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665A - 3채널 음향 증폭장치 - Google Patents

3채널 음향 증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665A
KR20040063665A KR1020030001160A KR20030001160A KR20040063665A KR 20040063665 A KR20040063665 A KR 20040063665A KR 1020030001160 A KR1020030001160 A KR 1020030001160A KR 20030001160 A KR20030001160 A KR 20030001160A KR 20040063665 A KR20040063665 A KR 20040063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input terminal
terminal
signal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1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3665A/ko
Publication of KR20040063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66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04S3/004For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수 보다 많은 채널의 음향신호를 증폭·출력하기에 적합한 3채널 음향 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3채널 음향 증폭장치는 우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1 음향입력단자; 좌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2 음향입력단자; 제1 음향입력단자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경로; 제2 음향입력단자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경로; 제1 증폭경로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1 스피커; 제2 증폭경로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2 스피커; 및 제1 및 제2 증폭경로들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들을 혼합하고 혼합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3 스피커를 구비한다.

Description

3채널 음향 증폭장치 {3-Channel Audio Appl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입체적인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입체 음향 증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채널 수 보다 많은 채널의 음향신호들을 증폭·출력하는 3채널 음향 증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음향장치는 음향신호를 밴드의 구분 없이 출력하는 모노방식(Mono), 음향신호를 좌측 및 우측 밴드들로 구분하는 출력하는 스테레오 방식(Stereo System)(또는 2채널 음향 방식), 그리고 음향신호를 좌측, 우측 및 중간 밴드들로 구분하여 출력하는 3채널 음향 방식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러한 음향장치에서 2채널 및 3채널 음향 방식의 음향장치들 각각은 음향신호를 밴드 별로 분리한 다음 그 분리되어진 각 밴드의 음향신호를 증폭하게 된다.
또한, 음향장치에 포함되어진 음향 증폭장치에는 각 채널(즉, 구분되어진 음향신호의 밴드) 별로 증폭경로가 마련되어 있다. 다시 말하여, 2채널 음향 방식의 음향장치에 포함되어진 음향 증폭장치에는 2개의 증폭경로가 그리고 3채널 음향 방식의 음향장치에 포함되어진 음향 증폭장치에는 3개의 증폭경로가 포함되어 있는 실정이다. 2채널 음향 방식의 음향 증폭장치의 예를 들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사에 의해 시판되고 있는 TPA0202의 스테레오 증폭기를 들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스테레오 증폭기는 우측음향 입력단자(RIN)에 종속 접속되어진 제1 멀티플렉서(10), 제1 이중증폭기(14) 및 제1 스피커(SP1)와 그리고 좌측음향 입력단자(LIN)에 종속 접속되어진 제2 멀티플렉서(12), 제2 이중증폭기(16) 및 제2 스피커(SP2)를 구비한다.
제1 멀티플렉서(10)는 제1 저항(R1) 및 제1 캐패시터(C1)을 경유하여 우측음향 입력단자(RIN)에 접속되어진 제1 입력단자(AT1)와 그리고 우측음향 입력단자(RIN)에 직접 접속되어진 제2 입력단자(ST1)을 가진다. 제1멀티플렉서(10)의 제1 입력단자(AT1)과 제1 이중증폭기(12)의 반전출력단자 사이에는 제2 저항(R2) 및 제2 캐패시터(C2)의 병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저항(R2) 및 제2 캐패시터(C2)의 병렬회로와 제1 저항(R1)은 그 임피던스의 비 만큼 제1 멀티플렉서(10)의 제2 입력단자(ST1)을 경유하는 음향신호 보다 제1 입력단자(AT1)을 경유하는 음향신호가 더 크게 증폭되게 한다. 다시 말하여, 제1 멀티플렉서(10)는 제1 및 제2 입력단자(AT1,ST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스피커(SP1)을 통해 출력될 우측음향신호의 증폭율을 조절하게 된다. 제1 캐패시터(C1)는 우측음향 입력단자(RIN)로부터 제1 멀티플렉서(10)의 제1 입력단자(AT1) 쪽으로 전송될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커플링 기능을 가진다.
