learning effect and understanding through identifying vulnerabilities and providing related problems or related materials by using information on whether each person is correct or incorrect.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학습용 동영상파일의 내용중에서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에 따른 필요에 따라 원하는 부분만을 골라 복습하여 학습효과를 최대화하도록 하는 학습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ervice device and method for maximizing the learning effect by reviewing only the desired portion of the contents of the video file for learning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The purpose.

또한 본 발명은 학습용 동영상 파일의 내용중에서 학습자가 원하는 부분만을 골라 학습하는 경우에 원하는 부분을 탐색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arn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minimizing a time for searching for a desired part when a learner selects only a desired part among contents of a learning video file.

또한 본 발명은 학습자가 학습용 동영상파일의 내용중 어떤 구간을 선정하여 재생하였는지 또는 해당 구간에 어떤 정보를 입력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earning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allowing a learner to utilize the information on which s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video file for learning to play or what information is input to the section as information to improve learning efficiency For the purpose 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의 시스템 개략도이다.1 is a system schematic diagram of an itera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의 서버에 대한 시스템 개략도이다.2 is a system schematic diagram of a server of an itera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video division and selective playb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의 사용자단말기에 대한 시스템 개략도이다.3 is a system schematic diagram of a user terminal of an itera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video division and selective playba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의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viding an iterative learning service using video division and selective play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방법에 이용되는 식별자 및 입력정보의 입력예이다.5 is an example of input of an identifier and input information used in the iterative learning method using video division and selective play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에 적용되는 전용 사용자단말기의 일 실시예이다.6 is an embodiment of a dedicated user terminal applied to the repeat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video division and selective playba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서버 110 : 사용자 단말기100: server 110: user terminal

120 : 메모리 카드 130 : 전용단말기120: memory card 130: dedicated terminal

140 : 표시장치 150 : 입력부140: display device 150: input uni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ⅰ) 임의로 구분되고 각 구분된 구간별로 식별자를 가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저장한 파일 데이터베이스, ⅱ)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별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내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를 저장한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ⅲ)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영상 또는 음원파일 및 상기 파일의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각 구간중 일정구간을 임의로 선정하고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서버;Iii) a file database storing a learning video or sound source file having an identifier for each section, which is arbitrarily divided, and an identifi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i) stor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playback or input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in the video or sound file for each subscriber. An input information database and i) receive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the file database, and when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ransmit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and the user If a predetermined section is arbitrarily selected from each of the representative sections and a playback command is input, the section of the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to transmit data to play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Having control unit to control Burr;

ⅰ)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관련 데이터를 받기 위한 데이터입력부, ⅱ) 사용자로부터 상기 구간선정 관련 명령 및 입력정보를 받기 위한 입력부, ⅲ)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식별자, 입력메뉴 또는 입력결과를 포함하는 출력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ⅳ) 상기 입력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저장출력부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Iii)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relevant data of a training video or sound source file from the file database; ii)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ection selection related command and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iii) the video or sound source, an identifier, an input menu or an input.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output including a result; and i) a user terminal having a storage output unit for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And

상기 서버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It provides an itera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etwork connecting the server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은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임의로 구분되고 각 구분된 구간별로 식별자를 가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저장한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영상 또는 음원파일 및 상기 파일의 구분정보를 입력받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d division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a file database storing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 identifier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randomly distinguishing each section;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to display on the user terminal when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각 구간중 일정구간을 임의로 선정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in which a user arbitrarily selects a predetermined section from each section represented by the identifier;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 및A fourth step of, when a playback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selecting a section of a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to play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ection; And

상기 데이터를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을 재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And a fifth step of reproducing the video or sound source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data.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는 ⅰ) 임의로 구분되고 각 구분된 구간별로 식별자를 가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저장한 파일 데이터베이스, ⅱ)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별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내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를 저장한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ⅲ)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영상 또는 음원파일 및 상기 파일의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각 구간중 일정구간을 임의로 선정하고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서버와 ⅰ)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관련 데이터를 받기 위한 데이터입력부, ⅱ) 사용자로부터 상기구간선정 관련 명령 및 입력정보를 받기 위한 입력부, ⅲ)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식별자, 입력메뉴 또는 입력결과를 포함하는 출력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ⅳ) 상기 입력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저장출력부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서버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Repeti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ii) a randomly divided and a video database for storing a video or sound file having an identifier for each divided section, and a database and ii) subscriber information, ii) subscribers An input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information and playback or input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in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for each subscriber and iii) receiving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the file database, and receiving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from a user. When inputted,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are transmitted, and when a user arbitrarily selects a certain section of each section represented by the identifier and a playback command is input, a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selected by the user By selecting the interval of the selected A server having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data to play only a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and iii)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related data of a learning video or sound file from the file database; ii) a command and in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ction selection from a user. A user terminal hav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input, i)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output content including the video or sound source, an identifier, an input menu or an input result, and i) a storage output unit for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server. And a network connecting the server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도 1 내지 도 3에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시스템 개략도를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제공장치는 인터넷, LAN, VAN 등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로 구성된다. 상기 네트워크는 공지의 사용 가능한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기가 사용되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개인용 컴퓨터나 네트워크 기능을 가진 휴대폰, PDA 또는 본 발명의 서비스제공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전용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o FIG. 3, a system schematic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repeating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the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is provided.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s a server connected to a network such as the Internet, a LAN, and a VAN. And a user terminal. The network may utilize a known usabl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user terminal may be a terminal of various types, preferably a personal computer or a mobile phone having a network function, a PDA, or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dicated terminal can be used.

