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4Y1 - 파력발전기 - Google Patents

파력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4Y1
KR200400674Y1 KR20-2005-0024477U KR20050024477U KR200400674Y1 KR 200400674 Y1 KR200400674 Y1 KR 200400674Y1 KR 20050024477 U KR20050024477 U KR 20050024477U KR 200400674 Y1 KR200400674 Y1 KR 2004006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enerator
flywheel
rotating body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용 이
Original Assignee
현 용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 용 이 filed Critical 현 용 이
Priority to KR20-2005-0024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6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18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 F03B13/180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 F03B13/181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 F03B13/1815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 the other member, i.e. rem is fixed, at least at one point, with respect to the sea bed or shore and the wom is hinged to the rem for limited rotation with an up-and-dow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3/00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 F03G3/08Other motors, e.g. gravity or inertia motors using fly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50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 F05B2260/503Kinematic linkage, i.e. transmission of position using ge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Abstract

본 고안은 파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의 상승력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증대되게 하면서 증대된 상승력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렇게 증대된 힘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간헐적인 회전을 플라이휠의 관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회전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연에는 기어부를 형성하고 이 플라이휠의 외주연 기어부에 다수개의 소기어를 맞물리게 설치하여 소기어가 고속으로 증속되어 회전되게 하며, 이 각각의 소기어에 증속기를 연결설치하고 그 증속기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파력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파력발전장치를 구성 한다.
또한,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커다란 폐선이나 바지선(이하, 선체라 칭함)에 설치하여 수면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발전을 할 수 있게 하며, 이 선체에는 파력발전이나 조력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를 알릴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마련하여 학생들에게 대체에너지에 대하여 알려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가 단부에 설치된 레버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에 기어부가 설치되고, 이 회전체의 기어부에 소기어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소기어의 회전력으로 발전을 하는 파력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3)에는 래칫휠(26)이 설치되고, 이 래칫휠(26) 외측에는 중심축(23)이 관통되는 통공(27)을 포함한 공간부(28)를 형성한 회전체(24)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이 회전체(24)의 공간부(28)에는 래칫휠(26)의 톱니부에 걸려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역회전방지구(30)가 스프링(29)을 개재한 상태로 핀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24)의 후면에는 외주연에 기어부(3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중심축(23)의 후단부가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관통되는 플라이휠(32)이 회전체(24)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라이휠(32)의 후방에는 선체(36)에 설치된 프레임(35)을 설치하되, 플라이휠(32)을 관통한 중심축(23)의 후단부가 프레임(35)에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35)의 중심축(23)이 관통된 동심원상의 외주에는 플라이휠(32)의 기어부(31)와 맞물리는 다수개의 소기어(25)가 설치된 소기어축(33)이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소기어축(33)이 관통된 프레임(35)에는 소기어축(33)의 회전속도를 다수의 기어가 맞물려서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며 증속된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증속발전기(34)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력발전기{Ware activated generator}
본 고안은 파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의 상승력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증대되게 하면서 증대된 상승력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렇게 증대된 힘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간헐적인 회전을 플라이휠의 관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회전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연에는 기어부를 형성하고 이 플라이휠의 외주연 기어부에 다수개의 소기어를 맞물리게 설치하여 소기어가 고속으로 증속되어 회전되게 하며, 이 각각의 소기어에 증속기를 연결설치하고 그 증속기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파력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파력발전장치를 구성 한다.
또한,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커다란 폐선이나 바지선(이하, 선체라 칭함)에 설치하여 수면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발전을 할 수 있게 하며, 이 선체에는 파력발전이나 조력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를 알릴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마련하여 학생들에게 대체에너지에 대하여 알려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에는 종래의 파력발전기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85-525호로 출원되어 공개되었는데, 이 종래고안은 그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뜨게의 부력을 이용하는 발전장치" 와 "프리휘일 기어를 사용하는 일방회전 전환기어장치" 라고 되어 있으나, 도면과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여 종래고안의 실현이 불가능한 미완성 고안으로서, 종래고안의 기술사상은 아래와 같이 유추하여 볼 수 있다.
