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543A -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543A
KR20040067543A KR1020030004713A KR20030004713A KR20040067543A KR 20040067543 A KR20040067543 A KR 20040067543A KR 1020030004713 A KR1020030004713 A KR 1020030004713A KR 20030004713 A KR20030004713 A KR 20030004713A KR 20040067543 A KR20040067543 A KR 20040067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able diaper
elastic
fastening means
waist region
waist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경
정대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04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543A/ko
Publication of KR20040067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5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61F13/4901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the elastic means being elastic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2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elast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8Adhesive tab fastener ele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샘 방지 및 통풍 기능이 뛰어난 기저귀 등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와 착용시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1)와 배면시트(4)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8) 및 체결수단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의 상부시트(1)와 배면시트(4) 사이에 탄성패널(20)을 구성하여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부착된 탄성패널(20)이 허리밴드로서 작용함으로써 허리부분의 신축력이 강화되므로 착용시 허리밴드 부분의 밀착감이 탁월하여 사용자가 불안정한 자세나 엎드려 있는 상태가 되어도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샘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체결수단과 뒤 허리밴드의 중앙을 일치시킴으로써 후단 허리영역(32)에 부착된 탄성패널(20)의 탄성강화로 밀착감과 착용감이 더욱더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A disposable diaper reinforced waistband}
본 발명은 샘 방지 및 통풍 기능이 뛰어난 기저귀 등의 일회용 흡수제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직포 또는 티슈와 폴리우레탄 스판덱스 혹은 천연고무로 이루어진 탄성패널을 전단 허리영역과 후단 허리영역에 부착시켜 사용자가 착용시 허리부분의 밀착성을 대폭 향상시켜 처짐을 줄여주고 착용감이 탁월한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흡수제품은 사람이 여러가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배설하는 체액을 흡수하는 제품 즉, 오줌이나 대변, 월경분비물 및 질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제품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유아가 사용하는 기저귀(Baby Diaper), 실금자가 사용하는 기저귀(Adult Diaper),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 및 팬티라이너( Panty Liner) 등이 있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통상적으로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Top Sheet)와 착용시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Back Sheet), 상기 상부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Absorb ent Core) 및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며, 착용자의 허벅지 부분의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배설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최종적으로 막아주며 외관이미지를 향상시키는 응가밴드(Barrier Cuff)와 옆샘을 방지하는 다리 탄성체(Leg Elastic)인 다리밴드 및 허리부분의 착용감 향상을 위한 허리밴드(Waist Band)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는 통상적으로 솜털펄프(Fluff Pulp),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 및 티슈(Tissue) 등으로 이루어지며,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Top Sheet)를 통과하는 배설물을 빠른 속도로 흡수하고 흡수된 배설물이 다시 피부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흡수된 배설물을 보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로는 체액이 흡수체로 신속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합성 부직포 또는 구멍이 형성된 필름이 사용되며, 합성 부직포는 흡수체에 흡수된 체액을 빨리 전달하기 위하여 통상 소수성 섬유에 친수성처리를 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는 일회용 기저귀에 의해 흡수된 체액이 흡수체 밑으로 새어나와 착용자의 의복이나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방수필름과 부직포로 이루어지는데, 방수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주로 사용하고, 이 필름에 부직포를 접착하여 소재의 부드러움성을 향상시키도 한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는 통기성을 부여하기 위해 방수필름을 배면시트 전체에 접착시키지 않고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체가 적용되는 부위에만 적용하게 된다. 따라서 흡수체가 없는 부분을 비롯한 배면시트 전체는 부직포를 접착시켜 방수필름이 없는 가장자리 부위는 부직포만이 존재함으로써 완전히 통풍이 되는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프론탈(Frontal) 혹은 랜딩부재(Frontal Film, Landing Member)를 포함하는 체결수단은 일회용 기저귀를 신체에 착용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각 소재들은 고온 용융 접착제, 열 융착 또는 다른 접착 방법에 의해 접착 고정된다.