상기 서버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일 DB 및 입력정보 DB를 서버내에 저장하여 구성되며, 상기 DB를 활용하여 가입자의 선정구간만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진다. 또한, 가입자에게 별도의 학습향상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학습진행도 파악 DB 또는 학습능력개발 DB와 이에 대한 학습향상제어모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상술토록 한다.)As shown in FIG. 2, the server is configured to store a file DB and an input information DB in the server, and includes a controller for providing only a selected section of a subscriber by using the DB. In addition, in the case of conducting a separate learning improvement program to the subscriber, the learning progress degree DB or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B and learning improvement control module for this may be further included as necessary. do.)

즉, 상기 파일 DB는 임의로 구분되고 각 구분된 구간별로 식별자를 가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과 상기 구분된 각 구간의 식별토록 하는 식별자 및구분방법에 따른 구간을 특정할 수 있는 구분정보를 저장하는 형태로 구성하거나,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은 별도의 서버내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파일 DB에는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등록정보만을 저장하는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영상 파일은 AVI, WMV, ASF 또는 MPEG1, MPEG2, MPEG3 또는 MPEG4 등의 다양한 사용 가능한 공지의 동영상 포맷의 형식을 가지는 동영상파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가입자가 다운로드를 받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PC용 동영상파일, VCD, SVCD, DVD, DviX 등의 공지의 사용 가능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어질 수 있고, 음원 파일의 경우에는 WAV, MP3 또는 MVA 등의 다양한 포맷의 음원 파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음원 파일을 오디오를 통한 학습프로그램으로서 음원으로만 제작된 경우가 일반적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동영상파일의 음원부분만을 분리하여 형성된 음원인 것일 수도 있다. 가입자는 서버에서는 동영상 파일을 선택하고 실제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동영상파일내의 음원만을 재생하도록 하거나,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That is, the file DB stores a learning video or sound source file having an arbitrarily divided and identifier for each divided section,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of the divided sections and the section information for specifying the sec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method. Alternatively, the video or sound file may be stored in a separate server storage unit, and the file DB may be configured to store only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video or sound file. In addition, the video file may be a AVI, WMV, ASF, or a video file having a variety of well-known video formats, such as MPEG1, MPEG2, MPEG3 or MPEG4, can be used, if the subscriber is downloaded and used PC video files, VCD, SVCD, DVD, DviX can be provided in a variety of known and available forms, in the case of a sound source file may be used in a variety of formats, such as WAV, MP3 or MVA. A sound source file is generally produced as a sound source as a learning program through audio, but in some cases, the sound source file may be a sound source formed by separating only a sound source portion of the video file. The subscriber can select a video file at the server and play or download only the sound source in the video file at the actual user terminal.

여기서 상기 동영상파일의 구분은 사용자가 파일의 내용에 따라 원하는 부분에서 동영상파일을 구분할 수도 있고, 서비스제공자가 파일의 내용에 따라 세분하여 구분할 수도 있다. 상기 구분의 기준은 상기 동영상파일이 교육용 프로그램인 경우에 각 교육용 프로그램의 각 단원 또는 소단원 또는 단락별로 구분할 수 있고, 특히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이 문제풀이에 관한 것일 때에는 각 문항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분의 방법으로는 동영상파일 자체를 각 구분별로 분할하고 분할된 파일을 태깅하여 그룹화 하거나, 동영상파일은 그대로 보존하고 사용자가 구분하고자 하는 부분을 러닝타임 기준으로 인덱싱(indexing)하거나 플래그 삽입 또는 오소링(authoring)하는 방법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ideo file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file by the user, or the service provider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fil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may be classified by each unit, subsection, or paragraph of each educational program when the video file is an educational program, and may be classified by each item, in particular, when the educational program relates to problem solving. As the method of division, the video file itself is divided into each division and the divided files are tagged and grouped, or the video file is preserved as it is, and the portion that the user wants to distinguish is indexed (indexing) or flag insertion or authoring based on the running time. Various known methods, such as an authoring method, can be applied.

따라서 상기 구분방법을 통하여 구분된 각 구간은 가입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가 설정하거나 파일구분 프로그램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식별자를 가지도록 하여 각 구간을 구별하도록 하며, 각 구간의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정보 또는 분할된 각 구간의 파일 정보를 포함하는 구분정보에 의하여 구분내용을 특정하게된다.Therefore, each section divided by the classification method has an identifier that is set by the subscriber or service provider or generated by itself in the file classification program, so as to distinguish each section, and information or partition for identifying the section of each section. The division content is specified by the divis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file information of each section.

또한, 상기 입력정보 DB는 가입자가 초기에 가입시 입력한 가입자명, 성별, 나이, 각 과목별 성적 등을 포함한 가입자 정보와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재생시 어떤 구간을 선정하여 재생하였는지, 또는 어떤 문제풀이 구간을 재생하였는지, 또는 문제풀이의 경우에는 정답여부를 입력하도록 하여 어떤 문제가 자주 틀리는지 등의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내 구간별 선정 및 재생여부 및 입력정보를 각 가입자별로 저장한다. 상기의 DB에 저장된 정보는 각 가입자별 학습진행도를 평가하거나, 가입자가 미리 정해놓은 학습자 유형중에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등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버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입력정보 DB의 값에 따라 가입자별 학습진행도 및 유형 파악을 위한 데이터 저장된 학습진행도 파악 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원별 문제중에서 정답률을 평가하여 각 단원별 진행도를 파악할 수 있고, 1차 재생시와 2차 재생시의 문제풀이의 정답률의 변화를 파악하여 이해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학습자인지, 초기이해는 빠르나 이후에 이해도 증가가 느린 학습자인지 등을 파악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information DB, the subscriber information including the subscriber's name, gender, age, grades for each subject, etc. entered at the time of the subscriber's initial registration, and what section was selected and played during the playback of the video or sound file, or what problem If the pool has played the section, or in the case of problem solving to enter the correct answer whether the problem is often wrong, such as the selection in the video or sound file for each section and whether to play and input information is stored for each subscriber.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learning progress for each subscriber or for evaluating which type among learner types predetermined by the subscriber. Therefore,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data storage learning progress determination DB for identifying the learning progress and type for each subscriber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input information DB as necessar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grasp the progress of each unit by evaluating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mong the problems of each unit, and to understand the change in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of problem solving during the first and second regenerations. This can be used to identify whether or not learners are slow in understanding.

