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3270A -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3270A
KR20040063270A KR1020030000626A KR20030000626A KR20040063270A KR 20040063270 A KR20040063270 A KR 20040063270A KR 1020030000626 A KR1020030000626 A KR 1020030000626A KR 20030000626 A KR20030000626 A KR 20030000626A KR 20040063270 A KR20040063270 A KR 20040063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hing
sump
washing wat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7595B1 (ko
Inventor
박능서
한대영
윤상헌
최병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7595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75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로부터 오물을 걸러주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조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 상면에 설치되어 세척수로부터 비교적 큰 오물을 걸러주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 내측에 설치되어 중간 오물을 걸러주는 제2필터와, 상기 집수통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필터를 통과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로 순환되도록 하는 세척펌프와, 상기 세척펌프와 집수통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펌프를 통과한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으로 재순환되도록 하는 오물 순환관과, 상기 세척펌프 측의 집수통에 오물 채집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오물 순환관을 통하여 상기 오물 채집부로 유입된 세척수로부터 미세한 오물을 걸러주는 제3필터와, 상기 제2필터 또는 제3필터에 걸러진 오물을 세척수 배수시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오물 배출 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Filter assembly of dish washer}
본 발명은 세척수로부터 오물을 걸러주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세한 오물을 걸러줄 뿐 아니라 배수시 미세한 오물이 세척수와 동시에 배출되도록 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와, 상기 본체(2) 내측에 설치되어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세척조(4)와, 상기 세척조(4)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담겨지는 집수통(6)과, 상기 세척조(4)의 상/하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식기가 올려지는 상/하부 선반(7,8)과, 상기 집수통(6)과 연결된 상/하부 유로(11,12)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선반(7,8)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상/하부 노즐(13,14)과, 상기 집수통(4)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상/하부 유로(11,12) 측으로 펌핑시키는 세척펌프(20)와, 상기집수통(6) 내측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세척수에서 오물을 걸러주는 필터 어셈블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집수통(6)에는 상기 집수통(6)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미도시) 및 급수관(미도시)과 상기 집수통(6)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15) 및 배수관(1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16)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0)가 장착된 집수통(6) 하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수펌프(15)는 상기 배수관(16) 중간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필터 어셈블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6) 내측에 설치되어 세척수로부터 비교적 큰 오물을 걸러주는 제1필터(32)와, 상기 제1필터(32) 외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32)를 통과한 세척수로부터 비교적 작은 오물을 걸러주는 제2필터(3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필터(32)는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과 하면에 비교적 그 크기가 큰 홀(32a)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필터(34)는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에 상기 홀(32a)보다 크기가 작은 홀(34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펌프(2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30)를 통과하면서 오물이 걸러진 세척수는 상기 세척펌프(20)에 의해 