제2 멀티플렉서(12)는 제3 저항(R3) 및 제3 캐패시터(C3)을 경유하여 좌측음향 입력단자(LIN)에 접속되어진 제1 입력단자(AT2)와 그리고 좌측음향 입력단자(LIN)에 직접 접속되어진 제2 입력단자(ST2)을 가진다. 제2 멀티플렉서(12)의 제1 입력단자(AT2)와 제2 이중증폭기(16)의 반전출력단자 사이에는 제4 저항(R4) 및 제4 캐패시터(C4)의 병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제4 저항(R4) 및 제4 캐패시터(C4)의 병렬회로와 제3 저항(R3)은 그 임피던스의 비 만큼 제2 멀티플렉서(12)의 제2 입력단자(ST2)을 경유하는 음향신호 보다 제1 입력단자(AT2)을 경유하는 음향신호가 더 크게 증폭되게 한다. 다시 말하여, 제2 멀티플렉서(12)는 제1 및 제2 입력단자(AT2,ST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2 스피커(SP2)을 통해 출력될 좌측음향신호의 증폭율을 조절하게 된다. 제3 캐패시터(C3)는 좌측음향 입력단자(LIN)로부터 제2 멀티플렉서(14)의 제1 입력단자(AT2) 쪽으로 전송될 직류성분을 제거한다.
제1 이중증폭기(14)는 제1 멀티플렉서(10)의 출력단자로부터 우측 음향신호를 반전입력단자를 입력되는 우측 음향신호를 반전 및 비반전 증폭하고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우측 음향신호들을 반전출력단자와 비반전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1 스피커(SP1)에 공급한다. 이 때, 제1 스피커(SP1)는 제1 이중증폭기(14)로부터의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우측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공급전압라인(Vd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5 저항(R5)과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기전전압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6 저항(R6)는 공급전압(Vdd)을 저항값의 비율로 분압하고 그 분압되어진 전압을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이중증폭기(16)는 제2 멀티플렉서(12)의 출력단자로부터 반전입력단자 쪽으로 입력되는 좌측 음향신호를 반전 및 비반전 증폭하고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좌측 음향신호들을 반전출력단자와 비반전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2 스피커(SP2)에 공급한다. 이 때, 제2 스피커(SP2)는 제2 이중증폭기(16)로부터의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좌측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공급전압라인(Vd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7 저항(R7)과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기전전압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8 저항(R8)는 공급전압(Vdd)을 저항값의 비율로 분압하고 그 분압되어진 전압을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제2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하게 된다.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와의 접속점과 기저전원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5 캐패시터(C5)는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의 비반전단자에 공급될 바이어스 전압에 포함되어진 고주파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공급전압라인(Vdd)와 기저전원전압(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6 캐패시터(C6)는 공급전압라인(Vdd) 상의 공급전압에 포함되어진 고주파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스테레오 증폭장치는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10,12)와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을 제어하기 위한 음향제어기(18)와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의 반전출력단자들 사이에 접속되어진 외부접속구(20)를 추가로 구비한다.
외부접속구(20)는 제1 이중증폭기(14)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반전·증폭되어진 우측음향신호를 제8 캐패시터(C8)를 경유하여 입력하는 제1 음향단자(SJT1); 제2 이중증폭기(16)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반전·증폭되어진 우측음향신호를 제9 캐패시터(C9)를 경유하여 입력하는 제2 음향단자(SJT2); 외부음향출력기기(즉, 외부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이어폰)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단자(DJT)를 구비한다.
제1 음향 단자(SJT1)는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20)에 접속된 경우에 제1 이중증폭기(14)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제8 캐패시터(C8)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반전·증폭되어진 우측 음향신호를 외부음향출력기기의 우측 스피커 또는 우측 이어폰에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음향 단자(SJT2)도 외부음향출력기기가외부접속구(20)에 접속된 경우에 제2 이중증폭기(16)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제8 캐패시터(C9)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반전·증폭되어진 좌측 음향신호를 외부음향출력기기의 좌측 스피커 또는 좌측 이어폰에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제8 및 제9 캐패시터(C8,C9)는 음향신호에 포함되어진 직류성분을 저지하게 된다.
