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2089A -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 Google Patents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2089A
KR20040062089A KR1020020088409A KR20020088409A KR20040062089A KR 20040062089 A KR20040062089 A KR 20040062089A KR 1020020088409 A KR1020020088409 A KR 1020020088409A KR 20020088409 A KR20020088409 A KR 20020088409A KR 20040062089 A KR20040062089 A KR 20040062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network diagram
underground
diagram
comprehen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8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훈
Original Assignee
문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훈 filed Critical 문광훈
Priority to KR1020020088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2089A/ko
Publication of KR20040062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208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 위험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측량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가장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업체별로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관망도를 공통의 베이스 맵에 각각 입력하여 각각의 관망도를 생성하고, 생성된 관망도를 중첩시켜 중복된 부분을 실측에 의해 검수하고 수정하여 종합 관망도를 생성하여 지하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stituting geographical information of dangerous facilities in underground}
본 발명은 지하 위험 시설물의 효과적인 지리 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선업단지등의 특정 지역에서의 지하 위험 시설물들을 정확히 조사하고 종합적 시설물 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각 위험물 소유 회사별 정보 통일에 따른 업무 능력 증대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모든 생활에 필수적인 상하수도, 전기, 전화, 가스 및 난방 등을 공급하는 도시 기반 시설의 모든 관로는 대도시는 물론 지방의 소도시까지 거의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며, 특히나 산업 시설이 집중되어 있는 산업 단지에는 각종 위험물 시설과 위험물 관로들이 지하에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하 매설 시설물들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지자체에서는 관망 관리 및 해석을 위한 관련 자료의 관리 체계가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고, 이를 보관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인력과비용이 소요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료들은 공통된 형식으로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관로의 유지 보수를 위한 현황 파악이 용이하지 않으며, 사전 예방 차원의 계획적 유지보수 역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도 1은 지하 위험 시설물의 설명을 위한 예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지하 위험 시설물들은 주로 도로를 따라 매설하고 있어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매설되고, 이를 탐측하여 공사시 굴착 회피나 기타 시설물 관리를 할 수 있으나, 산업단지와 같은 곳에서는 업체의 입주시점에 따라 각각의 지하위험 시설물들을 설치 하기 때문에 여러층으로 중첩되고 더이상 지하 관로를 매설할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고 위험한 구조이다.
또한, 기존의 지하위험 시설물 탐지방법은, 여러가지 탐측장비를 사용하지만 지반탐사레이더(GPR)라는 장비와 수백미터의 이격을 둔 시험 굴착을 통해 확인하고 있다. 지반탐사 레이더(GPR ; Ground Penetraiting RADAR)를 이용한 탑사법은 물리탐사법중 가장 우수한 분해력을 가지고 있으나 탐심심도가 너무 낮고 탐심심도를 높이려면 정확도가 떨어지며 고가의 장비라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굴착방법은 정확하기는 하지만, 도 2와 같이 도로의 하부에 다수의 관로들이 매설 되어 있다면, 수십년 넘은 가스관도 있을 것이고, 기름이 흐르는 송유관일수도 있으며, 질소, 산소, 가스, 독극물, 폐수까지 갖가지 화학물 관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굴착에 의해 탐지한다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굴착을 최소한으로 줄여야 한다.
자료 관리 측면에서도 관련 도면이나 대장, 조서 등이 서류철 형태로 보관되고 있어서 파손 및 분실의 위험성이 높고 자료의 변경 역시 복잡하다. 페이퍼(paper) 형태로 보관되고 있는 이들 자료들은 여러 종류의 도면과 지도를 중첩시켜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면과 지도에 있는 위치 정보와 각종 대장, 통계 자료 등의 속성 정보를 함께 볼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회사별로 도면과 지도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기 꺼려하고 있고 공유하기 어려워 같은 자료를 중복적으로 생산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발생하였으며, 공간 관련 계획수립과 정책 결정시 각종 지리 정보를 신속하게 분석하여 의사 결정자에게 전달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하 위험 시설물의 관리를 위해 측량을 최소한으로 줄이면서 가장 정확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관리 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송로인 도로를 굴착한다면 많은 교통장애가 있을 것이므로 특량학적인 측면이 아닌 전산학적인 측면에서 본 발명을 실현시킴으로써, 굴착이나 측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적 자산의 효율화 및 효과적인 인적 구성으로 지하시설물 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자원의 중복 최소화를 이루고, 총 경비를 절감하며, 타시스템과의 연계성을 구축하고 우수한 관망도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 업체별로 자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지하 시설물에 대한 관망도를 공통의 베이스 맵에 각각 입력하고, 공통의 베이스맵에서 이를 통합처리하여 검수를 거쳐 종합 관리를 하고 이를 활용 할 수 있도록 한 지하시설물 지리정보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일반 도로망과 산업단지 도로말의 지하 위험 시설물 분포 설명도.