상기 종래의 고안은 해저면(1)으로부터 수면(3) 위로 기둥(2)이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되며, 이 기둥(2)의 상단부에는 축지지부(4)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축지지부(4)에 부이장치부(5)의 회전축(6)이 회전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이장치부(5)는 봉(7)의 선단부에 물위에 뜨는 부이(8)가 설치되고 끝단부에는 축지지부(4)에 삽입되어 부이장치부(5)가 회전되게 하는 회전축(6)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부이장치부(5)의 봉(7)과 회전축(6)의 상부에는 부채꼴 형태의 섹터기어(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6)의 후방측 기둥(2)의 상부에는 발전기설치대(10)가 수직하게 설치되며, 이 발전기설치대(10)의 상부에 발전기(11)가 설치되고, 발전기의 축에는 섹터기어(9)와 맞물리는 기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고안은 기둥(2)에 설치된 부이장치부(5)의 부이(8)가 물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파고에 따라 오르내리게 되며, 이렇게 부이(8)가 오르내림에 따라 봉 끝단의 회전축(6)은 축지지부(4)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과 봉의 상부에 설치된 섹터기어(9)도 함께 회전하여 섹터기어(9)의 회전력이 그와 맞물린 발전기(11)의 기어(12)를 회전시켜서 발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해저면(1)에 수직 설치한 기둥(2)의 상부에 부이장치부(5)와 발전기(11)가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바닷물의 수위차이가 심하지 않은 곳에 설치해야 하는 한계가 있고, 수심이 깊은 바다에는 수심만큼 기둥(2)의 길이를 길게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가 어려운 문제를 지니고 있고, 태풍이나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면 위로 노출된 장치부분이 강한 태풍이나 해일에 의해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파도가 일정한 어느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고, 파도의 방향이 수시로 변하게 되어 부이장치부(5)에 비틀림이 발생할 염려가 많았으며, 부이장치부(5)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축지지부(4)에 삽입된 회전축이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와, 섹터기어(9)와 발전기의 기어가 제대로 맞물리지 못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지 못하게 되는 등의 또 다른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의 상승력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증대되게 하면서 증대된 상승력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렇게 증대된 힘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간헐적인 회전을 플라이휠의 관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회전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연에는 기어부를 형성하고 이 플라이휠의 외주연 기어부에 다수개의 소기어를 맞물리게 설치하여 소기어가 고속으로 증속되어 회전되게 하며, 이 각각의 소기어에 증속기를 연결설치하고 그 증속기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파력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파력발전장치를 구성 한다.
또한,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커다란 폐선이나 바지선에 설치하여 수면위에 떠 있는 상태에서 발전을 할 수 있게 하며, 이 선체에는 파력발전이나 조력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를 알릴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마련하여 학생들에게 대체에너지에 대하여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가 단부에 설치된 레버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에 기어부가 설치되고, 이 회전체의 기어부에 소기어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소기어의 회전력으로 발전을 하는 파력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에는 래칫휠이 설치되고, 이 래칫휠 외측에는 중심축이 관통되는 통공을 포함한 공간부를 형성한 회전체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이 회전체의 공간부에는 래칫휠의 톱니부에 걸려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역회전방지구가 스프링을 개재한 상태로 핀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의 후면에는 외주연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중심축의 후단부가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관통되는 플라이휠이 회전체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라이휠의 후방에는 선체에 설치된 프레임을 설치하되, 플라이휠을 관통한 중심축의 후단부가 프레임에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의 중심축이 관통된 동심원상의 외주에는 플라이휠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다수개의 소기어가 설치된 소기어축이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소기어축이 관통된 프레임에는 소기어축의 회전속도를 다수의 기어가 