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7282A - 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 Google Patents

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7282A
KR20040067282A KR1020030004316A KR20030004316A KR20040067282A KR 20040067282 A KR20040067282 A KR 20040067282A KR 1020030004316 A KR1020030004316 A KR 1020030004316A KR 20030004316 A KR20030004316 A KR 20030004316A KR 20040067282 A KR20040067282 A KR 200400672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power
controlled
controlled device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3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469015B1 (en
Inventor
박정애
이경우
임상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015B1/en
Publication of KR20040067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2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01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4Exchanging control software or macros for 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defining and determining a state of a control-subject device in a home network is provided to effectively define a state of control-subject devices and provide accurate state information reflect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subject devices to users. CONSTITUTION: A control device divides a state of plural control-subject devices into a non-registered state and a registered state. The registered state is divided into a plug cutoff state and a plug connected state. The plug connected state is divided into a power-off state and a power-on state. The power-on state is divided into an operation-off state and an operation temporarily-off state. The non-registered state and the registered state ar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information related to a corresponding control-subject device is stored in a database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In case of the registered state,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subject device transmits a packet to each other, and the plug connected state and the plug cutoff state are determined depending on whether a packet is transmitted. In case of the plug connected state, the power-off state or the power-on state is determined depending on information of a response packet received from the control-subject device.

Description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및 판단방법{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본 발명은 소정의 표시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등의제어용 디바이스에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에어컨디셔너, 세탁기 및 전자레인지 등을 비롯한 각종 디지털 가전기기인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정의하고, 그 정의한 상태로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및 판단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the states of controlled devices, which are various digital home appliances, including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and microwave ovens connected by a home network to a control device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having a predetermined display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fining and determ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that determines a current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s in a state.

홈 네트워킹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IEEE 1394 및 홈 PNA(Home Phone Network Alliance) 등의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한 홈 네트워킹 프로토콜의 표준화에 대한 많은 연구와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더불어 홈 네트워킹의 기능을 탑재한 인텔리전트한 디지털 가전기기들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홈 네트워킹용 디지털 가전기기들이 출시되고 있다.The growing interest in home networking has led to a number of studies and efforts on the standardization of home networking protocols based on underlying technologies such as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EEE 1394, and the Home Phone Network Alliance (PNA). In addition, as consumers' interest in intelligent digital home appliances equipped with home networking functions increases, various digital home appliances for home networking are being released.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및 셋 탑 박스 등의 디지털 가전기기들과, 노트북형 컴퓨터, 데스크탑형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Tablet PC) 등의 정보기술 기기들뿐만 아니라 에어컨디셔너, 세탁기, 전자 레인지 및 냉장고 등과 같은 백색 가전기기들, 그리고 조명기기에 이르기까지 홈 네트워킹 기기의 범위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따라서 이들을 하나로 통합 관리 할 수 있는 중심 기기인 홈 서버(Media Center)와 같은 디지털 가전기기와 함께 홈 게이트웨이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Digital home appliances such as digital television receivers and set-top box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devices such as laptop computers, desktop comput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tablet personal computers (Tablet PCs), as well as air conditioners, washing machines, and electronics. The range of home networking devices ranging from white appliances, such as ranges and refrigerators, to lighting fixtures, is continually expanding, so digital appliances such as the home server (Media Center), a central unit that can manage them as one, are integrated. At the same time, interest in home gateways is increasing.

도 1은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 네트워크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및 디지털 오디오 기기 등의 디지털 비디오 및 오디오 기기들을 기반으로 하는 HAVi(Home Audio/Videointeroperability) 등의 AV 네트워크(100)와, 냉장고, 에어컨디셔너 및 세탁기 등의 백색 가전을 기반으로 하는 LnCP(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 등의 생활 네트워크(110)와, 컴퓨터 시스템 및 프린터 등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정보기술 네트워크(120)들로 구분된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eneral home network. As shown in the drawing, a home network includes an AV network 100 such as HAVi (Home Audio / Videointeroperability) based on digital video and audio devices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a digital audio device, and a white such as a refrigerator, an air conditioner and a washing machine. It is divided into a living network 110 such as a living network control protocol (LnCP) based on home appliances and an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 120 based on a computer system and a printer.