다시 상기 상/하부 노즐(13,14)을 통하여 각각 상/하부 선반(7,8) 측으로 분사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 세척펌프(20)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집수통(6)에 고인 세척수가 단순히 제1,2필터(32,34)를 통과하여 상기 상/하부 선반(7,8) 측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미세한 오물을 걸러주지 못하므로 세척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제1,2필터(32,34) 외둘레에 미세한 오물을 걸러주도록 제3필터(미도시)가 설치되거나, 상기 세척조(4) 바닥면에 미세한 오물을 걸러주도록 제3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제3필터는 세척수가 순환됨에 따라 미세한 오물이 걸러져 적층되어 세척수의 순환을 방해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청소해 주거나, 상기 하부 노즐(14) 측에 별도로 상기 제3필터를 청소해주는 노즐홀(미도시)이 형성되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순환되는 세척수로부터 미세한 오물을 걸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걸러진 미세한 오물을 세척수 배수시 동시에 배출시킬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도시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수 순환시 세척수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세척수 배수시 세척수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6 : 집수통 61,62 : 상,하부 유로
65 : 배수펌프 66 : 배수관
70 : 세척펌프 72 : 펌프 케이스
74 : 임펠러 76 : 모터
80 : 필터장치 82 : 제1필터
84 : 제2필터 85 : 오물 순환관
86 ; 제3필터 92 : 개폐밸브
94 : 보조 배수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는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조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 상면에 설치되어 세척수로부터 비교적 큰 오물을 걸러주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 내측에 설치되어 중간 오물을 걸러주는 제2필터와, 상기 집수통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필터를 통과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로 순환되도록 하는 세척펌프와, 상기 세척펌프와 집수통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펌프를 통과한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으로 재순환되도록 하는 오물 순환관과, 상기 세척펌프 측의 집수통에 오물 채집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오물 순환관을 통하여 상기 오물 채집부로 유입된 세척수로부터 미세한 오물을 걸러주는 제3필터와, 상기 제2필터 또는 제3필터에 걸러진 오물을 세척수 배수시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오물 배출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방된 본체(52)와, 상기 본체(52)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53)와, 상기 본체(52) 내측에 설치되어 식기가 세척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세척조(54)와, 상기 세척조(54)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담겨지는 집수통(56)과, 상기 세척조(54)의 상/하측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식기가 올려지는 상/하부 선반(57,58)과, 상기 집수통(56)과 연결된 상/하부 유로(61,62)의 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선반(57,58) 측으로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상/하부 노즐(63,64)과, 상기 집수통(56) 내부의 세척수를 상기 상/하부 유로(61,62) 측으로 펌핑시키는 세척펌프(70)와, 상기 집수통(56) 내측에 설치되어 순환되는 세척수에서 오물을 걸러줄뿐 아니라 걸러진 오물을 세척수 배수시 동시에 배출시키는 필터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 집수통(56)에는 상기 집수통(56)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밸브(미도시) 및 급수관(미도시)과 상기 집수통(56) 내부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배수펌프(65) 및 배수관(66)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펌프(70)는 상기 집수통(56)과 연통되는 펌프 케이스(72)와, 상기 펌프 케이스(72)에 내장되어 세척수를 펌핑시키는 임펠러(74)와, 상기 임펠러(74)와 회전축(74a)으로 연결되어 상기 임펠러(74)를 회전시키는 모터(76)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 케이스(72)는 상기 집수통(56)과 상기 상,하부 유로(61,62) 사이에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상기 필터장치(8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수통(56) 상면에 설치되어 비교적 큰 오물이나 깨진 식기 조각 등이 걸러지는 그릴 형상의 제1필터(82)와, 상기 제1필터(82) 내측의 