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422A -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 Google Patents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422A
KR20040067422A KR1020030004513A KR20030004513A KR20040067422A KR 20040067422 A KR20040067422 A KR 20040067422A KR 1020030004513 A KR1020030004513 A KR 1020030004513A KR 20030004513 A KR20030004513 A KR 20030004513A KR 20040067422 A KR20040067422 A KR 2004006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abricated
handle
support
emergency light
handrai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0870B1 (ko
Inventor
이도춘
Original Assignee
이도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춘 filed Critical 이도춘
Priority to KR10-2003-000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087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0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0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5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23G2206/203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with a power/heat generating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10Liquid waste
    • F23G2209/102Waste o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선형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다수개의 제 1 손잡이와, 계단의 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서 상기 다수개의 제 1 손잡이(11)와 각각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U'자형 제 2 손잡이(12)로 구성된 조립식 손잡이 수단(1);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이 계단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의 하부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지지수단(2); 및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 사이에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과 평행하도록 체결되고, 정전시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식 안전망을 제공하는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정전이 되어도 계단의 식별이 뚜렷해 짐에 따라 옥상 또는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는 비상구를 형성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HAND-RAIL DEVICE FOR FABRICATED STAIRCASE WITH LIGHT-EMITTING GUIDE LINE FOR EMERGENCY}
본 발명은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전 발생시 발광하여 비상구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사조립을 통해 각각의 구성을 체결함으로써 시공 및 보수에 간편한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단용 또는 난간용 지주대는 공간 장식과 안전 방책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주대와 지주대 사이에 보조 지주대를 양측으로 연결시키고 상부측에 핸드바를 가로로 설치하는바, 종래의 난간용 지주대는 보조지주와 핸드바의 연결구조가 용접 또는 볼팅 방식에 의존하게 됨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시공비가 고가이며 시공 후 외관미도 저조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난간용 지주대는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시 정전에 의해 불이 나간 경우 비상구의 위치 및 난간의 위치를 파악할 수가 없기 때문에 추락사고 등을 방지할 수 없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발광하여 계단의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빛이 없는 상황에서도 비상 가이드 라인을 따라 대피할 수 있도록 해주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구성들을 나사결합 등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시공 및 보수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핸드레일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는 직선형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다수개의 제 1 손잡이와, 계단의 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서 상기 다수개의 제 1 손잡이와 각각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U'자형 제 2 손잡이로 구성된 조립식 손잡이 수단;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이 계단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의 하부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지지수단; 및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 사이에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과 평행하도록 체결되고, 정전시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식 안전망을 제공하는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제 2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제 1 결합기를 나타낸 도면,
도 4b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직선형 제 1 결합기를 나타낸 도면,
도 5a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사다리꼴 원통형상의 제 2 결합기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직선형 제 2 결합기를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제 3 결합기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직선형 제 3 결합기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십자형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b는 도 2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직선형 십자형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중 보조 가이드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조립식 손잡이 수단 11 : 제 1 손잡이
111 : 제 1 암나사산 112 : 제 2 암나사산
12 : 제 2 손잡이 121 : 제 3 암나사산
122 : 제 4 암나사산 13 : 제 1 결합기
131 : 제 1 숫나사산 132 : 제 1 고정체
133 : 제 2 숫나사산
2 : 조립식 지지수단 21 : 제 1 지지대
22 : 제 2 지지대 211 : 제 5 암나사산
23 : 십자형 커플러 231 : 십자공
24 : 제 2 결합기 241 : 제 3 숫나사산
242 : 제 2 고정체 243 : 제 4 숫나사산
3 :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 31 : 보조 가이드
311 : 고정돌기 312 : 제 6 숫나사산
32 : 보조 지지대 321 : 제 7 암나사산
33 : 지지면 덮개 331 : 지지면
332 : 고정돌기 333 : 형광체
34 : 제 3 결합기 341 : 제 5 숫나사산
342 : 제 3 고정체 343 : 제 6 숫나사산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의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는 조립식 손잡이 수단(1), 조립식 지지수단(2), 및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의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손잡이(11), 제 2 손잡이(12), 및 제 1 결합기(13)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은 건축법규에 준한 32mm - 38mm로 설치된다.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손잡이(11)는 직선형의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 손잡이(12)의 일측과 조립되어 계단 또는 평지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제 1 암나사산(111)과 세개의 제 2 암나사산(1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손잡이(11)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코팅되어 있다.
