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925A - 푸시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925A
KR20040057925A KR1020030091914A KR20030091914A KR20040057925A KR 20040057925 A KR20040057925 A KR 20040057925A KR 1020030091914 A KR1020030091914 A KR 1020030091914A KR 20030091914 A KR20030091914 A KR 20030091914A KR 20040057925 A KR20040057925 A KR 20040057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terminal
opening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9451B1 (ko
Inventor
오자와겐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75277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08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63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5817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7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9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하고 제조하기 쉬운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제 1 고정 접점 (2) 은 제 1 접점부 (2a) 가 개구부 (1f) 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고, 제 1 접점부 (2a) 로부터 제 1 연결부 (2b) 및 이 제 1 연결부 (2b) 에 연결된 제 1 단자부 (2c) 가 직선 방향 (직선 S2 방향)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 제 1, 제 2 고정 접점 (2, 3) 의 제 1, 제 2 접점부 (2a, 3a) 가 직선 S2 방향과 직교하는 직선 S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제 1 고정 접점 (2) 의 제 1 접점부 (2a) 는 종래에 비해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한 것이 얻어진다.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프린트 기판에 면실장 (面實裝) 에 의해 장착된 것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8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측면도, 도 19는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 도 20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1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2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을 도 18, 도 19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51) 은, 박스형을 이루고, 저벽 (51a), 이 저벽 (51a) 의 사방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벽 (51b) 및 상측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51c) 를 구비한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제 1 고정 접점 (52) 은, 특히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접점부 (52a), 한 쌍의 접점부 (52a) 에 연결된 한 쌍의 연결부 (52b) 및 이 한 쌍의 접점부 (52b) 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단자부 (52c) 를 구비한다.
또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제 2 고정 접점 (53) 은, 특히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점부 (52a) 사이에 위치한 접점부 (53a), 이 접점부 (53a) 에 연결된 연결부 (53b) 및 이 연결부 (53b) 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단자부 (53c) 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제 2 고정 접점 (52, 53) 의 접점부 (52a, 53a) 는, 단자부 (52c, 53c)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단자부 (52c, 53c) 가 연장되는 방향의 직선 S5, S6과 동일한 방향인 직선 S7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접점부 (52a) 와 단자부 (52c) 를 연결하는 연결부 (52b) 는 접점부 (52a) 로부터 직선 S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직선 S5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동시에, 접점부 (53a) 와 단자부 (53c) 를 연결하는 연결부 (53b) 는 접점부 (53a) 로부터 직선 S6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직선 S6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제 2 고정 접점 (52, 53) 은 연결부 (52b, 53b) 가 하우징 (51) 에 매설되어 장착되고, 접점부 (53a, 53a) 는 저벽 (51a) 상에서 개구부 (51c) 내로 노출되는 동시에, 단자부 (52c, 53c) 는 하우징 (1) 밖으로 돌출되어 하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개구부 (51c) 내에는 가동 접점이 수납되고, 하우징 (1) 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된 조작부재에 의해 가동 접점이 조작되어 제 1, 제 2 고정 접점 (52, 53) 사이를 ON, OFF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의 제조방법을 도 20, 도 2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20에 나타낸 제 1 공정에서 후프 형상의 금속판 (55) 은 펀칭 가공이 실시된다.
그러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 (52) 은 금속판 (55) 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제 2 고정 접점 (53) 은 금속판 (55) 의 타측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제 2 고정 접점 (52, 53) 은 접점부 (52a, 53a) 가 금속판 (55) 중앙부의 길이 방향 (직선 S7) 으로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 연결부 (52b, 53b) 는 직선 S7과 직교하는 폭 방향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단자부 (52c, 53c) 에 연결된다.
즉, 한 쌍의 단자부 (52c와 53c) 는 금속판 (55)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접점부 (52a, 53a) 가 금속판 (55) 의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 (직선 S7) 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단자부 (52c, 53c) 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부 (52c, 53c) 의 양 단부는 금속판 (55) 에 연결되어 있고,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속판 (55) 은 이송 구멍 (56)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이송되어 도 21에 나타낸 제 2 공정에서 금속판 (55) 에 대하여 성형 가공으로 하우징 (51) 을 형성한다.