집수통(56)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필터(82)를 통과한 세척수로부터 중간 오물을 걸러주는 제2필터(84)와, 상기 제1,2필터(82,84)를 통과한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56)으로 재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세척펌프(70)와 집수통(56) 사이에 설치된 오물 순환관(85)과, 상기 세척펌프(70) 입구 측의 집수통(56)에 오물 채집부(C)가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오물 순환관(85)을 통하여 상기 오물 채집부(C)로 유입된 세척수로부터 미세한 오물을 걸러주는 제3필터(86)와, 상기 제2필터(84) 또는 제3필터(86)에 걸러진 오물이 세척수 배수시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오물 배출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물 순환관(85)은 상기 세척펌프(70)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임펠러(74)가 회전됨에 따라 세척수가 상기 임펠러(74)의 축방향으로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되는데, 이때 미세한 오물이 많이 포함된 세척수가 상기 오물 순환관(85)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임펠러(74) 작동시 미세한 오물이 쏠리는 측의 펌프 케이스(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오물 채집부(C) 일측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오물 순환관(85)의 출구 측에는 상기 임펠러(74)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오물 순환관(85)을 통하여 상기 오물 채집부(C)로 유입된 세척수가 다시 상기 오물 순환관(85)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역류방지밸브(85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필터(86)는 미세한 오물을 걸러줄 수 있도록 미세한 홀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임펠러(74)가 작동됨에 따라 상기 오물 순환관(85)을 통하여 상기 오물 채집부(C)로 유입된 세척수가 상기 제3필터(86)를 통과하여 상기 펌프 케이스(72) 측으로 재순환될 수 있도록 상기 펌프 케이스(72)의 입구 측 집수통(56)에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오물 배출 수단은 상기 배수관(66)의 입구 측에 상기 배수관(66)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개폐밸브(92)와, 상기 개폐밸브(92)와 배수펌프(65) 사이의 배수관(66)과 상기 오물 채집부(C) 사이에 설치된 보조 배수관(94) 및 배수펌프(65)와 배수관(66)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세척수 배수시 상기 제2필터(84)에 걸러진 오물은 상기 배수관(66)을 통하여 세척수와 동시에 배출되고, 상기 제3필터(86)에 걸러진 오물은 상기 보조 배수관(94)을 통하여 세척수와동시에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수관(66)은 상기 배수펌프(65)가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밸브(92)가 개방될 경우 상기 제2필터(84)에 걸러진 오물이 세척수와 함께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필터(84) 외측 측 상기 제1필터(82)와 제2필터(84) 사이의 집수통(56)과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서 각각 세척수 순환시 및 세척수 배수시 세척수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먼저, 식기세척기가 작동되면, 상기 급수밸브가 개방되어 상기 급수관을 통하여 상기 세척조(54) 내부에 세척수가 급수되고, 상기 집수통(56) 측에 고인 세척수는 상기 세척펌프(70)가 작동됨에 따라 순환하게 되는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74)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척조(54) 측의 세척수는 상기 제1필터(82)를 통과하면서 깨진 식기 조각 또는 비교적 큰 오물 등이 걸러져 상기 집수통(56) 측으로 유입되고, 상기 집수통(56) 측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제2필터(84)를 통과하면서 중간 오물이 걸러진 다음 상기 임펠러(74)의 축 방향으로 유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임펠러(74)를 통과한 세척수의 대부분이 상기 상,하부 유로(61,62) 측으로 펌핑되고, 상기 상/하부 유로(61,62)를 따라 펌핑된 세척수는 상/하부 노즐(63,64)을 통하여 상기 상/하부 선반(57,58) 측으로 분사되어 식기를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펌프(70)를 통과한 대부분의 세척수는 상기 집수통(56)과, 펌프 케이스(72)와, 상/하부 유로(61,62)와, 상/하부 노즐(63,64)과, 세척조(54)를 따라 순환되며 식기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74)를 통과한 세척수의 일부분은 상기 오물 순환관(85)을 통과하여 상기 오물 채집부(C) 측으로 순환되고, 상기 오물 채집부(C) 측으로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제3필터(86)를 통과하면서 미세한 오물이 걸러진 다음 상기 집수통(56) 측으로 재순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세척펌프(70)를 통과한 일부분의 세척수는 상기 집수통(56)과, 펌프 케이스(72)와, 오물 순환관(85)과, 오물 채집부(C)를 따라 순환되며 미세한 오물이 걸러진다.
