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0034A - Monitor self test system - Google Patents

Monitor self tes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0034A
KR20040060034A KR1020020086548A KR20020086548A KR20040060034A KR 20040060034 A KR20040060034 A KR 20040060034A KR 1020020086548 A KR1020020086548 A KR 1020020086548A KR 20020086548 A KR20020086548 A KR 20020086548A KR 20040060034 A KR20040060034 A KR 200400600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itor
self
test signal
diagnosis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923201B1 (en
Inventor
배권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201B1/en
Publication of KR20040060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00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20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PURPOSE: A monitor self test apparatus and method are provided to carry out a self test when a PC monitor displays no image to judge whether the monitor has a problem or a PC has a problem. CONSTITUTION: A monitor self test apparatus includes a microcomputer(25), a test signal output unit(26), and a display(27). The microcomputer generates a test signal for monitor self test and judges whether a monitor has a problem or a PC has a problem from a variation in an automatic beam level in response to the test signal. The test signal output unit outputs the test signal for self test. The display displays a self test result of the microcomputer to a user. The microcomputer applies RGB signals to a pre-amplifier(21) included in the monitor as the test signal.

Description

모니터 자기 진단 장치와 자기 진단 방법{MONITOR SELF TEST SYSTEM}Monitor self test device and self test method {MONITOR SELF TEST SYSTEM}

본 발명은 컴퓨터 모니터(PC Monitor)의 자기 진단(Self Test) 장치와 자기 진단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니터가 영상 무(無) 상태일 때 ABL(Automatic Beam Level) 신호 레벨과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 Sync) 유무를 감지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 진단용 테스트 R,G,B 신호를 이용해서 모니터 이상인지 혹은 PC 이상인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test device and a self-diagnostic method of a PC monitor, in particular, when the monitor is in an image-free state, an ABL signal level and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 / V Sync) A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that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it is a monitor error or a PC error by using the R, G, B signals for self-diagnos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will be.

퍼스널 컴퓨터(PC)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모니터는 PC 사용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동시에 각종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해 주는 수단이다. 모니터와 PC는 각종 신호 케이블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비롯하여 R,G,B 영상신호를 전달하고 있다. 따라서, 모니터 사용중에는 신호 케이블이 물리적인 간섭을 받아 커넥터에서 빠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모니터 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상태 즉, 영상 무 상태가 되기도 한다. 또한, 모니터는 절전을 위한 시스템도 구축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절전모드로 이행하여 모니터 화면에 영상이 나타나지 않는 상태로 되기도 한다.A monitor used in connection with a personal computer (PC) is a very important user interface in a PC environment and a means of delivering various image information to a user. Monitor and PC are connected with various signal cables to transmit R, G, B video signals as well as control signals. Therefore, when the monitor is in use, the signal cable may be pulled out of the connector due to physical interference, and in such a case, the image may not be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that is, the image may be in a non-image state. In addition, since the monitor also has a system for power saving, when the display is not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onitor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상기 전자의 경우는 사용자가 케이블이 빠진 것을 인식하고 이를 바로 잡으면 문제가 해결되고, 후자의 경우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조작하면 절전모드에서 빠져나와 정상 디스플레이가 된다. 그러나, 일단 영상 무 상태가 되면 사용자로서는 현재 상태가 절전모드인지 혹은 신호 케이블 접속 불량인지를 확인하기가 번거롭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조치를 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에 놓이게 되면 모니터 자체의 불량인지 아니면 PC 불량인지를 판단하기가 불가능하게 된다.In the former case, when the user recognizes that the cable is missing and corrects the problem, the problem is solved. In the latter case, when the keyboard or the mouse is operated, the user exits the power saving mode and becomes a normal display. However, once the video is in a no state, it is not only difficult and difficult for the user to check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the power saving mode or poor signal cable connection, but the monitor is still in the no state even though the above measures are taken. It is im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it is its own defect or PC defect.

