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861A - 발광 골프티 - Google Patents

발광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861A
KR20040072861A KR1020030008515A KR20030008515A KR20040072861A KR 20040072861 A KR20040072861 A KR 20040072861A KR 1020030008515 A KR1020030008515 A KR 1020030008515A KR 20030008515 A KR20030008515 A KR 20030008515A KR 20040072861 A KR20040072861 A KR 20040072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battery
golf tee
emitting diod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410B1 (ko
Inventor
고영승
Original Assignee
고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승 filed Critical 고영승
Priority to KR10-2003-0008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3410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4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0012Devices for forming the tees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브 샷에 의해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빛이 발산시킴으로써 골퍼 또는 캐디가 용이하게 골프티를 찾을 수 있도록 발명된 발광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는, 드라이브 샷 때 가해진 충격에 의해 골퍼의 주변으로 날아간 골프티가 빛을 발산하거나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므로 골퍼 또는 캐디가 골프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광 골프티{GOLF TEE EMITTING LIGHT}
본 발명은 발광 골프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드라이브 샷에 의해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발생되는 유격을 이용하여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빛이 발산시킴으로써 골퍼 또는 캐디가 용이하게 골프티를 찾을 수 있도록 발명된 발광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에서 골프를 칠 때 드라이브 샷을 하기 위하여 골프공을 올려놓기 위한 골프티를 사용하게 된다. 흔히, 드라이브 샷을 할 때에는 장타를 염두에 두기 때문에 샷을 할 때 강한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골프공과 함께 골프티가 날아가게 되는데, 보통 반경 1 내지 1.5 m 에 떨어지게 된다.
이때, 골프티의 크기가 매우 작으므로 골프장의 잔디 사이에 떨어진 골프티를 찾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골프티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드라이브 샷을 할 때마다 골프티를 잃어버릴 경우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며, 골프장에 다수의 골프티가 산재하게 되어 미관을 흐릴 뿐만 아니라 잃어버린 골프티를 동물이 먹고 죽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환경적인 문제까지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골퍼들 중에는 특정의 골프티에 애착을 가지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해당 골프티를 분실할 경우 골퍼는 단순한 경제적인 손실 이상으로 성적이 저하되거나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옥수수 전분이나 감자 점분 등과 같은 생분해 물질을 이용한 골프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골프티는, 시간이 지나면서 골프티가 분해되므로 골프장의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고 동물이 골프티를 먹고 죽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반면에, 골프티의 분실과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는 해결할 수 없었다.
따라서, 드라이브 샷 후 주변에 떨어진 골프티를 골퍼 또는 캐디가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골프티가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라이브 샷 후에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빛을 발산하거나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여 골퍼 또는 캐디가 주변에 떨어진 골프티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는 발광 골프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는, 드라이브 샷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생기는 유격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 골프티로서,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측면으로 숫나사가 형성된 헤드부; 헤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고, 상부의 내부측면으로 숫나사가 결착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내부측면으로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나사홈과 걸림턱 사이에 내부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연막을 구비하는 바디부; 길쭉한 막대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바디부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바디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를 구비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연결대; 및 상면이 연결대의 하단에 고정되고, 하부가 날카로운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핀부를 구비하고, 바디부의 내부로, 상하로 관통된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을 구비하고, 제 2 구멍의 저면 개방구와 연결되어 저면에서 측면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피씨비 기판; 피씨비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제 1 구멍을 통해 피씨비 기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 접속단과 제 2 구멍과 홈을 통해 피씨비 기판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 접속단을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도체로 이루어지며, 절연막과 바디부의 내부측면 사이에 구비되고, 절연막의 상단에 끼워져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과 접촉하는 상부고리와 절연막의 하단에 끼워지는 하부고리를 구비하는 클립; 피씨비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 전극이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에 접속하는 제 1 배터리; 제 1 배터리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및 스프링과 연결대의 이탈방지대 사이에 구비되고, 연결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측면에 형성되는 - 전극이 클립의 하부고리와 접촉/비접촉되는 제 2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피씨비 기판의 외부에 씌워져 피씨비 기판을 보호하고, 일측면이 절연막과 클립의 상부고리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통을 더 구비하도록 하며,
이때, 지지통의 직경은, 피씨비 기판, 제 1 배터리, 스프링 및 제 2 배터리의 직경 이상이 되도록 한다.