상기 AV 네트워크(100), 생활 네트워크(110) 및 정보기술 네트워크(120)는 홈 네트워크의 개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분류한 것으로서 실제로 홈 네트워크를 구성할 경우에는 전송 미디어, 통신 규약 및 제품의 규격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모습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향후 홈 네트워크의 중심 기기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경우에는 AV 네트워크(100)의 카테고리 내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겠지만, 통신 미디어 특성을 반영하여 생활 네트워크(110)의 제품들과 직접 통신할 수도 있고, 통신 규약 중에서 TCP/IP를 구현할 경우에 정보기술 네트워크(120)의 제품들과도 통신을 수행하여 동작을 제어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The AV network 100, the living network 110,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 120 are classified to help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home network. When the home network is actually configured, the transmission media, the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product standard are used. As a result, they can be expressed in various and complex forms.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that is expected to grow as a central device of the home network in the future, it will play a central role within the category of the AV network 100, bu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media and the products of the living network 110. In case of implementing TCP / IP among the 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directly with products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 120 to control the operation.

그리고 상기 AV 네트워크(100) 및 정보기술 네트워크(120)는 게이트웨이(130)를 통해 외부 인터넷 망(140)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생활 네트워크(110)가 네트워크 매니저/브리지(150) 및 게이트웨이(130)를 순차적으로 통해 외부 인터넷 망(140)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인터넷 망(140)을 통해 상기 AV 네트워크(100), 생활 네트워크(110) 및 정보기술 네트워크(120)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디지털 기기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In addition, the AV network 100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 120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net network 140 through the gateway 130, and the living network 11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manager / bridge 150 and the gateway 13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Internet network 140, and externally connected to the AV network 100, the living network 110 and the information technology network 12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140 It allows you to control the operation.

이러한 홈 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로 사용하는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는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화면상에 표시해야 된다.In such a home network, the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ed as the control device must monitor and display in real time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그러나 종래의 홈 네트워크에서는 제어용 디바이스가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을 표시함에 있어서,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을 현재 동작상태를 구분하지 않고 표시하였으므로 사용자가 제어용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화면을 통해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현재 동작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하기가 어려웠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home network, when the controlling device displays the controlled devices without displaying the current operating state, the user displays the current operating state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through the user interface control screen of the controlling device. It was difficult to judge accurately.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용 디바이스에 홈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특성에 따라 정의하고, 그 정의한 상태로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판단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및 판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fine a state of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by a home network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led devices, and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s in the defined state. To provide a state definit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특성에 따른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상태 정보를 제어용 디바이스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및 판단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efining and determ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that can efficiently provide state inform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led devices through the controlling device.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방법은, 제어용 디바이스에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현재상태를 정의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미등록 상태 및 등록상태로 구분하고, 상기 등록상태는, 플러그 차단상태 및 플러그 연결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는, 전원 오프 상태 및 전원 온 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전원 온 상태는,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일시정지 상태 및 운전 온 상태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ome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of def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defining a current state of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connected to a controlling device by a home network, The control device divides the states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into an unregistered state and a registered state, wherein the registered state is divided into a plug disconnected state and a plug connection state, and the plug connection state is a power off state and a power on state. The power-on state is characterized by being divided into an operation off state, an operation pause state, and an operation on state.

상기 미등록 상태 및 등록상태는, 제어용 디바이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이고, 상기 플러그 차단상태 및 플러그 연결상태는, 제어용 디바이스와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호간 통신 여부이며, 상기 전원 오프상태 및 전원 온 상태는,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전원 오프 및 온 상태이며, 상기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온 상태 및 운전 일시정지 상태는,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 운전 수행중인 상태 및 운전이 일시정지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unregistered state and the registered state are whether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s is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plug disconnection state and the plug connection state are whether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d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power-off state and the power-on state are power off and on states of the controlled device, and the operation off state, operation on state, and operation pause state are states in which oper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 is stopped and operation is being performed. The state and the ope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used state.