상기 제 1 손잡이(11)의 제 1 암나사산(111)은 양측 종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2 손잡이(12)가 상기 제 1 결합기(13)를 통해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암나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제 1 손잡이(11)의 제 2 암나사산(112)은 하부에 일정간격(2m)을 두고 각각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이 조립될 수 있도록 암나사의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2 손잡이(12)는, 'U'자형의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손잡이(11)의 일측과 체결되어 계단의 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의 역할을 하며, 도 2의 'A'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제 3 암나사산(121)과 제 4 암나사산(12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손잡이(12)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다.
상기 제 2 손잡이(12)의 제 3 암나사산(121)은 양측 종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 손잡이(11)가 상기 제 1 결합기(13)를 통해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암나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손잡이(12)의 제 4 암나사산(122)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이 조립될 수 있도록 암나사의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결합기(13)는 상기 제 1 손잡이(11)와 상기 제 2 손잡이(12)를 나사결합 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2의 'B' 즉,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숫나사산(131), 제 1 고정체(132), 및 제 2 숫나사산(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결합기(13)의 제 1 숫나사산(131)은 상기 제 1 고정체(132)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손잡이(11)의 제 1 암나사산(111) 또는 제 2 손잡이(12)의 제 3 암나사산(121)과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숫나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기(13)의 제 1 고정체(132)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제 1 숫나사산(131)을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에 상기 제 2 숫나사산(13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제 1 손잡이(11)와 제 2 손잡이(12)가 조립되었을 경우 지지하는 한편, 계단의 방향을 설정하는 즉, 상/하 또는 수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1 고정체(132)는 직선형 원통형상 또는 임의의 둔각을 갖는 원통형상이며,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결합기(13)의 제 2 숫나사산(133)은 상기 제 1 고정체
(132)의 타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손잡이(11)의 제 3 암나사산
(121) 또는 제 2 손잡이(12)의 제 4 암나사산(122)과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숫나사의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은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이 계단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하부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되어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 1 지지대(21), 제 2 지지대
(22), 십자형 커플러(23) 및 제 2 결합기(2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은 3개의 제 1 지지대(21)와 1개의 제 2 지지대(22)로 구성되며,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코팅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의 제 1 지지대(21)는 상기 제 1 손잡이(11)를 계단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1 지지대(21)는 상기 제 1 손잡이(11)와 제 2 결합기(24)를 통해 나사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일측 종단에 제 5 암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의 제 2 지지대(22)는 상기 제 2 손잡이(12)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해 지면과 수직하도록 제 2 손잡이(12)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2 지지대(22)는 상기 제 2 손잡이(12)와 제 2 결합기(24)를 통해 나사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일측 종단에 제 5 암나사산(2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의 십자형 커플러(23)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압출한 것으로 상기 제 1 지지대(21)를 관통하여 임의의 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보조 가이드(31)를 체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의 보조 가이드(31)가 삽입될 수 있는 사각통형상의 십자공(2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의 제 2 결합기(24)는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과 상기 제 1 지지대(21) 및 제 2 지지대(22)를 나사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2의 'C'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숫나사산
(241), 제 2 고정체(242) 및 제 4 숫나사산(2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결합기(24)의 제 3 숫나사산(241)은 상기 제 2 고정체(242)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손잡이(11) 하부에 형성된 제 2 암나사산(112)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숫나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기(24)의 제 2 고정체(242)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제 3 숫나사산(241)을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에 상기 제 4 숫나사산(24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제 1 손잡이(11)와 제 1 지지대(21)가 조립되었을 경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2 고정체(242)는 직선형 원통형상 또는 임의의 둔각을 갖는 원통형상이며,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결합기(24)의 제 4 숫나사산(243)은 상기 제 2 고정체
(242)의 타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지지대(21) 또는 제 2 지지대