바디부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도록 하며,
연결대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의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씨비 기판이, 제 1 구멍과 제 2 구멍이 도체로 이루어지고,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과 - 접속단을 매개체로 하여 제 1 배터리와 제 2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외관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분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피씨비 기판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클립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헤드부 20 : 바디부
22 : 절연막 30 : 발광 다이오드
32 : 피씨비 기판 34 : 지지통
36 : 배터리 38 : 스프링
40 : 클립 42 : 연결대
50 : 핀부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외관 사시도로서, 도 1a 는 샷을 하기 전에 바디부(20)와 핀부(50)가 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1b 는 샷을 한 후에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유격이 생긴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는,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상면에 움푹 들어간 형상의 홈(11)이 형성되며 바디부(20)에 고정되는 헤드부(10),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가 내장되며 상부에 헤드부(10)가 고정되는 원통형의 바디부(20) 및 하부가 발광 골프티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핀부(50)를 구비한다. 핀부(50)의 상면으로는, 바디부(20)의 하부에 결착되어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연결대(42)의 하단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는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는 홈(11)을 구비하고 하단이 바디부(20)의 상단에 고정된다. 헤드부(10)를 바디부(20)에 고정하기 위하여, 헤드부 하부의 측면은 숫나사 형태로 형성하고 바디부 상단의 내부측면에는 나사홈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드라이브 샷을 할 때 충격이 가해져도 헤드부(10)가 바디부(20)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며, 헤드부를 바디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20)는 상단과 하단으로 헤드부(10)와 핀부(30)를 고정 연결하며 내부의 구성요소를 보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핀부(50)는 하부가 지면에 꽂힐 수 있도록 날카로운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연결대(42)에 의해 바디부(20)의 하부에 결착된다. 연결대(42)는 상단이 바디부(20)의 하부에 결착되고 하단은 핀부(50)의 상면에 고정되어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인다. 따라서, 골퍼가 드라이브 샷을 하기 위하여 골프티를 지면에 꽂고 위에서 누르면 연결대(42)가 바디부(20)의 안으로 들어가서 바디부와 핀부(50)가 밀착되게 되며, 샷을 하여 충격이 가해지면 연결대가 바디부의 하부로 노출되어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유격이 생기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분해도이고, 도 3 은 발광 다이오드의 사시도이며, 도 4a 는 피씨비 기판(32, PCB:Printed Circuit Board)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 는 피씨비 기판을 밑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 는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각 구성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는, 골프공을 올려놓는 헤드부(10), 골프티를 지면에 고정하는 핀부(50) 및 헤드부와 핀부 사이를 연결하는 바디부(20)로 이루어지며, 바디부(20) 내부로는 배터리(36, 3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3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부(10)는 드라이브 샷을 하기 위해 골프공을 위에 올려놓는 부분으로서 상면에 홈(11)이 형성된다. 또한, 헤드부(10)를 바디부(20)의 상단에 삽입 고정하여야 하므로, 헤드부 하부의 단면과 바디부 상부의 내부 단면은 서로 모양과 직경이 동일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헤드부 하부의 측면으로는 바디부 상부의 내부측면에 형성되는 나사홈(20a)과 일치하도록 숫나사(10a)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헤드부(10)를 바디부(20)로부터 용이하게 고정/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디부(20)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상을 이루며, 상단으로 헤드부(10)가 고정 결합되며 하단으로는 핀부(50)에 고정된 연결대(42)가 결착된다. 또한, 바디부(20)의 내부로는 발광 다이오드(30)를 비롯한 내부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바디부(20)의 재질로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골퍼가 샷을 할 때 골프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켜 헤드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의 발광 다이오드(30)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일정량 바디부의 외부로 투과되므로 골퍼나 캐디가 주변에 떨어진 골프티를 용이하게 발견할 수 있다.
