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9484A - 재고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재고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9484A
KR20040069484A KR1020030005898A KR20030005898A KR20040069484A KR 20040069484 A KR20040069484 A KR 20040069484A KR 1020030005898 A KR1020030005898 A KR 1020030005898A KR 20030005898 A KR20030005898 A KR 20030005898A KR 20040069484 A KR20040069484 A KR 20040069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entory
demand
cost
total
calculation pro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백식
조지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9484A/ko
Publication of KR20040069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9484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 방법은 어떤 제품에 대한 일정 시점의 가상 수요를 예측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상 수요가 발생된 시점에 보유된 일정 재고에 대한 재고유지비용과 부족 재고에 대한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통하여 총 비용을 도출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도출된 총비용이 최소비용이 되도록 적정 재고 수준을 결정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결정된 적정 재고 수준에 따라 재고를 관리하는 제 4단계로 구성되어, 효율적인 재고 운영을 통해 기업의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고 관리 방법은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일정 시점의 가상 수요를 예측한 후 그 가상 수요에 따른 적정 재고율을 계산하여 보다 현실적인 재고 관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재고 관리 방법{The management method of the stock }
본 발명은 제조 및 유통업계에서 효과적인 재고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교환관계에 있는 재고유지비용과 판매기회 손실로 소요되는 비용이 최소화되는 적정 재고 수준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재고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고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업체 또는 유동업체에서는 필요로 하는 자재 및 제품에 대한재고를 관리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특히, 일부 자재 및 제품은 상시적으로 구매 또는 생산 및 획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기에만 가능하므로, 이들 제품에 대해서는 항상 적정 수준의 재고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업체에서는 제품 또는 자재의 수요에 따른 예측 오차와 생산 주기를 모두 감안하여 필요한 재고의 수준을 결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업체에는 적정 재고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본원 발명도 이와 관련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재고 관리 방법은 통계적인 재고 관리 방법이며, 수요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하에서 확률변수 z값에 따라 결정된 수요를 기준으로 하여 재고를 관리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안전재고 수량 계산방법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종래의 재고 관리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재고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보유되어야 하는 발주량을 안전재고 수량 계산을 통하여 계산한다.
즉, 종래에는 과거의 판매 정보로부터 수요의 평균과 편차를 도출하는 제 1단계(S10)와; 목표 재고 수준과 수송기간과 발주주기 및 수요 편차를 이용하여 안전 재고를 결정하는 제 2단계(S20)와; 상기 제 2단계(S20)에서 결정된 안전 재고와 현재 재고를 비교하여 발주량을 계산하는 제 3단계(S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재고 관리 방법은 정규분포를 따르는 수요를 기준으로 하여 안전재고를 결정한 후 이 안전재고에 따라 재고관리를 시행하고 있다.
먼저, 과거의 판매 정보를 기준으로 하여 수요에 대한 평균값과 편차과 같은모수를 도출한다. 여기서, 평균값(μ)은 수요의 총합을 수요의 횟수로 나눈 값으로 매 수요가 발생될 때의 수요량이며, 편차(σ)는 수요의 분산제곱근이다. 여기서, 수요의 평균값 및 편차를 구할 수 있는 것은 수요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가정을 기초로 하고 있다.
수요의 편차 및 평균값이 구해지면, 이들 값과 수송기간 및 발주 주기 등을 감안하여 적정재고를 산출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재고(Safety_Stock)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SS는 안전재고 값, k는 표준정규분포의 확률변수 z값, L은 수송기간이며, R은 발주 주기를 의미한다.
