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962A -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962A
KR20040070962A KR1020030007208A KR20030007208A KR20040070962A KR 20040070962 A KR20040070962 A KR 20040070962A KR 1020030007208 A KR1020030007208 A KR 1020030007208A KR 20030007208 A KR20030007208 A KR 20030007208A KR 20040070962 A KR20040070962 A KR 20040070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storage
parameter
terminal
storage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5712B1 (ko
Inventor
안병익
박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3-0007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571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5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5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수신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A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Non-stored Type Message}
본 발명은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시지 전송시 비저장형임을 표시하는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수신 단말기는 비저장형 메시지를 단말기에 계속 저장하지 않고 수신자가 확인한 후에는 삭제하도록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이동 통신 가입자간에 주고받는 메시지는 기본적으로 모두 단말기에 저장되어 한정된 단말기의 메모리를 차지하게 된다. 이는 메시지가 음성 통화에 비해 비교적 요금이 높고 이용 용도를 중요한 내용의 전송으로 생각하며, 단말기에의 전달을 주목적으로 하는 메시지의 저장 자체를 중요시하여 기존의 단말기는 무조건적으로 단말기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삭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메시지의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신자가 발신 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작성하여 메시지를 전송하면(S10, 20), 수신 단말기는 수신된 메시지를 일단 메모리에 저장한다(S30).
수신자는 수신 단말기 화면을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한다(S40). 따라서, 수신된 메시지는 수신자의 별도의 조작이 없으면 메모리에 그대로 저장되며, 사용자가 메뉴에서 삭제를 누를 경우에만 삭제가 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가입자의 사용 양식이 변화함에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수신 메시지 저장 방식에 따르면 메시지의 내용 및 중요도에 관계없이 수신되는 모든 메시지가 단말기에 저장되는 것은 부적절할 경우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메시지 전송의 동기가 중요한 내용이 아니 일상적이고 비교적 간단한 내용 특히 대화에 가까운 연속적인 내용의 전달에 있어서, 메시지의 용도가 저장보다는 일회성에 가까워지는 경우(문자 채팅 등)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은 한정된 용량을 갖는 휴대폰의 메모리에 있어서는 문제가 되고 있으며, 많은 저장된 메시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삭제하는 것은 사용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운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수신된 메시지 저장방법의 불합리를 극복하고,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는 저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메시지를 작성할 때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에는 비저장 파라미터를 부가한 후 전송함으로써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면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할 수 있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수신 단말기에서 비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수신자의 저장 명령에 따라서 수신된 메시지의 저장 또는 삭제를 행할 수 있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기와 같이 비저장형 메시지를 자동 삭제함으로써 단말기의 한정된 용량의 메모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메시지의 송수신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발신 메시지의 서브 파라미터의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저장성 여부 파라미터의 세부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발신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 50 : 단말기, 20 : 기지국,
30 : 교환기, 40 : SMSC,
60 : 서브 파라미터 ID 필드, 70 : 서브 파라미터 길이 필드,
80 : 저장 필요 필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발신자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수신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의 생성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수신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비저장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르면, 수신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비저장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저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상기 메시지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부의 제 1 영역에,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의 제 2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처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로서, 발신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수신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측면에 따르면,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로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저장형 메시지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단말기, 기지국(20), 교환기(30), SMSC(40)로 구성된다.
단말기(10, 50)는 SMSC(40)를 통하여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지칭하며, 휴대폰, PDA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유선 통신 단말기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메시지 전송 시에 메시지에 저장 파라미터를 부가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종래의 단말기는 새로운 파라미터를 수신하면 이를 무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종래의 단말기 간의 호환이 가능하며 따라서 기존의 단말기 가입자의 사용에 있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기지국(BS : Base Station)(20)은 교환기(MSC)(30)와 휴대 단말기(10, 50) 사이의 무선 신호들의 전송과 관련된 모든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20)은 BSC(Base Station Controllers)와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로 구성된다. BTS(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는 셀 내에 있는 단말기(10, 50)와 무선으로 통신하여 가입자에게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BTS는 무선 채널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수행하여 단말기(10, 50)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BSC(Base Station Controller)는 복수개의 BTS와 정합을 하여, 셀 간의 핸드오프 처리, 호 제어, 기지국(20)의 운용과 유지보수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교환기(30)는 이동통신망과 PSTN, ISDN 등과 같은 고정망 사이의 연동, 또는 이동통신망과 PLMN, 인터넷망, PSPDN과 같은 타사업자의 망 사이의 연동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가입자 단말기(10)와 신호 및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BTS/BSC와 정합한다.
SMSC(Short Message Service Center)(40)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교환기(30)와 HLR(미도시)을 경유하여 이동통신망과 연동한다.