상기 학습진행도 파악 DB를 활용하여 파악된 가입자별 학습진행도 또는 학습자 유형정보는 상기 정보와 상기 정보에 따라 각 가입자에게 어떤 추가 교육자료가 필요한 지를 대응시키는 데이터와 상기 추가 교육자료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능력개발 DB를 통하여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관련 교육자료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서버는 이와 같은 학습능력개발 DB도 필요에 따라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B의 구체적인 예로는 가입자가 수학의 2차 방정식 부분에서의 오답률이 다른 단원에 비하여 높은 경우에는 2차 방정식관련 문제를 집중적으로 가입자에게 더 제공하거나, 2차 방정식에 관하여는 더욱 쉽게 설명하는 낮은 수준의 학습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입자가 대기만성형인 경우에는 일반 가입자보다 처음에는 낮은 수준의 문제를 더 많이 제공하는 등의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The learning progress or learner type information for each subscriber identified using the learning progress grasp DB stores data corresponding to what additional educational materials are required for each subscriber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and the additional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e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B, it is possible to supply effective related educational materials to learners. Therefore,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such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B as needed. As a specific example of the DB, if the subscriber has a higher rate of incorrect answers in the quadratic equation part of the mathematics than the other units, the subscriber will be able to concentrate more on the quadratic equation-related problem or more easily describe the quadratic equation. The level of learning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a level of learning program, and if the subscriber is atmospheric, personalized training can be provided, such as providing more of a lower level of problems at first than a general subscrib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일 DB를 통하여 입력된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및 상기 파일의 구분된 각 구간의 식별자와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각 구간중 일정구간을 임의로 선정하고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는 구체적으로 도 4에 본 발명의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 바와 같다.The controller receives the video or sound file input through the file DB and the identifier and the distinguishing information of each section of the file, and if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are input to the user. If the user transmits through the network through the network, and the user arbitrarily selects a certain section of each section represented by the identifier and a playback command is input, the section of the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And a module for transmitting data to play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Specifically, the process is illustrated in FIG. 4 a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n iterative learning method using video division and selective playback.

여기서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구분을 사용자가 진행하는 경우는 사용자가 파일의 내용에 따라 원하는 부분에서 동영상파일을 구분하는 것으로 구분의 기준은 상기 동영상파일이 교육용 프로그램인 경우에 각 교육용 프로그램의 각 단원 또는 소단원 또는 단락별로 구분할 수 있고, 특히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이 문제풀이에 관한 것일 때에는 각 문항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분의 방법으로는 동영상파일 자체를 각 구분별로 분할하고 분할된 파일을 태깅(tagging)하여 그룹화 하거나, 동영상파일은 그대로 보존하고 사용자가 구분하고자 하는 부분을 러닝타임 기준으로 인덱싱하거나 플래그 삽입 또는 오소링하는 방법 등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user proceeds to classify the video or sound file, the user classifies the video file in the desired part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file. The standard of classification is that each unit of each educational program when the video file is an educational program. Or it can be divided into subsections or paragraphs, and in particular, when the educational program is related to problem solving can be divided by each item. As the method of division, the video file itself is divided by each division, and the divided files are tagged and tagged, or the video files are preserved as they are, and the portion that the user wants to distinguish is indexed based on the running time or the flag is inserted or authored. Various well-known methods, such as a method, can be applied.

상기 방법으로 구분되어진 각각의 구간에 대하여는 각 구간을 식별하기 위하여 각 구간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지정한다. 상기 식별자의 지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식별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식별자 입력메뉴를 제공하고 별도로 사용자가 입력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에서 임의로 동영상파일의 내용 또는 임의의 일련의 번호를 이용하여 임의로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생성된 식별자와 각 식별자에 대응되는 구간에 대한 정보를 상기 파일 DB에 저장한다. 특히, 상기 동영상파일의 구분이 단원별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식별자는 각 단원의 단원명 또는 단원번호가 될 수 있고, 문항별로 구분된 경우에는 문항번호가 식별자로서 이용되어질 수 있다.For each section divided by the above method, an identifier corresponding to each section is designated to identify each section. In the designation of the identifier, if the user wants to input the desired identifier, the identifier input menu is provided. If the user does not want to input separately, the control unit arbitrarily uses the contents of the video file or a random serial number. The identifiers ar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identifiers and information on the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s are stored in the file DB. In particular, when the division of the video file is divided into units, the identifier may be a unit name or a unit number of each unit, and when an item is divided by items, an item number may be used as an identifier.