도1은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일 경우에 사용자의 처리 순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일단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현재 상태가 DPM상태(Display Power Management Mode)인지를 확인한다(S11, S12). 여기서 DPM 상태인 경우는 사용자가 마우스나 키보드를 움직여 보면 DPM 상태가 해제되고 정상인 경우는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S13, S14a). 그러나 DPM 상태가 해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상이 여전히 무 상태에 놓여 있다면 사용자는 모니터 불량으로 판단하게 된다(S13,S14b,S15).Fig. 1 schematically shows the processing sequence of a user when the monitor is in the state of no image. Once the monitor is in the state of no image, the user checks whether the current state is the DPM state (Display Power Management Mode) (S11, S12). In this case, when the user moves the mouse or the keyboard in the DPM state, the DPM state is released, and in the normal case, the image is displayed (S13 and S14a). However, if the image is still in the state despite the release of the DPM state, the user is determined to be a monitor failure (S13, S14b, S15).

여기서 DPM에 대하여 간단히 살펴본다. DMP은 디스플레이가 사용되지 않을 때 모니터의 고 에너지 소비 회로를 셧 다운시키는 방법이다. 이것은 모뎀, 마우스, 키보드 등의 입력 장치로부터의 비활동 기간에 의해 정해진다. 많은 컴퓨터와 모니터 단말기는 스크린 블랭킹 회로나 화면 보호기 기능 같은 기술을 사용한다. 즉, 키를 누르거나 마우스를 움직이면 이전 화면이 다시 활성화된다.Here's a quick look at DPM. DMP is a way to shut down the monitor's high energy consumption circuitry when the display is not in use. This is determined by the period of inactivity from input devices such as modems, mice, keyboards, and the like. Many computers and monitor terminals use technologies such as screen blanking circuitry and screen saver functions. In other words, pressing a key or moving the mouse activates the previous screen again.

이와 같은 절전기능을 DPM 모드(Display Power Management Mode)라 하며, DPM 모드는 수직 또는 수평동기신호(H/V Sync)의 유무에 따라 모니터가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데, 수직 동기신호와 수평 동기신호 각각의 입력 유/무에 따라 서스펜드(Suspend)/스텐바이(Stand-By) 모드와 오프(off) 모드로 구분하고,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가 모두 모니터로 입력되지 않으면 오프 모드로 구분하여 모니터 내부의 마이컴 동작대기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에만 전원을 공급하고 그 외의 구성요소, 특히 대전력을 소비하는 히터, 편향 IC 등의 구성요소에는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동작모드이다.Such a power saving function is called a DPM mode (Display Power Management Mode). In the DPM mode, it is determined that the monitor is not use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a vertical or horizontal sync signal (H / V Sync). Depending on whether each input is present or not, it is divided into Suspend / Stand-By mode and off mode.If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sync signals are not input to the monitor, it is classified into off mode. It is an operation mode that supplies power only to essential components for standby of microcomputer operation and cuts off power supply to other components, especially heater, deflection IC, etc.

통상, DPM 상태가 되면 모니터 전면의 전원 스위치 근방에 설치된 표시용 LED의 색상이 적색이나 주황색 등으로 변화되었다가, DPM 상태가 해제되면 녹색으로 변화되어 현재 모니터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 그러므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DPM 해제시 전면 LED의 색이 변하지 않고 영상 무 상태가 계속되면 모니터의 불량으로 판단할 수 있고, 전면 LED의 색이 변했는데도 영상 무 상태가 계속되면 이러한 경우에는 PC의 비디오 카드(Video Card)에서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있거나 모니터의 불량일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Generally, the color of the display LED installed near the power switch on the front of the monitor changes to red or orange when the DPM state is changed, and then turns green when the DPM state is released to display the current monitor state to the user.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if the front LED does not change when the DPM is released and the video state is continued, it can be judged as a bad monitor, and if the video state continues even though the front LED is changed, in this case, the video card of the PC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re is no video signal input from the (Video Card) or the monitor is defective.