도 3은 발신 메시지의 서브 파라미터의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SMS 발신 메시지의 서브 파라미터의 구조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MS 발신 메시지는 복수개의 서브 파라미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즉, 통상의 발신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을 위한 메시지 식별자, 메시지의 내용이 기록되는 부분인 사용자 데이터, 절대 가용 주기, 상대 가용 주기 등의 서브 파라미터 필드를 포함한다. 각 서브 파라미터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필수형과 선택 사항인 선택형이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시지 식별자만이 필수형이며 나머지 서브 파라미터들은 선택형이다. 수신 메시지의 경우도 발신 메시지와 거의 유사한 서브 파라미터 필드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SMS 메시지는 통상의 SMS 메시지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표의 마지막에 도시되어 있는 저장성 여부에 관한 파라미터(본 명세서에서 "저장 파라미터" 로 표현됨)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즉, 메시지의 예비 필드의 일부를 저장 파라미터로 할당하도록 하거나 사용자 데이터 필드의 일부가 저장 파라미터로 할당되고, 저장 파라미터에는 작성된 메시지가 저장할 필요가 있는 저장성 메시지인지 저장할 필요가 없는 비저장성 메시지인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기록된다. 저장 파라미터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4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저장 파라미터의 세부 구조의 일례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 파라미터는 제 1 필드(60), 제 2 필드(70) 및 제 3 필드(80)로 구성된다.
제 1 필드(60)는 수신자 단말기(50)가 저장 파라미터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라미터 식별자가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필드(60)로 8비트가 할당되며, "11100111"로 설정된다.
제 2 필드(70)는 저장 파라미터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파라미터 길이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필드(60)로 8비트가 할당되며, "00000001"로 설정된다.
제 3 필드(80)는 전송할 메시지의 저장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으로서, 전송할 메시지가 저장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00000001"로, 저장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00000000"로 설정된다. 그리고, 기타의 값을 가질 경우에는 "00000001" 으로 설정되고, 저장 파라미터가 없을 경우에도 "00000001" 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필드의 길이로 8비트를 할당하였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서 할당되는 비트 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며, 설정된 값도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발신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생성 및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우선, 발신 단말기는 발신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다(S100). 발신자는 단말기의 문자 서비스 메뉴를 선택한 후, 키패드를 이용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입력한다.
발신 단말기는 발신자로부터 수신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다(S110). 수신자 식별 정보는 수신 단말기 전화 번호이다. 즉, 발신자는 메시지 작성이 끝나면 키패드를 이용하여 수신자 단말기(50)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발신 단말기는 발신자로부터 메시지의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다(S120). 즉, 수신자 식별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면 발신 단말기는 단말기 화면에 작성된 메시지가 저장이 필요한 저장형인지 저장이 필요하지 않는 비저장형인가를 선택하도록 하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발신자는 단말기 화면에서 저장형 및 비저장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발신 단말기는 상기 입력된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에 부가한다(S130, 140). 발신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저장형 입력을 받은 경우 도 4의 제 3 필드(80)에 "00000001"을 기록하고, 비저장형 입력을 받은 경우에는 "00000000"을 기록하여 저장 파라미터를 생성한 후, 이를 메시지에 부가한다.
마지막으로, 발신 단말기는 완성된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로 전송한다(S150).
도 6은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수신자 단말기(50)는 발신자 단말기(10)로부터 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한다(S200).
수신자 단말기(50)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수신된 메시지 및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한다(S210).
수신자 단말기(50)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220). 만일,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저장형인 경우에는 통상의 메시지와 같이 처리된다.
만일,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인 경우에는 수신자 단말기(50)는 저장 여부 확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230). 이 때, 표시된 메시지가 비저장형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와 함께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수신자 단말기(5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 여부 명령을 입력받는다(S240). 즉,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를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읽고,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한다. 이는 수신자 단말기(50)가 메시지를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와 함께 저장 메뉴 및 삭제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수신자가 저장 메뉴 또는 삭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수신자 단말기(50)는 수신자로부터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저장 파라미터만을 삭제한다(S250). 즉, 수신자가 저장 메뉴를 선택하면 메시지는 통상의 메시지와 같이 취급되므로 저장부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저장 파라미터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메시지에서 저장 파라미터 필드를 삭제한다.
만일,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저장된 메시지 및 저장 파라미터를 삭제한다(S260). 수신자가 삭제 메뉴를 선택하거나 저장 메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단말기는 메시지를 중요하지 않은 정보로 판단하여 메시지 및 저장 파라미터를 삭제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수신 단말기가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한 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표시하도록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저장 여부를 묻지 않고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고 나면 바로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수신자가 메시지를 열고 확인 버튼을 누르거나 다음 메시지를 여는 경우, 메시지 보기를 중단하거나 발신자에게 회신 메시지를 작성 또는 수신하는 경우에는 메시지 확인 후 바로 메시지가 삭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7은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수신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수신자 단말기(50)는 발신자 단말기(10)로부터 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한다(S300).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상기 메시지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부의 제 1 영역에 저장하고(S310),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는 저장부의 제 2 영역에 저장한다(S330).
수신자 단말기(50)는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320, S340). 만일,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저장형인 경우에는 통상의 메시지와 같이 처리된다.
만일,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인 경우에는 수신자 단말기(50)는 저장여부 확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한다(S350).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때, 표시된 메시지가 비저장형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상기 메시지와 함께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다.