도 2는 종래 지하위험 시설물 측정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의 서버시스템 모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의 구축환경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방법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자(사용자) 클라이언트 20 : 네트웍 시스템
30 : 관망도 구축시스템 31 : 베이스맵 모듈
32 : 관망도 입력모듈 33 : 자동검수 모듈
34 : 인증모듈 35 : 서버 시스템
36 : 데이터 베이스 40 : 관리자 클라이언트
50 : 외부 검수.감리 클라이언트 60 : 일반 사용자 클라이언트
70 : 인터넷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 방법은,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서 해당 지역의 지하위험 시설물 관망도 입력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웨 서비스과정과;관망도 입력을 해야하는 각 사용자는 인증과정을 거쳐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관망도 입력 모듈에 접속하는 과정과; 관망도 입력을 위한 베이스 맵을 다운로드받아 사용자 자체의 관로를 표시하는 관망도를 상기한 베이스 맵에 입력하는 과정과; 각 사용자들의 관망도에 대한 레이어를 서로 중첩시켜 종합 관망도를 생성하는 과정과; 종합 관망도 생성과정에서 관로들이 같은 깊이 같은 위치에 중복되는 경우를 자동 검색하여 이를 각 관망도 입력자에게 통보하여 수정요청을 하는 과정과; 깊이 같은 위치에 중복되는 경우 검수 및 감리를 수행하여 실측된 정보로 수정하여 최종 완성된 종합 관망도를 생성하는 과정과 종합 관망도를 인증된 사용자들에게 조회, 수정 및 출력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합 관망도가 완성되어 있는 경우에 추후 추가 입력되는 관망도는 상기 자동 검수과정에 의해 사전에 관망도 레이어를 변경하여 작업 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인터넷 웹 또는 지역 네트웍을 통해서 다수의 사용자와연결하고 웹 서비스를 하는 네트웍 시스템과, 상기 네트웍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에게 지하시설물에 대한 지리정보 구축을 위한 해당 지역의 기본 지도를 제공하는 베이스 맵과, 그 베이스 맵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하는 관망도를 입력받아 해당되는 단일 관망도를 저장하고 아울러 이전 종합 관망도에 중첩시켜 현재의 종합 관망도를 완성하는 관망도 입력수단과;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관망도 입력수단을 통해 각각 생성하는 관망도에 대해 상기 이전의 종합 관망도와 비교하여 같은 깊이에서 같은 위치에 관로가 발생하는지를 자동 검수하여 수정 입력을 요청하는 자동 검수수단과;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종합 관망도를 최종 완성하여 웹 서비스 및 관리용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각 업체별 단일 관망도를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고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의 서버시스템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지역에 지하 매설관로에 대한 관망도를 입력해야 하는 다수의 입주업체(10)들과, 일반사용자, 재난 관리과 등과 지역 네트웍 및 인터넷을 통해서 연결되어 웹 서비스를 하는 네트웍시스템(20)과, 상기 네트웍 시스템(20)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에게 지하시설물에 대한 지리정보 구축을 위한 해당 지역의 기본 지도를 제공하는 베이스 맵 모듈(31)과, 그 베이스 맵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하는 관망도를 입력받아 해당되는 단일 관망도를 저장하고 아울러 이전 종합 관망도에 중첩시켜 현재의 종합 관망도를 완성하는 관망도 입력모듈(32)과, 다수의 사용자(10)가 상기 관망도 입력모듈(32)을 통해 각각 생성하는 관망도에 대해 상기 이전의 종합 관망도와 비교하여 