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0467A - The frame for inline skate - Google Patents

The frame for inline sk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0467A
KR20040070467A KR1020040052979A KR20040052979A KR20040070467A KR 20040070467 A KR20040070467 A KR 20040070467A KR 1020040052979 A KR1020040052979 A KR 1020040052979A KR 20040052979 A KR20040052979 A KR 20040052979A KR 20040070467 A KR20040070467 A KR 20040070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frame
inline
parts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태상
Original Assignee
김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상 filed Critical 김태상
Priority to KR1020040052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0467A/en
Publication of KR20040070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0467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PURPOSE: A frame for inline skates is provided which has an improved structure to offer enhanced strength and durability by maximally preventing vertical frame units from being deformed due to external impacts during skating. CONSTITUTION: The frame(100) comprises: a pair of vertical frame units(10) having a plurality of wheels disposed therebetween; boot connection units(20) disposed on and interconnecting the vertical frames(10) to then be affixed to the bottom of a boot;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units(30) installed under the boot connection units(20) and between each of the wheels; and through-holes(301) penetrating from on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units(10) to another via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units(30).

Description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The frame for inline skate}Frame for inline skating {The frame for inline skate}

본 발명은 인라인 스케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대한 방지하여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line skate,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n inline skate fram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external force as much as possible, thereby improving rigidity and durability.

인라인 스케이트는 일반적으로 그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사람, 즉 인라이너의 발을 수용하는 부츠와, 그 부츠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바퀴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인라인 스케이트를 탈 때에 몸의 균형을 잡기가 어렵지만 숙련이 되면 빠른 속도를 낼 수 있고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일반주행용, 묘기용, 경기용, 도로용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인라인 스케이트는 바쁜 일상생활에서 운동 부족으로 고민하고 있는 직장인들뿐만 아니라, 컴퓨터 등의 보급으로 실내에서 활동하는 시간이 많아 운동량이 적은 학생들에게까지 즐거움과 함께 적절한 운동량을 줄 수 있는 운동 및 놀이기구로서 인기를 얻고 있다.Inline skating generally consists of boots that accommodate the feet of the inline skater, i.e. the inliner, a frame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oots, and a plurality of wheels arranged in line with the frame. Such inline skating is difficult to balance the body when riding inline skating, but if you are skilled, you can achieve high speed and show various feats.It can be used for general driving, stunting, racing, road, etc. It is produced in various forms. In recent years, such inline skating is an exercise that can give an appropriate amount of exercise to the students who have a lot of time to work indoors due to the spread of computers, as well as office workers who are suffering from lack of exercise in busy daily life. And as a ride.

상기 프레임은 인라이너의 하중을 지지하는 동시에 인라이너가 주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각종 외력을 받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들과, 부츠 결합부와, 복수의 보강부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들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 수직 프레임들 사이에 복수의 바퀴들이 일렬로 배치되고, 그 수직 프레임부들의 상부에는 그 수직 프레임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며 부츠의 바닥면이 부착되는 상기 부츠 결합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 사이에는 인라이너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외력에 의한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보강부들이 마련되어 있고 그 보강부 각각의 양단이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에 연결되어 있다.The frame supports a load of the inliner and receives various external forces generated while the inliner is running. The frame includes a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a boot coupling part, and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The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heels are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 vertical frames, and the upper portions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s interconnect the vertical frame portion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ot is attached. The boot coupling is provid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ar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part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arts due to various external forces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inliner, and both ends of each of the reinforcement parts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parts. have.