따라서,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일 경우 DPM 상태라면 위와 같은 작업을 통해서 DPM 해제 후 정상적인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가의 여부에 따라 사용자가 모니터가 정상인지 혹은 불량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monitor is in the state of no image,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he monitor is normal or bad according to whether the normal image is displayed after the DPM is released through the above operation.

한편, 모니터의 영상 무 상태에서 DPM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사용자가 모니터 또는 PC 불량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니터 신호 케이블을 분리해 보아야 한다(S11,S16,S17). 모니터의 신호 케이블을 PC에서 분리하였을 때 여전히 영상 무 상태가 된다면 모니터 불량으로 판정한다(S18a,S19a). 그러나 모니터의 신호 케이블을 PC에서 분리하였을 때 케이블이 PC에서 분리되었다는 OSD(On Screen Display) 메시지가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다면 이 경우 사용자는 모니터는 정상이지만 PC의 비디오 신호 불량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S17,S18b,S19b).On the other hand, when the monitor image is not in the DPM state, the user must disconnect the monitor signal cable to check whether the monitor or the PC is bad (S11, S16, S17). When the signal cable of the monitor is disconnected from the PC and still there is no image state, it is determined that the monitor is bad (S18a, S19a). However, if the monitor's signal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PC and an OSD (On Screen Display) messag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screen indicating that the cable is disconnected from the PC, the user may know that the monitor is normal but the video signal from the PC is bad ( S17, S18b, S19b).

이 것은 모니터가 신호 케이블이 빠진 경우 이 것을 감지하여 해당 OSD, 예를 들면 'R,G,B 신호입력이 없습니다', 또는 '신호 케이블 접속상태를 확인하십시오' 등과 같은 메시지를 모니터 화면에 표시해 주는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This will cause the monitor to detect this if the signal cable is disconnected and display a message on the monitor screen such as 'No R, G, B signal input' or 'Check signal cable connection status'. To take advantage of the functionality.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에 놓일 때 DPM 상태인지, 모니터 불량인지, PC 불량인지를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해야 하고, 특히DPM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에 놓이게 되면 일일이 신호 케이블을 분리해 보고 그 결과에 따라 모니터 불량인지, PC 불량인지를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monitor is in the state of no image, the user should check whether the monitor is in the state of DPM, monitor or PC, especially when the monitor is in the state of no image even though it is not in the state of DPM. It was very inconvenient because you had to separate the signal cable and determine whether the monitor was bad or the PC bad according to the result.

더구나, 이러한 불편함은 PC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큰 불편으로 작용하며, 조치하는 방법 또한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영상 무 상태일 때 적지않은 불안 및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In addition, this inconvenience is a big inconvenience for us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the use of the PC, and how to take action is also unfamiliar, so you have to take a lot of anxiety and discomfort when the video is in a stateless state.

본 발명의 목적은 PC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에 놓였을 때 모니터에서 자기 진단을 수행하여 모니터 불량인지 혹은 PC 불량인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고 해당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that performs self-diagnosis on a monitor when the PC monitor is in an image-free state to automatically determine whether the monitor is defective or a PC defect and inform the user of the result. have.

특히 본 발명은 PC 모니터가 영상 무 상태에 놓였을 때 ABL 레벨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마이컴에서 입력받아 DPM 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고, DPM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영상 무 상태인 경우에는 R,G,B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따른 ABL 레벨 변화를 확인한 결과에 따라 모니터 불량인지 혹은 PC 불량인지를 모니터 스스로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한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ABL leve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nitor is in the DPM state when the PC monitor is in the imageless state, and in the case of the imageless state despite the non-DPM stat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that can monitor and tell the user whether the monitor is defective or PC defective according to the result of checking the ABL level change by outputting G, B test signal.