접속검출단자(DJT)는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20)에 연결될 경우에 제1 음향 단자(SJT)와 개방되어(분리되어) 하이논리상태의 접속검출신호(SE/BT)를 한다. 반면,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접속검출단자(DJT)는 제1 음향 단자(SJT1)과 접촉되어 로우논리상태의 접속검출신호(SE/BT)를 발생하게 된다. 접속검출단자(DJT)와 제1 음향 단자(SJT1)의 접촉 또는 개방에 따라 접속검출신호(SE/BT)의 논리값을 로우 또는 하이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1 음향 단자(SJT1)와 기저전원라인(GND) 사이에 제8 저항(R8)이 그리고 공급전압라인(Vdd)와 접속검출단자(DJT) 사이에는 제9 저항(R9)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8 저항(R8)은 제9 저항(R9)에 비하여 매우 작은 저항값(예를 들면, 1/100 정도)을 가진다. 접속검출단자(DJT) 상의 접속검출신호(SE/BT)는 제10 저항(R10)을 경유하여 음향제어기(18)의 제2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제10 저항(R10)은 음향제어기(18) 쪽으로 진행하는 전류량을 제한하게 된다. 음향제어기(18)의 제2 입력단자와 기저전원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7 캐패시터(C7)는 음향제어기(18)의 제2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접촉검출신호(SE/BT)에 포함되어진 고주파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음향제어기(18)은 시스템 콘트로 단자(SCIN)를 경유하는 시스템 제어유니트(예를 들면, 중앙처리유니트(Centural Process Unit))로부터의 뮤트제어신호를 제1 입력함과 아울러 외부접속구(20)의 접속검출단자(DJT)로부터의 접속검출신호(SE/BT)를 입력한다. 특정논리의 뮤트제어신호가 제1 입력단자에 공급되면, 음향제어기(18)은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의 증폭동작을 중지시켜 음향신호가 제1 및 제2 스피커(SP1,SP2) 그리고 외부접속구(20)의 제1 및 제2 음향 단자들(SJT1,SJT2)에 공급되지 않게 한다. 또한, 음향제어기(18)는 접촉검출신호(SE/BT)가 하이논리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10,12)가 제2 입력단자(ST1,ST2) 쪽으로 음향신호를 입력하게 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에 포함되어진 비반전 증폭부분의 증폭동작을 중지시킨다. 이 때, 외부접속구(20)의 제1 및 제2 음향 단자(SJT1,SJT2)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작은 이득을 가지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 접속검출신호(SE/BT)가 로우논리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음향제어기(18)는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10,12)가 제1 입력단자(FT1,FT2) 쪽으로 음향신호를 입력하게 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에 포함되어진 반전 및 비반전 증폭부분들 모두가 증폭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스피커(SP1,SP2)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큰 이득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입체 음향(즉, 2채널 및 3채널 음향) 증폭장치는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수 (즉, 증폭경로의 수)에 해당하는 입체 음향신호들을 증폭할 수 있었을 뿐,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수 (즉 주어진 증폭경로의 수) 이상의 입체적 음향신호들을 증폭·출력하기 곤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음향신호의 수 보다 많은 채널의 음향신호를 증폭·출력하기에 적합한 3채널 음향 증폭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통상의 2채널 음향 증폭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 :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 14,16 :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
18 : 음향제어기 20 : 외부접속부
C1~C9 : 캐패시터 R1~R11 : 저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는 우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1 음향입력단자; 좌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2 음향입력단자; 제1 음향입력단자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경로; 제2 음향입력단자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경로; 제1 증폭경로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1 스피커; 제2 증폭경로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2 스피커; 및 제1 및 제2 증폭경로들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들을 혼합하고 혼합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3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는 뮤트제어신호를 입력하게 위한 제어단자; 및 제어단자로부터의 무트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증폭경로의 증폭동작을 중지시키는 음향제어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들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2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2에 도시된 3채얼 음향 증폭장치는 우측음향 입력단자(RIN)에 종속 접속되어진 제1 멀티플렉서(10), 제1 이중증폭기(14) 및 제1 스피커(SP1)와 그리고 좌측음향 입력단자(LIN)에 종속 접속되어진 제2 멀티플렉서(12), 제2 이중증폭기(16) 및 제2 스피커(SP2)를 구비한다.