그런데, 이러한 프레임의 보강부는 얇은 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보강부는 세로 길이가 가로 길이에 비해 매우 작은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보강부는 인라이너의 무게와 주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외력에 의한 수직 프레임부들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를 전문적으로 타는 매니아들과 인라인 스케이트 선수들은 그들이 착용하고 있는 인라인 스케이트의 미세한 변형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따라서, 인라인 스케이트 매니아들과 선수들에게 있어서, 수직 프레임부의 미세한 변형, 예를 들면 비틀림은 그 양이 매우 작다하더라도 인라인 스케이트의 속도감을 떨어뜨리고 주행중의 자유로운 방향조정을 방해하여 인라인 스케이트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만족감을 현격하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the reinforcement part of such a frame is a thin plate shape. That is, the reinforcement part has a cross section of a shape in which the longitudinal length is very small compared to the horizontal length. Therefore, such a reinforcement part has a problem that it is not sufficient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arts due to the weight of the inliner and various external forces generated during driving. In particular, enthusiasts and inline skaters who specialize in inline skating are very sensitive to the slight deformations of the inline skates they wear. Therefore, for inline skate enthusiasts and athletes, even a slight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for example, torsion, can be obtained through inline skates by reducing the speed of the inline skate and preventing free direction during driving even if the amount is very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greatly reduces the satisfac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력에 의해 수직 프레임부들이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 사이에 양단부가 상기 각 수직 프레임부들에 연결된 복수의 보강부들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에서부터, 상기 보강부의 중심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까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oth ends connected to each of the vertical frame parts between the vertical frame parts in order to prevent the vertical frame parts are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as much as possible Frame for inline skating, the structure of which is improved so that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part from one vertical frame part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is provided to the other vertical frame part. To prov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line skat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Ⅱ-Ⅱ선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the frame for inline skating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frame for inline skating shown in FIG. 1.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부츠 2...바퀴1 ... boots 2 ... wheels

10...수직 프레임부 20...부츠 결합부10 ... Vertical frame section 20 ... Boot joint

30...보강부 301...관통공30 ... Reinforcement section 301 ... Through

100...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0 ... Inline skating fr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들 사이에 복수의 바퀴들이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수직 프레임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며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츠 결합부를 구비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 사이에는, 외력에 의해 그 수직 프레임부들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부가 상기 각 수직 프레임부들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강부들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에서부터, 상기 보강부의 중심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까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arrang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heels are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m, and located on top of the vertical frame parts to interconnect the vertical frame parts. In the in-line skate frame having a boot coupling portion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ine skate boots, betwee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vertical frame portions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both ends are each vertical A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connected to the frame parts are provided, and through holes penetrating from one of the vertical frame parts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to the other vertical frame part through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part are form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Ⅱ-Ⅱ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Ⅲ-Ⅲ선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line skate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the inline skate fram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inline skate frame shown in FIG. 1. It is sectional drawing of the III-III line | wire of a fram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0)은 수직 프레임부(10)와, 부츠 결합부(20)와, 보강부(30)를 구비한다.1 to 3, the in-line skat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frame portion 10, a boot coupling portion 20, and a reinforcement portion 30.

상기 수직 프레임부(10)는 한 쌍이 구비되고, 그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10)들은 상호 대향되게 배치된다. 그 수직 프레임부(10)들 사이에는, 복수의 바퀴(2)들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연결수단에 의해 그 수직 프레임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렬로 배치된다. 이러한 연결수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vertical frame part 10 is provided with a pair, and the pair of vertical frame parts 10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etwee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0, a plurality of wheels 2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10 by a generally known connection means, although not shown. Such a connection means is already well known and is not a characterist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부츠 결합부(20)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1)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분이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부츠 결합부(2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부츠(1)에 결합되나, 이러한 결합수단은 이미 널리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특징적인 부분이 아니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부츠 결합부(20)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10)들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수직 프레임부(10)들을 상호 연결시키는 부분이다.The boot coupling part 20 is a part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ine skate boot 1, and two in this embodiment are provided. The boot coupling part 20 is not shown but is coupled to the boot 1 by a generally known coupling means, but such a coupling means is already well known and is not a characteristic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boot coupling part 20 is positioned above the vertical frame parts 10 to interconnect the vertical frame parts 10.

