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097A -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커넥션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커넥션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097A
KR20040072097A KR1020030008028A KR20030008028A KR20040072097A KR 20040072097 A KR20040072097 A KR 20040072097A KR 1020030008028 A KR1020030008028 A KR 1020030008028A KR 20030008028 A KR20030008028 A KR 20030008028A KR 20040072097 A KR20040072097 A KR 2004007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network
connection
ring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8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097A/ko
Publication of KR2004007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09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2Shortest path evalu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28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using route fault recover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ATM 커넥션 설정 방법은, 외부망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노드와, 외부망에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노드로 이루어지는 링구조를 운용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각 링노드간에 초기 ATM 커넥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와 임의의 링노드간에 설정되는 커넥션 경로를, 네트워크 노드를 기준으로 좌우로 분산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해당 링노드간에 최소의 링노드를 거쳐 최단 경로를 가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임의의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여 절체를 수행하는 경우, 데이터의 손실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으며, Layer 2 프로토콜의 종류와 관계없이 링 토폴로지로 운영되는 모든 차세대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장애 발생 시 보다 효율적으로 망을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 커넥션 설정 방법{method for initializing setting ATM connection of ring configration using Shortest Path Connection}
본 발명은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 커넥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외부망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노드와, 외부망에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노드로 이루어지는 링구조를 운용하는 망관리 시스템(Element Management System: EMS)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각 링노드간에 초기 ATM 커넥션을 설정할 때, 장애절체시 데이터 손실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 커넥션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링(Ring) 구조의 네트워크는 신뢰도와 경제적인 면에서 매우 적합한 형태로서, 일반적인 SDH(Synchronous Digital Hierarchy)상에서 구현되어 있는 링구조 뿐만 아니라 최근 메트로 이더넷(Metro Ethernet)에서도 링 토폴로지(Ring Topology)를 이용한 생존도(Survivability) 보장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다.
링구조는 외부망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노드와, 외부망에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노드로 이루어지며, 망관리 시스템에 의해서 네트워크 노드와 각 링노드간에 초기 ATM 커넥션이 설정된다.
한편, 보호 절체(Protection switching)는 링구조상에서 네트워크 장비 및 경로 장애 발생시 데이터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장비에구현되고 있다.
보호 절체라 함은 임의의 네트워크 장비 또는 경로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다른 네트워크 장비 또는 경로로 절체하여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장비나 전송 경로의 장애 발생시 수행되는 보호 절체는 다소간에 데이터의 손실을 유발하게 되며 이는 전송의 QoS(Quality of Service)및 망 생존도에 매우 큰 영향이 미치게 된다.
한편, 최근 인터넷은 새로운 변화를 수용하면서 고속화(High-Speed)와 QoS (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할 수 있는 차세대 인터넷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즉, 고속화 및 데이터와 음성 통합 서비스가 가능한 복합 장비들이 개발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세대 네트워크를 운용할 경우 장애 발생시에도 다양한 서비스를 모두 유지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어 진다.
왜냐하면, 장애 발생 시 보호 절체에 소요되는 시간과 보호 절체가 수행되는 동안 손실된 데이터의 양은 차세대 네트워크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보호 절체 시간 및 손실 데이터의 감소는 장애 발생 시 데이터 손실로 인한 실시간(Real-Time) 서비스의 전송 품질의 향상 뿐만 아니라, 비 실시간(Non Real-time) 서비스의 손실 데이터의 재전송 양을 감소시킴으로서 네트워크의 서비스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 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이제까지, 보호절체에 대한 종래의 연구는 보호 절체의 수행 시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복구 수행 시간에 따라 다양한 범주로 분류하여 각 서비스에서 필요한 복구 시간에 대하여만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보호 절체(Protection switching) 성능이 동일한 경우, 예를 들어, 모든 노드에서 보호 절체 수행에 필요한 시간이 동일한 전송 장비들이라 할지라도 각 노드간의 데이터 경로에 따라 보호 절체시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의 손실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우선, 종래에 적용되고 있는 링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에서는 다양한 보호 절체(Protection Switching)방법들을 규정하고 있다.