이 때, 접점부 (52a) 의 측면 및 상면을 성형 금형으로 둘러싸서 접점면에 수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면, 제 1, 제 2 고정 접점 (52, 53) 의 연결부 (52b, 53b) 가 저벽 (51a) 에 매설되고, 접점부 (53a) 가 개구부 (51c) 의 중앙부로 노출되는 동시에, 한 쌍의 접점부 (52a) 가 접점부 (53a) 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 (51c) 의 외주 근방으로 노출되며 또한 단자부 (52c, 53c) 가 하우징 (51) 밖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상기 기술한 성형 금형에서의 접점면 상으로의 수지 유입 방지를 위해서, 접점부 (52a) 의 측면에는 금형이 눌려지기 위한 폭 만큼 금속판 (55) 을 그 길이 방향으로 설치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도 21에 나타낸 이점쇄선 Z1 위치에서 절단하여 금속판 (55) 으로부터 제 1, 제 2 고정 접점 (52, 53) 을 절단 분리한 후, 단자부 (52c, 53c) 가 절곡되면 그 제조가 완료된다 (예컨대,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보 제2798814호) 참조).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제 1 고정 접점 (52) 의 한 쌍의 접점부 (52a) 가 접점부 (53a) 를 사이에 두고 단자부 (52c) 가 연장되는 방향 (직선 S6) 과 평행한 직선 S7 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금속판 (55) 이 길이 방향으로 길어져 재료의 취득이 어려워 비용이 비싸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 (52) 의 한 쌍의 접점부 (52a) 와 단자부 (52c) 를 연결하는 연결부 (52b) 는, 접점부 (52a) 로부터 직선 S5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 직선 S5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부 (52b) 가 길어져 재료의 취득이 어려워 비용이 비싸지는 동시에, 그 구성이 복잡하고 성형 금형의 제조가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하고 제조하기 쉬운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하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요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1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2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1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하우징 제조의 제 2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상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하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배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8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1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2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하우징 1a: 앞면
1b: 저벽 1c: 측벽
1d: 상벽 1e: 뒷벽
1f: 개구부 1g: 오목부
1h: 돌기 1j: 단락부 (段落部)
2: 제 1 고정 접점 2a: 제 1 접점부
2b: 제 1 연결부 2c: 제 1 단자부
3: 제 2 고정 접점 3a: 제 2 접점부
3b: 제 2 연결부 3c: 제 2 단자부
4: 제 3 고정 접점 4a: 제 3 접점부
4b: 제 3 연결부 4c: 제 3 단자부
R1: 제 4 연결부 5: 가동 접점
6: 커버 6a: 구멍
6b: 앞면판 6c: 측면판
6d: 돌출편 6e: 절곡편
6f: 절결부 6g: 작은 구멍
7: 조작부재 7a: 조작부
7b: 차양부 7c: 가압부
8: 프린트 기판 8a: 구멍
9: 땜납 11: 금속판
11a: 관통구멍 12: 연결부
12a: 절단부 13: 이송 구멍
S1∼S4: 직선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해결 수단으로서, 개구부를 갖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 이 하우징에 매설되어 장착된 제 1, 제 2 고정 접점, 상기 개구부 내에 수납된 가동 접점 및 상기 개구부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며 상기 가동 접점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은 상기 개구부 내에서 노출된 제 1 접점부, 이 제 1 접점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매설된 제 1 연결부 및 이 제 1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1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은 상기 개구부 내에서 노출된 제 2 접점부, 이 제 2 접점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매설된 제 2 연결부 및 이 제 2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 접점부가 상기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접점부로부터 상기 제 1 연결부 및 이 제 1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단자부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 2 고정 접점의 제 2 접점부가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제 2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고정 접점은 상기 제 2 접점부로부터 상기 제 2 연결부 및 이 제 2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 2 단자부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의 각각이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단자부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제 3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3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이 제 3 고정 접점은 상기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서 노출된 제 3 접점부, 이 제 3 접점부에 연결되며상기 하우징에 매설된 제 3 연결부 및 이 제 3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3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고정 접점은 상기 제 2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연결부 및 상기 제 3 단자부의 각각이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단자부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제 4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제 3 고정 접점이 제 4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구성으로 하였다.
제 5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제 2 고정 접점의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제 2 접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단자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제 6 해결 수단으로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자부 인출면을 따라 절곡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의 실시 형태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도면을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상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하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 도 8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1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2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1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 제조의 제 2 공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도 1∼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1) 은, 박스형을 이루고, 측방에 위치한 앞면 (1a), 앞면 (1a) 으로부터 뒷측으로 연장되는 저벽 (1b), 이 저벽 (1b) 의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 (1c), 이 한 쌍의 측벽 (1c) 사이에 형성된 상벽 (1d), 뒷면을 막는 뒷벽 (1e), 앞면 (1a) 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1f), 저벽 (1b) 의 앞측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 (1g) 및 앞면 (1a) 에 형성된 돌기 (1h) 를 구비한다.