제1 멀티플렉서(10)는 제1 저항(R1) 및 제1 캐패시터(C1)을 경유하여 우측음향 입력단자(RIN)에 접속되어진 제1 입력단자(AT1)와 그리고 우측음향 입력단자(RIN)에 직접 접속되어진 제2 입력단자(ST1)을 가진다. 제1 멀티플렉서(10)의 제1 입력단자(AT1)과 제1 이중증폭기(12)의 반전출력단자 사이에는 제2 저항(R2) 및 제2 캐패시터(C2)의 병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제2 저항(R2) 및 제2 캐패시터(C2)의 병렬회로와 제1 저항(R1)은 그 임피던스의 비 만큼 제1 멀티플렉서(10)의 제2 입력단자(ST1)을 경유하는 음향신호 보다 제1 입력단자(AT1)을 경유하는 음향신호가 더 크게 증폭되게 한다. 다시 말하여, 제1 멀티플렉서(10)는 제1 및 제2 입력단자(AT1,ST1)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1 스피커(SP1)을 통해 출력될 우측음향신호의 증폭율을 조절하게 된다. 제1 캐패시터(C1)는 우측음향 입력단자(RIN)로부터 제1 멀티플렉서(10)의 제1 입력단자(AT1) 쪽으로 전송될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커플링 기능을 가진다.
제2 멀티플렉서(12)는 제3 저항(R3) 및 제3 캐패시터(C3)을 경유하여 좌측음향 입력단자(LIN)에 접속되어진 제1 입력단자(AT2)와 그리고 좌측음향 입력단자(LIN)에 직접 접속되어진 제2 입력단자(ST2)을 가진다. 제2멀티플렉서(12)의 제1 입력단자(AT2)와 제2 이중증폭기(16)의 반전출력단자 사이에는 제4 저항(R4) 및 제4 캐패시터(C4)의 병렬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제4 저항(R4) 및 제4 캐패시터(C4)의 병렬회로와 제3 저항(R3)은 그 임피던스의 비 만큼 제2 멀티플렉서(12)의 제2 입력단자(ST2)을 경유하는 음향신호 보다 제1 입력단자(AT2)을 경유하는 음향신호가 더 크게 증폭되게 한다. 다시 말하여, 제2 멀티플렉서(12)는 제1 및 제2 입력단자(AT2,ST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제2 스피커(SP2)을 통해 출력될 좌측음향신호의 증폭율을 조절하게 된다. 제3 캐패시터(C3)는 좌측음향 입력단자(LIN)로부터 제2 멀티플렉서(14)의 제1 입력단자(AT2) 쪽으로 전송될 직류성분을 제거한다.
제1 이중증폭기(14)는 제1 멀티플렉서(10)의 출력단자로부터 우측 음향신호를 반전입력단자를 입력되는 우측 음향신호를 반전 및 비반전 증폭하고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우측 음향신호들을 반전출력단자와 비반전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1 스피커(SP1)에 공급한다. 이 때, 제1 스피커(SP1)는 제1 이중증폭기(14)로부터의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우측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공급전압라인(Vd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5 저항(R5)과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기전전압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6 저항(R6)는 공급전압(Vdd)을 저항값의 비율로 분압하고 그 분압되어진 전압을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이중증폭기(16)는 제2 멀티플렉서(12)의 출력단자로부터 반전입력단자 쪽으로 입력되는 좌측 음향신호를 반전 및 비반전 증폭하고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좌측 음향신호들을 반전출력단자와 비반전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2 스피커(SP2)에 공급한다. 이 때, 제2 스피커(SP2)는 제2 이중증폭기(16)로부터의 반전 및 비반전 증폭되어진 좌측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여 사용자가 음향을 청취할 수 있게 한다.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공급전압라인(Vd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7 저항(R7)과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기전전압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8 저항(R8)는 공급전압(Vdd)을 저항값의 비율로 분압하고 그 분압되어진 전압을 바이어스 전압으로서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급하게 된다. 제1 이중증폭기(14)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 입력단자와의 접속점과 기저전원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5 캐패시터(C5)는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의 비반전단자에 공급될 바이어스 전압에 포함되어진 고주파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공급전압라인(Vdd)와 기저전원전압(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6 캐패시터(C6)는 공급전압라인(Vdd) 상의 공급전압에 포함되어진 고주파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스테레오 증폭장치는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10,12)와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을 제어하기 위한 음향제어기(18)와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의 반전출력단자들 사이에 접속되어진 외부접속구(20)를 추가로 구비한다.