상기 식별자의 지정이 완료되거나 이미 서비스 제공자가 파일내용의 구분 및 식별자 지정을 완료한 후, 각 식별자에 따라 구분된 동영상파일에 있어서 사용자는첫 회에는 상기 동영상파일 전체를 재생하여 학습을 하게되고, 이후에는 원하는 부분만을 학습하고자 할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에 반복학습을 원하는 구간을 선정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장치에 정보입력모드 명령을 입력하게 되고, 상기 명령에 따라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는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정보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메뉴를 전송하게 된다.After the designation of the identifier is completed or the service provider completes the classification of the file contents and the designation of the identifier, the user first learns by playing the entire video file in the video file classified according to each identifier. After that, you will want to learn only what you want. Accordingly, a user inputs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to the device to input information for selecting a section for which the repeat learning is desired for the repeti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device. The input menu for receiving information input is transmitted.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표시에 따라 각 구간을 식별자를 통하여 인식하고 재생을 원하는 구간을 단순히 선택하는 것으로 원하는 구간의 재생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입력정보는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일정구간에 대응되는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정구간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상기 입력정보 DB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정보의 선정과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선정된 구간만을 재생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입력정보에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순히 재생을 원하는 구간만을 선택하는 구간선택에 관한 정보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도 5에 일실시예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메뉴화면이 복습여부, 중요도, 부가메모의 존재여부 등으로 구분되어져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파일이 문제풀이에 관한 것인 경우에는 1번 틀린 경우, 2번 틀린 경우, 3번 틀린 경우 등에 따라 각각 입력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후에 '선택된 구간의 단순 재생만을 원한다'고 입력한 입력정보를 구간선정의 기준으로 하여 선정된 구간만 선택하여 재생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복습여부 선택여부나 중요도의 정도에 따라 일정 중요도 이상인 부분만을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도 있으며,2번 이상 틀린 문제에 한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obtain the result of playing the desired section by recognizing each section through the identifier according to the display and simply selecting the section to be played back. In addition, when the user input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ertain section represented by the identifier, the input information stores the input information in the input information DB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predetermined section, and stores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When a certain information is selected and a play command is inputted, only the selected section may be played. Of course, the input information may include only information on section selection for simply selecting a section to be reproduced as mentioned above. If necessary, the input menu screen is reviewed as illustrated in FIG. It can be divided into importance, presence of additional notes, and so on. In addition, if the video file is related to problem solving, it may be possible to input the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ase of 1 time wrong, 2 time wrong, 3 time wrong, and so on. Therefore, the user may select and play only the section selected based on the section selection criteria and input information input after 'I only want simple playback of the selected section', or in addi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review is selected or not, You can select and play only the part, or play it only for the wrong problem more than two times.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정보의 선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중 다수의 입력정보에 대한 조합을 통하여 선정할 수도 있다. 즉, '복습여부에서 복습하기로 한 부분이면서 2번 틀린 문제' 또는 중요도가 3 이상이고 부가메모가 있는 구간' 또는 '다시 보기를 선정하지 않은 것이고 중요도가 4이상인 구간'과 같이 연산자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정보의 조합에 맞는 구간만을 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select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of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information. In other words, you can use the operator to select 'review whether or not you have reviewed the problem 2 times wrong' or 'segment with importance 3 or more' or 'segment without reselection and 4 or more importance' Only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input information may be selected.

또한 상기 선정된 구간의 재생은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동영상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구간만을 재생하므로 일반적으로 분리되어져 있던 다수의 구간이 연속하여 재생되어진다. 상기 재생에 있어서 버퍼링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상기 선정된 동영상 구간의 재생을 위한 버퍼는 제1버퍼와 제2버퍼로 구분되고, 상기 동영상의 재생시 제1선정구간의 재생준비시 제1버퍼를 사용하며, 제1선정구간의 재생중에 제2버퍼에 제2선정구간을 버퍼링하고, 제2선정구간 재생시 제1버퍼에서 제3선정구간을 버퍼링하는 식으로 두 개의 버퍼를 구간별로 교대로 사용하여 버퍼링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yback of the selected section selects a section of the video corresponding thereto accor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including the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and plays only the selected video section. Is played back. In order to shorten the buffering time in the playback, the buffer for playing the selected video section is divided into a first buffer and a second buffer, and the first buffer is used when preparing to play the first selection section when the video is played. During the regeneration of the first selection section, the second buffer section is buffered in the second buffer, and when the second selection section is reproduced, the first buffer buffers the third selection section. It is desirable to buffer.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정보의 입력은 1차 오답여부, 2차 오답여부가 계속적으로 입력되어 사용자의 학습향상 정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제어부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영상의 재생중 또는 재생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입력메뉴를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과정 및 이후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input of the input information is whether or not the first and second errors are continuously input so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improvement of learning. As shown in FIG. When the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during or after the reproduction is completed,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isplay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on the display device and repeating the subsequent process.

또한 상기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는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선정구간을 재생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선정된 구간과 이에 관련된 정보만을 다운로드 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일의 일정구간을 다운로드한 경우에는 매 학습시마다 서버에 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다운로드 자료만으로 반복학습이 가능하나, 이에 상응하며 서버와 접속 없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제공되어져야한다. 또한 상기 다운로드된 동영상 및 식별자, 구분정보를 콤팩트디스크 등의 저장매체 저장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용단말기를 통하여 재생 및 입력정보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전용단말기에서의 입력정보는 휴대용 메모리카드를 통하여 다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peti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may not only play the selected section of the video or sound file, but also may download only the selected section and information related thereto. In case of downloading a certain period of the file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to the server at every learning, and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learning with only the download material. However, a separate program that performs the above function without accessing the server is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Should be In addition, the downloaded video, the identifier, and the classification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compact disc, and playback and input information may be input through a dedicated terminal as shown in FIG. 6. Input information from the dedicated terminal can be transmitted back to the server via a portable memory car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학습향상제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버의 관리자는 상기 사용자의 입력 또는 메모리 카드를 통하여 전송되어진 가입자 정보, 구간별 재생여부, 구간별 입력정보와 학습진행도 파악 DB를 이용한 전체적인 분석을 통하여 사용자가 자주 틀리는 문제 유형 또는 취약부분을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입자별 학습진행도 평가 또는 학습자 유형파악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과 및 학습능력개발 DB를 이용하여 상기 틀린 문제 유형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련문제를 별도로 제공하거나 관련자료를 링크해 줄 수 있고, 취약부분과 관련된 정리노트 또는 보충자료 등을 별도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사용자별 오답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과목별 개선 방안, 전체과목중 일정과목의 편중도, 개별과목내에서 단원별 취약점 분석 등의 성적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learning enhancement control module as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er is a problem type or weakness that is frequently missed by the user through the overall analysis us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whether to play by section, the input information by section and learning progress progress DB transmitted through the user's input or memory card Part can be identified, and accordingly, learning progress for each subscriber can be evaluated or learner type can be identified. In addition, by using the results and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B, you can separately provide related problems or link related materials that can help to solve the wrong problem type, and separately organize the cleanup notes or supplementary materials related to the vulnerable parts.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service provided, it is possible to finally provide a user-specific incorrect notes.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pu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grade management program such as improvement of each subject, the severity of the schedule subject among all subjects, and vulnerability analysis of each subject within each subject.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서버의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에게 공급되어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억세스하여 받을 수 있는 장치로서 네트워크 카드(LAN카드 등) 등의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입력부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ata input unit is a network card (LAN card, etc.) capable of accessing and receiving a learning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 identifier,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supplied to a user from a file database stored in a data storage unit of a server. Various types of data input units known in the art may be used.