그리고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판단방법은, 제어용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내에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의 저장 여부로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미등록 상태와 등록 상태를 판단하고, 등록 상태일 경우에 제어용 디바이스와 피제어용 디바이스가 상호간에 패킷을 전송하고 패킷의 전송 여부로 플러그 연결상태와 플러그 차단상태를 판단하며, 플러그 연결상태일 경우에 피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의 정보로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전원 온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온 상태의 운전 온 상태, 운전오프 상태 또는 운전 일시정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home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eterm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an unregistered state and a registered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 are determined by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led device in a database included in the controlled device. In the registered state, the controlling device and the controlled device transmit packets between each other, and determine the plug connection state and the plug blocking state based on whether the packet is transmitted.In case of the plug connection state, the information of the response packet received from the controlled device.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power-off state or the power-on st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on state, the driving off state or the operation pause state of the power on state.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와 플러그 차단상태 판단은, 제어용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발생하여 피제어용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전송한 요청 패킷에 따른 응답패킷을 피제어용 디바이스가 발생하여 제어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전송한 응답패킷이 제어용 디바이스에 수신될 경우에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를 플러그 연결상태로 판단하고, 전송한 응답패킷이 제어용 디바이스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플러그 차단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g connection state and the plug disconnection state determination may be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generating a packet requesting a current state and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controlled device, and generating a response packet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request packet to the controlled device by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controlled device. When the transmitted response packet is received by the control device, the controlled device is determined to be in a plug connection state, and when the transmitted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by the control device, it is determined that the plug is blocked.

상기 응답패킷이 제어용 디바이스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재전송하고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재전송하여도 응답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플러그 차단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재전송할 경우에 미리 재전송 회수 및 응답패킷의 수신을 판단할 수신 설정시간을 조절한 후 재전송하며,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일 경우에 피제어용 디바이스에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벤트 패킷의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전원 온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온 상태의 운전 온 상태, 운전오프 상태 또는 운전 일시정지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the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by the control device, the packet requesting the current status is retransmitted, and if the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even after retransmitting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is determined that the plug is blocked and the packet requesting the current status is determined. In case of retransmission, after adjusting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and the reception setting time for determining the reception of response packet, retransmission is performed.In the case of the plug connection state, an event occurs in the device to be controlled so that the event packet powers off or powers on.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st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on state, the driving off state or the operation pause state of the power-on state.

도 1은 일반적인 홈 네트워크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고,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ypical home network,

도 2는 본 발명의 정의 및 판단방법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며,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to which the definit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정의 방법에서 정의하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트리 구조로 보인 도면이며,3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device defined in the defi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ee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정의 방법에서 정의하는 디바이스의 상태를 다이어그램으로 보인 도면이며,4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of a device defined in the defi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정의 방법에서 정의하는 상태가 디바이스들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보인 도표이며,5 is a diagram illustrating whether or not a state defined in a defini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in devices,

도 6은 본 발명의 판단방법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플러그 차단상태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FIG. 6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plug cut-off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s determined in the determin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및 판단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state definition and a determination method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of FIGS. 2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정의 및 판단방법이 적용되는 홈 네트워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여기서, 부호 200은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 등과 같이 소정의 표시화면을 구비하고 있는 제어용 디바이스이고, 부호 210은 에어컨디셔너, 세탁기 및 전자 레인지 등을 비롯한 각종 피제어용 디바이스이다.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ome network to which the definit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Here, reference numeral 200 denotes a control device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play screen, such as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reference numeral 210 denotes various controlled devices including an air conditioner, a washing machine, a microwave oven, and the like.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200)와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는 PLC 모뎀 등을 비롯한 소정의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홈 네트워크(230)에 연결되어 상호간에 소정의 패킷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구성된다.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210 are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230 through a predetermined interface unit 220 including a PLC modem or the like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a predetermined packet. do.