외부접속구(20)는 제1 이중증폭기(14)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반전·증폭되어진 우측음향신호를 제8 캐패시터(C8)를 경유하여 입력하는 제1 음향단자(SJT1);제2 이중증폭기(16)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반전·증폭되어진 우측음향신호를 제9 캐패시터(C9)를 경유하여 입력하는 제2 음향단자(SJT2); 외부음향출력기기(즉, 외부 스피커 또는 스테레오 이어폰)의 접속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접속검출단자(DJT)를 구비한다.
제1 음향 단자(SJT1)는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20)에 접속된 경우에 제1 이중증폭기(14)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제8 캐패시터(C8)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반전·증폭되어진 우측 음향신호를 외부음향출력기기의 우측 스피커 또는 우측 이어폰에 공급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2 음향 단자(SJT2)도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20)에 접속된 경우에 제2 이중증폭기(16)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제8 캐패시터(C9)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반전·증폭되어진 좌측 음향신호를 외부음향출력기기의 좌측 스피커 또는 좌측 이어폰에 공급하게 된다. 이 때, 제8 및 제9 캐패시터(C8,C9)는 음향신호에 포함되어진 직류성분을 저지하게 된다.
접속검출단자(DJT)는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20)에 연결될 경우에 제1 음향 단자(SJT)와 개방되어(분리되어) 하이논리상태의 접속검출신호(SE/BT)를 한다. 반면,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접속검출단자(DJT)는 제1 음향 단자(SJT1)과 접촉되어 로우논리상태의 접속검출신호(SE/BT)를 발생하게 된다. 접속검출단자(DJT)와 제1 음향 단자(SJT1)의 접촉 또는 개방에 따라 접속검출신호(SE/BT)의 논리값을 로우 또는 하이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제1 음향 단자(SJT1)와 기저전원라인(GND) 사이에 제8 저항(R8)이 그리고 공급전압라인(Vdd)와 접속검출단자(DJT) 사이에는 제9 저항(R9)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8 저항(R8)은 제9 저항(R9)에 비하여 매우 작은 저항값(예를 들면, 1/100 정도)을 가진다. 접속검출단자(DJT) 상의 접속검출신호(SE/BT)는 제10 저항(R10)을 경유하여 음향제어기(18)의 제2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제10 저항(R10)은 음향제어기(18) 쪽으로 진행하는 전류량을 제한하게 된다. 음향제어기(18)의 제2 입력단자와 기저전원라인(GND)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7 캐패시터(C7)는 음향제어기(18)의 제2 입력단자에 공급되는 접촉검출신호(SE/BT)에 포함되어진 고주파 잡음성분을 제거한다.
음향제어기(18)은 시스템 콘트로 단자(SCIN)를 경유하는 시스템 제어 유니트(예를 들면, 중앙처리유니트(Centural Process Unit))로부터의 뮤트제어신호를 제1 입력함과 아울러 외부접속구(20)의 접속검출단자(DJT)로부터의 접속검출신호(SE/BT)를 입력한다. 특정논리의 뮤트제어신호가 제1 입력단자에 공급되면, 음향제어기(18)은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의 증폭동작을 중지시켜 음향신호가 제1 및 제2 스피커(SP1,SP2) 그리고 외부접속구(20)의 제1 및 제2 음향 단자들(SJT1,SJT2)에 공급되지 않게 한다. 또한, 음향제어기(18)는 접촉검출신호(SE/BT)가 하이논리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10,12)가 제2 입력단자(ST1,ST2) 쪽으로 음향신호를 입력하게 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에 포함되어진 비반전 증폭부분의 증폭동작을 중지시킨다. 이 때, 외부접속구(20)의 제1 및 제2 음향 단자(SJT1,SJT2)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작은 이득을 가지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외부음향출력기기가 외부접속구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 접속검출신호(SE/BT)가 로우논리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음향제어기(18)는 제1 및 제2 멀티플렉서(10,12)가 제1 입력단자(FT1,FT2) 쪽으로 음향신호를 입력하게 함과 아울러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에 포함되어진 반전 및 비반전 증폭부분들 모두가 증폭동작을 수행하게 한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 스피커(SP1,SP2)에 공급되는 음향신호는 큰 이득을 가지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에는 제1 이중증폭기(14)의 반전출력단자와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출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진 제3 스피커(SP3)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다. 제3 스피커(SP3)는 제1 이중증폭기(14)의 반전출력단자로부터 반전 증폭되어진 우측 음향신호와 제2 이중증폭기(16)의 비반전출력단자로부터의 비반전 증폭되어진 좌측 음향신호를 입력하고 그 입력되어진 우측 및 좌측 음향신호들을 혼합함과 아울러 혼합되어진 음향신호을 음향으로 변환·출력하게 된다. 이 때, 제3 스피커(SP3)에서는 중간 영역의 음향이 출력되게 된다. 