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605A -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605A
KR20040063605A KR1020030001082A KR20030001082A KR20040063605A KR 20040063605 A KR20040063605 A KR 20040063605A KR 1020030001082 A KR1020030001082 A KR 1020030001082A KR 20030001082 A KR20030001082 A KR 20030001082A KR 20040063605 A KR20040063605 A KR 20040063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ignal
transceiver
voice
wireless transmi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교 선 정
Original Assignee
교 선 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 선 정 filed Critical 교 선 정
Priority to KR1020030001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3605A/ko
Publication of KR2004006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60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08Holders comprising finger 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12Holders for attachment to finger tip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비지역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때 그 사실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통신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초병이 휴대하는 통상장치로서 버튼을 이용한 비상신호를 송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한편으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부의 상황실에 설치되어 잇는 상황실용 송수신기(3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통신하는 초소용 송수신기(21)와; 한편으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직접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초소용 송수신기(2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황이 발생될 때 해당 램프가 점멸되는 것을 확인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황실용 송수신기(31)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경계근무용 통신장치{Communication system for barrier service}
본 발명은 경비지역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할 때 그 사실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통신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병들이 휴대하는 무선송신기, 초소에 설치된 송수신기 및 중대본부에 설치된 유무선송수신기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급박한 상황에서도 그들간에 음성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손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한 경계근무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부대의 경계 근무는 통상의 경계 업무와 달리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대상으로 하므로 보다 완벽한 임무 수행을 요구한다. 이를 보장하기 위한 요소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 그 중에서 경계 근무를 수행중인 초병과 이 초병들을 가장 근접한 위치에서 지휘 감독하는 중대본부간의 의사전달을 위한 통신장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경계근무용 통신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초병과 중대본부간에 음성 또는 비상신호 등을 손쉽고 정확하게 통신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어 보다 철저한 경계근무를 이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병들이 휴대하는 무선송신기의 기능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급박한 상황에서도 초소에 설치된 송수신기 및 중대본부에 설치된 유무선 송수신기와 음성신호 또는 비상신호 등을 손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경계근무용 통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근무용 통신장치의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경계근무용 통싱장치의 계통도
도 3a 는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의 외관 개략도
도 3b 는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의 측면도
도 4 는 비상호츌용 무선송신기의 상세 블록도
도 5 는 초소용 송수신기의 외관 개략도
도 6 은 초소용 송수신기의 상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
(21) : 초소용 송수신기
(31) : 상황실용 송수신기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경계근무용 통신장치의 기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병이 휴대하는 통신장치로서 상황 발생시 비상버튼을 눌러 비상신호를 송출하고, 고성능의 핀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음성 모니터링 스피커, 상황표시 램프 및 알람 등으로 구성된 초소용 통신장치로서 한편으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부의 상황실에 설치되어 있는 상황실용 송수신기(3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통신하는 초소용 송수신기(21)와; 상황실에 설치된 멀티 채널의 통신장치로서 한편으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직접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초소용 송수신기(2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황이 발생될 때 해당 램프가 점멸되는 것을 확인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황실용 송수신기(31)로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을 첨부한 도 2 내지 도 6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황실용 송수신기(31)는 30채널의 통신장치이므로 도 2 에서와 같이 초소용 송수신기(21)를 최대 30대까지 수용할 수 있게 되며, 이 초소용송수신기(21)와 2선식 일반회선을 통해 연결된다.