(22)에 형성된 제 5 암나사산(211)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숫나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은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 사이에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과 평행하도록 체결되고, 정전시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식 안전망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한쌍의 보조 가이드(31), 다수개의 보조 지지대(32) 및 다수개의 제 3 결합기(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의 보조 가이드(3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상부가 개방된 막대관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한쌍을 이루고, 각 보조 가이드(31)의 좌/우측 내면에는 고정돌기(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보조 지지대(32)가 일정 간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제 6 암나사산(312)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 사이에서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손잡이(11)와 평행하도록 상기 십자형 커플러(23)를 통해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
(2)에 결합되는 역할을 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 덮개(33)를 추가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지지면 덮개(33)는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상기 보조 가이드
(31)의 좌/우측 내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311)에 대응되는 고정돌기(332)를 갖는 막대형상의 지지면(331)이 하부면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보조 가이드(31)를 덮는 한편, 정전시 발광하여 비상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지지면 덮개(33)는 형광체(333)와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제작함으로써 일정 길이를 갖는 형광체(333)가 일측 모서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의 보조 지지대(32)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보조 가이드(31) 사이에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과 평행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한쌍의 보조 가이드(31)에 각각 나사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되어 안전망의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의 보조 지지대(32)의 간격이 100mm 형성됨으로써 어린아이가 고층에서 빠져 나갈 수 없기 때문에 추락과 같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의 제 3 결합기(34)는 상기 보조 가이드(31)와 상기 보조 지지대(32)를 나사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숫나사산(341), 제 3 고정체(342) 및 제 6 숫나사산(3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3 결합기(34)의 제 5 숫나사산(341)은 상기 제 3 고정체(342)의 일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의 보조 가이드
(31)의 하부에 형성된 제 6 암나사산(312)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숫나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 3 결합기(34)의 제 3 고정체(342)는 원통형상으로 일측에 상기 제 5 숫나사산(341)을 일체로 형성하며, 타측에 상기 제 6 숫나사산(34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보조 가이드(31)와 보조 지지대(32)가 조립되었을 경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제 3 고정체(342)는 직선형 원통형상 또는 임의의 둔각을 갖는 원통형상이며,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결합기(34)의 제 6 숫나사산(343)은 상기 제 3 고정체
(342)의 타측에 일체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 지지대(32)의 종단에 형성된 제 7 암나사산(321))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숫나사의 역할을 한다.
그러면,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의 3개의 제 1 지지대(21)를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손잡이(11)에 형성된 제 2 암나사산(112)이 위치하는 계단 또는 지면에 대응되도록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제 2 지지대(22)를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2 손잡이(12)에 형성된 제 4 암나사산(122)이 위치하는 지면에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에 한쌍의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
(3)을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은 한쌍의 보조 가이드(31)와 10개의 보조 지지대(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3 결합기(34)를 통해 상기 보조 가이드(31)와 보조 지지대(32)는 조립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며,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은 한쌍의 상기 보조 가이드(31) 사이에 10개의 보조 지지대(32)가 일정간격(100mm)을 두고 조립되며, 상기 보조 가이드(31)의 제 6 암나사산(312)에 상기 제 3 결합기(34)의 제 5 숫나사산(341)이 나사조립되고 상기 보조 지지대(32)의 제 7 암나사산(321)에 상기 제 3 결합기(34)의 제 6 숫나사산(343)이 나사조립되어 고정된다. 이 때, 상기 제 3 결합기(34)의 제 3 고정체(342)는 계단의 각도(120°)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10개의 보조 지지대(32)는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을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에 체결시킨다. 이 때,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3)을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에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한쌍의 십자형 커플러(23)를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의 제 1 지지대(21)에 관통시켜 고정하되 상기 보조 지지대(32)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보조 가이드(31) 한쌍을 상기 한쌍의 십자형 커플러(23)의 십자공(231)에 각각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런 후,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을 체결한다. 즉, 상기 제 1 손잡이(11)의 제 1 암나사산(111)과 상기 제 1 결합기(13)의 제 1 숫나사산(131)을 나사조립을 통해 체결하며, 상기 제 2 손잡이(12)의 제 3 암나사산(121)과 상기 제 1 결합기(13)의 제 2 숫나사산(133)을 나사조립을 통해 체결한다. 이 때, 상기 제 1 결합기(13)의 제 1 고정체(132)는 120°의 둔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지지대(21)에 형성된 제 2 암나사산(112)과 제 2 지지대(22)에 형성된 제 4 암나사산(122)에 상기 제 2 결합기
(24)의 제 3 숫나사산(241)을 각각 체결시킨다.