이러한 구성의 홈 네트워크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정의 및 판단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용 디바이스(200)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의 상태를 미등록 상태 및 등록상태로 구분하고, 상기 등록상태는, 플러그 차단상태 및 플러그 연결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는, 전원 오프 상태 및 전원 온 상태로 구분하며, 상기 전원 온 상태는,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일시정지 상태 및 운전 온 상태로 구분하여 정의한다.The definition and determin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home network having such a configuration divides the states of the controlled devices 210 in the control device 200 into an unregistered state and a registered stat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egistration state is divided into a plug disconnection state and a plug connection state, and the plug connection state is divided into a power off state and a power on state, and the power on state is an operation off state, an operation pause state, and an operation on state. Defined by state.

여기서, 상기 구분하여 정의한 각 상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 each state defin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1. 미등록 상태 및 등록 상태1. Unregistered Status and Registered Status

제어용 디바이스(200)가 홈 네트워크(230)를 통해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제어용 디바이스(200)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내에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서 이러한 등록과정을 통해 제어용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소정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은 등록 상태로 정의하고, 제어용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베이스 내에 소정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은 미등록 상태로 정의한다.In order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210 via the home network 230, the control device 200 is stored in a database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trol device 200. It is necessary to store and register information about the control devices 210 in advance, and the controlled devices 210 hav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 device 200 are registered in the registered state through the registra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controlled devices 210 whos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 device 200 are defined as an unregistered state.

2. 플러그 차단 상태 및 플러그 연결상태2. Plug disconnection status and plug connection status

홈 네트워크(230)로 연결된 제어용 디바이스(200) 및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은 소정의 프로토콜을 기준으로 한 통신 패킷을 전송하면서 통신하는 것으로서 홈 네트워크(230) 자체에 문제가 있거나,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이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홈 네트워크(230)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의 응답이 없어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가 있다.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210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2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ransmitting a communication packet based on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there is a problem with the home network 230 itself, or There is a case in which the devices 210 are not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230 through the interface unit 220 or the communication is not performed because there is no response of the controlled device 210.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등록 상태의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과의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플러그 차단상태로 정의하고,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과의 통신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는 상태를 플러그 연결상태로 정의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d devices 210 in the registered state is not made is defined as a plug blocking state, and a state in which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led devices 210 is smoothly performed is plugged. define.

3. 전원 오프상태 및 전원 온 상태3. Power off state and power on state

디바이스들의 동작 특성을 살펴보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제품은, 구동되기 전에 반드시 전원 스위치 등을 조작하여 전원을 온시켜야 되는 디바이스들이 있는 것으로서 디바이스가 등록상태이고, 플러그 연결상태에서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경우에 전원 오프상태로 정의하고, 전원이 온되어 있을 경우에 전원 온 상태로 정의한다.Looking at th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the products connected to the home network, there are devices that must be turned on by operating the power switch, etc. before being driven, and when the device is registered and the power is turned off while plugged in Defined as the power off state, and defined as the power on state when the power is on.

4. 운전 오프 상태4. Driving off state

디바이스에 전원이 연결되어 전원 온 상태이지만 실제로 디바이스의 수행 기능이 동작하지 않는 상태를 운전 오프 상태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경우에 전원이 온되어 있는 대기상태가 이에 해당되고, 전등의 경우에는 점등되지 않은 상태에 해당된다. 또한 냉장고와 같은 디바이스의 경우에는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 자체가 동시에 동작중인 상태이되므로 냉장고는 운전 오프상태가 존재하지 않는다. 운전 오프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는 운전 온 상태가 있으며, 디바이스의 특성상 운전 일시정지 상태가 존재하는 디바이스들도 있다.Defines a state in which the device is powered on because the device is powered on, but in which the device's performance does not operat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the standby state in which the power is turned on corresponds to this state, and in the case of a lamp, it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it is not lit.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evice such as a refrigerator, since the power-on state itself is operating simultaneously, the refrigerator does not have an off state.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off state is the driving on state, and there are some devices in which the driving pause state exist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5. 운전 온 상태5. Driving on state

디바이스들의 수행기능이 실제로 동작하는 상태를 운전 온 상태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전자레인지에 있어서, 실제로 요리를 진행하고 있는 경우가 운전 온 상태에 해당된다.It defines the state that the device's execution function actually operates as the operation on state. For example, the case where cooking is actually performed in a microwave oven corresponds to a driving-on state.