같은 깊이에서 같은 위치에 관로가 발생하는지를 자동 검수하여 수정 입력을 요청하는 자동 검수모듈(33)과, 상기 사용자와 관리자 ㅁ;ㅊ 외부 검수 감리자등 관망도에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모듈(34)과,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종합 관망도를 최종 완성하여 웹 서비스 및 관리용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각 업체별 단일 관망도를 데이터 베이스(36)로 관리하는 서버시스템(3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관망도 구축시스템(30)에는 외부 검수 감리를 위한 외부 검수.감리 수단(5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외부 검수.감리는 전문 기관이나 전문가에게 네트원 인증을 통해서 종합 관망도의 배치와 우선순위 등을 조절하고 검수 및 감리를 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망도 구축 시스템은, 상기한 입력모듈(32)은 각 사용자(클라이언트)들에게 각각 입력모듈(32)을 제공하고, 각 입력모듈(32)들의 인증을 인증모듈(34)에서 처리하며 서버시스템(35)에는 서버 엔진을 구비하여 응용 및 DFX(35a)와, 응용서버(35a)와, IDBC API(35c)와, 세션 매니져(35d)와, 쿠키 매니져(35e)를 구비하고, 아울러 가상 DBMS(IDBC)(35f) 와, 가상 DB엔진(연동엔진)(35g)가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가상 DB엔진(35g)에 의해 웹 어뎁터를 통하는 웹서비스(20), 뷰어 어뎁터를 통하여 관리자(40) 및 검수 어뎁터를 통하여 검수.감리자(50)와의 웹 조회, 수정, 검수, 관리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서비스 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웹 사이트용 기능으로 제공하고, 데이터 관리의 집중화와 무결성 및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세계 어디에서난 억세스 할 수 있도록 유연성있게 시스템 설계를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구성 환경을 보인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 구축방식으로 입력과 수정은, 위크스테이션이고, 컴퓨터 환경은 데스크탑을 기본으로 하고, 어플리케이션/서버는 분산처리 및 업무위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사용자는 숙련된 입력 가능자를 대상으로 하고, 인증 방법은 자신만의 고유 코드를 사용한다.
그리고 뷰어로는 구축방식은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방식을 채용하고, 컴퓨터 환경으로는 인터넷상의 PC나 노트북을 사용하고, 어플리케이션/버버는 분산처리에 일반사용자 위주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며, 뷰어의 사용자는 업무관리자나 단순 열람자를 대상으로 하며, 인증방법은 계정과 익명접속 허용 여부를 결정하여 시스템 뷰어를 구축한다. 본 발명에 의한 뷰어 모듈은 각 업체의 통합된 관망도를 뷰어하도록 하고, 전세계적 혹은 부서별로 구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서버는, 서버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컴퓨터 환경은 네트웍상의 서버로서 분산처리, DB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사용하고 사용자는 서버 관리자용으고 인증방법은 관리자 계정을 두어 인증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시스템을 구축하여 산업단지내의 지하시설물 관망도를 구축하는데, 먼저, 산단 관로를 소유한 업체들의 협조하에 산단 각 업체별로 관망도 전문 인력을 배치한다. 전문인력은 교육이나 파견으로 입력방법을 교육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관망도 생성 설명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 업체들은 네트웍 시스템(20)을 통해서 웹 상태로 제공되는 베이스맵을 다운받아 그 베이스맨에 각각 자체 업체의 관망도만을 입력한다.