각 초소에는 두명의 초병이 투입되어 소정의 이격거리(예: 200M) 내에서 경계근무를 하게 되는데, 이들은 주머니 또는 탄띠에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를 각기 휴대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한명은 초소 밖에서 경계근무를 하고, 다른 한명은 초소내에서 경계근무를 한다.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를 탄띠에 휴대할 때에는 도 3b 에서와 같이 고정클립(11E)를 사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의 본체 외부에는 도 3a 에서와 같이 내장형 마이크(11A)와 외부 마이크 접속단자(11B), 비상버튼(11D)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황이 발생할 때 초병은 비상버튼(11D)를 눌러 그 사실을 알리기 위한 비상신호가 초소 및 상황실측으로 무선으로 송출되고, 이때 초병의 음성신호 또는 주위에서 발생되는 음성신호는 내장형 마이크(11A)나 외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어 초소 및 상황실측으로 송출된다.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1C)는 내장형 안테나이고, (11F)는 건전지이다.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에서의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송신 처리과정을 도 4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11A)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는 마이크 증폭기(41)를 통해 증폭된 후 송신처리부(42)에 공급되고, 비상버튼(11D)에서 출력되는 비상신호를 직접 그 송신처리부(42)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처리부(42)는 입력되는 음성신호 또는 비상신호를 증폭 및 변조처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송신처리부(42)의 출력신호는 제 1 증폭기(43) 및 제 2 증폭기(44)를 통해 증폭 처리된 후 파워 증폭부(45)를 통해 외부로 송출하는데 적당한 파워로 증폭되고, 필터부(46)를 통해 잡음성분이 필터링된 다음 안테나(ANT41)를 통해 초소 및 상황실측으로 전송된다.
ID선택부(47)는 딥스위치로 구성되는데, 이는 특정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무단으로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첨부도면중 (48)은 혼신방지부이다.
한편, 초소 내에서 경계 근무를 하고 있는 초병이 외부에서 경계 근무를 하고 있는 초병의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를 통해 비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수신하면 초소요 송수신기(21)를 통해 상황실용 송수신기(31)에 보다 상세한 보고를 하게 되는데, 이의 처리과정을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초소용 송수신기(21)를 통해 상황실에 상세 보고를 하는 이유는 초소 외부에서 경계 근무를 하고 있는 초병은 적에게 노출된 상태이고, 주변의 환경이 통신하는데 많은 제약을 받게 되므로 그 초병의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초소용 송수신기(21)는 도 5 에서와 같이, 선로단자(21A)를 통해 상기 상황실용 송수신기(31)와 유선으로 연결되고, 전화기 접속단자(21B)를 통해서는 일반 전화기와 연결된다. 또한, 안테나(ANT51)를 통해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초소용 송수신기(21)는 상기 비상신호가 수신된 것을 표시하거나, 전원 상태를 표시하거나, 선로의 이상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F)가 구비된다.
따라서, 안테나(ANT51)를 통해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로부터 비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무선으로 수신되면 그 신호가 스피커(21D)를 통해 출력되므로, 초병이 그 사실을 인식한 후 마이크(21C) 및 스피커(21D)를 통해 상황실용 송수신기(31)와 음성 및 비상신호를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안테나(ANT51)를 통해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로부터 수신되는 비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는 대역통과필터(606)를 통해 잡음성분이 제거된 후 수신 증폭기(607)를 통해 일정 레벨로 증폭처리된다. 믹서 및 증폭기(608)는 상기 수신 증폭기(607)와 주파수 발생부(608A)로부터 입력되는 고주파의 신호에서 원래의 신호를 검출하여 증폭처리하고, 이렇게 처리된 신호가 중간주파 필터(609)를 통해 증폭기(610)에 전달된다.