또한, 앞면 (1a), 저벽 (1b) 및 측벽 (1c) 에 면하는 모서리부에는 노치된 단락부 (1j) 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제 1, 제 2, 제 3 고정 접점 (2, 3, 4) 의 각각은, 특히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측으로 돌출된 제 1 접점부 (2a), 제 2 접점부 (3a), 제 3 접점부 (4a) 및 이 제 1, 제 2, 제 3 접점부 (2a, 3a, 4a) 의 각각에 연결된 제 1 연결부 (2b), 제 2 연결부 (3b), 제 3 연결부 (4b) 및 이 제 1, 제 2, 제 3 연결부 (2b, 3b, 4b) 의 각각에 연결된 제 1 단자부 (2c), 제 2 단자부 (3c),제 3 단자부 (4c) 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1, 제 2, 제 3 고정 접점 (2, 3, 4) 의 제 1, 제 2, 제 3 접점부 (2a, 3a, 4a) 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S1 상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제 2, 제 3 접점부 (2a, 3a, 4a) 의 각각으로부터 제 1, 제 2, 제 3 연결부 (2b, 3b, 4b) 및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가 직선 S1과 직교하는 직선 S2, S3, S4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제 1, 제 2, 제 3 연결부 (2b, 3b, 4b) 및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는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3 고정 접점 (2, 4) 이 제 4 연결부 (R1) 에 의해 연결되어 각각을 코먼 접점으로 사용함으로써, 스위치로써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나 이 제 4 연결부 (R1) 를 없애도 된다.
또, 제 1, 제 2, 제 3 고정 접점 (2, 3, 4) 은, 제 1, 제 2, 제 3 연결부 (2b, 3b, 4b) 및 제 4 연결부 (R1) 가 뒷벽 (1e) 에 매설되어 장착되고, 제 2 접점부 (3a) 가 개구부 (1f) 의 중앙부 (뒷벽 (1e) 의 중앙부) 로 노출되는 동시에, 제 1, 제 3 접점부 (2a, 4a) 가 제 2 접점부 (3a) 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 (1f) 의 외주 근방 (뒷벽 (1e) 의 외주) 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는 하우징 (1) 의 저벽 (1b) 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고, 각각이 단자부 인출면인 저벽 (1b) 의 하면을 따라 뒷측으로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의 하면은 저벽 (1b) 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특히, 도 6 참조).
또,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제 1, 제 2, 제 3 고정 접점 (2, 3, 4) 을 사용한 것으로 설명했는데, 2개의 제 1, 제 2 고정 접점 (2, 3) 또는 제 2, 제 3 고정 접점 (3, 4) 으로 구성해도 된다.
돔 형상의 스프링성 또는 금속판 등으로 이루어진 가동 접점 (5) 은 하우징 (1) 의 개구부 (1f) 내에 수납되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가 제 2 접점부 (3a) 에 대향하고 외주부가 제 1, 제 3 접점부 (2a, 4a) 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전체가 대략 ㄷ 자형인 커버 (6) 는, 중앙부에 구멍 (6a) 을 갖는 판 형상의 앞면판 (6b), 이 앞면판 (6b) 의 양 단으로부터 직각으로 뒷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측면판 (6c), 한 쌍의 측면판 (6c) 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편 (6d), 앞면판 (6b) 의 대향하는 하측 구석부에서 뒷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절곡편 (6e), 이 절곡편 (6e) 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한 쌍의 측면판 (6c) 에 형성된 절결부 (6f) 및 앞면판 (6b) 의 구석부에 형성된 작은 구멍 (6g) 을 구비한다.
이 커버 (6) 는, 앞면판 (6b) 으로 개구부 (1f) 를 막도록 앞면판 (6b) 이 하우징 (1) 의 앞면 (1a) 에 배치되며 또한 작은 구멍 (6g) 에 하우징 (1) 의 돌기 (1h) 가 삽입 관통되고, 돌기 (1h) 의 선단부를 열 코킹하는 등 하여 하우징 (1) 에 장착된다.
그리고, 커버 (6) 가 하우징 (1) 에 장착되었을 때, 절곡편 (6e) 은 오목부 (1g) 내에 배치되고, 절곡편 (6e) 의 하면은 저벽 (1b) 의 하면보다 하측에 위치한상태로 되어 있는 동시에,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의 하면과 면일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절곡편 (6e) 과 돌출편 (6d) 의 이면이 대향하는 하우징 (1) 의 양 모서리부에는 단락부 (1j)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실장면측의 커버 (6) 와 하우징 (1) 의 앞면 (1a) 의 맞춤부에 공극이 형성된다.