상기 보강부(3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부(10)들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보강부(30)는 상기 수직 프레임부(10)들 사이에 복수개,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3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30)들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츠 결합부(20) 아래 및 상기 바퀴(2)들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보강부(30)들 각각의 양단부는 상기 각 수직 프레임부(10)들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보강부(30)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30)의 외주면은 다각형상의 단면, 특히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보강부(30)들 모두가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30 is a part for preventing the vertical frame parts 10 from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s 30 ar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0, for example, three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reinforcement parts 30 is located below the boot coupling part 20 and between the wheels 2 as shown in FIG. 2. Both ends of each of the reinforcement parts 30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vertical frame parts 10.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reinforcement parts 30 of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30 preferably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in particular, a hexagonal cross section. In this embodiment, all three reinforcement parts 30 It has a hexagonal cross section.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0)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30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301)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10)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10)에서부터, 상기 보강부(30)의 중심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10)까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관통공(301)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10)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10)와, 상기 보강부(30)의 중심부와, 다른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1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301)은 모든 보강부(30)마다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Through-holes 301 are formed in the inline skate frame 100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through hole 301 extends from one vertical frame portion 10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10 to the other vertical frame portion 10 through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30. It i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at is, the through hole 301 is any on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10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 10,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ing portion 30, and the other vertical frame portion 10 ) Are formed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hrough hole 301 has a shap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for every reinforcing portion 30.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0)은 금속, 예컨대 고강도 알루미늄의 4각봉 재료를 기계 가공하여 상기 수직 프레임부(10)와, 부츠 결합부(20)와, 보강부(3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line skate frame 100 is manufactured such that the vertical frame portion 10, the boot coupling portion 20, and the reinforcement portion 30 are integrally formed by machining a quadrangular rod material made of metal such as high strength aluminum. It is desirable to.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0)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of the inline skate fram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인라이너는 부츠(1)에 발을 넣어 신고 바퀴(2)들을 굴리면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inliner rides inline skates by putting the feet into the boots 1 and rolling the wheels 2.

이와 같이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0)이 구비된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동안에, 상기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은 인라이너의 체중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주행 중에 발생하는 지면과 바퀴간 충격, 주행방해물과의 충돌 등 각종 외력을 받게 된다. 특히, 상기 수직 프레임부(10)들은 바퀴(2)들이 배치될 수 있도록 일정공간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각종 외력에 의해 수직 프레임부(10)들에 변형, 예컨대 비틀리는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ile riding inline skates provided with the inline skate frame 100, the inline skate frame not only supports the weight of the inliner, but also various external forces such as impacts between the ground and the wheels generated during driving and collision with driving obstacles. Will receive. In particular, since the vertical frame parts 10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wheels 2 may be arranged, deformation, for example, twisting, occurs in the vertical frame parts 10 by various external forces.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100)에는 육각형상의 외주면을 가지는 3개의 보강부(30)들이 수직 프레임부(10)들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구멍인 관통공(301)이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10)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10)에서부터, 보강부(30)의 중심부를 통하여 다른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10)까지를 관통하도록 보강부(30)마다 형성되어 있다.In the in-line skate fram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ee reinforcement parts 30 having a hexagonal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r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parts 10. In addition, the through-hole 301, which is a hol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is formed from any one of the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10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30 from on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0. Each reinforcement part 30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up to the vertical frame part 10.

이러한 보강부(3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보강부와는 달리 그 중심부에 관통공(301)이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의 구조는 굽힘 강도뿐만 아니라 비틀림 강도도 우수하여, 주행 중에 각종 외력에 의한 수직 프레임부(10)들의 변형, 특히 굽힘이나 비틀림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30)의 외주면은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종래의 보강부와 달리 육각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육각형 구조는 다른 형상의 단면보다도 더 튼튼하여 압축 응력이나 인장 응력에 의한 수직 프레임부(10)들의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ement part 30 has a hollow structure in which a through hole 30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einforcement part unlike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part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This hollow structure is excellent in bending strength as well as torsional streng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10, in particular bending or torsional deformation due to various external forces during driving.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30 is formed to have a hexagonal cross section, unlike the conventional reinforcement portion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is hexagonal structure is more robust than the cross-section of other shapes can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10 by the compressive stress or tensile stress to the maximum.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30)는 외력에 의해 수직 프레임부(10)들이 비틀리는 등의 변형을 종래의 보강부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되어, 수직 프레임부(10)들의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수직 프레임부(10)들의 변형이 방지되게 되면, 바퀴(2)들은 수직 프레임부(10)를 따라서 일렬로 배열되게 되고 바퀴(2)의 회전중심 축이 수직 프레임부(10)에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인라이너들,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 전문가나 선수들은 인라인 스케이트의 속도감을 마음껏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유자재로 방향조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인라이너들, 특히 인라인 스케이트 전문가나 선수들은 종래의 인라인 스케이트를 타는 경우보다 훨씬 더 만족감을 얻게 된다.Therefore, the reinforcement pa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arts 10 due to external force more effectively than conventional reinforcement parts, thereby increasing the rigidity and durability of the vertical frame parts 10. Is improved. When the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s 10 is prevented in this way, the wheels 2 ar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vertical frame portion 10 a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wheels 2 is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frame portion 10. In this way, inliners, especially inline skaters and athletes, can enjoy the speed of inline skating as well as freely directional control. As a result, inliners, especially inline skate specialists and athletes, are much more satisfied than with conventional inline skates.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As mention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예를 들어, 상기 보강부의 외주면은 예컨대 원형이나 타원형 등일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may be, for example, circular or elliptical.