도1은 종래의 모니터에서 영상 무 상태일 경우의 사용자 조치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1 is a flowchart showing a user action process when there is no image in a conventional monitor

도2는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 장치의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of a monitor self-diagno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 방법의 플로우차트3 is a flowchart of a monitor self-diagno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1: 전치 증폭기 22: 주증폭기21: Preamplifier 22: Main Amplifier

23: ABL제어부 24: FBT23: ABL control unit 24: FBT

25: 마이컴 26: 테스트 신호 출력부25: microcomputer 26: test signal output unit

27: 디스플레이부27: display uni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장치는, 모니터 자기 진단을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고 그 테스트 신호에 따른 ABL 레벨의 변화로부터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자기 진단을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테스트 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자기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nitor self-diagno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microcomputer for outputting a test signal for monitor self-diagnosis and determining whether the monitor is defective or PC defective from the change of the ABL level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And a test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test signal for self-diagnosis, and a display means for informing a user of the self-diagnosis result of the microcomputer.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마이컴은 ABL 레벨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 유무에 따라서 현재 모니터의 영상 무 상태를 DPM 상태로 확인하거나 자기 진단을 위한 테스트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onitor self-diagno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checks the imageless state of the current monitor as the DPM state or executes a test mode for self-diagnosis according to the ABL level and the presence / absence of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장치에서 상기 마이컴은 테스트 신호로 R,G,B 신호를 모니터 내부의 전치 증폭기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onitor self-diagno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applies R, G, and B signals to a preamplifier inside the monitor as test signals.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은, 현재 모니터 상태가 DPM 모드에 의한 영상 무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DPM 모드에 의한 영상 무 상태가 아닌 경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해서 자기 진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자기 진단 결과에 따라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인지를 판별하여 해당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nitor self-diagnostic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monitor state is a state of no image in the DPM mode, using the test signal when the determination is not the state of the image in the DPM mode And performing a self-diagnosis, determining whether the monitor is defective or a PC defect according to the self-diagnosis result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result.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에서, 상기 DPM 모드인지의 판별은 ABL 레벨을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ABL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없는 경우는 DPM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를 실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onitor self-diagno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ing whether the DPM mode is the step of comparing the ABL leve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f the comparison result ABL level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If there is no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in the DPM mod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에서, 상기 자기 진단은 테스트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신호에 따라 변화되는 ABL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ABL 레벨의 변화가 없는 경우 모니터 불량으로 판정하고, ABL 변화가 있는 경우 PC 불량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실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monitor self-diagno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lf-diagnosis includes the steps of: outputting a test signal, checking an ABL level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determining that the monitor is bad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ABL level, In the case where there is an ABL change,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PC is defective is performed.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에서, 상기 테스트 신호로 마이컴에서 모니터 내부의 전치 증폭기로 R,G,B 신호를 인가하고 그에 따라 변화되는 ABL 레벨에 따라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으로 각각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monitor self-diagno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ying the R, G, B signal from the microcomputer to the preamplifier inside the monitor as the test signal and determining that the monitor is defective or the PC is defective according to the changed ABL level. It features.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에 따른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의 자동 판별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utomatic determination operation of the monitor failure or the PC failure according to the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장치의 실시예로서, R,G,B 입력신호를 증폭하는 전치 증폭기(21)와, 상기 전치 증폭기(21)에서 증폭된 R,G,B신호를 디스플레이 구동을 위한 전력으로 증폭하여 출력하는 주증폭기(22)와, 상기 디스프레이를 위한 구동전압 공급을 위한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23)와,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23)에 공급되는 ABL 레벨을 제어하는 ABL 제어부(24)와, 상기 ABL 레벨 및 테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변화되는 ABL 레벨 변화를 이용해서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마이컴(25)과, 상기 마이컴(25)에서 자기 진단을 위한 R,G,B 테스트 신호를 상기 전치 증폭기(21)에 인가해 주기 위한 테스트 신호 출력부(26)와, 상기 마이컴(26)의 자기 진단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2 shows an embodiment of a monitor self-diagnosis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 preamplifier 21 for amplifying R, G, and B input signals, and a display drive for the R, G, and B signals amplified by the preamplifier 21. FIG. Controls the main amplifier 22 for amplifying and outputting power for the display, a flyback transformer (FBT) 23 for supplying a driving voltage for the display, and an ABL level supplied to the flyback transformer 23. An ABL control unit 24, a microcomputer 25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onitor is defective or a PC defective by using the ABL level and the ABL level change that changes in response to the test signal, and the R for self-diagnosis in the microcomputer 25. , And a test signal output unit 26 for applying the G and B test signals to the preamplifier 21 and a display unit 27 for outputting the self-diagnosis result of the microcomputer 26. .