또, 커버 (6) 가 하우징 (1) 에 장착되었을 때, 한 쌍의 측면판 (6c) 은 측벽 (1c) 의 외주부룰 덮도록 배치되고, 돌출편 (6d) 이 절곡편 (6e) 의 하면을 넘어 하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절결부 (6f) 를 통해 측면으로부터 절곡편 (6e) 을 육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절곡편 (6e) 이 앞면판 (6b) 의 하측 구석부에 한 쌍 형성된 것으로 설명했는데, 앞면판 (6b) 하부의 임의의 부분에 절곡편 (6e) 을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푸시 버튼인 조작부재 (7) 는, 조작부 (7a), 이 조작부 (7a) 의 뒷측부에 형성된 차양부 (7b) 및 조작부 (7a) 의 중앙부로부터 뒷측으로 돌출된 가압부 (7c) 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재 (7) 는 차양부 (7b) 와 가압부 (7c) 가 개구부 (1f) 내에 수납되고, 조작부 (7a) 가 구멍 (6a)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하우징 (1) 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예컨대 가로 치수가 약 4.5㎜, 높이 치수가 약 3.5㎜로 매우 작은 초소형의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1) 의 저벽 (1b) 의 하면측을 프린트 기판 (8) 에 대향시키고,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와 절곡편 (6e) 을 프린트 기판 (8) 상에 탑재시키고,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와 절곡편 (6e) 이 프린트 기판 (8) 상에 형성된 도전 패턴 (도시 생략) 에 납땜 (9) 되어 장착되어 푸시 버튼 스위치가 프린트 기판 (8) 에 면실장된다.
이 때, 절곡편 (6e) 은 하우징 (1) 의 앞면 (1a) 에 면하지 않는 외측 절곡 모서리부를 이용하여 납땜부가 형성되어 절곡편 (6e) 의 표면측만이 납땜되는 것이다.
그리고, 절곡편 (6e) 에 납땜 (9) 하면, 절곡편 (6e) 으로 하우징 (1) 의 앞면 (1a) 을 덮는 상태가 되고, 따라서 플럭스 (flux) 가 개구부 (1f) 내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절결부 (6f) 및 하우징 (1) 의 단락부 (1j) 에 의해 실장면에서의 커버 (6) 와 하우징 (1) 의 맞춤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럭스의 연면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 푸시 버튼 스위치의 면실장시, 절곡편 (6e) 의 하단과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의 하면이 하우징 (1) 의 하면 (저벽 (1b)) 보다 돌출되어 하우징 (1) 의 하면 (저벽 (1b)) 이 프린트 기판 (8) 으로부터 뜬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럭스가 하우징 (1) 의 외주면에 전달되기 어려워져 플럭스가 개구부(1f) 내에 침입하기 어려워지는 동시에, 리플로노 내에 통과했을 때에 땜납의 용융 시간 차이에 의해 하우징 (1) 의 하면을 중심으로 하여 스위치가 기울어지는 일이 없다.
또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면실장시, 돌출편 (6d) 은 프린트 기판 (8) 의 구멍 (8a) 에 삽입 관통됨으로써, 프린트 기판 (8) 에 대한 푸시 버튼 스위치의 위치 결정을 확실히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부재 (7) 의 조작부 (7a) 가 프린트 기판 (8) 과 평행한 방향으로 눌리면, 돔 형상의 가동 접점 (5) 이 눌려져 가동 접점 (5) 의 중앙부가 반전 작동한다.
그 결과, 가동 접점 (5) 의 외주부가 제 1, 제 3 접점부 (2a, 4a) 에 접촉된 상태에서 중앙부가 이동하여 제 2 접점부 (3a) 에 접촉되어 제 1, 제 3 접점부 (2a, 4a) 와 제 2 접점부 (3a) 사이가 ON 상태로 된다.
또한, 조작부 (7a) 의 가압을 해제하면, 가동 접점 (5) 은 자신의 스프링성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조작부재 (7) 도 원래 상태로 되돌려지는 동시에, 제 1, 제 3 접점부 (2a, 4a) 와 제 2 접점부 (3a) 사이가 OFF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의 제조방법을 도 8, 도 9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8에 나타낸 제 1 공정에서 후프 형상의 금속판 (11) 은 펀칭과 돌출 가공이 실시된다.