6. 운전 일시정지 상태6. Operation pause state

디바이스들의 수행기능이 일시 정지된 상태를 운전 일시정지 상태로 정의한다. 예를 들면, 세탁기나 전자레인지 등의 디바이스들은 소정 수행기능의 동작 중에 일시정지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를 일시정지로 정의한다.Defines the paused state of the device's performance. For example, devices such as a washing machine or a microwave oven may pause during operation of a predetermined performance function, and this state is defined as pause.

도 5는 복수의 디바이스들 즉, 에어컨디셔너, 세탁기, 드럼세탁기, 전자레인지, 가스오븐레인지, 냉장고 및 디지털 텔레비전 수상기의 특성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정의한 상태 즉, 미등록 상태, 플러그 차단 상태, 전원 오프상태,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온 상태 및 운전 일시정지 상태들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보인 도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디바이스들은 자체의 특성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정의한 상태가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컨디셔너는 미등록 상태, 플러그 차단 상태, 운전 오프 상태 및 운전 온 상태가 존재하고, 전원 오프상태 및 운전 일시정지 상태는 존재하지 않으며, 세탁기는 미등록 상태, 플러그 차단 상태,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온 상태 및 운전 일시정지 상태가 존재하고, 전원 오프상태는 존재하지 않으며, 드럼 세탁기는 미등록 상태, 플러그 차단상태, 전원 오프상태,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온 상태 및 운전 일시정지 상태가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서 디바이스들의 특성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정의한 상태들의 존재여부가 결정된다.5 is a state defin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plurality of devices, that is, an air conditioner, a washing machine, a drum washing machine, a microwave oven, a gas oven range, a refrigerator, and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It is a chart showing whether there are states, an operation off state, an operation on state, and an operation pause stat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devices may or may not have a state defin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n air conditioner has an unregistered state, a plug disconnected state, an operating off state and an operating on state, there is no power off state and an operating pause state, and a washing machine has an unregistered state, a plug disconnected state, an operating off state, The operation on state and the operation pause state exist, the power off state does not exist, and the drum washing machine has an unregistered state, a plug disconnect state, a power off state, an operation off state, an operation on state, and an operation pause state. As such, the presence of the states defined as described above is determ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한편, 제어용 디바이스(200)가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의 현재 상태를 상기한 바와 같이 정의한 상태로 판단할 경우에 먼저 미등록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controlling device 200 determines the current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 210 as the defined state as described above,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non-registered state.

상기 미등록 상태의 판단은, 제어용 디바이스(200)가 내장된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디바이스의 등록정보 예를 들면, 제품명, 수행 기능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지의 여부로 판단하는 것으로서 해당 디바이스의 등록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미등록 상태로 판단하고, 해당 디바이스의 등록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경우에 등록 상태로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of the non-registration state is determined by whether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for example, a product name, a performance function, and the like, is stored in a database in which the control device 200 is embedded. If it is not stored in the database, it is determined as an unregistered state, and if it is stored in the database, it is determined as a registered state.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200)의 데이터 베이스에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의 등록정보 저장 및 삭제는 홈 네트워크의 프로토콜에서 정의되어 있는 통상의 방법에 따른다.Storing and deleting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s 210 in the database of the controlling device 200 is in accordance with a conventional method defined in the protocol of the home network.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들을 플러그 차단상태로 판단하는 경우는 피제어용 디바이스(210)가 등록 상태에서 제어용 디바이스(200)와 피제어용 디바이스(210)가 상호간에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로서 제어용 디바이스(200), 인터페이스부(220), 홈 네트워크(230) 또는 피제어용 디바이스(210)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서 제어용 디바이스(200)와 피제어용 디바이스(210) 사이의 동작제어 및 상태 정보가 동기를 잃을 수가 있으며, 또한 소정 기준의 시간 내에 응답이 없을 경우이다. 그러므로 본발명에서는 소정의 판단 과정을 통해 제어용 디바이스(200)와 피제어용 디바이스(210)가 통신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로 플러그 차단상태의 여부를 판단한다.In the case where the controlled devices 210 are determined to be in the plug-off state, 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controlled device 210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controlled device 210 is registered. ), There is an error in the interface unit 220, the home network 230, or the controlled device 210, and the operation control and status information between the controlling device 200 and the controlled device 210 may lose synchronization. And there is no response within a predetermined reference tim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device 200 and the controlled device 21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a predetermined determination process,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lug is blocked.