바디부(20)의 내부 측면으로는 부도체로 이루어진 절연막(22)이 더 구비되는데, 절연막은 샷을 하기 전, 즉 바디부와 핀부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배터리(37)와 발광 다이오드(30)의 전극 사이의 접속을 차단하여 발광 다이오드가 작동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바디부는 절연막에 의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절연막의 작용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바디부(20) 내부측면의 하부 영역에는 바디부의 내부로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된 걸림턱(21b)이 구비되는데, 걸림턱에는 연결대(42) 상단의 이탈방지대 (42a)가 걸림으로써 연결대가 바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디부(20)의 내부로는, 배터리(36, 3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30), 발광 다이오드(3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피씨비 기판 (32), 피씨비 기판의 외부에 씌워져 피씨비 기판을 보호하며 상하가 개방된 형상의 지지통(34),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두개의 배터리(36, 37), 상부의 제 1 배터리(36)의 저면과 하부의 제 2 배터리(37)의 상면 사이를 지지하는 스프링(38), 발광 다이오드(30)와 제 2 배터리(37)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매개하는 클립(40)이 구비된다. 각 배터리(36, 37)는 상면 중앙의 돌출된 부분에 + 전극 (36a, 37a)이 형성되고 측면에 - 전극(36b, 37b)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통(34)의 직경을 피씨비 기판(32), 배터리(36, 37) 및 스프링(3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발광 다이오드(30), 피씨비 기판(32), 배터리(36, 37) 및 스프링(38)을 분리하여 바디부(20) 상단 구멍을 통해 꺼낼 수 있도록 한다.
발광 다이오드(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는 발광부 (30c)와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 접속단(30a)과 - 접속단 (30b)을 구비하는데, 각 접속단은 피씨비 기판(32)에 형성되는 두개의 구멍(32a, 32b)을 통해 각각 노출되게 된다. 이때, + 접속단(30a)은 피씨비 기판(32)의 저면으로 개방된 구멍(32a)을 통해 피씨비 기판의 저면으로 노출되며, - 접속단(30b)은 피씨비 기판의 저면으로 개방된 구멍(32b)으로 노출되어 상기 구멍(32b)과 연결된 홈을 따라 피씨비 기판의 측면으로 노출된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다이오드 (30)의 하부를 향해 일자형으로 형성된 각 접속단(30a, 30b) 중 + 접속단(30a)을 피씨비 기판의 구멍 32a 로 삽입하고 - 접속단을 구멍 32b 로 삽입한 후, + 접속단 (30a)을 'ㄴ' 자 형상으로 구부려서 피씨비 기판의 저면에 밀착시키고, - 접속단(30b)은 구멍 32b 에 연결된 홈을 따라 'ㄷ' 자 형상으로 구부려 피씨비 기판의 측면에 밀착시킨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30a)은 피씨비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1 배터리(36)의 + 전극(36a)에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이루며, - 접속단(30b)은 클립(40)의 상부고리(40a)와 접촉을 이루게 된다.