일회용 아기 기저귀(Baby Diaper), 실금자용 기저귀(Adult Diaper) 및 여성용 생리대(Sanitary Napkin)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의 기술수준은 생리적 작용에 의해 분사 되는 체액을 흡수하는 속도 및 흡수력의 관점에서 급격히 발전하여체액의 흡수속도 및 흡수력 등 기본 성능에 관해서는 사용자의 불편함이 없도록 조절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일회용 기저귀는 기본적인 성능 충족에서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기술발전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최근에는 흡수체를 보다 얇게 만든 초박형의 일회용 기저귀가 등장하게 되었다. 초박형 일회용 기저귀를 만들 수 있는 쉬운 방법으로는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솜털펄프의 양을 적게 사용하고, 고흡수성 수지(SAP)를 많이 사용하게 된다. 또한 착용시 우수한 착용감을 주기 위해 체결수단 및 허리 혹은 허벅지 부분에 탄성이 많이 적용되기도 하고 체결수단도 사용상의 편리성을 위해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초박형 기저귀에서 솜털펄프와 고흡수성 수지의 혼합 함량의 비율이 적절하지 못할 경우 일회용 기저귀를 착용하여 장시간 사용하거나, 아기의 활동이나 움직임이 심할 경우 일회용 기저귀의 초기 착용상태 보다 밑으로 처지게 될 뿐만 아니라 흡수체는 폭이 감소하고, 일그러져서 뭉치거나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이 변형된 흡수체는 그 기능이 미흡하게 되어 사용성이 떨어지게 되고, 샘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게 된다.
또한 사용중 발생되는 변형된 흡수체는 흡수면적이 감소되므로 특히 아기의 움직임이 심하여 기저귀가 아기 몸에 밀착되지 않게 되면, 옆으로 누운 자세 등에서 배뇨를 할 경우 샘 발생 가능성이 커지게 되며, 뿐만 아니라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는 친수성으로 되어 있지만 반복된 배뇨에 의해서 친수성 표면이 소수성으로 변하게 되어 배뇨시 흡수체로의 전달이 지연됨으로써 변형된 흡수체에서는 샘 발생가능성이 더욱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움직임과 체위에 따라 배설물이 흡수가 되기 전에 흘러버려 기저귀 밖으로 누출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기저귀가 사용자 몸에 밀착되지 않게 체결되거나 사용중 착용성이 떨어져 기저귀 제품의 흡수기능이 미흡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착용성의 문제는 특히 허리부분에서 기저귀를 아기의 몸에 밀착시키지 못했을 경우에 많이 발생하게 되며, 아기의 신체는 기저귀를 채운 초기 상태로 고정되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허리부분의 탄성이 가장 중요한 관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허리부분의 탄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허리밴드로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 즉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 에틸렌(Polyethylene)이 주로 사용되어져 왔으며 그 형태는 필름(Film), 폼(Foam)등 다양하다.
일반적인 일회용 기저귀는 가랑이 영역과 전단, 후단 허리영역으로 구분되어지는데 탄성수단 중 응가밴드(Barrier Cuff)는 흡수체 상부에 C자 형태가 되도록 가랑이 영역과 전단, 후단 허리영역의 허리밴드에 걸쳐 곡선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허리밴드는 전단, 후단 허리영역중 어느 일측의 허리영역에만 구성하게 되고, 기저귀 종 방향 가장자리의 중앙부위에서 기저귀 외부 방향으로 즉, 흡수체 외측의 가로방향(통상 종측 중심선에 대해 수직)으로 직선형, 또는 다수의 곡선 반복 주기를 갖는 직선형으로 형성하게 된다.