상기한 수학식 1을 통해 안전재고 값이 결정되면 발주량을 계산하여 제품 또는 자재의 공급처에 발주하게 된다. 발주량은 안전재고 값에 제품 도착시까지의 판매량을 더한 값에서 현재의 재고량을 뺀 값이며, 제품 도착시까지의 판매량은 발주 주기와 수송기간을 더한 기간에 수요의 평균값을 곱하여 얻어진 값을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주량은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여기서, Fn은 발주량, SS는 안전재고 값, L은 수송기간이며, R은 발주 주기, μ는 수요평균, 그리고 Fr은 현재재고량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재고 관리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수요가 정규 분포를 따르지 않음으로 인해 정확한 계산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재고관리에 대한 의사 결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재고 관리 방법은 수요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을 대전제로 하여 수요의 평균값 및 분산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안전재고 및 재고 관리에 필요한 발주량을 계산하고 있으나, 실제 수요의 대부분은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으므로 대전제가 잘못되어 있다. 따라서, 잘못된 대전제를 기준으로 하여 얻어진 수요의 예측값이 실제의 수요와는 다르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규분포를 따르지 않는 수요 패턴을 가지는 제품 또는 자재에 대하여 가상의 수요 증감요인을 고려함으로서 적적 재고 수준을 결정하여 효율적인 재고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재고 관리 방법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재고 관리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 방법에 도시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가상 수요의 예측과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총비용 도출과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정 재고의 결정 과정이 도시된 플로우챠트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 방법은 어떤 제품에 대한 일정 시점의 가상 수요를 발생시키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상 수요가 발생된 시점에 보유된 일정 재고에 대한 재고유지비용과 부족 재고에대한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통하여 총 비용을 도출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도출된 총비용이 최소비용이 되도록 적정 재고 수준을 결정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결정된 적정 재고 수준에 따라 재고를 관리하는 제4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 방법에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인 가상 수요의 예측과정이 도시된 순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총비용 도출과정이 도시된 순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적정 재고의 결정 과정이 도시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제품에 대한 일정 시점의 가상 수요를 예측하는 제 1단계(S110)와, 상기 제 1단계(S110)에서 가상 수요가 발생된 시점에 보유된 일정 재고에 대한 재고유지비용과 부족 재고에 대한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통하여 총 비용을 도출하는 제 2단계(S120)와, 상기 제 2단계(S120)에서 도출된 총비용이 최소비용이 되도록 적정 재고 수준을 결정하는 제 3단계(S130)와, 상기 제 3단계(S130)에서 결정된 적정 재고 수준에 따라 재고를 관리하는 제 4단계(S1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단계(S110)는 관리대상인 적정 재고 수준을 계산하기 위해 가상의 수요를 발생시키는 모듈로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발생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상의 수요를 발생시키는 모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기존의 판매 실적으로부터 과거의 수요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과정(S111)과, 상기 정보추출과정(S111)에서 추출된 수요량을 월별 계절지수로 나누어 수요 실적의 계절성을 제거하는 보정과정(S112)과, 상기 보정과정(S112)을 통해 계절성이 제거된 수요 실적을 랜덤 추출하여 판매 패턴을 재현하는 재현과정(S113)과, 상기 재현과정(S113)의 판매 패턴에 수요 예상 시점의 계절 지수를 곱하여 계절성이 포함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과정(S11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재현과정(S113)은 적어도 수회 이상의 반복 추출을 통해 판매 패턴을 재현한다. 바람직하게는 다년간의 정보를 통해 반복적인 패턴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단계(S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고 가능한 총재고의 비율을 계산하는 총재고율 계산과정(S121)과, 상기 총재고율 계산과정(S121)에서 계산된 총재고율을 임의의 총구간수로 나누는 재고증분 계산과정(S122)과, 상기 재고증분 계산과정(S122)에서 도출된 재고증분에 누적 구간수를 곱하여 소요재고를 계산하는 누적재고 계산과정(S123)과, 상기 누적재고 계산과정(S123)에서 계산된 누적재고에 따라 재고 보유비용을 계산하는 재고 보유비용 계산과정(S124)과, 부족재고를 파악하여 결품으로 인한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계산하는 판매기회 손실비용 계산과정(S125)과, 상기 재고 보유비용과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더하여 총비용을 도출하는 총비용 산출과정(S126)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단계(S120)에서 도출된 총비용이 최소비용이 되지 않을 경우 누적 구간수를 증가시켜 상기 재고증분 계산과정(S122)으로 피드백시키는루프과정(S1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와 같이 누적 구간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상기 구간에 포함된 수량의 재고량을 증가시키게 되어 증가된 수량 만큼의 보유 재고량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출된 총비용은 제 3단계(S130)에서 최소비용의 재고가 유지되도록 재고 수준을 결정하게 된다.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5를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재고 가능 총재고율(fillate)이 100%가 되는 재고 수준을 계산하고, 상기 총재고율을 비교평가할 임의의 구간으로 나눈다.
그리고, 상기 총재고율을 총구간수로 나누면 전체적인 재고증분이 얻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재고증분이 얻어지게되면 비교평가할 구간수를 대입하여 누적재고를 계산하고, 결품량 및 총수요량을 입력한 후, 총비용을 구한다.
한편, 총비용은 결품량과 기회비용 및 총수요를 곱하여 얻어진 판매기회 손실비용과, 평균재고에 단가 및 이자율을 곱하여 얻어진 재고 보유비용을 합하여 구할 수 있다.
상기 기회비용은 증가이득(Growth Profit)이라고도 하며 판매가에서 제품단가를 뺀비용으로, 제품이 판매되었을 경우 획득되는 순이윤을 일컫는다.
여기서, 누적구간이 '0'일 경우, 재고량이 없으므로 최소비용과 총비용이 같게되며, 적정재고는 보유재고량과 같게 된다.
누적구간이 '0'이 아닐 경우는 상기와 같은 계산식에 의해 계산하는데, 총비용이 최소비용보다 크게되면 누적구간을 증가시켜 상기와 같은 계산과정을 반복하여 최소비용과 비교한다.