클립(40)은 도체로 이루어지며 바디부(20)의 측면 벽과 절연막(2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고, 상부의 고리(40a)는 지지통(34)과 절연막(22)에 함께 끼워지며 하부의 고리(40b)는 절연막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연결대(42)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제 2 배터리(37)가 상하로 움직이면,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과 클립의 하부고리(40b)가 접촉/비접촉하게 된다. 이때, 클립이 도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클립을 매개체로 하여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과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30b)이 전기적으로 접속/비접속하게 된다. 또한, 제 1 배터리(36)의 - 전극(36b)과 클립(40) 사이에는 절연막(22)이 있으므로 상호 접촉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발광 다이오드(30)의 - 접속단(30b)은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에만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30)의 + 접속단(30a)은 제 1 배터리(36)의 + 전극(36a)과 항상 접속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연결대(42)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30b)과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온/오프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피씨비 기판(32)의 제어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가 발산하는 빛을 변화시킬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크리스마스 트리의 전구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가 빛을 깜박거리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는 발광 다이오드(30)를 작동시켜 빛을 발산하는 것과 별도로 피씨비 기판(32)을 작동시켜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피씨비 기판(32)은 발광 다이오드의 각 접속단(30a, 30b)이 삽입되는 각 구멍(32a, 32b)의 내부 측면을 도체로 형성하여 접속단을 형성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의 각 접속단을 통해 배터리(36, 37)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구멍 32a 가 + 접속단이 되며 구멍 32b 는 - 접속단이 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30b)과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온/오프시켜 피씨비 기판(32)의 구멍(32b)으로의 전원공급을 온/오프시킴으로써 피씨비 기판의 작동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바디부(20)의 하부로는 연결대(42)가 결착되는데, 연결대 상단에 측면으로 돌출 형성된 이탈방지대(42a)가 바디부 하부의 내부 측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 (21b)에 걸림으로써 결착된다. 따라서, 연결대는 바디부의 내부에서 상하로 움직이며 이탈방지대(42a)의 저면이 걸림턱(20b)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바디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이탈방지대(42a)의 상면은 제 2 배터리(37)의 저면에 밀착되어, 연결대를 밀어 올려 바디부(20)와 핀부(50)를 밀착시킬 때 제 2 배터리 (37)를 위로 올리게 된다. 즉, 제 2 배터리(37)의 상면은 스프링(38)에 의해 지지되며 저면은 이탈방지대(42a)의 상면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연결대(42)는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을 포함하는 연질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여 티샷시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한다. 즉, 연결대(42)가 연질 플라스틱 재질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골퍼가 샷을 할 때의 충격에 의해 연결대가 바디부(20)의 하부로 노출되면서 연결대 부분이 바로 꺾이게 되어 티샷의 저항이 감소되어 비거리를 향상될 뿐만 아니라, 원상태로의 복원력이 뛰어나고, 충격을 완화시켜 골프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대(42)가 바디부(20)의 하부로 노출된 후에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골퍼가 샷을 할 때 스프링(38)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연결대(42)이 노출하여 바디부(20)와 핀부(50)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므로, 저항을 감소시켜 비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핀부(50)는 하부가 지면에 꽂혀서 고정될 수 있도록 날카로운 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에 측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정지턱(52)이 형성된다. 정지턱 (52)은 연결대(42)를 바디부(20)로 밀어넣어 핀부와 바디부가 밀착되었을 때 바디부의 지면에 걸림으로써 핀부가 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정지턱(52)과 연결대(42) 사이에는 바디부(20) 하단 내부(21a)와 직경 및 모양이 동일하도록 고정부(54)를 형성한다. 