또한 허리밴드를 재접착 체결수단이 있는 후단 허리영역에 구성할 경우는 재접착 체결 수단의 기능 중 특히 탄성 기능을 더욱더 확대시킬 수 있다. 즉, 체결수단과 후단 허리영역의 허리밴드가 일직선으로 배치됨으로써 허리밴드의 탄성력과 체결수단의 탄성력이 합해지면서 밀착감 및 착용감에 관한 기능이 더욱더 부가 되게 된다. 따라서 후단 허리영역에 구성되는 허리밴드는 그 중앙과 체결수단의 중앙을 일치시켜 구성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도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는 전후단 허리영역중 어느 일측 허리영역에만 허리밴드를 구성하고, 허리밴드의 탄성체로서 탄성율이 최대 50% 정도인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을 사용하게 됨으로써 우수한 허리부분의 밀착성 및 착용감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일회용 기저귀는 허리부분의 밀착성 및 착용감이 미흡하여 장시간 착용하면 처짐이 발생하게 되어 샘 방지 효과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수준이 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종래 일회용 기저귀에서 야기되는 처짐현상이나 샘발생을 방지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전,후단 허리영역의 상부시트와 배면시트 사이에 탄성율이 뛰어난 탄성체로 형성한 탄성패널을 구성시켜 탄성패널이 허리밴드로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허리밴드 부분의 밀착감을 높여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처짐을 줄여주는 역할을 부여함과 더불어 체결수단과의 병행 작용을 유지시켜 착용자가 느끼는 밀착감과 착용감이 뛰어난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펼친상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펼친상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Ⅱ- 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를 뒤 부분에서 착용전에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패널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패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패널의 제조공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Top Sheet) 2 : 방수필름
3 : 부직포
4 :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Back Sheet)
5 : 솜털펄프(Fluff Pulp)
6 :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
7 : 티슈(Tissue) 8 : 흡수체(Asorbent Core)
9 : 응가밴드(Barrier Cuff)
10 : 응가밴드 탄성체(Barrier Cuff Elastic)
11 : 다리밴드(Leg Elastic)
12 : 전단 체결수단(Landing Member)
13 : 테이프 탭(Tape Tab) 또는 후크 캐리어(Hook Carrier)
14 : 손잡이 탭(Finger Tab) 15 : 후단 체결수단
16 : 종방향 가장자리 17 : 말단 가장자리
20 : 탄성패널 21 : 고착부재
22 : 탄성체 30 : 전단 허리영역
31 : 가랑이 영역 32 : 후단 허리영역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는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와 착용시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1)와 배면시트(4)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8) 및 체결수단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의 상부시트(1)와 배면시트(4) 사이에 탄성패널(2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펼친상태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일회용 기저귀는 전단 체결수단(Landing Member; 12)이 있는 전단 허리영역(30)과 가랑이 영역(31), 그리고 후단 체결수단(15)이 설치되는 후단 허리영역(32)으로 구분된 모래시계 형태의 겉 모양을 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의 겉모양은 반드시 좌우와 전후가 대칭구조를 이룰 필요는 없으나, 좌우 대칭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에는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탄성패널(20)이 설치된 것이 나타나 있다.
도 2는 도 1의 가랑이 영역(31)에서 I-I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사이에 흡수체(8)를 삽입하여 고온 용융 접착제로 고정시키며, 상기 흡수체(8)는 솜털펄프(5)와 고흡수성 수지(6) 및 이들을 포장하는 티슈(7)로 구성되며, 흡수체(8)의 성능은 솜털펄프(5) 및 고흡수성 수지(6)의 흡수함량에 의해 조절된다.
도 3은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펼친상태 평면도이다.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는 탄성패널(20)이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위치하게 되며, 전단 허리영역(30)에 위치되는 전단 체결수단(Landing Member, 12)이 전단 허리영역(30)에 위치한 탄성패널(20 )의 영향으로 울퉁불퉁한 상태로 되어 사용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경우 전면에 전단 체결수단(12)을 배치하지 않고 도 3과 같이 전단 체결수단(12)을 종방향 가장자리 쪽에 조각으로 적용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후단 허리영역(32)에서 Ⅱ - 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후단 허리영역(32)의 상부시트(1)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사이에 탄성패널(20)이 삽입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 있다.
도 5는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를 뒤 부분에서 착용전에 본 사시도이다.