이 후,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지지대(21) 및 제 2 지지대(22)에 각각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된 제 2 결합기(24)를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2)에 각각 체결시킨다. 즉,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1 손잡이(11)에 나사결합된 제 2 결합기(24)의 제 4 숫나사산(243)과 상기 제 1 지지대(21)의 제 5 암나사산
(211)을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시키는 한편,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1)의 제 2 손잡이(12)에 나사결합된 제 2 결합기(24)의 제 4 숫나사산(243)과 상기 제 2 지지대(22)의 제 5 암나사산(211)을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시킨다. 이 때, 각 구성들은 에폭시 특수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하므로 비상게단 손잡이가 흔들림이 없어 불안 조성감이 감소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계단으로부터 수평을 이루는 부분에서도 도 3b, 도4b, 도 5b와 같은 제 1 결합기(13), 제 2 결합기(24), 및 제 3 결합기(34)를 사용하여 설치할수 있으며, 계단 뿐만 아니라 난간과 같이 본원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에 의하면, 정전과 같은 비상시에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여 정전이 되어도 계단의 식별이 뚜렷해 짐에 따라 옥상 또는 지상으로 탈출할 수 있는 비상구를 형성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다른 효과로는 각각의 구성들이 나사조립을 통해 체결됨으로써 시공 및 보수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용접을 하지 않아도 됨에 따라 체결시간이 짧아지고 시공 및 보수 시간이 단축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나사조립을 통해 각각을 체결하는 구성들이 합성수지의 재질 또는 합성수지가 코팅된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외부 공기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함으로써 국가발전 및 건축 안전도에도 보탬이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구성들이 합성수지 또는 합성수지가 코팅된 내한성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근접할 수 있는 편안한 색상을 선택하여 디자인을 자유 색상으로 변경이 자유롭고 사용자가 손으로 손잡이를 잡았을 경우에도 스테인네스와 같은 금속재질의 손잡이에 비해 차가움을 덜 느끼게됨으로써 사용자의 마음을 편안하게 할 뿐만 아니라 안락한 생활을 확보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비상계단을 왕복 운행시 옷이 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파손에 의해 상처가 발생하지 않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직선형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의 다수개의 제 1 손잡이와, 계단의 방향이 변경되는 부분에서 상기 다수개의 제 1 손잡이와 각각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U'자형 제 2 손잡이로 구성된 조립식 손잡이 수단;
    일정 길이를 갖는 원통형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일측이 계단 또는 지면에 수직으로 각각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의 하부에 나사방식으로 조립되는 조립식 지지수단; 및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 사이에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과 평행하도록 체결되고, 정전시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함과 동시에 조립식 안전망을 제공하는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은, 상기 제 1 손잡이와 나사결합하는 제 1 숫나사산과, 원통형상으로 상기 제 1 숫나사산에 일체로 연장된 제 1 고정체와, 상기 제 1 고정체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손잡이와 나사결합하는 제 2 숫나사산으로 구성된 제 1 결합기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기의 제 1 고정체는, 직선형 원통형상 또는 임의의 둔각을 갖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기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의 제 1 손잡이는, 상기 제 2 손잡이와 나사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양측 종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암나사산과,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이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되는 위치에 각각의 제 2 암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의 제 2 손잡이는, 상기 제 1 손잡이와 나사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양측 종단에 각각 형성된 제 3 암나사산과,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이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되는 위치에 각각의 제 4 암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은, 상기 제 1 손잡이를 계단 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해 계단 또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고정하는 다수개의 제 1 지지대와, 상기 제 2 손잡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해 지면과 수직하도록 고정하는 제 2 지지대와,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를 압출한 것으로 상기 제 1 지지대가 관통되는 원통형상으로 그 원통형상의 좌우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사각통형상의 십자공이 형성된 십자형 커플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은, 3개의 제 1 지지대와 1개의 제 2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은,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과 나사결합하는 제 3 숫나사산과 상기 제 3 숫나사산에 일체로 연장된 원통형상의 제 2 고정체와, 상기 제 2 고정체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과 나사결합하는 제 4 숫나사산으로 구성된 제 2 결합기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의 제 1 지지대 및 제 2 지지대는, 상기 제 1 손잡이 또는 제 2 손잡이와 나사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일측 종단에 제 5 암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기의 제 2 고정체는, 직선형 원통형상 또는 임의의 둔각을 갖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기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손잡이 및 조립식 지지수단은,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손잡이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은, 정전시 발광하여 비상 가이드 라인을 형성하며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 사이에서 상기 조립식 손잡이 수단의 제 1 손잡이와 평행하도록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한쌍의 보조 가이드와, 상기 한쌍의 보조 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조립식 지지수단과 평행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상기 한쌍의 보조 가이드에 각각 나사결합을 통해 일정 간격을 두고 조립되는 다수개의 보조 지지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의 보조 가이드는, 일정 길이를 갖는 상부가 개방된 막대관의 형상으로 좌/우측 내면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밑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보조 지지대가 일정 간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제 6 숫나사산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조 가이드의 좌/우측 내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돌기에 대응되는 고정돌기를 갖는 막대형상의 지지면이 하부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지지면 덮개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 덮개는, 형광체와 합성수지를 압출하여 일정 길이를 갖는 형광체가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은, 상기 보조 가이드와 나사결합하는 제 5 숫나사산과 상기 제 5 숫나사산에 일체로 연장된 원통형상의 제 3 고정체와, 상기 제 3 고정체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보조 지지대와 나사결합하는 제 6 숫나사산으로 구성된 제 3 결합기를 추가로 포함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보조 가이드 수단의 보조 지지대는, 상기 한쌍의 보조 가이드와 나사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양측 종단에 제 7 암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결합기의 제 3 고정체는, 직선형 원통형상 또는 임의의 둔각을 갖는 원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결합기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압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23.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보조 지지대는, 내한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 장치.