수신자 단말기(5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 여부 명령을 입력받는다(S360). 즉, 사용자는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메시지를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를 읽고,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수신자 단말기(50)가 메시지를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메시지와 함께 저장 메뉴 및 삭제 메뉴를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고, 수신자가 저장 메뉴 또는 삭제 메뉴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수신자 단말기(50)는 수신자로부터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는 제 2 영역에 저장된 저장 파라미터만을 삭제한다(S370). 즉, 수신자가 저장 메뉴를 선택하면 메시지는 통상의 메시지와 같이 취급되므로 제 2 영역에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저장 파라미터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메시지에서 저장 파라미터 필드를 삭제한다.
만일,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제 2 영역에 저장된 메시지 및 저장 파라미터를 삭제한다(S380). 수신자가 삭제 메뉴를 선택하거나 저장 메뉴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단말기는 메시지를 중요하지 않은 정보로 판단하여 제 2 영역에 저장되어 있던 메시지 및 저장 파라미터를 삭제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 여부를 묻지 않고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고 나면 바로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기에 한정하여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그 외에 유선 단말기 및 각종 통신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SMS를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각종 데이터 전송 서비스 등에도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시지를 작성할 때 중요하지 않은 메시지에는 비저장 파라미터를 부가한 후 전송함으로써 수신자가 메시지를 확인하면 별도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메시지를 삭제하도록 할 수 있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신 단말기에서 비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수신자의 저장 명령에 따라서 수신된 메시지의 저장 또는 삭제를 행할 수 있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비저장형 메시지를 자동 삭제함으로써 단말기의 한정된 용량의 메모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함으로써 문자 채팅 등에서 의도되는 일회성 메시지의 전송 및 확인에 따른 메시지 저장함의 관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메시지 이용의 확산을 가져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9)

  1. 발신자 단말기에서 비저장형 메시지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수신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의 생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파라미터는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파라미터 식별자가 기록되는 제 1 필드;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파라미터 길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필드; 및
    전송할 상기 메시지의 저장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제 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의 생성방법.
  3. 수신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비저장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처리방법.
  4. 수신자 단말기에서 수신된 비저장형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저장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상기 메시지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부의 제 1 영역에,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에는 상기 저장부의 제 2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상기 제 2 영역에 저장된 상기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처리방법.
  5.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는
    저장 여부 확인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저장 여부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저장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처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된 메시지가 비저장형 메시지임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처리방법.
  7. 제 3 항 또는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파라미터는
    상기 수신자 단말기가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파라미터 식별자가 기록되는 제 1 필드;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길이를 나타내기 위한 파라미터 길이 정보가 기록되는 제 2 필드; 및
    전송할 상기 메시지의 저장 필요 여부에 관한 정보가 기록되는 제 3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저장형 메시지 처리방법.
  8.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로서,
    발신자로부터 메시지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수신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발신자로부터 상기 메시지의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저장 필요여부에 관한 정보에 상응하는 저장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메시지에 부가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9. 단말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기록매체로서,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저장 파라미터가 부가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메시지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 파라미터의 값이 비저장형임을 나타내는 값인 경우 수신된 메시지를 삭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3-0007208A 2003-02-05 2003-02-05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 KR100535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208A KR100535712B1 (ko) 2003-02-05 2003-02-05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208A KR100535712B1 (ko) 2003-02-05 2003-02-05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962A true KR20040070962A (ko) 2004-08-11
KR100535712B1 KR100535712B1 (ko) 2005-12-09

Family

ID=3735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208A KR100535712B1 (ko) 2003-02-05 2003-02-05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5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979B1 (ko) * 2005-07-05 2006-08-22 주식회사 팬택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3979B1 (ko) * 2005-07-05 2006-08-22 주식회사 팬택 통신망 내 일시 저장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메시징 서비스방법과 그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5712B1 (ko) 200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728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recognition and displaying of characters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050013419A1 (en) Network speech-to-text conversion and store
KR100637327B1 (ko) 에스엠에스메시지 수신확인 서비스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서비스 시스템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US6980792B2 (en) Billing for repli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0401819C (zh) 便携终端的通话中语音消息接收装置及其方法
KR100495359B1 (ko) 동보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전송방법 및 동보 전송정보를 이용한 회신 메시지 전송방법
KR100535712B1 (ko) 비저장형 메시지 생성방법 및 처리방법
KR100541495B1 (ko) 패킷 교환 방식에 의해 음성메시지를 송수신하는이동통신단말기와 그 방법
KR100915910B1 (ko) 멀티 에스엠에스 메시지 열람확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위한 단말장치
KR100661829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 및 그의 프로파일 sms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511303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제어 방법
KR100744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무전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44138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태그 메세지 전송 방법
KR10076263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들을 그룹화하는 방법
KR100936528B1 (ko) 통화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GB2404301A (en) Message download from remote location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20050122527A (ko) 무선단말기의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회신메시지 전송방법
KR100623288B1 (ko) 메시지 자동 삭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1757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중 주소록 관리 및 전송 장치 그리고그 방법
JP5423336B2 (ja)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マルチメディア通信方法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7007626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sms 문자 메시지 관리 방법
KR100765971B1 (ko) 수신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 이동통신 시스템 및 그의 수신자 정보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