도 5에서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탄성패널(20)이 설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는 일반적으로방수필름(2)과 부직포(3)로 구성되며,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 사이에 흡수체(8)를 삽입시켜 고온 용융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흡수체(8) 외측의 좌우측에 샘 방지 수단으로 응가밴드(9)를 형성하여 흡수체( 8)로부터 이탈되는 체액을 일차적으로 가두는 포켓(Pocket)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흡수체(8) 및 응가밴드(9)를 이탈한 체액은 샘 발생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다리밴드(11)에 의한 이차적인 포켓(Pocket)을 형성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아기 체형에 보다 더 밀착시켜줌으로써 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일회용 기저귀는 아기 몸에 착용시킨 후 착용 시킨 기저귀를 아기 몸에서 일정 형태로 유지시켜 주는 체결수단과 허리밴드를 구비하게 되며,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는 허리밴드의 기능을 강화하여 사용자가 일회용 기저귀를 체결할 때 허리부분의 밀착성을 보다 더 강화하고 착용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일회용 기저귀의 앞 부분, 즉 전단 허리영역(30)에는 랜딩부재( Landing Member)라고 하는 전단 체결수단(12)을 형성하며, 일회용 기저귀의 후단 허리영역(32)에는 상기 전단 체결수단(12)과 맞물릴 수 있는 후단 체결수단(15)을 형성하여 흡수제품을 옆부분에서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후단 체결수단( 15)은 스스로 지지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테이프 탭(13)에 지탱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테이프 탭(13)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일정 수치 이상 탭 스스로의 유지력이 있어야 하므로 고분자(Polymer)로 이루어진 필름(Film)형태로 사용하거나 고분자 화이버(Polymer Fiber)로 구성된 부직포(Nonwoven)로 되어 있는 재질 표면에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혹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라미네이트( Laminate)시킨 재료를 사용하기도 하며, 고분자로 이루어진 부직포만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고분자 필름만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사용자가 부드러운 느낌은 덜 받게 되지만 제조공정이 단순하게 되고 원재료비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후단 체결수단(15)은 크게 두 가지의 형태가 있는데, 하나는 점착제를 코팅한 것으로서, 고분자 필름(Polymer Film)에 고온 용융체를 점착 코팅한 것일 수 있고 용제(Solvent)형태의 점착제가 코팅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다른 하나는 메케니컬 클로져 시스템(Mechanical Closure System) 즉, 기계적 고착 수단인 후크(Hook)로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단 체결수단(15)이 점착코팅으로 이루어져 있으면, 전단 체결수단( 12)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의 고분자로 이루어진 비닐 필름(Vinyl Film) 타입이어야 하며, 후단 체결수단(15)이 후크인 경우의 전단 체결수단(12)은 고분자 화이버(Polymer Fiber)로 직조된 방식(Knitted Method), 고분자 성형방식( Polymer Extrusion) 혹은 부직포(Non-woven)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 전단 체결수단(12)을 루프형 전단 체결수단(12)이라 한다.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의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다 고착부재(21) 위에 탄성율이 뛰어난 탄성체(22)를 접착시켜 형성한 탄성패널(20)을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공정 중에 접착시켜 허리밴드에 보다 넓은 탄성부위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한 착용감과 밀착감을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밴드는 주로 최대 50% 정도의 탄성율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폴리우레탄 필름(Polyurethane Film), 폴리에틸렌 필름(Polyethylene Film)으로 구성되어 전후단 허리영역 중 어느 일측 허리영역에만 설치되는데, 본 발명 허리밴드의 탄성패널(2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착부재(21)에 탄성체(22)를 접착시킨 구조이며, 고착부재(21)로는 부직포 또는 티슈를 사용하고, 탄성체(22)로는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 또는 천연고무(Natural Rubber)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체(22)는 일정 평량 이상의 고착부재(21) 위에 실의 형태로 고온 용융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게 되며, 즉, 탄성체(22)를 원래의 길이보다 50 ∼ 250% 더 길게 신장된 상태에서 고착부재(21) 위에 접착시켜 복원시켰을 경우 탄성체(22) 형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는 탄성체(22) 원래의 길이보다 신장시의 길이가 50 ∼ 250% 더 길게 되는 것으로서 50 ∼ 250%의 탄성율을 갖는 것이라 한다.