그런데, 상기 제3필터(86)는 상기 세척펌프(70)의 입구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3필터(86)를 통과하여 미세한 오물이 걸러진 세척수가 상기 제1,2필터(82,84)를 통과한 세척수와 함께 상기 임펠러(74)의 작동력에 의해 다시 상기 펌프 케이스(72) 측으로 유입됨으로 상기 임펠러(74)가 작동될수록 오물이 걸러진 깨끗한 세척수가 상기 상,하부 노즐(63,64) 측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식기가 세척된 다음, 상기 배수펌프(65)가 작동되어 세척수가 배수되는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펌프(70)가 작동됨과 아울러 상기 개폐밸브(92)가 개방되면, 상기 제2필터(84)에 걸러진 중간 오물은 수류에 의해 상기 제1필터(82)를 통과한 세척수와 동시에 상기 개폐밸브(92)와, 배수관(66)과, 배수펌프(6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제3필터(86) 또는 오물 채집부(C)에 걸러진 오물은 수류에 의해 상기 제2필터(84)를 통과한 세척수와 동시에 상기 보조 배수관(94)과, 배수관(66)과, 배수펌프(6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세척수가 배수되는 동시에 상기 제2필터(84) 또는 제3필터(86)에 걸러진 오물이 자동적으로 배출될 뿐 아니라 상기 제2,3필터(84,86)가 자동 세척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는 세척수가 순환될수록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통 내측에 설치된 제1,2,3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비교적 큰 오물과 중간 오물과 미세한 오물이 순차적으로 걸러지기 때문에 미세한 오물이 재순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기의 세척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 및 배수펌프가 작동되어 세척수가 배수되는 경우 수류에 의해 상기 제2필터 및 제3필터에 걸러진 오물이 각각 상기 배수관과 보조 배수관을 따라 세척수와 동시에 배출되기 때문에 별도로 사용자가 직접 필터를 청소하지 않아도 됨으로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조 하부에 설치되어 세척수가 모이는 집수통과,
    상기 집수통 상면에 설치되어 비교적 큰 오물을 걸러주는 제1필터와,
    상기 제1필터 내측에 설치되어 중간 오물을 걸러주는 제2필터와,
    상기 집수통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2필터를 통과한 세척수가 상기 세척조로 순환되도록 하는 세척펌프와,
    상기 세척펌프와 집수통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펌프를 통과한 세척수의 일부가 상기 집수통으로 재순환되도록 하는 오물 순환관과,
    상기 세척펌프 측의 집수통에 오물 채집부가 형성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오물 순환관을 통하여 상기 오물 채집부로 유입된 세척수로부터 미세한 오물을 걸러주는 제3필터와,
    상기 제2필터 또는 제3필터에 걸러진 오물을 세척수 배수시 동시에 배출되도록 하는 오물 배출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순환관과 오물 채집부 사이에는 상기 집수통으로 유입된 세척수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 배출 수단은 상기 제1필터와 제2필터 사이의 집수통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관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배수관의 출구 측에 설치된 배수펌프와, 상기 개폐밸브와 배수펌프 사이의 배수관과 상기 오물 채집부 사이에 설치된 보조 배수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2003-0000626A 2003-01-06 2003-01-06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457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26A KR100457595B1 (ko) 2003-01-06 2003-01-06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626A KR100457595B1 (ko) 2003-01-06 2003-01-06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270A true KR20040063270A (ko) 2004-07-14
KR100457595B1 KR100457595B1 (ko) 2004-11-17

Family

ID=3735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626A KR100457595B1 (ko) 2003-01-06 2003-01-06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7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954B1 (ko) * 2005-05-04 2013-08-13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가전 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223B1 (ko) * 2011-06-02 201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954B1 (ko) * 2005-05-04 2013-08-13 일렉트로룩스 홈 프로덕츠 코오포레이션 엔.브이. 가전 기기
US8763618B2 (en) 2005-05-04 2014-07-0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Domestic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7595B1 (ko) 200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KR20100023174A (ko) 식기 세척기
JP4740247B2 (ja) 食器洗い機
US6698438B2 (en) Dishwasher fine filter assembly with helical flow path
CA2365763C (en) Dishwasher fine filter pressure relief
KR101268784B1 (ko) 식기 세척기
KR100457595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686096B1 (ko) 식기 세척기
KR100457596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N112353271B (zh) 一种智能果蔬清洗方法
KR100457597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511967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20100067571A (ko) 식기세척기
KR100269467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0269473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JP2004049424A (ja) 食器洗浄機の残菜回収装置
KR100269472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
CN212591787U (zh) 一种果蔬清洗机
KR100269470B1 (ko) 식기세척기의 일체형 펌프
KR100269468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구조
KR100269474B1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유로개폐장치
KR101052965B1 (ko) 식기 세척기의 누수 방지구조
KR100267922B1 (ko) 식기세척기
KR20060011279A (ko) 식기 세척기의 보조 오물 걸름 구조
CN113520190A (zh) 一种果蔬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