또한, 상기 보강부의 외주면이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하는 경우에도 그 다각형상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이나 오각형 등일 수도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inforcement portion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the polygonal shape may be a triangle, a square, a pentagon, or the like.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부가 중공의 구조로 되어 있고 이러한 중공의 구조는 굽힘 강도뿐만 아니라 비틀림 강도도 우수하여, 주행 중에 각종 외력에 의한 수직 프레임부들의 변형, 특히 굽힘이나 비틀림 변형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portion has a hollow structure, and this hollow structure is excellent in not only bending strength but also torsional strength, so that deformation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s due to various external forces during driving, in particular, bending or torsional deformation This can be prevented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주행 중에 발생하는 각종 외력에 의한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변형이 최대한 방지되어,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의 강성과 내구성이 향상된다.Therefore, deformation of the inline skate frame due to various external forces generated during driving is prevented to the maximum, and the rigidity and durability of the inline skate frame are improved.

Claims (3)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며 그들 사이에 복수의 바퀴들이 일렬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들과,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의 상부에 위치하여 그 수직 프레임부들을 상호 연결시키며 인라인 스케이트용 부츠의 바닥면에 부착되는 부츠 결합부를 구비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에 있어서,A pair of vertical frame portion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wheels arranged in a row between them, and positioned on top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s to interconnect the vertical frame portions and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ine skate boots In the in-line skate frame provided with a boot engaging portion, 상기 수직 프레임부들 사이에는, 외력에 의해 그 수직 프레임부들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단부가 상기 각 수직 프레임부들에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보강부들이 마련되어 있고,In order to prevent the vertical frame parts from being deformed by external force, the plurality of reinforcement parts are provid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parts, and both end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vertical frame parts. 상기 한 쌍의 수직 프레임부들 중 어느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에서부터, 상기보강부의 중심부를 통하여 다른 하나의 수직 프레임부까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In-line skate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hole penetrating from one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of the pair of the vertical frame portion to the other vertical frame portion through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portion is form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수의 보강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보강부의 외주면은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reinforc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portion has a polygonal cross s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me for inline skates.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다각형은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케이트용 프레임.The polygonal frame for inline skat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hexagon.
KR1020040052979A 2004-07-08 2004-07-08 The frame for inline skate KR200400704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979A KR20040070467A (en) 2004-07-08 2004-07-08 The frame for inline sk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979A KR20040070467A (en) 2004-07-08 2004-07-08 The frame for inline sk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0467A true KR20040070467A (en) 2004-08-09

Family

ID=3735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979A KR20040070467A (en) 2004-07-08 2004-07-08 The frame for inline sk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704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474A (en) Folding skateboard
US7048281B2 (e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for in-line skates having rocker arms and adjustable springs
US6520530B1 (en) Core for a gliding board
US4826183A (en) Skate
US6045143A (en) Toe plate with dual flanges for in-line skate frame
KR100991453B1 (en) Inline skate
DE3150189A1 (en) Playing and/or fitness device
DE69909941T2 (en) Device for increasing the stability of shoes for tennis or similar sports
KR20040070467A (en) The frame for inline skate
RU2555644C2 (en) Roller skate
US3827689A (en) Gymnastic horizontal bar
US6186518B1 (en) Suspension system for inline skates
KR930017590A (en) Wood golf clubs and how to make them
US20090184481A1 (en) Unitary quad roller skate
CN101400413B (en) Suspension system for a ski
KR200376061Y1 (en) Frame for in-line skate
KR200320667Y1 (en) In-line Skate Frame
JP2021508583A (en) Series wheel base with multi-link and its applications
KR200194475Y1 (en) Roller board with single edged blade
KR200392485Y1 (en) boots structure of inline skate
GB2351027A (en) Games racket
KR200365344Y1 (en) Frame for an inline skate
KR200392497Y1 (en) frame structure of inline skate
KR200433195Y1 (en) A wheel for ice is capable of installing in leisure-board or in-line skates
KR200367992Y1 (en) frame for inline-sk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607

Effective date: 2008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