도3은 상기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의 실시예로서, ABL 레벨을 감지하는 단계(S31), 상기 감지된 ABL 레벨을 기준치(Ref)와 비교하는 단계(S32), 상기 감지된 ABL 레벨이 기준치(Ref) 이상인 경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를 확인하는 단계(S33),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없는 경우 현재 모니터 상태를 DPM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S34),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있는 경우 마이컴에서 R,G,B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35), 상기 R,G,B 테스트 신호에 따른 ABL 레벨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S36), 상기 테스트 신호에 따른 ABL 레벨 변화가 없는 경우 현재 모니터 상태를 모니터 불량으로 판정하는 단계(S37), 상기 테스트 신호에 따른 ABL 레벨 변화가 있는 경우 비디오 카드 R,G,B 출력 무를 확인하는 단계(S38) 및 현재 모니터 상태가 R,G,B 신호 무 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S39)로 이루어지고 있다.3 is an embodiment of the monitor self-diagnosi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an ABL level (S31), comparing the detected ABL level with a reference value (Ref) (S32), and the detected ABL level is Checking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s when the reference value is greater than Ref (S33), determining a current monitor state as a DPM mode when there is no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s (S34), and havi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s If the microcomputer outputs the R, G, B test signal (S35), checking the change of the ABL level according to the R, G, B test signal (S36), and there is no ABL level change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monitor state as a monitor failure (S37), if there is a change in the ABL level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checking the video card R, G, B output absence (S38) and the current monitor state is R, G, Display B-signal free Or less may comprise a step (S39).

상기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자기 진단 동작을 설명한다. 모니터 동작시 R,G,B 입력신호는 전치 증폭기(21)에서 증폭된 후 주증폭기(22)에서 전력증폭되어 디스플레이 구동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 때 마이컴(25)은 모니터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7)에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상 무 상태가 되는지를 확인하고, 영상 무 상태가 되면 ABL 레벨 및 동기신호 유무와 테스트 신호 출력에 따른 자기 진단 동작을 실행한다.2 and 3, the monitor self-diagnosi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monitor operation, the R, G, and B input signals are amplified by the preamplifier 21 and then amplified by the main amplifier 22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s the display is driven.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25 checks whether the monitor image is in the state of no image which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7, and when the image is in the state of no image, performs the self-diagnosi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the ABL level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test signal. do.

모니터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모니터(CRT)의 빔 레벨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ABL 레벨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마이컴(25)이 ABL 제어부(24)로부터 ABL 레벨을 입력받아 그 레벨을 소정의 기준치(Ref)와 비교한다. 여기서 기준치(Ref)는 정상 상태의 ABL 레벨 + 30% 즉,정상 상태의 ABL 레벨의 130%로 설정할 수 있고, 해당 기준치(Ref)는 마이컴 내부에 저장되거나 별도의 외부 메모리를 구비하여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image of the monitor is not displayed, since the beam level of the monitor CRT does not flow, in this case, the ABL level is increased. Therefore, the microcomputer 25 receives the ABL level from the ABL control unit 24 and compares the leve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Ref. Here, the reference value Ref may be set to the ABL level of the normal state + 30%, that is, 130% of the ABL level of the normal state, and the reference value Ref may be stored inside the microcomputer or with a separate external memory. have.