고정부(54)는 연결대(42)를 바디부로 밀어넣어 핀부와 바디부가 밀착되었을 때, 바디부 하단의 내부 측면(21a)과 밀착됨으로써 스프링(38)의 힘에 의해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스프링으로 연질의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고정부(54)와 바디부(20) 내부측면 (21a) 사이의 밀착에 의한 지지력에 의해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내부 구성요소를 분리하기 위하여는, 먼저 헤드부(10)를 돌려 바디부(20)로부터 분리한 후 바디부 상단의 구멍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30), 피씨비 기판(32), 배터리(36, 37) 및 스프링(37)을 꺼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씨비 기판(32)의 측면에 씌워지는 지지통(34)은 측면이 클립에 물려있는 상태로서 분리되지 않으며, 지지통의 직경이 피씨비 기판, 배터리 및 스프링의 직경보다 적어도 같거나 크므로 각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가 고장나거나 파손된 경우 바디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 교체할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명이 다 된 경우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어, 골퍼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사용하여 특히 애착이 가는 골프티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작동을 설명하는 도로서, 도 6a 는 드라이브 샷을 하기 전에 핀부(50)를 밀어올려 핀부와 바디부(20)를 밀착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6b 는 드라이브 샷시 가해진 충격에 의해 핀부와 바디부 사이에 유격이 생긴 상태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의 작동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6a 및 도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퍼가 드라이브 샷을 하기 위해 바디부(20)와 핀부(50)를 밀착시킨 때나 드라이브 샷 후에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유격이 생긴 경우 모두, 클립(40)은 절연막(22)과 지지통(34)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으며 연결대(42)의 움직임에 의해 제 2 배터리(37)가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먼저, 골퍼가 드라이브 샷을 하기 위해 또는 평상시에 배터리의 전력소모를방지하기 위하여 바디부(20)의 저면과 핀부(50)의 정지턱(52)이 밀착되도록 밀어 올리면, 연결대(42)가 바디부 내부에서 위로 움직이면서 제 2 배터리(37)의 저면을 밀어올리게 되고, 이때 제 2 배터리 측면의 - 전극(37b)과 클립(40)의 하부고리 (40b)사이의 접촉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30)는 + 접속단(30a)은 제 1 배터리(36)의 + 전극(36a)에 접속한 상태이지만, - 접속단(30b)이 클립을 매개체로 한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와의 접속상태가 해제되므로 불이 꺼지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배터리의 전력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씨비 기판(32)을 이용하여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발광 다이오드(30)의 + 접속단(30a)이 삽입 접속되어 있는 피씨비 기판(32)의 구멍(32a)은 제 1 배터리 (36)의 + 전극(36a)과 접속되어 있지만, - 접속단(30b)이 삽입 접속되어 있는 구멍 (32b)은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과 접속이 해제되므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작동이 멈추게 된다.
이때, 연결대(42)를 위로 밀어올린 상태는, 핀부(50)의 고정부(54)와 바디부 (20) 하단의 내부 측면벽(21a) 사이의 밀착에 의한 지지력과, 클립(40)의 하부고리 (40b)가 연결대(42)의 이탈방지대(42a)에 걸림으로써 생기는 지지력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38)으로는 연질의 스프링을 사용하므로 상기의 지지력만으로도,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배터리(37)와 연결대(42)가 밀려 바디부(20)와 핀부(50) 사이에 유격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에 골프공을 놓은 상태에서 골퍼가 샷을 하게 되면 골프공과 함께 골프티가 골퍼의 주변으로 날아가 떨어지게 되며, 샷할 때 가해진 충격에 의해 연결대(42)가 바디부(20) 하부로 노출되면서 바디부와 핀부(50) 사이에 유격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38)의 복원력에 의해 제 2 배터리(37)와 연결대(42)가 아래로 내려가게 되어, 연결대의 이탈방지대(42a)의 저면이 걸림턱(21b)에 걸리게 된다. 이때, 제 2 배터리(37) 측면의 - 전극(37b)은 클립(40)의 하부고리(40b)에 접촉하게 되며, 클립을 매개체로 하여 발광 다이오드(30)의 - 접속단(30b)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게 된다.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30a)은 제 1 배터리(36)의 + 전극(36a)와 이미 접속되어 있으므로 발광 다이오드에 전원이 공급되게 되어 발광부(30c)가 빛을 발산하게 된다. 또한, 피씨비 기판(32)을 이용하여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발광 다이오드(30)의 + 접속단(30a)이 삽입 접속되어 있는 피씨비 기판(32)의 구멍(32a)은 제 1 배터리(36)의 + 전극 (36a)과 접속되어 있으며, - 접속단(30b)이 삽입 접속되어 있는 구멍(32b)도 제 2 배터리(37)의 - 전극(37b)과 접속상태가 되므로 피씨비 기판이 작동하여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골퍼나 캐디는 주변에 떨어진 발광 골프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이때, 바디부(20)와 핀부(50) 사이의 유격은 스프링(38)의 지지력에 의해 지지되므로, 골퍼나 캐디가 발광 골프티를 발견하여 바디부와 핀부를 다시 밀착시키기 전까지 발광 다이오드(30)와 피씨비 기판(32)은 계속해서 빛과 음향을 출력하게 된다. 또한, 스프링(38)의 지지력에 의해, 티샷시 충격이 가해지면 연결대(42)가 곧바로 노출되면서 이탈방지대(42a)가 걸림턱(21b)에 밀착하고 이탈방지대와 걸림턱의 밀착상태가 유지되므로, 비오는 날 골프를 칠 경우 골프티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빗물 등이 골프티 내부로 스며들어 내부의 발광 다이오드, PCB 기판 또는 배터리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대로, 본 발명은 드라이브 샷 때 가해진 충격에 의해 골퍼의 주변으로 날아간 골프티가 빛을 발산하거나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므로 골퍼 또는 캐디가 골프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골프티 분실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고, 분실된 골프티로 인해 골프장의 미관이 흐려지고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분실한 골프티를 동물이 먹고 죽음으로써 발생하는 환경적 문제를 막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발광 골프티는,