관망도 입력은 네트웍시스템(20)이나 인터넷(70)을 통해서 제공되는 관망도 입력을 위한 웹 사이트에 접속하여 베이스 맵 모듈(31)이 제공하는 베이스 맵을 다운로드시켜 그 베이스 맵에 자체 관망도를 입력한다. 이때, 관망도 입력을 위해서는 인증모듈(34)에서 인증하는 인증을 거쳐 접근하게 되며, 각기 입력모듈(32)을 통해서 자체 관망도를 입력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업체(업체 A, 업체 B, 업체 C,...)별 관망도를 입력하게 되면, 각 업체별 관망도가 생성되어 데이터 베이스(36)에 저장된다. 이어서 서버 시스템(35)에서는 각 업체별 관망도에 대한 레이어를 중첩시켜서 업체 A,B,C,..가 포함된 최종 관망도를 완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검수 모듈(33)은 각 업체별 관망도에서 같은 깊이 및 같은 위치에서 관로가 서로 부딛치는 경우를 자동 검수하여 이를 서로 중복된 관망도의 업체로 자동 통보하고, 이를 수정 요청하게 된다.
아울러 각 업체별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외부 검수 및 감리(50)와 관리자(40)에게 통보하여 업체별 조율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서로 조율하게 하고, 외부 검수 및 감리(50)는 관로별 특성과 관로별 배열 및 위치등을 점검하여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위험요소를 파악하여 이를 사전에 분리 배치할 수 있도록 검수와 감리를 수행하게 된다.
데이터 베이스 서버에서 최종 데이터 생성시 같은 깊이에서 같은 위치에 있는 관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대 사용자의 입력이 잘못된 경우는 자동 검수에 따른 에러 메시지로 수정작업을 하여 바로 잡을 수 있지만, 모두 자신의 정상 데이터를 입력한 경우에도 중복 에러가 발생된다면 실측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 외부 검수 작업이 필요하며, 외부 검수 작업은 실측(예; 굴착)을 하여 정확한 정보로 수정하고 이를 해당 업체에 통보해 이를 수정케 한다. 이로인해 정확한 데이터 산출이 있고, 해당업체는 자기 재산인 관망도의 정확한 데이터를 습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각 업체별 관망도 레이어를 중첩시켜 최종적으로 종합 관망도를 완성하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종합 관망도가 완성된 경우에 추가 또는 수정 작을을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자동 검수 모듈(33)에서 관망도 입력시 사전 검수를 하게 되고, 외부 검수 및 감지자가 이를 확인 검수 하여 수정 및 추가를 허용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임의 지역(예 산업단지)의 지하 위험 시설물(관로)에 대한 관망도를 지리정보 시스템으로 구축함에 있어서, 웹사이트를 통해서 각 업체에서 동시에 자체 관망도를 입력할 수 있고, 자체관망도 레이어들을 중첩시켜 종합 관망도를 생성하되, 중복 부분에 대해 자동 검수와 아울러 외부 실측에 의한 외부 검수 및 감리를 실시함으로써, 정확한 관망도를 구축할 수 있게 되고, 수정된 관망도를 각 업체에 통보하여 해당 업체의 정보도 정확성을 기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관망도를 구축하는 경우에 물적 자산의 효율화와 ㅍ\효과적인 인적 구성등의 자원 중복의 최소화와, 시간단축 및 효과적인 업무처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 시스템과의 연계성을 구축하고 타시스템 연계시 경비를 절감 할수 있으며, 안전한 지하 위험물 시스템을 완성하며 산업단지 각 업체의 경비를 절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서 해당 지역의 지하위험 시설물 관망도 입력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웨 서비스과정과;
    관망도 입력을 해야하는 각 사용자는 인증과정을 거쳐서 상기 웹사이트에서 관망도 입력 모듈에 접속하는 과정과;
    관망도 입력을 위한 베이스 맵을 다운로드받아 사용자 자체의 관로를 표시하는 관망도를 상기한 베이스 맵에 입력하는 과정과;
    각 사용자들의 관망도에 대한 레이어를 서로 중첩시켜 종합 관망도를 생성하는 과정과;
    종합 관망도 생성과정에서 관로들이 같은 깊이 같은 위치에 중복되는 경우 검수 및 감리를 수행하여 실측된 정보로 수정하여 최종 완성된 종합 관망도를 생성하는 과정과;
    종합 관망도를 인증된 사용자들에게 조회, 수정 및 출력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합 관망도가 완성되어 있는 경우에 추후 추가 입력되는 관망도는, 자동 검수과정에 의해 사전에 관망도 레이어를 변경하여 작업 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시스템 구축방법.