도 6은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플러그 차단상태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보인 신호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용 디바이스(200)는 단계(600)에서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발생하고 그 발생한 현재상태 요청의 패킷을 단계(600)에서 인터페이스부(220) 및 홈 네트워크(230)를 통해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로 전송하여 현재상태를 요청한 후 단계(602)에서 그 현재상태 요청의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이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로부터 인터페이스부(220) 및 홈 네트워크(230)를 통해 제어용 디바이스(200)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6 is a signal flow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plug is blocked by a device to be controlled. 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trol device 200 generates a packet for requesting the current status in step 600, and transmits the packet of the current status request generated in step 600 to the interface unit 220 and the home network 230. After requesting the current status by transmitting to the controlled device 210 through the request, the response packet to the packet of the current status request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d device 210 to the interface unit 220 and the home network 230 in step 6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received by the control device 200 through.

상기 단계(602)의 판단 결과 설정된 시간 이내에 응답 패킷이 수신될 경우에 제어용 디바이스(200)는 단계(604)에서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를 플러그 연결상태로 판단 및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단계(606)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210)의 상태를 판단한 판단회수를 '0'으로 클리어한 후 종료한다.When the response packet is received within the set time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step 602, the controlling device 200 determines in step 604 the plugged device 210 as a plugged state and stores it in a database. At 606, the number of judgments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 210 is cleared to '0' and then terminated.

그리고 상기 단계(602)에서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단계(608)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단계(610)에서 판단회수를 '1' 증가시킨 후 단계(612)에서 판단회수가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예를 들면, 6회 이상 판단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When the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in step 602,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predetermined time elapsed in step 608, and when the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In step 610, the number of judgments is increased by '1', and then in step 612,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number of judgments is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for example, six or more times.

상기 단계(612)의 판단 결과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이 아닐 경우에 제어용디바이스(200)는 단계(614)에서 상기 현재상태 요청의 패킷을 재전송할 재전송 회수 및 상기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신 설정시간을 조절하고, 단계(616)에서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발생하여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로 전송한 후 단계(602)로 복귀하여 상기 재설정한 설정시간 이내에 응답 패킷이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If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step 612 is not more than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 device 200 adjusts the number of retransmissions to retransmit the packet of the current status request and a reception setup time to receive the response packet in step 614. And generating a packet requesting a current state in step 616,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controlled device 210, and returning to step 602 to determine whether a response packet is received within the reset time. Do this.