사용자의 명령 및 입력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는 상기 구분된 구간에 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구간을 선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명령 및 각 구간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정보를 입력받는다. 상기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가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에는 키보드 및 마우스가 상기 입력부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가 전용 단말기인 경우에는 그 전용 단말기에 마련된 키 입력부가 이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for inputting a user's command and input information receives a command necessary for selecting a section desired by the user for the divided sections and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for each section. When the repeti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s a personal computer, a keyboard and a mouse may be used as the input unit, and when the repeti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s a dedicated terminal, a key input unit provided in the dedicated terminal may be used.

표시장치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동영상, 식별자, 입력메뉴 또는 입력결과 등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화면에 표시하며, 스피커를 통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컴퓨터의 모니터를 포함한 공지의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displays a moving image, an identifier, an input menu, or an input result recorded on the recording medium on a screen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the same, and outputs a voice signal through a speaker. Various types of display devices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저장출력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입력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서버에 다시 출력하기 위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것으로 통상의 메모리와 LAN카드를 통합하여 이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의 일정부분에 위치하는 메모리 또는 별도의 저장매체가 상기 저장출력부중 저장부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되어지는 정보만을 이동하거나, 휴대하기 간편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복학습 장치에 착탈이 가능한 휴대용 메모리 카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The storage output unit stores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from the user and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server for outputting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server. A memory or a separate storage medium located at a portion may be a storage unit of the storage output unit, and a portable memory card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repeating learning device may be used to move only the stored information or to make it easy to carry. It may be.

이외에 상기 각 부분 및 사용자 단말기 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내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개인용 컴퓨터 또는 전용단말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전용단말기의 일 실시예는 도 6과 같다. 도 5에 나타낸 전용단말기의 경우, 전용단말기는 CD 플레이어(상기 CD는 VCD, SVCD, DVD, DviX을 포함하고, CD-ROM, CD-R, CD-RW, CD-RAM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의 기능을 가지고 전면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영상과 음향을 제공하며, 전면에 키 입력부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동영상파일은 콤팩트디스크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반복학습 장치에 착탈되는 메모리 카드이고, 상기 메모리카드에 다수의 콤팩트디스크에 대응하는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control unit that can control each part and the entire user terminal. Specific examples of the user termina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ersonal computer or a dedicated terminal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process in the user terminal is embedded. An embodiment of the dedicated terminal is shown in FIG. In the case of the dedicated terminal shown in Figure 5, the dedicated terminal is a CD player (the CD includes VCD, SVCD, DVD, DviX, CD-ROM, CD-R, CD-RW, CD-RAM, etc. can be in various forms. It has a function of.) And provides image and sound through the front display, and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having a key input unit in the front. The video file may be stored in a compact disc, and the storage unit may be a memory card detachable from the repeating learning device, and the memory card may include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compact discs.

또한 상기 전용단말기에는 사전기능, MP3 플레이어, 휴대폰, 카메라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복합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edicated terminal can be combined with a variety of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dictionary function, MP3 player, mobile phone, camera.

또한 본 발명의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은In addition, the repeat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임의로 구분되고 각 구분된 구간별로 식별자를 가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저장한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영상 또는 음원파일 및 상기 파일의 구분정보를 입력받는 제1단계;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제2단계;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각 구간중 일정구간을 임의로 선정하는 제3단계;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을 재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first step of receiving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d division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a file database storing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 identifier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randomly distinguishing each section; 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to display on the user terminal when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A third step in which a user arbitrarily selects a predetermined section from each section represented by the identifier; A fourth step of, when a playback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selecting a section of a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to play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ection; And a fifth step of playing the video or sound source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data.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어부의 기술에서 기술한 바와 같고 도 4가 상기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의 일실시예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VOD 또는 AOD서비스 등에 적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controller, and FIG. 4 shows a flowchart of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repetitive learning service using the video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The method may be applied to a VOD or AOD service.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한 후에, 사용자가 일정구간에 자신의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정구간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입력정보의 선정과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에 대해서만 파일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다운로드 하도록 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in an input information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predetermined period when the user inputs his input information in a certain period after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If a predetermined input information and a playback command are input among the contents of the input information, a section of a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including the inpu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to select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data to reproduce only the file, and download the file, the identifier, and the distinguishing information only for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은 교육용 프로그램이며,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을 각 단원별 또는 각 풀이문항별로 구분하고, 상기 식별자는 각 단원명 또는 문항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입력정보는 각 구간별 재생여부, 복습여부, 1차 오답여부, 2차 오답여부, 중요도 또는 부가메모로 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정보의 선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중 다수의 입력정보에 대한 조합을 통하여 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재생중 또는 재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이후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ervice providing method, the video or sound source file is an educational program, and the educational program is divided by each unit or each pool item, and the identifier is configured to include each unit name or item number, and the input information is Each section may be played or not, reviewed, 1st incorrect answer, 2nd incorrect answer, importance or additional memo, and the selection of certain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of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is based on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It may be sele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input information, and as shown in FIG. 4, it is preferable to repeat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and subsequent processes during or after the reproduction is completed.