이와 같이 고착부재(21) 위에 탄성체(22)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탄성패널(20 )이며, 탄성패널(20)의 길이(통상, 종 방향 중심선에 평행)는 일반적으로 10mm ∼ 150mm 정도가 적당하다고 할 수 있고, 탄성패널(20)의 폭(통상, 종 방향 중심선에 수직)은 50mm에서 일회용 기저귀 제품의 폭(통상, 종 방향 중심선에 수직)만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탄성패널(20)의 폭이 50mm 미만으로 너무 좁으면 허리밴드의 역할로서의 기능 수행이 어렵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탄성체(22)를 부착하는 고착부재(21)의 폭(통상, 종 방향 중심선에 수직)은탄성패널(20)의 폭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그러나 이 고착부재(21)의 길이(통상, 종 방향 중심선에 평행)는 탄성패널(20)을 구성할 때 어떤 방식으로 적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탄성체(22)를 고착부재(21)에 접착하는 방식은 샌드위치(Sandwich) 방식일 수도 있고, 감싸주는 방식(Wrapping)일 수도 있기 때문에 제품상에서 결과적으로는 탄성패널(20)의 크기 만큼 적용되지만 실제적으로는 탄성패널(20) 길이의 1 ∼ 3배 정도의 길이(통상, 종 방향 중심선에 평행)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패널(20)은 일회용 기저귀의 생산 라인에 직접 적용하거나 또는 공정상 안정성을 기하기 위해 일회용 기저귀의 생산라인과는 별도로 제작하여 기저귀의 제조공정중 액체투과성 상부시트(1)를 부착하기 전에 부착시키게 된다.
기저귀의 생산라인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이 도 8에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 이는 탄성패널(20)의 제작방법 중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허리밴드를 일회용 기저귀에 부착하기 전의 공정에서 허리밴드 패널의 탄성체 고착부재(21)에 탄성체( 22)를 열 또는 고온 용융 접착제로 고정시킨 후 폴딩(Folding)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폴딩(Folding) 방식이 감싸주는(Wrapping) 방식이며, 이때 폴딩( Folding) 방식 외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착부재(21)를 탄성체(22) 상,하에 접착하는 방식, 즉 샌드위치(Sandwich) 방식 또한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탄성패널(20)을 제조한 후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를 부착하기 전에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의 허리밴드 위치에 부착시킨다. 이 허리밴드 영역은 흡수체(8) 바로 위 상단(통상, 전,후단 허리영역 말단 가장자리 방향)으로 탄성체(22)의 배열은 통상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종 방향 중심선에 수직인 형태가 되며, 탄성체(22)는 허리밴드의 탄성력 기능을 부가하기 위해 3줄 ∼ 15줄의 탄성실로서 배열하게 되는데 도 8에는 4줄의 탄성실을 적용한 탄성패널(20)이 나타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펼친상태 평면도로서, 허리밴드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탄성패널(20)을 적용하는 경우중 후단 체결수단(15)을 전단 체결수단(12)에 부착할 경우 전단 체결수단(12)이 전단 허리영역(30)에 부착된 탄성패널(20)로 인해 울퉁불퉁한 형태가 되어 체결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단 체결수단(12)을 일회용 기저귀 앞 전면에 부착하지 않고 조각으로 일회용 기저귀 종 방향 가장자리(16) 가까이에 부착할 수 있다.
기존의 허리밴드는 허리탄성체가 일회용 기저귀 길이방향 끝 단부와 흡수체(8) 외측 사이에 가로방향(통상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수직)으로 제품 폭 전체에 걸쳐 형성하거나, 부분적으로 짧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허리밴드의 기능을 더욱더 확대시키기 위해 일회용 기저귀 중앙 부위에서 기저귀 종 방향 가장자리 쪽으로 그 끝에 도달하도록 가로방향(통상 종방향 중심선에 대해 수직)으로 부착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탄성패널(20)은 흡수체(8) 위에 위치할 수도 있고, 흡수체(8)와 연이어서, 또한 흡수체(8)와 떨어져 위치할 수 있다. 흡수체(8)와 탄성패널(20)이 떨어져 위치할 경우 기존의 일회용 기저귀 전장을 그대로 적용하게 되면뒤 허리밴드의 길이가 길어서 흡수체(8) 전장이 조금 줄어드는 현상이 일어날 수있으므로 일회용 기저귀의 전단 허리영역(30)의 말단 가장자리(17)로부터는 30mm 이내에 탄성패널(20)을 적용하게 된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로로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탄성패널(20)이 허리밴드로서 채용된 일회용 기저귀를 아래와 같이 제조 하였다.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흡수체(8), 체결수단 및 착용감을 주기 위한 탄성체 부위를 포함한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허리밴드로서 탄성패널(20)을 채용한 일회용 기저귀 중형과 대형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때 탄성패널(20)은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x) 재질의 탄성체(22)를 고착부재(21)인 부직포 위에 접착시켜서 제작하였으며, 탄성체(22)는 실형태로 10줄의 탄성실을 사용하여 10줄의 탄성실을 같은 간격으로 배열하되, 고착부재(21)인 부직포의 중앙부위로부터 탄성체(22)를 배치하여 양 날개 부위를 폴딩(Folding)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탄성패널(20)은 기저귀의 중앙부위에서 일회용 기저귀의 종측 중심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250mm의 폭(종 방향 중심선에 수직)과 길이(종 방향 중심선에 평행)는 100mm가 되도록 하고, 그 위치는 기저귀 중앙과 종 방향 가장자리 부위와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체결수단인 테이프 탭(13)과 후단 허리영역(32)에 위치한 탄성패널(20)의 중앙을 일치시키고, 탄성패널(20)은 전,후단 허리영역(30),(32)의 말단 가장자리(17)로부터 10mm 이내에서 위치시켜 탄성패널(20)과 흡수체(8)가 겹쳐지도록 하였다.