상기와 같이 반복된 총비용이 최소비용보다 작거나 같게된 경우에 획득된 누적구간에 재고증분을 곱하면 적정재고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단계(S130)에서 결정된 적정 재고는 상기 제 4단계(S140)에서 적정 재고 수준에 따라 제품의 마진율과 판매 패턴에 따른 최적의 재고 수준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재고 관리 방법은 특정한 시점의 가상 수요를 예측하여 제품의 마진율과 판매 패턴에 따른 적정 재고 수준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율적인 재고 운영을 통해 기업의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재고 관리 방법은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일정 시점의 가상 수요를 예측한 후 그 가상 수요에 따른 적정 재고율을 계산하여 보다 현실적인 재고 관리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적정량의 재고를 보유함으로서 장기간 보관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원천적으로 제거되며, 재고를 위한 추가적인 창고 및 관리가 불필요하게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어떤 제품에 대한 일정 시점의 가상 수요를 예측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가상 수요가 발생된 시점에 보유된 일정 재고에 대한 재고유지비용과 부족 재고에 대한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통하여 총 비용을 도출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도출된 총비용이 최소비용이 되도록 적정 재고 수준을 결정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결정된 적정 재고 수준에 따라 재고를 관리하는 제 4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기존의 판매 실적으로부터 과거의 수요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추출과정과, 상기 정보추출과정에서 추출된 수요량을 월별 계절지수로 나누어 수요 실적의 계절성을 제거하는 보정과정과, 상기 보정과정을 통해 계절성이 제거된 수요 실적을 랜덤 추출하여 판매 패턴을 재현하는 재현과정과, 상기 재현과정의 판매 패턴에 수요 예상 시점의 계절 지수를 곱하여 계절성이 포함된 미래의 수요를 예측하는 수요예측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재고 가능한 총재고의 비율을 계산하는 총재고율 계산과정과, 상기 총재고율 계산과정에서 계산된 총재고율을 임의의 총구간수로 나누는 재고증분 계산과정과, 상기 재고증분 계산과정에서 도출된 재고증분에 누적 구간수를 곱하여 누적재고를 계산하는 누적재고 계산과정과, 상기 누적재고 계산과정에서 계산된 누적재고에 따라 재고 보유비용을 계산하는 재고 보유비용 계산과정과, 부족재고를 파악하여 결품에 의한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계산하는 판매기회 손실비용 계산과정과, 상기 재고 보유비용과 판매기회 손실비용을 더하여 총비용을 도출하는 총비용 산출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도출된 총비용이 최소비용이 되지 않을 경우 누적 구간수를 증가시켜 상기 재고증분 계산과정으로 피드백시키는 루프과정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고 관리 방법.
KR1020030005898A 2003-01-29 2003-01-29 재고 관리 방법 KR20040069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898A KR20040069484A (ko) 2003-01-29 2003-01-29 재고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5898A KR20040069484A (ko) 2003-01-29 2003-01-29 재고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9484A true KR20040069484A (ko) 2004-08-06

Family

ID=3735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5898A KR20040069484A (ko) 2003-01-29 2003-01-29 재고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94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54A (ko) 2015-06-16 2016-12-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판매 속도에 기초한 재고 관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45368A (ko) * 2020-10-05 2022-04-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재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98867B1 (ko) * 2023-03-20 2023-11-06 주식회사 동아인터내셔널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재고 비용을 예측함으로써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격 결정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254A (ko) 2015-06-16 2016-12-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판매 속도에 기초한 재고 관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045368A (ko) * 2020-10-05 2022-04-12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재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98867B1 (ko) * 2023-03-20 2023-11-06 주식회사 동아인터내셔널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재고 비용을 예측함으로써 판매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가격 결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017B1 (en) Inventory and price decision support
CN109272276B (zh) 一种库存补货管理方法以及装置
Matsumoto et al. Demand forecasting for production planning in remanufacturing
EP2192537A2 (en) Predictive modeling
Aydin et al. Determining the optimal quantity and quality levels of used product returns for remanufacturing under multi-period and uncertain quality of returns
US20080086392A1 (en) Managing distribution of constrained product inventory from a warehouse
CN111340421A (zh) 一种采购方法
Kot et al. Theory of inventory management based on demand forecasting
US2008015469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forecasting product demand using a causal methodology
US82005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emand distribution for safety stock planning
US2014012217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ng range demand forecasts for products including seasonal patterns
Karmaker Determination of optimum smoothing constant of single exponential smoothing method: a case study
CN112529491B (zh) 一种库存管理方法及装置
US20080177599A1 (en) Method Of Determining Safety Stock Levels
CN106991544B (zh) 调拨系统及调拨方法
Aisyati et al. Determination inventory level for aircraft spare parts using continuous review model
Fan et al. Online and offline cooperation under buy-online, pick-up-in-store: Pricing and inventory decisions.
JP2005025246A (ja) 受注予測システム、受注予測方法及び受注予測プログラム
JP2008021020A (ja) 販売計画作成支援システム
CN112884572A (zh) 一种信用风险下的多微网交易优化方法及系统
KR20040069484A (ko) 재고 관리 방법
CN113962416A (zh) 工程机械配件备货预测方法、管理方法及系统
CN113469596A (zh) 智慧供应链系统及服务器平台
Kim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formance of push and pull systems in the presence of emergency orders
CN116128408A (zh) 智能补货方法、系统以及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