또한 상기 방법에 추가하여, 각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각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에 따른 학습진행도 평가 또는 학습자 유형파악을 위한 기초자료가 저장된 학습진행도 파악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고, 상기 학습진행도 또는 학습자 유형에 따른 관련 교육자료를 저장한 학습능력개발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고, 상기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각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진행도 파악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진행도 또는 학습자 유형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학습능력개발 데이터베이스의 관련 교육자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여 가입자의 학습능력 향상을 도울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o create a learning progress database for storing the learning progress evaluation or learning data based on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whether to play each section or input information or to determine the learner type, the learning progress diagram Or create a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atabase storing the relevant educational material according to the learner type, and receives the subscriber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whether to play each section or in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information database to obtain the data of the learning progress grasp database It can be configured to identify the learning progress or learner type, and to provide the user terminal with the relevant educational material of the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atabase based on the identified content to help improve the learning ability of the subscriber.

상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예는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A detailed operatio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TV 또는 인터넷으로 방송되는 교육용 프로그램에서 문제풀이를 실시하는 동영상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먼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가입자 정보를 입력하고가입절차를 진행하고 추후 로그인을 통하여 상기 서버에 접속하고 학습내용을 선정한 후 이와 관련된 동영상 이용을 의뢰한다. 상기 동영상 파일은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에 제공되어지고 사용자는 상기 동영상파일을 문항별로 구분하고 각 구간에 대하여 문항번호를 식별자로 입력할 수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상기 제공되어지는 동영상 파일은 앞에서 기술한 형태로 이미 구분되어져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질 수 있다.Provide educational videos on problem solving in educational programs broadcast on TV or the Internet. The user first accesses the server, inputs subscriber information, proceeds with the registration process, and then logs in to the server, selects learning contents, and requests the use of a video related thereto. The video file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a server, and the user may classify the video file by item and input an item number as an identifier for each section. Generally, the provided video file is already in the form described above. It can be divided and provided to the user.

상기 식별자와 구간구분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는 먼저 동영상파일을 재생하며 1회 시청을 하고, 상기 시청과정중에 입력메뉴가 재생화면상의 일부에 함께 표시되어 이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용지에 표시하였던 복습필요문제, 중요문제 또는 틀린 문제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메뉴화면을 통하여 입력하고, 다시 재생버튼을 누른다. 상기 복습문제, 중요문제 또는 틀린 문제 선정정보는 별도로 각각 저장되고 상기 저장된 입력정보에 따라 반복학습장치는 사용자가 선정한 정보의 종류에 따라 그 정보가 있는 식별자와 부합하는 구간만을 재구성하여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불필요한 부분을 시청할 필요 없이 자신이 원하는 부분만을 시간 낭비 없이 시청할 수 있고, 2회차 시청시 이에 따라 발생되는 추가정보를 다시 입력하여 3회차 시청시에는 이를 반영하여 보다 좁은 범위의 내용을 간략히 정리할 수 있게된다.On the basis of the identifier and the sec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first plays the video file and watches once, and during the viewing process, the input menu is displayed together on a part of the playback screen and displayed or displayed on a separate sheet. Enter a problem, important problem or wrong problem through the menu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and press the play button again. The review problem, the important problem, or the wrong problem selection information is stored separately, and according to the stored input information, the repetitive learning apparatus can reconstruct and reproduce only a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hav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 Through this, the user can watch only the desired part without wasting time without having to watch unnecessary parts, and inputs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cond time, and reflects this when the third time is viewed, thereby narrowing the content to a narrower range. It can be summarized.

경우에 따라서 상기 내용을 별도로 다운받아 별도의 CD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반복학습을 진행할 수 있다.In some cases, the above contents may be separately downloaded and stored in a storage medium such as a separate CD, and repetitive learning may be performed using the same.

또한 상기 방법에 추가하여 상기 서버의 관리자는 상기 전송되어진 입력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자주 틀리는 문제 유형 또는 취약부분을 상기 입력정보로부터 전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틀린 문제 유형을 해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관련문제를 별도로 제공하거나 관련자료를 링크해 줄 수 있고, 취약부분과 관련된 정리노트 또는 보충자료 등을 별도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사용자별 오답노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정보의 분석을 통하여 과목별 개선 방안, 전체과목중 일정과목의 편중도, 개별과목내에서 단원별 취약점 분석 등의 성적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he administrator of the server may analyze the transmitted input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may analyze the wrong problem type or vulnerable part as a whole from the input information, thereby helping to solve the wrong problem type. It can provide related problems that can be related or link related data separately, and can provide services that provide separate cleanup notes or supplementary materials related to vulnerable parts, and finally provide incorrect answer notes for each user. have.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put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proceed with the grade management program such as improvement of each subject, the severity of the schedule subject among all subjects, and vulnerability analysis of each subject within each subject.

본 발명의 동영상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학습방법은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구분 및 재생에 국한되지 않고, 텍스트 파일의 경우에도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텍스트 파일의 각각 단락을 별도의 식별자로 구분하는 형태의 텍스트 파일을 제공하고 상기 각 단락의 식별자중 원하는 단락을 사용자가 선정하면 이에 따라 상기 텍스트 파일중 선정된 부분만을 선택하여 별도의 텍스트 파일을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노력 없이 서브노트를 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The learning method using video segmentation and selective play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egmentation and playback of video or sound files, and can be applied in a similar manner to text files. That is, providing a text file in which each paragraph of the text file is divided into separate identifiers, and when a user selects a desired paragraph from among the identifiers of the paragraphs, selects only a selected portion of the text file to separate the text file. By producing the can be configured to produce a sub-note without additional effort.