마이컴(25)에서 상기 ABL 레벨을 비교한 결과, 현재 감지한 ABL 레벨이 정상 상태의 ABL 레벨의 130%(Ref) 이상인 경우에는 영상 무 상태임을 인식하고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 Sync)의 유무를 확인한다.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없는 경우는 DPM 상태이므로 이 경우에 마이컴(25)은 ABL 레벨의 이상 상태를 무시한다.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BL level in the microcomputer 25, when the currently detected ABL level is more than 130% (Ref) of the ABL level in the normal state, the microcomputer 25 recognizes that there is no image an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 / V Sync) Check for the presence of If there is no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the microcomputer 25 ignores the abnormal state of the ABL level in this case.

그러나,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 Sync)가 있는 경우에는 마이컴(25)에서 테스트 신호 출력부(26)를 통해서 R,G,B 테스트 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테스트 신호 출력부(26)는 R,G,B 입력단과 마이컴(25)의 테스트 신호 출력단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이오드를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즉, PC로부터 모니터의 R,G,B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신호가 전치 증폭기(21)로만 인가되고 마이컴(25)의 테스트 신호 출력단으로는 인가되지 않도록 하면서 마이컴(25)의 테스트 신호가 테스트 신호 출력부(26)를 통해서 전치 증폭기(21)로는 인가되도록 다이오드를 결선하는 것이다.However, when there are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H / V Sync), the microcomputer 25 outputs R, G, and B test signals through the test signal output unit 26. The test signal output unit 26 may be configured using a diode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R, G, B input terminals and the te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25. That is, the test signal of the microcomputer 25 outputs the test signal while preventing the signal applied from the PC to the R, G, and B input terminals of the monitor being applied only to the preamplifier 21 and not to the test signal output terminal of the microcomputer 25. The diode is connected to the preamplifier 21 through the unit 26.

상기한 바와 같이 마이컴(25)에서 테스트 신호 출력부(26)를 통해서 전치 증폭기(21)에 R,G,B 테스트 신호가 인가되면 모니터가 정상일 경우 모니터의 비디오 회로가 정상이므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주증폭기(22)를 거쳐서 디스플레이 구동에 따라 화면상에 R,G,B 영상으로 나타나게 되고, 이에 따라 ABL 레벨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 G, and B test signals are applied to the preamplifier 21 through the test signal output unit 26 in the microcomputer 25, when the monitor is normal, the video signal of the monitor is normal. As the display is driven through the amplifier 22,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s R, G, and B images, and thus a change in the ABL level occurs.

그러나, 마이컴(25)에서 테스트 신호 출력부(26)를 통해서 전치 증폭기(21)에 R,G,B 테스트 신호가 인가되어도 모니터가 불량인 경우는 모니터의 비디오 회로가 비정상이므로 상기 테스트 신호는 디스플레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ABL 레벨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된다.However, even if the R, G, B test signals are applied to the preamplifier 21 through the test signal output unit 26 in the microcomputer 25, and the monitor is defective, since the video circuit of the monitor is abnormal, the test signal is displayed. In this case, a change in the ABL level does not occur.

즉, 마이컴(25)은 R,G,B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고 그에 따른 ABL 레벨의 변화를 판정하여 ABL 레벨에 변화가 없으면 모니터 불량인 경우로 판정하고, ABL 레벨에 변화가 있으면 PC의 비디오가 불량인 것으로 판정하여 R,G,B 신호가 없음(비디오 카드 불량)을 OSD로 디스플레이부(27)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다.That is, the microcomputer 25 outputs R, G, and B test signals, and determines the change of the ABL level accordingly, and if there is no change in the ABL level, the microcomputer 25 determines that the monitor is bad. It is determined to be defective and the user is notified of the absence of the R, G, and B signals (video card failure) through the display unit 27 through the OSD.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ABL 레벨이 기준치를 초과하였을 때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있으면 모니터 또는 PC 불량인 경우이므로 마이컴에서 R,G,B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여 그에 따른 ABL 레벨의 변화를 감지하고, 테스트 신호에 따라 ABL 레벨의 변화가 있으면 PC의 비디오 신호 불량임을 알고 OSD로 PC의 비디오 카드 불량을 디스플레이하며, 테스트 신호에 따라 ABL 레벨의 변화가 없으면 모니터의 비디오 증폭회로 불량이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 OSD가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되어 이 것으로부터 사용자는 모니터 불량임을 쉽게 판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summary, in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 horizontal or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when the ABL level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monitor or the PC is bad, the microcomputer outputs R, G, and B test signals to detect a change in the ABL level accordingly. If there is a change in the ABL level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it knows that the video signal of the PC is bad and displays the video card of the PC by the OSD.If there is no change in the ABL level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the monitor's video amplification circuit is bad, in this case the OSD Is not display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rmine that the monitor is defective.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은 모니터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때 그 원인을 기기 스스로 진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When the monitor image is not displayed, the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iagnose the cause of the device and notify a user.