1+1 보호 절체의 구조는 ITU-T I.630의 Annex B로 정의 되어 있으며, 구현 및 제어가 매우 간단하며 수행 시간에 있어서도 아주 빠르게 동작할 수 있어 매우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이 구조의 주요한 특징은 단순히 지역정보(local information)을 이용하여 보호 절체가 이루어 질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경로의 변경은 로컬 셀렉터(local selector)에 의하여 결정된다.
한편, 이러한 1+1 보호절체의 구조를 아래와 같은 3가지 룰(rule)을 적용함으로써 링 토폴로지상에서 구현할 수 있으며 1+1 보호절체의 기본적인 특징도 유지된다.
룰 1) 각 노느는 트래픽을 이웃한 노드로 모두 전송한다.
룰 2) 각 노드의 수신은 수신의 상태가 정상인 방향으로 수신한다.
룰 3) 자신의 노드가 엔드 포인트(End-Point)가 아닌 트래픽은 바이패스(bypass) 시킨다.
도 1은 링 토폴로지의 전송망에서 위의 룰을 적용하여 1+1 보호 절체를 구현한 것을 도식화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드 A(1)와 노드 B(4)사이의 전송에서 노드 1(2), 노드 2(3)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로(도면의 working entity(#1))와 노드 3(6)과 노드 4(5)를 통하여 전송하는 경로(도면에서 protection entity(#0)) 2가지가 존재한다.
2가지 경로 모두 전송이 이루어지며 수신은 노드 B(4)의 셀렉터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노드 1(2), 노드 2(3), 노드 3(6), 노드 4(5) 모두 노드 A(1)와 B(1)간의 데이터에 대하여는 바이패스시킨다.
전송 장비 네트워크(예를 들면, Access Network)인 노드 A(1)는 외부 망과 연결되어 각 노드(2, 3, 4, 5, 6)에서 전송된 트래픽을 인터넷으로 송출하게 되며 인터넷으로부터 들어온 트래픽은 노드 A(1)를 통하여 각 노드(2, 3, 4, 5, 6)로 보내진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과 같은 망에서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 커넥션의 설정 방법과 장애 발생 시 발생하는 데이터 손실의 양을 분석하고 시험기(Testbed) 시험을 통하여 장애 발생 시 최소의 데이터 손실의 커넥션 설정 방법을 규명할 것이다.
1+1 보호 절체에서 상호 송/수신을 하는 2개의 노드에서 셀렉터의 수신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4가지 방법의 송/수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링구조에서 종래에 사용되는 커넥션 방식에는 써큘러 커넥션 방식과 동방향 커넥션 방식이 있다.
<종래예 1> 써큘러 커넥션
써큘러 커넥션(Circular Connection)은 송신과 수신의 경로를 원형으로 운영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링 구조에서 사용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운영할 수 있고 그 특징도 동일하다.
도 2는 종래의 써큘러 커넥션 구조를 채용한 링 구조를 보여주는 것으로, 4개의 노드로 이루어진 링 토폴로지 네트워크를 예로 들었다. 도 2를 참조하면, 노드 0(11)은 외부 망과 연결되어 있으며 채널이 노드 0(11)에서 노드 1, 2, 3(12, 13, 14)에 각각 설정된 모습이다. 채널 1의 사용자는 인터넷망으로부터 노드 0(11) , 노드 1(12)을 통하여 수신하며, 송신 시에는 노드 1(12), 노드 2(13), 노드 3(14), 노드 0(11)을 차례로 경유하여 외부 망에 송신되어진다. 채널 2, 채널 3도 동일한 방향으로 송/수신되어 진다. 이와 같은 연결을 서큘러 커넥션(Circular Connection)이라 부르기로 한다.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도 트래픽은 전송이 되지만 각 노드 1(12), 노드 2(13), 노드 3(14)의 셀렉터에 의해 수신 선택이 되지 않아 모두 폐기 되어진다. 도 2와 같이 모든 채널은 동일한 경로를 거쳐서 돌아오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의 연결은 노드 0(11)에서의 응답시간이 노드와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된다.