본 발명의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은 학습용 동영상중에서 학습용 동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단위로 구분하고, 사용자의 학습이해정도에 따라 사용자가 복습을 원하는 부분, 틀린 문제 또는 중요하다고 표시한 부분만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표시하고, 선정하여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고, 별도의 검색을 진행할 필요가 없어 동영상 검색에 따른 시간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학습용 프로그램 제작자에 의하여 공급되어지는 동일 동영상 파일에 대하여 각각의 사용자만의 오답노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의 취약부분을 심도 깊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효율을 높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petitive learning service using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of the present invention classify the learning video from the learning video into a unit desired by the user,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user's learning, Only the parts marked as problems or important can be display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can be selected and learned repeatedly, and there is no need to perform a separate search to reduce time wasted due to video search, and supplied by the program maker for learning Each user can create a wrong note for the same video file to be able to learn their vulnerable parts in depth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또한 학습용 동영상파일의 내용중에서 학습자의 학습 이해도에 따른 필요에 따라 원하는 부분만을 골라 복습하여 학습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학습용 동영상파일의 내용중 어떤 구간을 선정하여 재생하였는지 어떤 문제를 많이 틀리는 지 또는 해당 구간에 어떤 정보를 입력하였는지에 대한 개인별 학습진행 정보를 사용자가 쉽게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학습관리자에게 손쉽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학습효율을 향상시키는 정보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ffective to maximize the learning effect by selecting only the desired part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video file, as well as which section of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video file is selected and played.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individual learning progress information about whether the problem is a lot wrong or what information is input in the corresponding section at a glance, and can be easily delivered to the learning manager, so that it can be used as information to improve the learning efficiency.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Of course it is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ⅰ) 임의로 구분되고 각 구분된 구간별로 식별자를 가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저장한 파일 데이터베이스, ⅱ) 가입자 정보 및 가입자별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내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를 저장한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ⅲ)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영상 또는 음원파일 및 상기 파일의 구분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고,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각 구간중 일정구간을 임의로 선정하고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서버;Iii) a file database storing a learning video or sound source file having an identifier for each section, which is arbitrarily divided, and an identifier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ii) storing the subscriber information and playback or input information for each section in the video or sound file for each subscriber. An input information database and i) receive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the file database, and when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ransmit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and the user If a predetermined section is arbitrarily selected from each of the representative sections and a playback command is input, the section of the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to transmit data to play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Having control unit to control Burr; ⅰ) 상기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의 관련 데이터를 받기 위한 데이터입력부, ⅱ) 사용자로부터 상기 구간선정 관련 명령 및 입력정보를 받기 위한 입력부, ⅲ)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식별자, 입력메뉴 또는 입력결과를 포함하는 출력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ⅳ) 상기 입력정보를 저장한 후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저장출력부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Iii) a data input unit for receiving relevant data of a training video or sound source file from the file database; ii) an input unit for receiving the section selection related command and input information from a user; iii) the video or sound source, an identifier, an input menu or an input. A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n output including a result; and i) a user terminal having a storage output unit for storing the input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it to the server; And 상기 서버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Repetitive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etwork connecting the server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서버의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한 후에, 사용자가 일정구간에 자신의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정구간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상기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입력정보의 선정과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After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the controller of the server stores the input information in the input information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predetermined section when the user inputs his input information in a certain section, When a user selects a certain input information and a playback command from the contents of the input information, a section of a video or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including the inpu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to select the selected video or Repeated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video or sound source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ransmitting data to reproduce only the sound source s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다운로드 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repetitive learning services using video or sound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reproduction further comprising transmitting data to download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은 교육용 프로그램이며,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을 각 단원별 또는 각 풀이문항별로 구분하고,The video or sound source file is an educational program, and the educational program is classified by each unit or by each question, 상기 식별자는 각 단원명 또는 문항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identifier is composed of each unit name or item number, 상기 입력정보는 복습여부, 1차 오답여부, 2차 오답여부, 중요도 또는 부가메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And the input information is review review, primary incorrect answer, secondary incorrect answer, importance or additional memo.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정보의 선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중 다수의 입력정보에 대한 조합을 통하여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The control unit is a repeat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video segmentation and selective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of certain information in the content of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is sele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informa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생중 또는 재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이후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The control unit repeats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after the playback or after the playback is complete, and repeating the proces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repeating process.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서버는The server is 각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각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에 따른 학습진행도 평가 또는 학습자 유형파악을 위한 기초자료가 저장된 학습진행도 파악 데이터베이스;A database of learning progress stored in which basic data for learning progress evaluation or learning of a learner type are stored according to subscriber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whether to play each section or input information; 상기 학습진행도 또는 학습자 유형에 따른 관련 교육자료를 저장한 학습능력개발 데이터베이스; 및A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atabase storing related educational materials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or learner type; And 상기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각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진행도 파악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진행도 또는 학습자 유형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학습능력개발 데이터베이스의 관련 교육자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학습향상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장치.Receives subscriber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from the input information database, whether or not to play each section or inpu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earning progress or learner type using the data of the learning progress determination database, based on the identified content Repeated learning service providing apparatus using a video segmentation and selective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learning enhancement control module for providing the user terminal with the relevant educational material of the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atabase. 임의로 구분되고 각 구분된 구간별로 식별자를 가지는 학습용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 식별자 및 구분정보를 저장한 파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동영상 또는 음원파일 및 상기 파일의 구분정보를 입력받는 제1단계;A first step of receiving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d division information of the file from a file database storing a video or sound source file, an identifier and classification information for randomly distinguishing each section;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정보입력모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여 사용자단말기에 표시하는 제2단계;A second step of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to display on the user terminal when an information input mode command is input from the user terminal; 사용자가 상기 식별자로 대표되는 각 구간중 일정구간을 임의로 선정하는 제3단계;A third step in which a user arbitrarily selects a predetermined section from each section represented by the identifier;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제4단계; 및A fourth step of, when a playback command is input from a user terminal, selecting a section of a video or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selected by the user, and transmitting data to the user terminal to play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ection; And 상기 데이터를 전송 받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을 재생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And a fifth step of reproducing the video or the sound source in the user terminal receiving the data.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한 후에, 사용자가 일정구간에 자신의 입력정보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상기 일정구간의 식별자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를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After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when the user inputs his own input information in a certain section, the input information is stored in an input information database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of the predetermined section,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입력정보의 선정과 재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정한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의 구간을 선정하여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재생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When a user selects a certain input information and a playback command from the contents of the input information, a section of a video or a sound source corresponding to one or more identifiers including the input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is selected to select the selected video or Repeated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a video or sound source classification and selective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data to play only the sound source section.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상기 선정된 동영상 또는 음원 구간만을 다운로드 하도록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또는 음원 구분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And transmitting data to download only the selected video or sound source sec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동영상 또는 음원 파일은 교육용 프로그램이며, 상기 교육용 프로그램을 각 단원별 또는 각 풀이문항별로 구분하고,The video or sound source file is an educational program, and the educational program is classified by each unit or by each question, 상기 식별자는 각 단원명 또는 문항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identifier is composed of each unit name or item number, 상기 입력정보는 복습여부, 1차 오답여부, 2차 오답여부, 중요도 또는 부가메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The input information is a review, whether the first incorrect answer, the second incorrect answer, importance or additional memo, characterized in that the repeated learn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elective playback.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정보의 내용중 일정한 정보의 선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정보중 다수의 입력정보에 대한 조합을 통하여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a repetitive learning service using video segmentation and selective playb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election of certain information in the content of the input information from the user is selected through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of the user input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재생중 또는 재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저장된 식별자 및 입력메뉴를 전송하는 과정 및 이후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And transmitting the stored identifier and the input menu after the playing or after the playing is completed, and repeating the subsequent process. 제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각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각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에 따른 학습진행도 평가 또는 학습자 유형파악을 위한 기초자료가 저장된 학습진행도 파악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고,To create a database of learning progress, which stores basic data for evaluating learning progress or learning learner types according to subscriber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whether to play each section or input information, 상기 학습진행도 또는 학습자 유형에 따른 관련 교육자료를 저장한 학습능력개발 데이터베이스를 제작하고,Produce a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atabase storing the relevant educational material according to the learning progress or learner type, 상기 입력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가입자의 가입자 정보, 각 구간별 재생여부 또는 입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진행도 파악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학습진행도 또는 학습자 유형을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내용을 기준으로 상기 학습능력개발 데이터베이스의 관련 교육자료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분할 및 선택적 재생을 이용한 반복학습 서비스 제공방법.Receives subscriber information of each subscriber from the input information database, whether or not to play each section or input information to determine the learning progress or learner type using the data of the learning progress determination database, based on the identified content And providing related education materials of the learning ability development database to the user terminal.
KR1020040013942A 2004-03-02 2004-03-02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400734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42A KR20040073402A (en) 2004-03-02 2004-03-02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42A KR20040073402A (en) 2004-03-02 2004-03-02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402A true KR20040073402A (en) 2004-08-19