따라서,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을 적용하면 종전과 같이 모니터와 PC간의 신호 케이블을 일일이 분리하여 보고 모니터 불량인지, PC 불량인지를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signal cable between the monitor and the PC can be separated every day to eliminate the trouble of checking whether the monitor is defective or the PC.

또한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은 ABL 레벨과 동기신호 유무를 확인하여 현재 모니터 또는 PC 불량인지, 단순히 DPM 상태인지의 여부도 기기 스스로 진단하여 판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상태의 확인을 위하여 마우스나 키보드 등을 일일이 움직여 보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서 편리하다.In addition, the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presence of the ABL level and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also diagnoses and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monitor or PC is defective or simply DPM. It is convenient because it saves you the trouble of moving your back.

특히 본 발명의 모니터 자기 진단 시스템은 모니터 스스로 모니터의 불량인지 아니면 PC 불량인지를 각각 가려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기 때문에 PC 환경이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더욱 편리하고, 기기 사용상의 안정감과 높은 품질 만족을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monitor self-diagnosis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ell the user whether the monitor itself is a defective monitor or a PC defect, it is more convenient for users who are unfamiliar with the PC environment, and provides stability and high quality satisfaction in using the device. can do.

Claims (7)

모니터 자기 진단을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고 그 테스트 신호에 따른 ABL 레벨의 변화로부터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 여부를 판정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의 자기 진단을 위한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테스트 신호 출력수단과, 상기 마이컴의 자기 진단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기 진단장치.A microcomputer that outputs a test signal for monitor self-diagnosis and determines whether the monitor is defective or a PC defect from a change in the ABL level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and a test signal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test signal for self-diagnosis of the microcomputer; And a display means for informing the user of the self-diagnosis result of the microcompu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ABL 레벨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 유무에 따라서 현재 모니터의 영상 무 상태를 DPM 상태로 확인하거나 자기 진단을 위한 테스트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기 진단장치.The monitor self-diagnostic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checks the image-free state of the current monitor as the DPM state or executes a test mode for self-diagnosis according to the ABL level and the presence of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테스트 신호로 R,G,B 신호를 모니터 내부의 전치 증폭기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기 진단장치.The monitor self-diagnosis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icrocomputer applies R, G, and B signals as test signals to a preamplifier inside the monitor. 현재 모니터 상태가 DPM 모드에 의한 영상 무 상태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DPM 모드에 의한 영상 무 상태가 아닌 경우 테스트 신호를 이용해서 자기 진단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자기 진단 결과에 따라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인지를 판별하여 해당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Determining whether the current monitor state is an imageless state in the DPM mode; if the determination result is not an imageless state in the DPM mode, performing self-diagnosis using a test signal; Or determining whether the PC is defective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resul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PM 모드인지의 판별은 ABL 레벨을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ABL 레벨이 기준치 이상인 경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가 없는 경우는 DPM 모드로 판정하는 단계를 실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DPM mode is performed comprises: comparing the ABL level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check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s when the comparison result indicates that the ABL leve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If there is no, the monitor self-diagno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performing the determination in the DPM mod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진단은 테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테스트 신호에 따라 변화되는 ABL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ABL 레벨의 변화가 없는 경우 모니터 불량으로 판정하고, ABL 변화가 있는 경우 PC 불량으로 판정하는 단계를 실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lf-diagnosis comprises: outputting a test signal, checking an ABL level changed according to the test signal, determining that the monitor is defective when there is no change in the ABL level, and when there is an ABL change. A monitor self-diagnosis method, comprising performing a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PC is defectiv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로 마이컴에서 모니터 내부의 전치 증폭기로 R,G,B 신호를 인가하고 그에 따라 변화되는 ABL 레벨에 따라 모니터 불량 또는 PC 불량으로 각각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자기 진단방법.[5] The monitor magne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test signal is applied to the R, G and B signals from the microcomputer to the preamplifier inside the monitor and is determined as a monitor failure or a PC failure according to the ABL level which is changed accordingly. Diagnostic method.
KR1020020086548A 2002-12-30 2002-12-30 Monitor self test system KR10092320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548A KR100923201B1 (en) 2002-12-30 2002-12-30 Monitor self tes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548A KR100923201B1 (en) 2002-12-30 2002-12-30 Monitor self tes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0034A true KR20040060034A (en) 2004-07-06
KR100923201B1 KR100923201B1 (en) 2009-10-22