KR10-2003-0004513A 2003-01-23 2003-01-23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KR100510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513A KR100510870B1 (ko) 2003-01-23 2003-01-23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513A KR100510870B1 (ko) 2003-01-23 2003-01-23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177U Division KR200310429Y1 (ko) 2003-01-23 2003-01-23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422A true KR20040067422A (ko) 2004-07-30
KR100510870B1 KR100510870B1 (ko) 2005-08-26

Family

ID=37356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513A KR100510870B1 (ko) 2003-01-23 2003-01-23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08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581B1 (ko) * 2009-09-08 2012-02-13 주식회사 누리플랜 난간
CN108166692A (zh) * 2017-12-01 2018-06-15 太原双鼎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护栏结构
AU2017206266B2 (en) * 2016-07-20 2020-03-05 Rodvic Pty Ltd Fence assembly
KR200495678Y1 (ko) * 2021-10-08 2022-07-22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안전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175B1 (ko) * 2006-12-01 2008-05-08 이도춘 계단 핸드레일 장치
KR102060885B1 (ko) * 2018-04-13 2020-02-11 브이피케이 주식회사 조립식 핸드레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1581B1 (ko) * 2009-09-08 2012-02-13 주식회사 누리플랜 난간
AU2017206266B2 (en) * 2016-07-20 2020-03-05 Rodvic Pty Ltd Fence assembly
CN108166692A (zh) * 2017-12-01 2018-06-15 太原双鼎科技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护栏结构
KR200495678Y1 (ko) * 2021-10-08 2022-07-22 오목조경산업 주식회사 안전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0870B1 (ko)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235B1 (ko) 역 t자형 체결구조를 갖는 합성목재 데크
US20140008596A1 (en) Railing support post with threaded receivers
KR100510870B1 (ko)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US2754092A (en) Metallic hand railing
KR100828175B1 (ko) 계단 핸드레일 장치
US9885470B1 (en) Illuminant handrail
KR200407338Y1 (ko) 발광체가 내장된 조립식 레일바 및 그 설치구조
KR200310429Y1 (ko) 비상용 발광 가이드 라인을 구비한 조립식 계단 핸드레일장치
KR200477110Y1 (ko) 태양전기패널이 부설된 건축물의 외벽치장 몰딩
KR200443024Y1 (ko) 계단용 난간 지주
CN210601194U (zh) Led压码灯及楼梯照明系统
KR200443592Y1 (ko) 조명등 거치대
KR200410725Y1 (ko) 핸드레일
JP3214560B2 (ja) 天然杢理の映し出し可能な照明手摺
KR101732950B1 (ko) 교량 점검용 사다리 구조물
KR200381591Y1 (ko) 난간 지주용 야광 장식봉
JP3103370U (ja) 蓄光機能付誘導手摺
US10359178B2 (en) Elongated support board
KR101502520B1 (ko) 조명 타입 복합형 조명등
CN218070862U (zh) 固线结构
CN211736114U (zh) 可拆卸的装配式阳台屋顶护栏
CN220814374U (zh) 一种装配式建筑墙体
KR200489531Y1 (ko) 복층패널 연결용 프레임
US8820958B2 (en) Lamp devices
KR200346844Y1 (ko) 난간 지주 결합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