첫째로, 골프티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바디부를 아래로 눌러 핀부와 밀착시켜 발광 다이오드와 배터리 간의 접속을 해제함으로써, 배터리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방지하여 오랜시간 사용할 수 있고, 두개의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배터리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으며,
둘째로, 내부 구성요소를 용이하게 분리하여 꺼낼 수 있으므로 일부 부품이 고장나거나 배터리를 다 쓴 경우 부품 또는 배터리만을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셋째로, 바디부를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켜 골프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넷째로, 연결대가 연질 플라스틱 재질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티샷시저항을 감소시켜 비거리를 향상시키고, 충격을 완화시켜 골프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잇으며,
마지막으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질 때 스프링에 의해 연결대가 곧바로 노출되면서 이탈방지대가 걸림턱에 밀착되고, 이탈방지대와 걸림턱의 밀착상태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므로, 특히 비오는 날 골프를 칠 경우 골프티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내부의 발광 다이오드, PCB 기판 또는 배터리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야 한다.

Claims (6)

  1. 드라이브 샷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바디부와 핀부 사이에 생기는 유격을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는 발광 골프티로서,
    상면에 골프공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측면으로 숫나사가 형성된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을 이루고, 상부의 내부측면으로 상기 숫나사가 결착될 수 있도록 나사홈이 형성되고, 하부의 내부측면으로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홈과 상기 걸림턱 사이에 상기 내부측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절연막을 구비하는 바디부;
    길쭉한 막대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단에 상기 바디부의 걸림턱에 걸림으로써 상기 바디부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대를 구비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연결대; 및
    상면이 상기 연결대의 하단에 고정되고, 하부가 날카로운 핀 형상으로 이루어진 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의 내부로,
    상하로 관통된 제 1 구멍 및 제 2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구멍의 저면 개방구와 연결되어 저면에서 측면으로 형성된 홈을 구비하는 피씨비 기판;
    상기 피씨비 기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하며, 상기 제 1 구멍을 통해 상기 피씨비 기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 접속단과 상기 제 2 구멍과 상기 홈을 통해 상기 피씨비 기판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 접속단을 구비하는 발광 다이오드;
    도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절연막과 상기 바디부의 내부측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절연막의 상단에 끼워져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 접속단과 접촉하는 상부고리와 상기 절연막의 하단에 끼워지는 하부고리를 구비하는 클립;
    상기 피씨비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면 중앙에 형성되는 + 전극이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 접속단에 접속하는 제 1 배터리;
    상기 제 1 배터리의 하부에 구비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과 상기 연결대의 상기 이탈방지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측면에 형성되는 - 전극이 상기 클립의 상기 하부고리와 접촉/비접촉되는 제 2 배터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골프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골프티가,
    상하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피씨비 기판의 외부에 씌워져 상기 피씨비 기판을 보호하고, 일측면이 상기 절연막과 상기 클립의 상기 상부고리 사이에 끼워지는 지지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골프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가 연질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골프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가 연질 플라스틱 재질의 원기둥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골프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씨비 기판이,
    상기 제 1 구멍과 상기 제 2 구멍이 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상기 + 접속단과 상기 - 접속단을 매개체로 하여 상기 제 1 배터리와 상기 제 2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정의 음향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골프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통의 직경이,
    상기 피씨비 기판, 상기 제 1 배터리, 상기 스프링 및 상기 제 2 배터리의 직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골프티.