Family

ID=37351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548A KR100923201B1 (en) 2002-12-30 2002-12-30 Monitor self test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20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79B1 (en) 2015-11-13 2017-04-06 (주)이노진 Apparatus for scalp care laser irradiating using optical fiber unit
KR101724080B1 (en) 2015-11-13 2017-04-06 (주)이노진 Apparatus for skin and scalp care combining laser irradiating unit and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 uni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1353B1 (en) * 1995-06-14 1998-10-15 김광호 The self dignostic circuit and method of monitor
JP3450529B2 (en) * 1995-07-25 2003-09-29 日本放送協会 Automatic video monitor
KR0134211Y1 (en) * 1995-08-02 1999-03-20 구자홍 The self diagnosis circuit of a monitor
KR0140100Y1 (en) * 1996-01-15 1999-05-15 구자홍 Apparatus for confirming operation status of monitor for a compu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79B1 (en) 2015-11-13 2017-04-06 (주)이노진 Apparatus for scalp care laser irradiating using optical fiber unit
KR101724080B1 (en) 2015-11-13 2017-04-06 (주)이노진 Apparatus for skin and scalp care combining laser irradiating unit and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201B1 (en)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532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DPMS mode status using an OSD circuit
KR100294259B1 (en) Display monitor system and its power control method
US6473078B1 (en) Method and device for power consumption management of an integrated display unit
KR19980044732A (en) Display and Display Method of DPMS Mode in Computer System
US2010000301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5944830A (en)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monitor by switching off heater power in power-off mode
JP2012174203A (en) Display device, and power supply necessity determination method of branch apparatus connected to display device
US8427392B2 (en) Circuit for detecting an external display device adapted to notebook computer and detecting method thereof
KR100923201B1 (en) Monitor self test system
CN105516776B (en) A kind of detection circuit and display terminal
KR100377223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US6131128A (en) Method of automatically selecting a BNC/D-sub signal in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function
KR2007005750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ower an image display device
KR102043946B1 (en) Electronic desk system with power saving mode switching function and idle time automatic fault diagnosis function
KR19980036993A (en) Self-test function automatic method of power saving display device
KR100190163B1 (en) Dpms control system
KR100537887B1 (en) Module control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9990003854A (en) Minimizing power of display device and device using same
KR200172522Y1 (en) Displaying device for dpms mode in a computer system
KR100744508B1 (en) The display device for having the function of DPM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237850B1 (en) Power consumption managing method
KR100528478B1 (en) Display device and its synchronizing signal detecting device and detecting method
KR10035184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rush current of Monitor
KR19990043423A (en) How to Display Self-Diagnosis Results in Monitors
KR100238587B1 (en) Cable connection state information system using audio signal in audio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