맞물려서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며 증속된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증속발전기가 연결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파력발전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파력발전기(100)는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21)가 단부에 설치된 레버(22)가 중심축(23)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중심축(23)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24)에 기어부(31)가 설치되고, 이 회전체(24)의 기어부(31)에 소기어(25)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소기어(25)의 회전력으로 발전을 하는 파력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23)에는 래칫휠(26)이 설치되고, 이 래칫휠(26) 외측에는 중심축(23)이 관통되는 통공(27)을 포함한 공간부(28)를 형성한 회전체(24)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이 회전체(24)의 공간부(28)에는 래칫휠(26)의 톱니부에 걸려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역회전방지구(30)가 스프링(29)을 탄력적으로 설치한 상태로 핀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체(24)의 후면에는 외주연에 기어부(3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중심축(23)의 후단부가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관통되는 플라이휠(32)이 회전체(24)와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휠(32)의 후방에는 바지선이나 선박 등의 선체(36)에 설치된 프레임(35)을 설치하되, 플라이휠(32)을 관통한 중심축(23)의 후단부가 프레임(35)에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35)의 중심축(23)이 관통된 동심원상의 외주에는 플라이휠(32)의 기어부(31)와 맞물리는 다수개의 소기어(25)가 설치된 소기어축(33)이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소기어축(33)이 관통된 프레임(35)에는 소기어축(33)의 회전속도를 다수의 기어가 맞물려서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며 증속된 증속된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증속발전기(34)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 증속발전기(34)는 도 5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케이싱(27)의 내부에 격판(38)이 설치되어 기어실(39)과 발전기실(40)이 구비되며, 케이싱(27)의 중앙부에는 1차기어(41)를 소기어축(33)에 설치하되, 상기 1차기어(41)가 기어실(39) 내측 중앙에 위치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어실(39) 내의 1차기어(41) 외주에는 이단으로 된 증속기어(42)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전기실(40)에는 증속기어(42)의 대기어와 맞물리는 발전기기어(43)가 기어실(39)측에 설치된 발전기(44)가 설치되고, 증속발전기(34)의 일측에는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레귤레이터(45)가 설치되며, 케이싱(27)의 외측에는 발전기(44)에서 발생된 전기를 송전시설로 보내는 송전선(46)이 연결된다.
도 6의 (가)(나)에는 본 고안의 파력발전기가 바지선을 수면위로 띄우는 잭업 바지선이나 폐선과 같은 선박 등의 선체(36)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선체(36)의 공간에 파력발전이나 조력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 발생장치에 대한 모형이나 원리등을 나타내는 그림이나 사진, 기타 대체에너지를 알릴 수 있는 다양한 자료를 전시하는 전시공간을 마련하여 학생은 물론이고, 일반인들에게도 대체에너지에 대하여 알릴 수 있는 전시 및 관광시설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작용 관계를 도 2 내지 도 6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6의 (가)와 같은 잭업 바지선이나, 도 6의 (나)에 도시된 선박에 설치하여 바다의 수면위에 뜬 상태에서 파도의 힘으로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먼저, 도 6의 (가)와 같은 잭업 바지선에 본 고안의 파력발전기를 설치한 경우에 이는 잭업 바지선을 예인선으로 필요로 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정박시킨 뒤에 파력을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으며, 암초나 해저면(1)이 낮은 위치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잭업 바지선의 기둥(101)을 하강시켜서 바지선 본체가 수면 보다 높게 한 뒤에 발전을 할 수 가 있는데, 이 경우는 바지선 본체가 수면 보다 높은 상태로 고정되어서 바지선 본체가 파도에 흔들리지 않아 효과적으로 파력을 이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잭업 바지선을 수면위로 올리는 것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도 6의 (나)에 도시된 선박에 본 고안을 설치한 것으로, 이 경우는 폐선의 양측에 수평프레임(36a)을 수면과 근접하게 설치하고 그 수평프레임(36a)에 본 고안의 파력발전기(1)를 설치하여 파도를 이용하여 발전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파력발전기를 이용한 발전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설치된 바다에서 파도가 치게 되면, 파력에 의해 수면 위에 떠 있는 부력체(21)가 상승하게 된다.