탄성패널(20)은 폴리우레탄 스판덱스로 이루어져 신장시 원래 길이보다 180% 더 길어지는 탄성체(22)를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으로된 고착부재(21) 사이에 신장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재질들을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형성하였다.
테이프 탭(13)은 부직포와 고분자 필름이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재질로 후단 체결수단(15)이 고온 용융 접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이때 테이프 탭(13)에는 손잡이 탭(14)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단 허리영역(30)에 전단 체결수단(12)을 부착하되, 전단 체결수단(12)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오피피( O.P.P, Oriented Polypropylene)재질을 사용하되, 후단 체결수단(15)과의 상용성( Compatib ility)이 있고, 접착과 탈착이 용이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탄성패널(20)이 허리밴드로서 채용된 일회용 기저귀를 아래와 같이 제조 하였다.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흡수체(8), 체결수단 및 착용감을 주기 위한 탄성체 부위를 포함한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허리밴드로서 탄성패널(20)을 채용한 일회용 기저귀 중형과 대형을 각각 제조하였다. 이때 탄성패널(20)은 폴리우레탄 스판덱스(Polyurethane Spande) 재질의 탄성체(22)를 고착부재(21)인 부직포 위에 접착시켜서 제작하였으며, 탄성체(22)는 실형태로 7줄의 탄성실을 사용하여 7줄의 탄성실을 같은 간격으로 배열하되, 고착부재(21)인 부직포의 중앙부위로부터 탄성체(22 )를 배치하여 양 날개 부위를 폴딩( Folding)하는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탄성패널(20)은 기저귀의 중앙부위에서 일회용 기저귀의 종측 중심선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250mm의 폭(종 방향 중심선에 수직)과 길이(종 방향 중심선에 평행)는 100mm가 되도록 하고, 그 위치는 기저귀 중앙과 종 방향 가장자리 부위와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체결수단인 테이프 탭(13)과 후단 허리영역(32)에 위치한 탄성패널(20)의 중앙을 일치시키고, 탄성패널(20)은 후단 허리영역(32)의 말단 가장자리(17)로부터 10mm 이내에서 위치시키고, 탄성패널(20)과 흡수체(8)는 서로 떨어져 그 사이의 간격이 10mm가 되도록 하였다.
탄성패널(20)은 폴리우레탄 스판덱스로 이루어져 신장시 원래 길이보다 180% 더 길어지는 탄성체(22)를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으로 된 고착부재(21) 사이에 각각의 재질들을 고온 용융 접착제로 접착시켜서 형성하였다.
테이프 탭(13)은 부직포와 고분자 필름이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재질로 후단 체결수단(15)이 고온 용융 접착제로 이루어진 점착코팅이 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이때 테이프 탭(13)에는 손잡이 탭(14)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전단 허리영역(30)에 전단 체결수단(12)을 부착하되, 전단 체결수단(12)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반적으로오피피( O.P.P, Oriented Polypropylene)재질을 사용하되, 후단 체결수당(15)과의 상용성( Compatibility)이 있고, 접착과 탈착이 용이한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체결수단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성패널(20)이 허리밴드로서 채용된 일회용 기저귀 중형과 대형을 각각 제조하였다.