  3. 인터넷 웹 또는 지역 네트웍을 통해서 다수의 사용자와 연결하고 웹 서비스를 하는 네트웍 시스템과,
    상기 네트웍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는 사용자에게 지하시설물에 대한 지리정보 구축을 위한 해당 지역의 기본 지도를 제공하는 베이스 맵과,
    그 베이스 맵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하는 관망도를 입력받아 해당되는 단일 관망도를 저장하고 아울러 이전 종합 관망도에 중첩시켜 현재의 종합 관망도를 완성하는 관망도 입력수단과;
    다수의 사용자가 상기 관망도 입력수단을 통해 각각 생성하는 관망도에 대해 상기 이전의 종합 관망도와 비교하여 같은 깊이에서 같은 위치에 관로가 발생하는지를 자동 검수하여 수정 입력을 요청하는 자동 검수수단과;
    상기 각 모듈을 제어하여 종합 관망도를 최종 완성하여 웹 서비스 및 관리용으로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각 업체별 단일 관망도를 데이터 베이스로 관리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와 관리자 및 외부 검수 감리자등 관망도에 접근을 허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증을 처리하는 인증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관망도 구축시스템에는
    외부 검수 감리를 위한 외부 검수.감리 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외부 검수.감리는 전문 기관이나 전문가에게 네트웍 인증을 통해서 종합 관망도의 배치와 우선순위 등을 조절하고 실측에 의한 검수 및 감리를 하여 정보를 수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위험 시설물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KR1020020088409A 2002-12-31 2002-12-31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KR200400620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409A KR20040062089A (ko) 2002-12-31 2002-12-31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8409A KR20040062089A (ko) 2002-12-31 2002-12-31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2089A true KR20040062089A (ko) 2004-07-07

Family

ID=3735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409A KR20040062089A (ko) 2002-12-31 2002-12-31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20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07B1 (ko) * 2008-12-29 2011-04-05 한국수자원공사 하천 지리정보 검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6107B1 (ko) * 2008-12-29 2011-04-05 한국수자원공사 하천 지리정보 검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7867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locate and marking operations
AU201026326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locate request tickets
US8626571B2 (en) Managemen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atching tickets, receiving field information, and performing a quality assessment for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or marking operations
CN103229197B (zh) 使用信息识别手段的集成管线管理系统和方法
CA2759932C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generating limited access files for searchable electronic records of underground facility locate and/or marking operations
CN109767513B (zh) 一种管网设备巡检装置及管网设备巡检方法
US20160071059A1 (en) Infrastructure management, model, and deliverable cre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CN106446033A (zh) 地下管线安全隐患信息管理系统及方法
KR20170082158A (ko) 모바일 현장조사 시스템 및 방법
CN112050092A (zh) 一种供水管网漏损信息管理系统及建立方法和应用
KR102068094B1 (ko) 지하수 통합 정보관리 시스템
Jumadi et al.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Web GIS Application for groundwater management of Karanganyar Regency
KR20040062089A (ko) 지하 위험 시설물의 지리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구축방법
AU20152019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quality assessment of a field service operation
Loeber An Investigation of Geobase Mission Data Set Design, Implementation, and Usage Within Air Force Civil Engineer Electrical and Utilities Work Centers
Likhari et al. Mapping underground assets in the UK: Project Iceberg. Work Package 1, market research into current state of play and global case studies
KR102671018B1 (ko) 상수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Meehan et al. GIS in Energy and Utilities
Patel et al. Integrating GPS and laser technology to map underground utilities installed using open trench method
US7096225B2 (en) Communication conduit setting managing method, system thereof, stor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duit setting managing program, communication conduit maintenance managing method, system thereof, stor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duit maintenance managing program, and communication conduit managing system
Jamil et al. Current Progress on Underground Utility Mapping in Malaysia
CN117291541A (zh) 一种地下开挖的审批方法、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Sturgill Jr Research Team
KR20230116112A (ko) 스마트 시티 지하매립매설물 빅데이터 통합관제시스템
Sharma et al. Residential construction lot grading approval process optimization: Case study of city of Edmon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