예를 들어, 우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1 스피커에서 800Hz 이상의 새소리가 그리고 좌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2 스피커에서 800Hz 이상의 물소리가 각각 출력되다면, 제3 스피커(SP3)에서는 새소리 및 물소리 모두가 포함되어진 800Hz 이하의 음향이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이중증폭기(14,16)에서 증폭되어진 음성신호들이 각각 출력되게 함과 아울러 혼합되는 상태로 출력되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는 2채널의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3채널의 입체음향신호를 증폭·출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의 구성을 간소화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 2채널의 음향신호들이 각각 증폭·출력되게 함과 아울러 혼합·증폭 및 출력되게 함으로서 2채널의 음향신호들을 이용하여 3채널의 입체음향신호를 증폭·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3채널 음향 증폭장치는 하나의 증폭경로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2)

  1. 우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1 음향입력단자;
    좌측 음향신호를 입력하는 제2 음향입력단자;
    상기 제1 음향입력단자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제1 증폭경로;
    상기 제2 음향입력단자로부터의 음향신호를 증폭하는 제2 증폭경로;
    상기 제1 증폭경로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1 스피커;
    상기 제2 증폭경로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2 스피커; 및
    상기 제1 및 제2 증폭경로들로부터의 증폭된 음향신호들을 혼합하고 혼합된 음향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제3 스피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채널 음향 증폭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제어신호를 입력하게 위한 제어단자; 및
    상기 제어단자로부터의 무트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및 제2 증폭경로의 증폭동작을 중지시키는 음향제어기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채널 음향 증폭장치.
KR1020030001160A 2003-01-08 2003-01-08 3채널 음향 증폭장치 KR200400636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60A KR20040063665A (ko) 2003-01-08 2003-01-08 3채널 음향 증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160A KR20040063665A (ko) 2003-01-08 2003-01-08 3채널 음향 증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665A true KR20040063665A (ko) 2004-07-14

Family

ID=3735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160A KR20040063665A (ko) 2003-01-08 2003-01-08 3채널 음향 증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36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935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mbient noise reduction
US93385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grated headset switch with reduced crosstalk noise
US20160365083A1 (en) Low-Power-Consumption Active Noise-Reduction In-Ear Music Headphones and Method for Noise Reduction
CN101383595B (zh) 电子音量调节器装置和使用它的音频设备、异常检测方法
CN112235692B (zh) 音频切换电路、电子设备和音频切换方法
US3246081A (en) Extended stereophonic systems
JPH09107252A (ja) オーディオ信号伝送用回路配置
TWI728279B (zh) 立體聲音訊系統及方法
KR20040063665A (ko) 3채널 음향 증폭장치
US10178465B2 (en) Headphone unit
US20120114143A1 (en) Sound output apparatus
KR100782345B1 (ko) Tdd 노이즈를 제거하는 스테레오 헤드폰과 그 구동방법
US8625820B2 (en) Amplifier circuit audio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JPH0746083A (ja) 音声合成兼帯域制限回路及び低音増強回路
CN211352416U (zh) 一种耳机
KR100708305B1 (ko) 센터 스피커를 내장한 차량용 통합형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KR920002607Y1 (ko) 다중 스피커 헤드폰
JP2005269291A (ja) ヘッドフォン出力ジャックを具えた音響機器
KR200247799Y1 (ko) 브리지 앰프의 헤드 폰 연결 회로
KR20000012312A (ko) 보이스 믹싱 기능을 가진 헤드폰
JP2006340121A (ja) スピーカー用増幅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ーシステム
KR19990000358U (ko) 서라운드 사운드 이어폰 장치
KR20030084439A (ko) 휴대용 오디오 장치
KR20050050805A (ko) 개인 휴대용 단말기의 3차원 사운드 구현 시스템
ATE283620T1 (de)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und verstärkung von audiosignal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