그러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제 3 고정 접점 (2, 3, 4) 은 지면 바로 앞방향으로 돌출된 제 1, 제 2, 제 3 접점부 (2a, 3a, 4a) 가 금속판(11)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직선 S1) 으로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폭 방향으로 병렬 상태로 형성된다.
그 결과, 제 1, 제 2, 제 3 접점부 (2a, 3a, 4a) 의 각각으로부터 제 1, 제 2, 제 3 연결부 (2b, 3b, 4b) 및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 (직선 S2, S3, S4 방향) 과 평행한 상태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제 2, 제 3 접점부 (2a, 3a, 4a) 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직선 S1) 으로 일렬로 배치되면, 제 1, 제 2, 제 3 접점부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것에 비해 금속판 (11) 을 길이 방향으로 짧게 할 수 있어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한 고정 접점 구조가 얻어진다.
또,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의 단부는 금속판 (11) 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 1, 제 3 접점부 (2a, 4a) 의 타단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연결부 (12) 에 의해 금속판 (11) 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제 1, 제 3 접점부 (2a, 4a) 는 제 4 연결부 (R1)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속판 (11) 은 이송 구멍 (13)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이송되어 도 9에 나타낸 제 2 공정에서 금속판 (11) 에 대하여 성형 가공에 의해 도 1∼도 7에서 나타낸 구성을 갖는 하우징 (1) 을 형성한다.
이 때, 접점부 (2a, 4a) 의 상면 및 측면을 금형으로 둘러싸서 성형하고, 접점면 상으로의 수지 유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한 금형 댐 스페이스를,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고, 길이 방향의 하우징 (1) 의 폭을 작게 할 수 있어 금속판 (11) 의 재료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면, 제 1, 제 2, 제 3 고정 접점 (2, 3, 4) 의 제 1, 제 2, 제 3 연결부 (2b, 3b, 4b) 및 제 4 연결부 (R1) 와 일부의 연결부 (12) 가 뒷벽 (1e) 에 매설되고, 제 2 접점부 (3a) 가 개구부 (1f) 의 중앙부 (뒷벽 (1e) 의 중앙부) 로 노출되는 동시에, 제 1, 제 3 접점부 (2a, 4a) 가 제 2 접점부 (3a) 를 사이에 두고 개구부 (1f) 의 외주 근방 (뒷벽 (1e) 의 외주) 으로 노출되며 또한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및 연결부 (12) 가 하우징 (1) 밖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 이 인서트 성형 공정에서 제 1, 제 2, 제 3 연결부 (2b, 3b, 4b) 에는 금속판 (11) 을 판 두께 방향으로 펀칭한 관통구멍 (11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 (11a) 내에도 수지가 유입, 고화되기 때문에, 조작시에 단자의 인발 방향으로 큰 힘이 가해져도 스위치가 탈락하는 일이 없이 크로스 푸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이점쇄선 Z1 위치에서 절단하여 금속판 (11) 으로부터 제 1, 제 2, 제 3 고정 접점 (2, 3, 4) 을 절단 분리한 후,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가 하우징 (1) 의 저벽 (1b) 을 따라 절곡되면 그 제조가 완료된다.
또한, 연결부 (12) 가 절단되었을 때, 그 절단부 (12a) 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벽 (1d) 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고정 접점과 하우징의 제조방법을 나타내고, 그 제조방법을 도 10, 도 11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0에 나타낸 제 1 공정에서 후프 형상의 금속판 (11) 은 펀칭과 돌출 가공이 실시된다.
그러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고정 접점 (2, 3) 은 돌출된 제 1, 제 2 접점부 (2a, 3a) 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직선 S1) 으로 일렬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폭 방향으로 병렬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금속판 (11) 의 일측부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 (2) 은 제 1 접점부 (2a) 로부터 제 1 연결부 (2b) 및 제 1 단자부 (2c) 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 (직선 S2 방향) 과 평행한 상태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 금속판 (11) 의 타측부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 (3) 은 제 2 접점부 (3a) 가 금속판 (11) 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부 (3c) 가 금속판 (11) 의 타측부에서 길이 방향 (직선 S4 방향) 과 평행한 상태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제 2 연결부 (3b) 가 제 2 접점부 (3a) 와 제 2 단자부 (3c) 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제 1, 제 2 접점부 (2a, 3a) 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 (직선 S1) 으로 일렬로 배치되면, 제 1, 제 2 접점부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것에 비해 금속판 (11) 을 길이 방향으로 짧게 할 수 있어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한 고정 접점 구조가 얻어진다.