도 3은 도 2에서 노드 1(12)과 노드 2(13)사이에 전송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노드 1(12)과 노드 2(13)사이의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였음으로 인해, 트래픽은 노드 1(12)과 노드 2(13)사이를 지나지 않는 경로로 변경되어 송/수신을 유지하게 된다.
도 2와 비교하였을 때 채널 1, 2, 3 모두 송/수신 경로가 변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노드 1(12)과 노드 2(13)사이의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 채널 1, 2, 3 모두 전송 데이터에 손실이 발생 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써큘러 커넥션의 경우에는 장애 발생 위치와 상관없이 모든 채널에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 할 수 있게 된다.
<종래예 2> 동방향 커넥션(Same Direction Connection)
다음으로 동방향 커넥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동방향 커넥션을 채용한 링구조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동방향 커넥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같은 방향과 같은 경로를 통하여 송/수신을 하도록 커넥션을 설정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노드 1(22)의 채널 1은 노드 0(Internet Access Point)(21)과 노드 1(22)사이의 경로를 통하여 송/수신을 하도록 한 모습이다.
도 4에서도 각각 노드 1(22), 노드 2(23), 노드 3(24)에서 송/수신하는 채널이 도시되어 있다. 같은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경우에는 노드의 위치에 따라 노드 0(21)에서의 응답시간(Response time)이 각각 다르게 된다.
예를 들어 노드 1(22)의 응답시간이 노드 2(23)의 응답시간보다 짧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는 노드 2(23)의 경로가 노드 1(22)의 경로보다 더 길기 때문이다.
도 5는 도 4에서 노드 1(22)과 노드 2(23)사이에 전송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노드 1(22), 노드 2(23)의 경로에 장애가 발생하면, 노드 1(22), 노드 2(23)를 제외한 경로로 채널이 이동하여 송/수신을 유지한다.
도 4와 비교하면 채널 1의 경로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으며 그 이외의 채널 2 및 채널 3에서는 경로의 변화가 있다. 이것은 채널 2, 채널 3에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링구조에서는 임의의 노드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여러 개의 채널에서 데이터 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망관리 시스템에서 자신이 운용하는 링구조의 네트워크에서 각 노드의 초기 ATM 커넥션을 설정할 때, 보호 절체시에 발생할 수 있는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 커넥션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링 토폴로지의 전송망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써큘러 커넥션 구조를 채용한 링 구조도.
도 3은 도 2에서 노드 1과 노드 2사이에 전송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동방향 커넥션 구조를 채용한 링구조도.
도 5는 도 4에서 노드 1과 노드 2사이에 전송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최단 경로 커넥션을 채용한 링구조도.
도 7은 도 6에서 노드 1과 노드 2사이에 전송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전형적인 링으로 구성된 NGN형태의 구성도.
도 9는 도 8의 망구성 환경에서 수치적 해석을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도.
도 10은 도 8의 망구성 환경에서 삼성 NGN 네트워크 시험기에 의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ATM 커넥션 설정 방법은, 외부망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노드와, 외부망에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노드로 이루어지는 링구조를 운용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각 링노드간에 초기 ATM 커넥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와 임의의 링노드간에 설정되는 커넥션 경로를, 네트워크 노드를 기준으로 좌우로 분산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해당 링노드간에 최소의 링노드를 거쳐 최단 경로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최단 경로 커넥션(Shortest Path Connection)을 채용한 링구조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최단 경로 커넥션은 각 노드 1, 2, 3 모두 노드 0(Internet Access Point)(31)에서 최단 경로를 통하여 송/수신을 하도록 각 노드(32, 33, 34)와의 커넥션을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노드 0(31)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분산하여 노드 0(31)와 채널을 설정하고자 하는 임의의 노드(32, 33, 34) 사이에 설정 가능한 좌우 경로중에 최단의 경로를 선택한다.