체결수단은 후단 허리영역(32)에 후단 체결수단(15)을 적용하고 전단 허리영역(30)에 전단 체결수단(12)을 적용하여 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테이프 탭(13)을 부직포와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라미네이트 되어 있는 재질로 하여 후단 체결수단(15)과 기계적으로 체결되는 후크(Hook)가 되도록 하였다.
이때 테이프 탭(13)에는 손잡이 탭(14)이 형성되도록 하고, 테이프 탭(13)은 일반적인 테이프 제조 회사로부터 구입하되, 형태 유지를 위한 안정성이 있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전단 허리영역(30)에 전단 체결수단(12)을 조각으로 종 방향 가장 자리에 각각 부착하고, 전단 체결수단(12)으로는 고분자 니트(Knit) 혹은 직포(Woven)이거나 부직포(Non-woven) 형태로 루프가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서, 전단 체결수단 (15)과의 상용성(Compatibility)이 있고 부착과 탈착이 용이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흡수체(8), 체결수단 및 착용감을 주기 위한 탄성체 부위를 포함한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이며, 후단 허리영역(32)에 최대 50% 탄성율을 갖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진 허리밴드를 설치한 것으로서, 허리밴드는 길이는 60mm이고 폭은 각각 180mm이며, 허리밴드의 길이방향이 통상 종방향 중심선에 평행한 방향이며 폭방향이 통상 종측 중심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인 종래의 기저귀 중형과 대형을 각각 비교예로서 사용하였다.
여기서 체결수단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테이프 탭(13)에 후단 체결수단(15)이 설치되어 있고 전단 허리영역(30)에 전단 체결수단(1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1∼3와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중대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아기 모형의 마네킹 테스트를 실시하여 기저귀의 처짐 방지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마네킹 테스트〉
1. 평가 기준 : 기저귀의 처짐정도를 평가기준으로 하였다.
2. 평가 방법 : 마네킹 테스터를 이용하여 아기가 걷는 동작을 반복하게 한 후 채워진 기저귀의 기준 높이에서 처진 길이를 측정하였다.
3. 평가 과정 : 평가할 중형, 대형 기저귀의 크기에 맞는 각각의 마네킹을 준비한다. 여기서 중형은 5 ∼ 10Kg의 유아의 체형이고 대형은 10 ∼ 15Kg인 유아의 체형이다. 이어 워킹 마네킹 테스터(Walking Manikin Tester)를 조정하여 1분당 30 걸음의 속도로 맞추고, 평가할 제품을 마네킹에 입혀준 다음 기저귀 앞 허리부분의 말단 끝선을 표시하여 마네킹을 동작시키면서 50ml의 인공뇨를 배뇨하고 5분간 동작시킨 후 처짐길이를 측정하였다.
처짐길이를 측정한 후 다시 50ml의 인공뇨를 배뇨하고 5분후 처짐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모두 4회 실시하였다. 이때 인공뇨의 배뇨속도는 초당 7ml로 한다(인공뇨: 0.9% Saline Solution). 결과 표시로 마지막 배뇨 횟수인 4회째의 처짐 길이를 표시하고, 이와 같은 테스트를 100회 이상 실시하여 처짐길이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 기저귀의 처짐에 대한 마네킹 평가 결과 >
구 분 크 기 평균처짐길이(mm) 표준편차(σ) 평균처짐길이(mm)(중대형 평균) 표준편차(σ)(중대형 평균)
비교예 중형 25.6 8.4321 30.45 8.6873
대형 35.3 8.9425
실시예 1 중형 13.3 8.1265 13.60 8.1509
대형 13.9 8.1752
실시예 2 중형 14.6 8.2176 14.85 8.2357
대형 15.1 8.2537
실시예 3 중형 13.2 8.3246 13.45 8.3452
대형 13.7 8.3657
상기 표 1로 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1, 2, 3의 기저귀 제품이 통상적인 공지의 일회용 기저귀인 비교예에 비해 처짐 현상이 매우 낮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예1∼3과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중대형 일회용 기저귀에 대하여 소비자들의 실제 사용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아래 표 2에 나타냈다. 조사는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일회용 기저귀의 허리부분의 착용만족도로서 밀착력 및 처짐성을 몸무게 10 ∼ 15Kg인 아기만을 대상으로 평가 하였다.