그리고 상기 단계(612)에서 설정 회수 이상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제어용 디바이스(200)는 단계(618)에서 데이터 베이스 내에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210)가 플러그 차단상태로 이미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플러그 차단상태로 이미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단계(620)에서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210)를 플러그 차단상태로 판단 및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며, 단계(622)에서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210)가 플러그 차단상태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알려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후 단계(606)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210)의 상태를 판단한 판단회수를 '0'으로 클리어하고, 종료한다.If the control device 200 does not receive an abnormal number of response packets in step 612, the control device 200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ntrolled device 210 is already stored in the database in the plug blocking state in step 618. If it is not already stored in the plug blocking state is determined in step 620, the device to be controlled 210 is determined to be plugged off and stored in the database, and in step 622, the device to be controlled ( After notifying the user interface that the plug 210 is in the plug-off state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it, in step 606, the number of times of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 210 is cleared to '0' and ends.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에서의 전원 온 상태 또는 전원 오프상태 판정과, 전원 온 상태에서의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일시정지 상태 또는 운전 온 상태의 판단은 상기한 플러그 차단상태 또는 플러그 연결상태의 판단과정에서 현재상태 요청 패킷에 따라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210)가 전송하는 응답 패킷이나, 피제어용 디바이스(210)에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그 피제어용 디바이스(210)가 생성하여 전송하는 이벤트 패킷 내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하고, 판단한 상태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The determination of the power-on state or the power-off state in the plug connection state, and the determination of the operation off state, the operation pause state or the operation on state in the power on state is currently performe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plug disconnection state or the plug connection state. A response packet transmitted by the controlled device 210 according to the status request packet, or stored in an event packet generated and transmitted by the controlled device 210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in the controlled device 210. Determination is made using the current state information, and the determined state is stored in the database.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field of the invention provided by the claims below It can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홈 네트워크에서 제어용 디바이스가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정의하고,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특성을 반영한 상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판정할 수 있음은 물론 향후에 홈 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control device to efficiently define the states of the devices to be controlled in the home network, and accurately provide users with state information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s to be controlled, In addition to determining the status in real time, it is possible to prepare a criterion that can be applied to the home network in the future.

Claims (10)

제어용 디바이스에 구비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내에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에 관련된 정보의 저장 여부로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미등록 상태와 등록 상태를 판단하는 제 1 과정;A first step of determining an unregistered state and a registered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 based on whether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rolled device is stored in a database provided in the controlling device; 상기 제 1 과정에서 등록 상태일 경우에 제어용 디바이스와 피제어용 디바이스가 상호간에 패킷을 전송하고 패킷의 전송 여부로 플러그 연결상태와 플러그 차단상태를 판단하는 제 2 과정;A second step of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d device transmitting a packet between the control device and the controlled device and determining a plug connection state and a plug blocking state based on whether the packet is transmitted when the registration state is in the first step; 상기 제 2 과정에서 플러그 연결상태일 경우에 피제어용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응답 패킷의 정보로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전원 온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온 상태의 운전 온 상태, 운전오프 상태 또는 운전 일시정지 상태를 판단하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진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판단방법.In the second process, in the plugged-in state, the power-off state or the power-on state is determ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sponse packet received from the controlled device, and the operation on state, the operation off state, or the operation pause of the power on state. A method of determining a state of a device to be controlled in a home network comprising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의 플러그 연결상태와 플러그 차단상태 판단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ug connection state and the plug blocking state of the second process are determined; 제어용 디바이스가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발생하여 피제어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 21 과정;A twenty-first step of generating, by the controlling device, a packet requesting a current state and transmitting the packet to the controlled device; 상기 제 21 과정에서 전송한 요청 패킷에 따른 응답패킷을 피제어용 디바이스가 발생하여 제어용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제 22 과정;A twenty-second step of generating, by a controlled device, a response packet according to the request packet transmitted in the twenty-first step to a controlling device; 상기 제 22 과정에서 전송한 응답패킷이 제어용 디바이스에 수신될 경우에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를 플러그 연결상태로 판단하는 제 23 과정; 및A twenty-third step of determining, when the response packet transmitted in the twenty-second step is received by the controlling device, the controlled device as a plug connection state; And 상기 제 22 과정에서 전송한 응답패킷이 제어용 디바이스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플러그 차단상태로 판단하는 제 24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판단방법.And a twenty-fourth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plug is blocked when the response packet transmitted in the twenty-second step is not received by the controlling devic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4 과정은;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wenty-fourth process comprises: 응답패킷이 제어용 디바이스에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재전송하고 미리 설정된 회수 이상 재전송하여도 응답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에 플러그 차단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판단방법.If the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by the controlling device, the packet requesting the current status is retransmitted, and if the response packet is not received even after retransmitting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t is determined that the plug is blocked. How to determine the state of the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현재 상태를 요청하는 패킷을 재전송할 경우에 미리 재전송 회수 및 응답패킷의 수신을 판단할 수신 설정시간을 조절한 후 재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판단방법.When retransmitting a packet requesting the current status, the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controlled device in the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ransmission after adjusting the number of retransmission and the reception setting time to determine the reception of the response packet in advan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일 경우에 피제어용 디바이스에 이벤트가 발생하여 이벤트 패킷의 전원 오프 상태 또는 전원 온 상태를 판단함과 아울러 상기 전원 온상태의 운전 온 상태, 운전오프 상태 또는 운전 일시정지 상태를 판단하는 제 4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판단방법.In the plugged state, an event occurs in the controlled device to determine a power off state or a power on state of an event packet, and to determine an operation on state, an operation off state, or an operation pause state of the power on state. And determining a state of the device to be controlled in the home network. 제어용 디바이스에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현재상태를 정의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def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that defines a current state of a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connected to a controlling device by a home network, 상기 제어용 디바이스가 상기 복수의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상태를 미등록 상태 및 등록상태로 구분하고,The control device divides the states of the plurality of controlled devices into an unregistered state and a registered state, 상기 등록상태는, 플러그 차단상태 및 플러그 연결상태로 구분하며,The registration state is divided into a plug blocking state and a plug connection state, 상기 플러그 연결상태는, 전원 오프 상태 및 전원 온 상태로 구분하며,The plug connection state is divided into a power off state and a power on state, 상기 전원 온 상태는,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일시정지 상태 및 운전 온 상태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방법.And a state in which the power-on state is divided into an operation off state, an operation pause state, and an operation on st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등록 상태 및 등록상태는;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unregistered state and registered state; 제어용 디바이스의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 피제어용 디바이스들의 등록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 방법.A method of def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whether or not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controlled devices is stored in a database of the controlling dev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차단상태 및 플러그 연결상태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lug blocking state and plug connection state; 제어용 디바이스와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호간 통신 여부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방법.A method for def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ing device and the controlled devic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오프상태 및 전원 온 상태는;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power off state and the power on state;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전원 오프 및 온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방법.A method of def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wherein the controlled device is in a power off and on st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 오프 상태, 운전 온 상태 및 운전 일시정지 상태는;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driving off state, the driving on state, and the driving pause state;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운전이 정지된 상태, 운전 수행중인 상태 및 운전이 일시정지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 네트워크에서 피제어용 디바이스의 상태 정의방법.A method of defining a state of a controlled device in a home network, wherein the controlled device is in a stopped state, a running state, and a suspended state.
KR10-2003-0004316A 2003-01-22 2003-01-22 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KR1004690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316A KR100469015B1 (en) 2003-01-22 2003-01-22 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316A KR100469015B1 (en) 2003-01-22 2003-01-22 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282A true KR20040067282A (en) 2004-07-30
KR100469015B1 KR100469015B1 (en) 2005-02-02