최단 경로를 가지기 위해서는 노드 0(31)과 커넥션을 설정하고자 하는 각 노드(32, 33, 34)간에 최소한의 노드를 거치도록 경로를 설정하면다. 그리고 그 설정된 최단의 경로를 노드 0(31)와 해당 노드간의 트래픽 송신 채널 경로와 수신 채널 경로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노드 1(32)의 채널 1은 노드 0(31)과 노드 1(32)사이의 경로만을 통하여만 송/수신을 하도록 한 모습이며, 노드 3(34)의 채널 3은 노드 0(31)과 노드 3(34)사이의 경로를 통하여 송/수신 하도록 설정 되어진다.
최단 경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경우에는 노드의 위치에 따라 노드 0(31)에서 응답시간이 노드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되며 항상 최소의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노드 1(32)의 응답시간은 다른 어떠한 경로 설정보다 항상 같거나 적게 소요된다.
도 7는 도 6의 개념으로 초기 커넥션이 이루어진 링구조에서 노드 1(32)과 노드 2(33)사이에 전송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에 절체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드 1(32), 노드 2(33)의 경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노드 1(32), 노드 2(33)사이의 경로를 제외한 경로로 채널이 이동하여 송/수신을 유지한다. 도 6과 비교하여 볼 때 채널 2의 경로에만 변화가 있으며, 그 이외의 채널 1, 3에서는 변화가 없다. 이것은 채널 1, 3에서는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음을 의미하며 채널 2에서만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에 국한됨을 의미한다.
또한 최단 경로 커넥션으로 운영하는 경우, 장애 발생시 변경되는 경로가 같거나 길기 때문에 경로 변경의 경우, 이와 반대의 경우보다 손실되는 양이 적다. 즉, 노드 0(31)으로부터 장애 복구에 사용된 경로가 장애 발생 경로보다 긴 경우 아직 수신되지 않은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복구 시 손실의 양이 적어 지게 된다. 이와 같이 최단 경로 커넥션은 응답 시간, 손실이 발생하는 채널의 수, 복구 시 손실의 양에서 다른 커넥션 방식에 비하여 우수하다.
망의 복구 성능을 나타내기 위한 요소로 망 손상 검출 지시 시간과, 망 손상 확인 시간과, 망 보호 스위칭 완료 시간과, 망 보호 능력을 들수 있다.
망 손상 검출 지시 시간(Network Impairment Detection Indication Time)은망의 손상의 존재를 검출하고 지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망 손상 확인 시간(Network Impairment Confirmation Time)은 망의 손상이 생겼음을 확인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이 시간은 하부의 계층 보호 행동을 완결되도록 한다.
망 보호 스위칭 완료 시간(Network 보호 절체 Completion Time)은 보호 절체가 요구 되었을 때 즉, 망 손상 확인 종료 시간에서부터 주어진 보호 능력 하에 손상된 경로로부터 보호 경로로 트래픽을 복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다.
망 보호 능력(NPC : Network Protection Capability)은 주어진 시간 안에 손상된 트래픽의 백분율(ratio)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망 보호 능력(NPC)만을 고려하고 그 외의 망 손상 검출 지시 시간과, 망 손상 확인 시간과, 망 보호 스위칭 완료 시간은 일정하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가정은 하드웨어의 성능이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 것이며 동일한 하드웨어인 경우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상술한 종래의 써큘러 커넥션, 동방향 커넥션과, 본 발명에 의한 최단 경로 커넥션에 대하여 망 보호 능력을 각각 분석하여 서로 비교하였다.
링을 구성하는 노드 중 외부 망과 연결된 노드 0을 제외한 노드의 수를 n이라고 하고 노드 1, 2 .. n의 NPC를 각각NPC 1,NPC 2...NPC n이라 하면, 네트워크 전체의 NPC는 수학식 1과 같게 된다.