KR10-2003-0008515A 2003-02-11 2003-02-11 발광 골프티 KR100523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15A KR100523410B1 (ko) 2003-02-11 2003-02-11 발광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15A KR100523410B1 (ko) 2003-02-11 2003-02-11 발광 골프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861A true KR20040072861A (ko) 2004-08-19
KR100523410B1 KR100523410B1 (ko) 2005-10-25

Family

ID=37360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515A KR100523410B1 (ko) 2003-02-11 2003-02-11 발광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34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63B1 (ko) * 2006-06-19 2006-12-20 주식회사 토라 발광 골프티 및 그 제조방법
KR100802167B1 (ko) * 2007-07-27 2008-02-13 김택균 레이저 라인 표시가 가능한 골프티
KR100932738B1 (ko) * 2007-10-08 2009-12-21 성태식 헤드업 방지용 골프 티
KR101029706B1 (ko) * 2010-12-30 2011-04-18 주식회사 아이덱스 골프용 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726B1 (ko) 2008-01-16 2009-06-05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엘이디 캡슐을 구비한 골프 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4785A (en) * 1990-12-18 1991-10-08 Acushnet Company Game ball support device and piezoelectric ball motion detector
KR20000021155U (ko) * 1999-05-21 2000-12-15 김영권 멜로디 수단을 가진 골프티
KR200265547Y1 (ko) * 2001-11-29 2002-02-21 (주)스포텍코리아 화학 발광체를 내장한 골프용 티이
KR20040029199A (ko) * 2002-09-25 2004-04-06 류민영 골프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563B1 (ko) * 2006-06-19 2006-12-20 주식회사 토라 발광 골프티 및 그 제조방법
KR100802167B1 (ko) * 2007-07-27 2008-02-13 김택균 레이저 라인 표시가 가능한 골프티
KR100932738B1 (ko) * 2007-10-08 2009-12-21 성태식 헤드업 방지용 골프 티
KR101029706B1 (ko) * 2010-12-30 2011-04-18 주식회사 아이덱스 골프용 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3410B1 (ko) 2005-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3692B2 (en) Illumination device
US6712487B2 (en) Light emitting golf ball
WO2007070251A3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taining an anthracene derivative
KR100523410B1 (ko) 발광 골프티
KR100900726B1 (ko) 엘이디 캡슐을 구비한 골프 티
KR200383184Y1 (ko) 발광 골프티
US8007132B2 (en) Electric torch
US20080072676A1 (en) Vibration sensor
US7182490B2 (en) Structure of illumination apparatus
US20040141311A1 (en) Electroluminescent Frisbee
US20060080868A1 (en) Call display and vibration-sensed light emitting shoe heel
CN210266769U (zh) 一种g9灯
CN208670642U (zh) 一种手电筒
JP3170715U (ja) ゴルフティー
US8371867B2 (en) Illumination device with a connector having a retainer with a rotary member and elastic pieces
KR20040029199A (ko) 골프티
CN204437985U (zh) 一种提高稳定性的带有照明功能的爆闪灯
JP3161591U (ja) ゴルフボールマーカー
CN204437983U (zh) 一种提高稳定性的带有照明功能的多功能爆闪灯
KR200282085Y1 (ko) 전자발광 낚시찌
CN214778049U (zh) 一种自发光的包装盒
CN211676188U (zh) 一种便于夜间练习的羽毛球
KR200323973Y1 (ko) 어신감지용 발광장치를 갖춘 초릿대
US20130002171A1 (en) Illumination device
KR10113444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골프 폴대 및 홀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