< 소비자 실사용 평가 결과 >
구 분 사 용 만 족 도 (%) 판 정
+ ± -
비교예 77 11 12 보 통
실시예 1 94 4 2 아주 우수
실시예 2 90 7 3 아주 우수
실시예 3 93 5 2 아주 우수
주1) + :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착용 만족도가 아주 좋다.
±: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착용 만족도가 좋다.
- : 일회용 기저귀를 사용해 보니 착용 만족도가 좋지 않다.
주2) 아주 우수 : +가 90% 이상인 경우
우 수 : +가 80% 이상인 경우
보 통 : +가 70% 이상인 경우
상기의 표 2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비자 실사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실시예1, 2, 3의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제품이 공지의 일회용 기저귀인 비교예의 제품 보다 허리 밴드 부분의 밀착감과 처짐성에 관한 착용감 만족도가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상에서 탄성패널을 일회용 아기 기저귀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금자용 기저귀나 여성용 생리대, 팬티라이너 등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는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에 부착된 탄성패널(20)이 허리밴드로서 작용하여 허리부분의 신축력이 강화되므로 착용시 허리밴드 부분의 밀착감이 탁월하여 사용자가 불안정한 자세나 엎드려 있는 상태가 되어도 처짐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샘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착용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체결수단과 뒤 허리밴드의 중앙을 일치시킴으로써 후단 허리영역(32)에 부착된 탄성패널(20)의 탄성강화로 밀착감과 착용감이 더욱더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착용시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1)와 착용시 외부표면을 형성하는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4), 상기 상부시트(1)와 배면시트(4)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8) 및 체결수단을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전단 허리영역(30)과 후단 허리영역(32)의 상부시트(1)와 배면시트(4) 사이에 탄성패널(2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널(20)이 최소 50mm에서 최대 기저귀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길이가 10mm ∼ 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널(20)이 고착부재(21) 상에 탄성체(22)를 접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재(21)가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착부재(21)가 티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2)가 원래의 길이보다 신장시 50 ∼ 250% 더 길어지는 탄성율을 갖는 3줄 ∼ 20줄의 폴리우레탄 스판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22)가 원래의 길이보다 신장시 50 ∼ 250% 더 길어지는 탄성율을 갖는 3줄 ∼ 20줄의 천연고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KR1020030004713A 2003-01-24 2003-01-24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KR200400675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713A KR20040067543A (ko) 2003-01-24 2003-01-24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713A KR20040067543A (ko) 2003-01-24 2003-01-24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543A true KR20040067543A (ko) 2004-07-30

Family

ID=3735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713A KR20040067543A (ko) 2003-01-24 2003-01-24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5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4122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 multi-dimensionally contoured barrier cuff
AU741263B2 (en) Disposable underpants
RU2711069C1 (ru) Комплект впитывающих изделий, содержащий изделия с тремя или более разными размерами
AU2016430795A1 (en) Absorbent article with folded edges to enclose elastic element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with folded edges
JPH11276523A (ja) パンツ型使いすて着用物品
US20040225270A1 (en) Pant-shaped article with improved fit
WO2004078082A1 (en) Pant-shaped garment with improved fit
EP1033959B1 (en) Non-unitary absorbent articles
US20230114320A1 (en) Absorbent article
KR100526101B1 (ko) 폐기커프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
KR100416417B1 (ko) 허리밴드를 확장시킨 체결구조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KR20040067543A (ko) 허리밴드를 강화시킨 일회용 기저귀
KR100691829B1 (ko) 열접합으로 날개 부분을 접합한 일회용 기저귀
KR20030004887A (ko) 강화된 뒤허리밴드를 포함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380026B1 (ko) 일회용 흡수제품
KR100437449B1 (ko) 이중 응가밴드를 갖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388798B1 (ko) 부드러움성 및 흡수속도가 향상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를지닌 일회용 흡수제품
KR100713009B1 (ko) 일회용 기저귀
JP2023111752A (ja) 吸収性物品
KR20050092868A (ko) 샘 차단 흡수시스템을 가진 일회용 기저귀
JP2019187884A (ja) 男性用パンツ型吸収性物品
KR20000047325A (ko) 일회용 흡수제품
KR20060099329A (ko) 종이 재질의 패슨 테이프를 포함하는 일회용 기저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