써큘러 커넥션은 장애 경로와 관계없이 모든 채널에서 경로 변경이 발생하므로 써큘러 커넥션의 네트워크 전체의 NPCcc는 수학식 1과 같게 된다. 동방향 커넥션으로 운영 시 장애가 발생한 임의의 경로가 노드k와 노드k+1사이의 경로라고 하면 노드 0, 1 ...,k의 경로로 수신되던 채널은 반드시 다른 경로로 복구 되어야 하며 이외의 경로는 변경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동방향 커넥션의 NPCsdc는 수학식 2와 같다.
한편, 최단 경로 커넥션으로 운영 시 장애가 발생한 임의의 경로가 노드k와 노드k+1사이의 경로라고 하면k가 n/2보다 작은 경우에는 0에서k까지의 경로로 수신되던 채널은 반드시 다른 경로로 복구되어야 한다. 또한k가 n/2보다 큰 경우는k+1부터n까지의 경로로 수신하던 채널이 다른 경로로 복구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최단 경로 커넥션의 네트워크의 전체 NPCspc는 수학식 3과 같다.
그러므로, 임의의 노드의NPCn = NPC로 모두 동일하다면 수학식 1, 2, 3에 의하여, 수학식 4가 성립한다.
결국, 임의의 경로에서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모든 경우에 대하여 NPCcc≥ NPCsdc≥ NPCspc이며, 이것은 동일한 하드웨어 조건에서 항상 최단 경로 커넥션의 망 보호 능력이 우수함을 증명한다.
도 8은 전형적인 링으로 구성된 NGN(Next Generation Network)형태의 구성이다. 본 명세서에는 이와 같이 망을 구성하여 테스트를 수행하여 성능 평가를 하였으며 링을 구성하는 노드(44, 45, 46, 47)는 모두 4개이며, 노드 0(44)는 NAS(42)에 연결되어 있고 NAS(42)는 라우터/ATM 스위치(41)를 통해 IP/ATM망에 연결된다. 데이터 트래픽 발생 및 측정장치로는 ATM 계측기(43)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손실량을 이용한 NPC를 측정하였다.
도 8의 구성도에서 각 노드간의 인터페이스는 ATM 622Mbps(STM-4)이며 ATM계측기(43)와 연결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는 ATM 155Mbps(STM-1)이다. 노드 1, 2, 3에 각각 채널 1, 2, 3을 설정하여 트래픽을 인가하고 임의의 경로에 장애를 발생시켜 그 손실 양을 계측기(43)를 통하여 확인하는 방법으로 써큘러(Circular), 동방향(Same Direction), 최단 경로 커넥션(Shortest Path Connection)의 경우에 대하여 각각 실시하여 네트워크 전체의 NPC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도 9는 도 8의 망구성 환경에서 수치적 해석(Numerical Analysis)를 통한 시뮬레이션 결과이며, 도 10은 삼성 NGN 네트워크 시험기(Samsung's NGN Network Testbed)를 통한 결과이다.
도 9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모든 노드의 NPC가 같은 경우 결과이며, 모든 노드에서 망 손상 검출 지시, 망 손상 확인 및 망 보호 스위칭 완료에 소요되는 시간을 50msec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분석 결과, 항상 최단 경로 커넥션(Shortest path Connection)방식이 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최단 경로 커넥션은 망의 노드가 증가 할 수록 보호 절체 시 발생하는 데이터 손실의 비율이 감소하는 좋은 특성을 나타내는데 비하여 다른 커넥션 운영 방법은 데이터 손실의 비율이 일정하다.
분석 결과 최단 경로 커넥션 방식은 써큘러 커넥션방식에 비하여 평균 70%정도, 동방향 경로 커넥션 방식에 비하여 평균 40%정도 데이터 손실을 감소 시킨다.