위와 같이 수면 위에 떠 있는 부력체(21)가 상승하게 되면 말단부에 부력체(21)가 설치된 레버(22)가 중심축(23)을 중심으로 회전식으로 각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 중심축(23)에는 래칫휠(26)이 설치되어서 부력체(21)가 상승할 때 래칫휠(26)의 톱니부에 역회전방지구(30)가 걸려서 부력체(21)의 상승으로 상측으로 회전하는 레버(22)의 회전력이 래칫휠(26)과 역회전방지구(30)를 통하여 역회전방지구(30)가 설치된 회전체(24)를 도 3의 "a"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 회전체(24)의 후면에는 플라이휠(32)이 고정되게 설치되어서 이 플라이휠(32)도 회전체(24)와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부력체(21)의 상승으로 말미암아 플라이휠(32) 까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파도의 물높이가 낮아지면 부력체(21)와 레버(22)가 물높이가 낮아지는 것과 동일하게 자중에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는 중심축(23)이 부력체(21)가 상승할 때와 반대 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부력체(21)가 하강할 때는 공기된 래칫, 즉 래칫휠(26)과 역회전방지구(30)가 공회전하도록 설치되어서 부력체(21)의 하강으로 회전하는 래칫휠(26)에 역회전방지구(30)가 걸리지 않아 중심축(23)을 비롯한 래칫휠(26)이 공회전하면서 회전체(24)에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뒤이어 파도에 의해 물높이가 다시 높아지면 또 다시 부력체(21)가 상승하게 되고, 이 부력체(21)의 상승으로 말미암아 중심축(23)을 비롯한 래칫휠(26)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데, 이때 래칫휠(26)의 톱니부에 역회전방지구(30)가 걸려서 그 회전력이 역회전방지구(30)를 통하여 회전체(24)에 전달되어 회전체(2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렇게 회전하는 회전체(24)에 플라이휠(32)이 고정되게 설치되어서 플라이휠(3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24) 및 플라이휠(32)은 플라이휠(32)의 관성력에 의해 플라이휠(32)이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이처럼 플라이휠(32)이 연속적으로 회전할 때 플라이휠(32)의 외주연에 형성된 기어부(31)에는 다수개의 소기어(25)가 맞물려 있음에 따라 상기 다수개의 소기어(25)가 플라이휠(32)과 반대방향으로 일제히 회전하게 된다.
상기 소기어(25)는 플라이휠(32) 보다 외경이 대폭 축소되어 있음에 따라 소기어(25)와 플라이휠(32)의 잇수에 비례하여 증속된 속도로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플라이휠(32)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소기어(25)가 맞물려 있음에 따라 다수의 소기어(25)를 회전시키는데 따른 저항이 생겨 플라이휠(32)의 회전을 저해할 것이라고 염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심축(23)을 기준으로 중심축(23)과 부력체(21)와의 길이(L1 )를 중심축(23)과 플라이휠(32)의 외주연 기어부(31)까지의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하여서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L1 " 과 "L2 " 와의 거리에 비례하여 큰 힘을 낼 수 있기 때문에 큰 힘으로 플라이휠(32)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며, 그 큰 힘으로 다수개의 소기어(25)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수개의 소기어(25)가 플라이휠(32)의 외경과 비례하여 그 속도가 증속된 상태로 회전할 때, 각각의 소기어축(33)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증속발전기(34)와 연결되어서 증속된 회전속도를 더욱 더 고속으로 증속시키게 된다.