또, 제 1, 제 2 단자부 (2c, 3c) 의 단부는 금속판 (11) 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 1 접점부 (2a) 와 제 2 단자부 (3c) 의 타단은 금속판 (11)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 (12) 에 의해 금속판 (11) 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금속판 (11) 은 이송 구멍 (13) 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성형 금형 (도시 생략) 에 이송되어 도 11에 나타낸 제 2 공정에서 금속판 (11) 에 대하여 성형 가공에 의해 도 1∼도 7에서 나타낸 구성을 갖는 하우징 (1) 을 형성한다.
그러면, 제 1, 제 2 고정 접점 (2, 3) 의 제 1, 제 2 연결부 (2b, 3b) 와 일부의 연결부 (12) 가 뒷벽 (1e) 에 매설되고, 제 2 접점부 (3a) 가 개구부 (1f) 의 중앙부 (뒷벽 (1e) 의 중앙부) 로 노출되는 동시에, 제 1 접점부 (2a) 가 개구부 (1f) 의 외주 근방 (뒷벽 (1e) 의 중앙부) 로 노출되며 또한 제 1, 제 2 단자부 (2c, 3c) 및 연결부 (12) 가 하우징 (1) 밖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나타낸 이점쇄선 Z1 위치에서 절단하여 금속판 (11) 으로부터 제 1, 제 2 고정 접점 (2, 3) 을 절단 분리한 후, 제 1, 제 2 단자부 (2c, 3c) 가 하우징 (1) 의 저벽 (1b) 을 따라 절곡되면 그 제조가 완료된다.
또한, 연결부 (12) 가 절단되었을 때, 그 절단부 (12a) 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벽 (1d) 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 2 실시예에서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은 2개의 제 1, 제 2 고정 접점 (2, 3) 을 제외하고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품에 동일 번호를 붙여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상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하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배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장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또,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품에 동일 번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실시예에 관련된 커버 (6) 는, 앞면판 (6b) 으로 개구부 (1f) 를 막도록 앞면판 (6b) 이 하우징 (1) 의 앞면 (1a) 에 배치되며 또한 작은 구멍 (6g) 에 하우징 (1) 의 돌기 (1h) 가 삽입 관통되고, 이들 벽면에 의해 서로 걸어맞춰질 수 있게 되는 동시에, 한 쌍의 측면판 (6c) 의 뒷측부에 형성된 설편이 오목부 (1k) 에 끼워맞춰지도록 절곡되어 오목부 (1k) 에 걸린 굴곡부 (6h) 가 측면판 (6c) 의 뒷측 상하에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 (1) 에 장착된다.
즉, 커버 (6) 는 앞면판 (6b) 과 굴곡부 (6h) 로 하우징 (1) 을 앞뒤에서 협지하여 하우징 (1) 에 장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앞면판 (6b) 의 하단에는 절곡편 (6e) 대신에 직선 형상의 돌출 (6e)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 (6e) 이 앞면판 (6b) 의 하측 구석부에 한 쌍 형성된 것으로 설명했는데, 앞면판 (6b) 하부의 임의의 부분에서 돌출편 (6e) 을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1) 에 돌기 (1h), 커버 (6) 에 작은 구멍 (6g) 을 형성한 것으로 설명했는데, 이 요철을 반대로 하여 하우징 (1) 에 작은 구멍, 커버 (6) 에 돌기를 형성하여 요철부에 의한 걸어맞춤 관계를 구성할 수도 있고, 또한 이 요철부는 1개 또는 복수개 형성할 수도 있고, 그 위치도 구멍 (6a) 의 중심부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앞면 (1a) 과 앞면판 (6b) 의 범위에서 적절한 부분에 선택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또, 작은 구멍 (6g) 은 반드시 관통구멍이 아니어도 되고, 바닥이 있게 형성해도 된다.