도 10의 시험 결과에서 사용된 NPC는 각 경로에 장애가 발생한 1초 동안의 데이터 손실률의 평균을 계산하였으며 Testbed 시험을 통하여 최단 경로 커넥션이우수한 NPC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제 시험 결과에서는 도 10과 같이 써큘러 커넥션은 노드의 수가 증가하면 동일한 하드웨어에서 손실(Loss)의 양이 증가함을 볼 수 있었으며 이유는 채널의 수가 증가하므로 각 채널 셀렉터의 동작 로드(Load)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수치적 해석 및 시험 결과는 매우 유사하며 모두 최단 경로 커넥션 방식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채널 경로 설정 방법은 망관리 장치에서 자신이 운용하는 링구조의 각 노드간에 초기 ATM 설정을 할때, 네트워크 노드와 각 링노드가 최단의 경로를 가지도록 설정함으로써 장애발생에 따른 절체시 발생하는 손실 데이터의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최단 경로 커넥션 방식은 Samsung's NGN Network Testbed를 이용하여 운용한 결과를 보면 네트워크 운영 중 임의의 경로 장애 발생시 종래의 다른 방법에 비하여 우수한 보호절체 성능을 보여준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채널 경로 설정 방법은 Layer 2 프로토콜의 종류와 관없이 링 토폴로지로 운영되는 모든 차세대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장애 발생 시 보다 효율적으로 망을 운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외부망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노드와, 외부망에 연결되지 않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노드로 이루어지는 링구조를 운용하는 망관리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노드와 각 링노드간에 초기 ATM 커넥션을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임의의 링노드간에 설정되는 커넥션 경로를, 상기 네트워크 노드를 기준으로 좌우로 분산하여 상기 네트워크 노드와 해당 링노드간에 최소의 링노드를 거쳐 최단 경로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ATM 커넥션 설정 방법.
KR1020030008028A 2003-02-08 2003-02-08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커넥션 설정 방법 KR20040072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028A KR20040072097A (ko) 2003-02-08 2003-02-08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커넥션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028A KR20040072097A (ko) 2003-02-08 2003-02-08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커넥션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097A true KR20040072097A (ko) 2004-08-18

Family

ID=37359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028A KR20040072097A (ko) 2003-02-08 2003-02-08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커넥션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20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9528B2 (en) Method of estimating restoration capacity in a network
US6538987B1 (en) Rapid ring protection switching system
US6011780A (en) Transparant non-disruptable ATM network
US7027388B2 (en) 1+1 Mesh protection
US6898630B2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utilizing notification between fault manager for packet switching nodes of the higher-order network layer and fault manager for link offering nodes of the lower-order network layer
EP1662717A1 (en) Improved restoration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20070271484A1 (en) Method, system and network entity for detecting a connection fault
EP0824292A2 (en) Asynchronous transfer mode (ATM) connection protection switch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6115496A (ja) 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要素
US7054262B2 (en) Line-level path protection in the optical layer
US6775228B1 (en) ATM network element and method for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of a transmission convergencence sublayer subnetwork connection
Veitch et al. Administration of restorable virtual path mesh networks
KR20150002474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장애 복구 방법
KR100705566B1 (ko) Mpls 네트워크의 성능 관리 장치 및 방법
US6236640B1 (en) Method for alternate circuiting of transmission equipment in ring architectures for bidirectional transmission of ATM cells
KR20040072097A (ko) 최단 경로 커넥션을 이용한 링구조의 초기 에이티엠커넥션 설정 방법
EP1829301B1 (en) Atm protection system
KR20060084052A (ko) Mpls 네트워크의 성능 관리 장치 및방법
US6990066B1 (en) Method for using a pre-configured ATM switch and traffic discard to facilitate UPSR selection
KR100801575B1 (ko) 트래픽 특성에 따른 장애 복구 방법
Hall et al. Protection of SONET based networks
Gan Self-healing ATM networks
KR20010036797A (ko) 인터넷 프로토콜(IP)망에서 서비스품질(QoS) 보장을 위한 동적 부하 제어 방법
KR100411247B1 (ko) 에이티엠 망에서 최단 제어 경로를 이용한 경로복구방법
Yurcik et al. Survivable ATM Group Communications: Issues and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