이 증속발전기(34)에서 소기어(25)의 회전속도를 더욱 더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것은, 소기어축(33)이 회전할 때 케이싱(27) 내부의 소기어축(33)에는 1차기어(41)가 설치되어 있으면서 이 1차기어(41)의 외주에 증속기어(42)의 소기어가 맞물려 있음에 따라 소기어를 1차기어(41)의 잇수에 비례하여 증속시키게 되며, 이렇게 증속된 증속기어(42)의 대기어에는 발전기(44)의 축에 설치된 발전기기어(43)가 맞물려 있어서 그 회전속도는 더욱 더 증속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여러 차례로 증속된 속도로 발전기기어(43)가 회전함에 따라 발전기축도 그 만큼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며, 발전기(44) 내부에서는 공지된 회전자와 고정자와의 기전력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전기는 발전기(44)와 연결된 송전선(46)을 통해 송전시설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부력체(21)가 상승할 때 플라이휠(32)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도면과 일치하여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실제로 파력발전기를 제작할 때는 설치조건에 따라 플라이휠의 회전방향을 달리 제작할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파력발전기는,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의 상승력을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증대되게 하면서 증대된 상승력을 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고, 이렇게 증대된 힘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의 간헐적인 회전을 플라이휠의 관성력에 의해 지속적을 회전될 수 있게 하며, 상기 플라이휠의 외주연에는 기어부를 형성하고 이 플라이휠의 외주연 기어부에 다수개의 소기어를 맞물리게 설치하여 소기어가 고속으로 증속되어 회전되게 하며, 이 각각의 소기어에 증속기를 연결설치하고 그 증속기에 발전기를 설치하여 파력으로 발전을 할 수 있음에 따라 매우 효율적으로 파력발전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력발전장치를 커다란 폐선이나 바지선에 설치하여 수면위에 떠있는 상태에서 발전을 할 수 있게 하며, 이 선체에는 파력발전이나 조력발전과 같은 대체에너지를 알릴 수 있는 전시공간으로 마련하여 학생들에게 대체에너지에 대하여 알려줄 수 있는 효과와, 관광시설로도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력발전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력발전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의 평단면도.
도 5의 (가)(나)는 본 고안의 주요구성요소인 증속발전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 및 정단면도.
도 6의 (가)(나)는 본 고안이 바지선과 선박 등의 선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부력체 22 : 레버 23 : 중심축
24 : 회전체 25 : 소기어 26 : 래칫휠
27 : 통공 28 : 공간부 29 : 스프링
30 : 역회전방지구 31 : 기어부 32 : 플라이휠
33 : 소기어축 34 : 증속발전기 35 : 프레임
36 : 선체 37 : 케이싱 38 : 격판
39 : 기어실 40 : 발전기실 41 : 1차기어
42 : 증속기어 43 : 발전기기어 44 : 발전기
45 : 레귤레이터 46 : 송전선 100 : 파력발전기

Claims (2)

  1. 파도에 의해 승하강하는 부력체가 단부에 설치된 레버가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 중심축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체에 기어부가 설치되고, 이 회전체의 기어부에 소기어가 맞물리게 설치되어 소기어의 회전력으로 발전을 하는 파력발전기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3)에는 래칫휠(26)이 설치되고, 이 래칫휠(26) 외측에는 중심축(23)이 관통되는 통공(27)을 포함한 공간부(28)를 형성한 회전체(24)가 삽입되게 설치되고, 이 회전체(24)의 공간부(28)에는 래칫휠(26)의 톱니부에 걸려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하는 역회전방지구(30)가 스프링(29)을 개재한 상태로 핀에 의해 힌지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체(24)의 후면에는 외주연에 기어부(31)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중심축(23)의 후단부가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관통되는 플라이휠(32)이 회전체(24)와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플라이휠(32)의 후방에는 선체(36)에 설치된 프레임(35)을 설치하되, 플라이휠(32)을 관통한 중심축(23)의 후단부가 프레임(35)에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35)의 중심축(23)이 관통된 동심원상의 외주에는 플라이휠(32)의 기어부(31)와 맞물리는 다수개의 소기어(25)가 설치된 소기어축(33)이 베어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소기어축(33)이 관통된 프레임(35)에는 소기어축(33)의 회전속도를 다수의 기어가 맞물려서 회전속도를 증속시키며 증속된 회전에 의해 발전을 하는 증속발전기(34)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발전기(34)는 케이싱(27)의 내부에 격판(38)이 설치되어 기어실(39)과 발전기실(40)이 구비되며, 케이싱(27)의 중앙부에는 1차기어(41)를 소기어축(33)에 설치하되, 상기 1차기어(41)가 기어실(39) 내측 중앙에 위치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어실(39) 내의 1차기어(41) 외주에는 이단으로 된 증속기어(42)가 설치되며, 발전기실(40)에는 증속기어(42)의 대기어와 맞물리는 발전기기어(43)가 기어실(39)측에 설치된 발전기(44)가 설치되고, 증속발전기(34)의 일측에는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원을 안정화시키는 레귤레이터(45)가 설치되며, 케이싱(27)의 외측에는 발전기(44)에서 발생된 전기를 송전시설로 보내는 송전선(46)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기.