또, 요철부에 의한 걸어맞춤은 커버 (6) 와 하우징 (1) 의 조립 상태에 있어서, 초기 상태부터 걸어맞춰져 있을 필요는 없고, 하우징 (1) 이 그 실장면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기울였을 때에 걸어맞춰지도록 약간의 간극을 두고 삽입 관통해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요철부의 최대 간극은 커버 (6) 의 구멍 (6a) 과 조작부재 (7) 의 외부직경의 간극보다 작게 설정해 두고, 즉 하우징 (1) 이 이동해도 조작부재 (7) 와 구멍 (6a) 이 부딪히기 전에 요철부가 걸어맞춰지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기 상태부터 압입 상태에서 요철부를 형성해 둘 수도 있다.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푸시 버튼인 조작부재 (7) 는, 조작부 (7a), 이 조작부 (7a) 의 뒷측부에 형성된 차양부 (7b) 및 조작부 (7a) 의 중앙부로부터 뒷측으로 돌출된 가압부 (7c) 를 구비하고, 이 조작부재 (7) 는 차양부 (7b) 와 가압부 (7c) 가 개구부 (1f) 내에 수납되고, 조작부 (7a) 가 구멍 (6a) 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여 하우징 (1) 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요철부 (볼록부 (1h) 와 오목부 (6g)) 는 조작부재 (7) 의 축선 (G:도 17 참조)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1) 의 저벽 (1b) 의 하면측을 프린트 기판 (8) 에 대향시키고,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와 돌출 (6e) 을 프린트 기판 (8) 상에 탑재시키고, 제 1, 제 2, 제 3 단자부 (2c, 3c, 4c) 와 돌출 (6e) 이 프린트 기판 (8) 상에 형성된 도전 패턴 (도시 생략) 에 납땜 (9) 되어 장착되어 푸시 버튼 스위치가 프린트 기판 (8) 면에 실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커버 (6) 가 프린트 기판 (8) 에 납땜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조작부재 (7) 를 눌렀을 때 그 가압 방향이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시 P1 방향인 경우, 조작부재 (7) 의 상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 (1) 의 앞면 (1a) 측이 하우징 (1) 의 뒷단 모서리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측으로 이동한다.
또, 하우징 (1) 의 앞면 (1a) 측의 상측으로의 이동은 이동측인 앞면 (1a) 에 있어서 앞면판 (6b) 의 오목부 (6g) 와 앞면 (1a) 의 볼록부 (1h) 가 걸어맞춤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측으로의 이동이 작고, 이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며 또한 앞면 (1a) 측의 상측으로의 이동의 작은 반복이기 때문에, 단자부 (2c, 3c, 4c) 와 프린트 기판 (8) 사이의 땜납 (9) 의 박리가 적어진다.
또한, 하우징 (1) 의 앞면 (1a) 에 볼록부 (1h) 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 (1h) 가 앞면판 (6b) 의 오목부 (6g) 에 끼워 맞춰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가로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개구부를 갖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 이 하우징에 매설되어 장착된 제 1, 제 2 고정 접점, 개구부 내에 수납된 가동 접점 및 개구부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며 가동 접점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제 1 고정 접점은 개구부 내에서 노출된 제 1 접점부, 이 제 1 접점부에 연결되며 하우징에 매설된 제 1 연결부 및 이 제 1 연결부에 연결되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1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은 개구부 내에서 노출된 제 2 접점부, 이 제 2 접점부에 연결되며 하우징에 매설된 제 2 연결부 및 이 제 2 연결부에 연결되고,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제 1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 접점부가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며 제 1 접점부로부터 제 1 연결부 및 이 제 1 연결부에 연결된 제 1 단자부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제 2 고정 접점의 제 2 접점부가 개구부의 중앙부에 배치된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제 1 고정 접점은 제 1 접점부가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고, 제 1 접점부로부터 제 1 연결부 및 이 제 1 연결부에 연결된 제 1 단자부가 직선 방향 (직선 S2 방향) 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면, 제 1, 제 2 고정 접점의 제 1, 제 2 접점부가 직선 S2 방향과 직교하는 직선 S1 상에 배치할 수 있어 제 1 고정 접점의 제 1 접점부는 종래에 비해 금속판의 길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한 것이 얻어진다.
또한, 제 1 고정 접점 (2) 의 제 1 연결부는 직선 형상이며 제 1 접점부와 제 1 단자부를 연결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해 제 1 연결부가 짧아서 재료의 취득이용이하여 저렴한 동시에,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성형 금형의 제조가 쉬워진다.
제 2 고정 접점은 제 2 접점부로부터 제 2 연결부 및 이 제 2 연결부에 연결된 제 2 단자부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 2 연결부 및 제 2 단자부의 각각이 제 1 연결부 및 제 1 단자부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었기 때문에, 폭 방향으로 짧게 할 수 있어 재료비를 삭감할 수 있어 저렴한 것이 얻어진다.
제 3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이 제 3 고정 접점은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서 노출된 제 3 접점부, 이 제 3 접점부에 연결되며 하우징에 매설된 제 3 연결부 및 이 제 3 연결부에 연결되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3 단자부를 구비하고, 제 3 고정 접점은 제 2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고 제 1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3 연결부 및 제 3 단자부의 각각이 제 1 연결부 및 제 1 단자부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었기 때문에, 제 2, 제 3 연결부가 짧아서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한 동시에, 그 구성이 간단하여 성형 금형의 제조가 쉬워진다.