Family

ID=3736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942A KR20040073402A (en) 2004-03-02 2004-03-02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3402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28B1 (en) * 2006-07-06 2008-06-0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media Contents Streaming Method Using Section Information and Streaming Apparatus Thereof
KR20100074963A (en)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이치온라인 Method and system on providing interactive educational mulitimedia contents depending on learner's cho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528B1 (en) * 2006-07-06 2008-06-04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media Contents Streaming Method Using Section Information and Streaming Apparatus Thereof
KR20100074963A (en) * 2008-12-24 2010-07-02 주식회사 이치온라인 Method and system on providing interactive educational mulitimedia contents depending on learner's cho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354B2 (en) Non sequential automated production by self-interview kit of a video based on user generated multimedia content
CN108024139A (en) Playback method, device, terminal device and the storage medium of Internet video courseware
CN111405381A (en) Online video playing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0675674A (en) Online education method and online education platform based on big data analysis
KR20090017414A (en) System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He et al. Comparing presentation summaries: slides vs. reading vs. listening
CN101097659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469392B1 (en) Learning system and method and a computer usable medium for storing computer readable program source of said method
Tidal Podcasting: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KR101949149B1 (en) Search processing device for Seeking and processing of Video file with subtitle file
KR20040073402A (en) Repeatable studying service device using indexing video or sound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and method using the same
JP2018146961A (en) Voice reproduction device and voice reproduction program
CN113099312A (en) Teaching video playing system
KR20130015918A (en) A device for learning language considering level of learner and text, and a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language using the device
KR20040073401A (en) Repeatable studying device using indexing video media and playing selected sections, method using the same and storage device including file and the same method
KR20080097249A (en)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s by using discriminating code
JP4594657B2 (en) Education system and program that can select teaching materials that explain the content that viewers have low level of understanding
US20070136651A1 (en) Repurposing system
JP2006133672A (en) Portable device and system for learning language
KR20080053983A (en) Method for reproducing online contents by using discriminating code
CN114003769A (en) Recorded and broadcast video retrieval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Wake et al. An International Look at Teaching Audio Podcasting: A Comparison Across Continents
KR100912118B1 (en) Studying system linked with contents and method for studying using the same
JP2006074514A (en) Image editing device, image reproducing device, file database, file distributing server, image editing method, image editing program, image reproducing method, image reproducing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4858332B2 (en) Audio device and continuous playback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