상기 증폭기(610)는 상기 중간주파 필터(609)로부터 비상신호가 입력될 때 표시부(21F)의 "비상" 램프를 점등시켜 해당 초병이 그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증폭기(610)의 출력신호는 증폭기(611)를 통해 다시 증폭 처리된 후 혼신 방지부(612) 및 음성 증폭기(613)를 통해 스피커(21D)에 출력되므로 이 스피커(21D)를 통해 그 사실을 재확인할 수 있고 음성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ID선택부(612A)는 딥스위치로 구성되는데, 이는 특정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이 무단으로 초소용 송수신기(21)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이와는 별도로, 초소에 위치한 초병은 전화기(602), 전화/방송 제어부(603) 및 선로 인터페이스(604)를 통해 유선으로 상황실용 송수신기(31)와 통신하여 주위의 상황을 상세하게 보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황실(예: 중대본부)에서는 상황실용 송수신기(31)를 통해 한편으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직접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초소용 송수신기(2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황이 발생될 때 해당 램프가 점멸되는 것을 확인한 후 음성통신을 수행하여 필요시 작전명령을 하달하거나 추가 병력을 투입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초병들이 휴대하는 무선송신기의 기능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 급박한 상황에서도 초소에 설치된 송수신기 및 중대본부에 설치된 유무선 송수신기와 음성신호 또는 비상신호 등을 손쉽게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상황에서도 원활한 통신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초병이 휴대하는 통신장치로서 버튼을 이용한 비상신호를 송출하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신호를 송출하는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한편으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본부의 상황실에 설치되어 있는 상황실용 송수신기(3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통신하는 초소용 송수신기(21)와; 한편으로는 상기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비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직접 수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초소용 송수신기(21)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황이 발생될 때 해당 램프가 점멸되는 것을 확인하여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상황실용 송수신기(31)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는 탄띠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11E)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호출용 무선송신기(11)는 외부 마이크 접속단자(11B), 비상버튼(11D)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초소용 송수신기(21)는 상기 비상신호가 수신된 것을 표시하거나, 전원 상태를 표시하거나, 선로의 이상 유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1F)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초소용 송수신기(21)는 상황실 접속용 선로단자(21A)와, 전화기 접속단자(21B)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KR1020030001082A 2003-01-08 2003-01-08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KR20040063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082A KR20040063605A (ko) 2003-01-08 2003-01-08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1082A KR20040063605A (ko) 2003-01-08 2003-01-08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538U Division KR200309232Y1 (ko) 2003-01-08 2003-01-08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605A true KR20040063605A (ko) 2004-07-14

Family

ID=37354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082A KR20040063605A (ko) 2003-01-08 2003-01-08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360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18B1 (ko) * 2005-09-14 2008-01-22 정교선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CN105741513A (zh) * 2016-04-20 2016-07-06 云南大学 一种基于ZigBee、红外线和GSM的报警系统
CN108762375A (zh) * 2018-03-30 2018-11-06 上海均瑶科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城市公众服务终端设备、系统及控制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118B1 (ko) * 2005-09-14 2008-01-22 정교선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CN105741513A (zh) * 2016-04-20 2016-07-06 云南大学 一种基于ZigBee、红外线和GSM的报警系统
CN108762375A (zh) * 2018-03-30 2018-11-06 上海均瑶科创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多功能城市公众服务终端设备、系统及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18003C (en) User interface for a communication system
US6044257A (en) Panic button phone
US20090029743A9 (en) Wireless headset and microphone assembly for communications device
US20150194026A1 (en) Object locator system and method
KR1006175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용한 통화로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
US20010016506A1 (en) Wireless hands-free system of cellular phome
US20200027329A1 (en) Interfacing peripheral devices used in a hazardous environment
CN201153002Y (zh) 一种可报警的蓝牙系统装置
WO2003023729A1 (en) Smoke detector combination
CN203504636U (zh) 一种具有对讲机功能的手机
KR200309232Y1 (ko)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KR20040063605A (ko) 경계근무용 통신장치
CN207557678U (zh) 具有紧急求助功能的智能手表及智能手表系统
KR100276813B1 (ko) 차량용 핸즈프리 통화장치
US20090197533A1 (en) Bluetooth remote control wristwatch and related modification of bluetooth modules
CN208739103U (zh) 一种对讲机
US11522982B2 (en) Status indicators for mobile voice devices
CN206147120U (zh) 一种具有通讯对讲功能的手持式金属探测器及通讯系统
KR200235580Y1 (ko) 이동전화용무선핸즈프리(송.수신기)세트
CN202750230U (zh) 一种移动终端
CN210780762U (zh) 一种宽带通信电台的扩展控制器
CN210745174U (zh) 一种休眠状态gps定位侦测系统
RU2004124014A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зова экстренной помощи, оперативной связи и подачи скрытого радиосигнала
JPH0290736A (ja) 個人追跡方式
KR200352542Y1 (ko) 휴대폰 분실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