제 1, 제 3 고정 접점이 제 4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었기 때문에, 하우징의 성형 가공시 제 4 연결부가 지지부가 되어 정밀도가 양호한 가공을 할 수 있다.
제 2 고정 접점의 제 2 단자부는 제 2 접점부를 사이에 두고 제 1 단자부와 평행하게 배치되었기 때문에, 제 1, 제 2 단자부 사이를 넓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재료의 취득이 용이하여 저렴한 것이 얻어진다.
단자부는 하우징의 단자부 인출면을 따라 절곡되었기 때문에, 면실장에 대응한 것이 얻어진다.

Claims (6)

  1. 개구부를 갖는 절연재로 이루어진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매설되어 장착된 제 1, 제 2 고정 접점과, 상기 개구부 내에 수납된 가동 접점과, 및 상기 개구부에 이동할 수 있게 장착되며, 상기 가동 접점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은 상기 개구부 내에서 노출된 제 1 접점부와, 이 제 1 접점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매설된 제 1 연결부와, 이 제 1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1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은 상기 개구부 내에서 노출된 제 2 접점부와, 이 제 2 접점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매설된 제 2 연결부와, 이 제 2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2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은 상기 제 1 접점부가 상기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접점부로부터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단자부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의 제 2 접점부가 상기 개구부의 중앙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접점은 상기 제 2 접점부로부터 상기 제 2 연결부, 및 이 제 2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 2 단자부가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연결부, 및 상기 제 2 단자부의 각각이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단자부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 접점을 구비하며, 이 제 3 고정 접점은 상기 개구부의 외주 근방에서 노출된 제 3 접점부와, 이 제 3 접점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에 매설된 제 3 연결부와, 이 제 3 연결부에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제 3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고정 접점은 상기 제 2 고정 접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고정 접점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연결부, 및 상기 제 3 단자부의 각각이 상기 제 1 연결부, 및 상기 제 1 단자부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3 고정 접점이 제 4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접점의 상기 제 2 단자부는 상기 제 2 접점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단자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단자부 인출면을 따라 절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KR1020030091914A 2002-12-25 2003-12-16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589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75277A JP4090868B2 (ja) 2002-12-25 2002-12-25 押釦スイッチ
JPJP-P-2002-00375277 2002-12-25
JPJP-P-2003-00006363 2003-01-14
JP2003006363A JP4195817B2 (ja) 2003-01-14 2003-01-14 押釦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25A true KR20040057925A (ko) 2004-07-02
KR100589451B1 KR100589451B1 (ko) 2006-06-14

Family

ID=3427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914A KR100589451B1 (ko) 2002-12-25 2003-12-16 푸시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589451B1 (ko)
CN (1) CN1248261C (ko)
TW (1) TWI2360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1045B2 (ja) * 2008-05-09 2010-08-1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
CN111290322B (zh) * 2015-05-29 2021-03-02 广东易百珑智能科技有限公司 自发电无线开关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06988A (en) 2005-02-16
TWI236026B (en) 2005-07-11
KR100589451B1 (ko) 2006-06-14
CN1248261C (zh) 2006-03-29
CN1510706A (zh)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884B2 (en) Connector
JP2001210176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装着方法
JP5569251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5020155B2 (ja) コンタクト
KR20200080647A (ko) 리셉터클 커넥터
JP4862697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589451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101310676B1 (ko) 상보형 다이오드부를 갖는 스위치 및 스위치에 상보형 다이오드부를 장착하는 방법
TWI338311B (ko)
JP5428890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2009170283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246119B2 (ja) 押釦スイッチ
JP4054258B2 (ja) 押釦スイッチ
JP4090868B2 (ja) 押釦スイッチ
JP6055157B2 (ja) 押釦スイッチ
KR100300362B1 (ko) 푸시버튼 스위치
JP4195817B2 (ja) 押釦スイッチ
EP3624152B1 (en) A brush switch with resistor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455776B2 (en) Push switch
WO2013114744A1 (ja) 接触部材
KR100363463B1 (ko) 스위치 및 스위치의 부착구조
JP2002329556A (ja) 可動型コネクタ
JPH09147652A (ja) 摺動スイッチの接点構造
JP2005183138A (ja) 二段スイッチ
JP2013026204A (ja) 接触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