KR20-2005-0024477U 2005-08-23 2005-08-23 파력발전기 KR2004006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77U KR200400674Y1 (ko) 2005-08-23 2005-08-23 파력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477U KR200400674Y1 (ko) 2005-08-23 2005-08-23 파력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Y1 true KR200400674Y1 (ko) 2005-11-08

Family

ID=43701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477U KR200400674Y1 (ko) 2005-08-23 2005-08-23 파력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7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17Y1 (ko) 2008-10-27 2013-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력체를 이용한 선박용 발전 장치
KR101687815B1 (ko) 2015-06-19 2016-12-20 이영근 파력 발전 장치 및 이 파력 발전 장치를 복수 개 연결한 파력 발전 시스템
WO2016204559A1 (ko) * 2015-06-18 2016-12-22 정민시 방파제를 이용한 파력 발전장치
WO2019229290A1 (en) * 2018-05-30 2019-12-05 Aw-Energy Oy Wave energy recovery apparatus with power-take-off arrangement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17Y1 (ko) 2008-10-27 2013-09-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력체를 이용한 선박용 발전 장치
WO2016204559A1 (ko) * 2015-06-18 2016-12-22 정민시 방파제를 이용한 파력 발전장치
KR101687815B1 (ko) 2015-06-19 2016-12-20 이영근 파력 발전 장치 및 이 파력 발전 장치를 복수 개 연결한 파력 발전 시스템
WO2019229290A1 (en) * 2018-05-30 2019-12-05 Aw-Energy Oy Wave energy recovery apparatus with power-take-off arrangement
US11493016B2 (en) 2018-05-30 2022-11-08 Aw-Energy Oy Wave energy recovery apparatus with power-take-off arrangement
US11698051B2 (en) 2018-05-30 2023-07-11 Aw-Energy Oy Wave energy recovery apparatus with power-take-off arran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94361A (ko) 파력발전기
US7768143B2 (en) Movement and power generation apparatus
JP3192161U (ja) 重力により波力エネルギーを転換する発電装置
KR200400674Y1 (ko) 파력발전기
JP2013543944A (ja) 発電機を有する波力発電装置
KR100652877B1 (ko) 파력발전기
KR20090080275A (ko) 해수력발전방법과 장치
EP2425123B1 (en) A water powered electrical generator
KR200398651Y1 (ko) 파력발전기
CN101482085A (zh) 浮体风浪发电装置
KR200326768Y1 (ko) 파력 발전 장치
JP3169037U (ja) 海面波浪による回転装置
JP2002285946A (ja) 波力発電装置
KR102039689B1 (ko) 부유식 구조물
KR20100089921A (ko) 파도힘 발전소
KR101238864B1 (ko) 회전가능한 심해용 부유식 풍력 발전기
CN101712371B (zh) 海上平台及应用该平台的发电设备
KR20190128861A (ko) 발전장치
JP4489708B2 (ja) 起伏式ゲート
KR20150101884A (ko) 해상용 부이의 발전장치
KR200392818Y1 (ko) 파력발전기
JP3118826U (ja) 波力発電装置用波力伝達機構
CN110145430B (zh) 一种回摆式海浪发电装置
JPH0532592B2 (ko)
KR101002174B1 (ko) 능동 유향조절 다배열 수평축 조류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