Family

ID=37356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316A KR100469015B1 (en) 2003-01-22 2003-01-22 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015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9015B1 (en) 200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018B2 (en) Home appliance network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559023B1 (en)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CN101461194B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accessing devices in a network
US7729282B2 (en) Home network system and its configuration system
KR20050086182A (en) Home network server device 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2004080755A (en) Method for connecting electronic device to network, wireless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device
JP201117565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server for determining type of electric appliance
US8484323B2 (e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169812B1 (en) Broadcast discovery in a network having one or more 1394 buses
JP2014165883A (en) Communication device
KR100406857B1 (en) Method of deciding configuration manager in home network
US20080172481A1 (en) Method of Configuring Network Profile of Network System
KR100469015B1 (en) Method for defining and judging the state of controlled device in home network
KR100486502B1 (en) Device status display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KR100645182B1 (en) Control method of home-network system
EP1787453B1 (en) Network connection switching unit
KR20040067281A (en) Method for setting retransmission number and response receiving time of packet in home network
KR100773828B1 (en) Home gateway and home network system by using the same
KR100425762B1 (en) Control System for Home Appliance Network
KR20060035176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network using different protocol
JP2006033681A (en) Network control unit, usage state monitoring server and program therefor
KR20040039043A (en) Control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 system
KR20060021513A (en) Method for setting network address of slave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KR20040055455A (en) Hold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the same device of multiple control point
KR100793993B1 (en) Home Network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