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914A -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914A
KR20040057914A KR1020030084354A KR20030084354A KR20040057914A KR 20040057914 A KR20040057914 A KR 20040057914A KR 1020030084354 A KR1020030084354 A KR 1020030084354A KR 20030084354 A KR20030084354 A KR 20030084354A KR 20040057914 A KR20040057914 A KR 20040057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rotocol
server
conversion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진
한상백
이희태
김병조
박성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040057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91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8Multiprotocol handlers, e.g. single devices capable of handling multiple protocol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단일한 제어단말기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동작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모두 제어 가능하게 하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제어서버와 제어단말기를 중계하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기를 구비하고, 제어프로토콜 변환기는 제어신호를 각 제어서버에 맞게 변환시킴으로써, 프로토콜이 다른 시스템간에 호환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제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제어서버의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변환기준수단, 수신신호를 상기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수단 및 변환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블루투스 제어신호 변환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Control Protocol Transl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한 제어단말기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동작하는 다양한 장치들을 모두 제어 가능하게 하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적외선 리모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리모콘 시스템은 가정에서 텔레비전, 전축, 비디오, 선풍기, 에어컨 등을 무선 조작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흔히 리모콘으로 통용되는 적외선 제어단말기(100)는 적외선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정해진 적외선 제어서버 주소와 입력된 적외선 제어 명령을 특정 방식으로 인코딩하고 특정 캐리어 주파수로 변조하여 송신한다.
텔레비전, 전축, 비디오 등의 적외선 제어서버(200)는 상기 적외선 제어단말기(100)에 의해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가 적외선 제어서버 주소를 포함하면, 수신된 적외선 제어신호를 복조하고 디코딩하여 적외선 제어신호안에 포함된 서버 주소가 자신의 주소와 같으면 적외선 제어신호(300)에 포함된 명령을 수행한다.
한편, 하나의 적외선 제어단말기(100)로 여러 종류의 적외선 제어서버(200)들을 제어하기 위해서 적외선 제어단말기(100)는 적외선 제어서버 주소를 입력할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적외선 제어단말기(100)는 선택된 적외선 제어서버(200)와 통신가능 하도록 인코딩하는 인코딩 장치 및 캐리어 주파수를 이용하여 적외선 송신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적외선 제어신호(300)는 적외선 수신부 제어를 위한 비트, 적외선 제어서버 주소, 명령으로 구성된 논리 신호들을 인코딩하여 변조 주파수가 x인 적외선 캐리어에 변조된 적외선 신호로 정의된다.
적외선 제어신호를 인코딩하는 방식은 Grundig code, NEC code, RC5 code, RC6 code, RCMM code, RCS-80 code, R-2000 code, RCA code, Sharp code, Sony 12-bit code, Sony 15-bit code, Sony 20-bit code, Zenith code, High data rate code 등이 있다.
그 중에서 국제표준을 따르는 RECS 80 코드는 펄스 길이 변조방식을 사용한다. 주기 T의 하이레벨 펄스 다음 주기 2T의 로우레벨 펄스가 따라오면 논리신호 "0"을 나타내며, 주기 T의 하이레벨 펄스 다음 주기 3T의 로우레벨 펄스가 따라오면 논리신호 "1"을 나타낸다. 즉, "0" 신호의 심볼 길이는 3T이고 "1" 신호의 심볼 길이는 4T로 "1"을 나타내는 심볼이 더 길다.
한편, RC5 방식은 하이레벨에서 로우레벨로의 천이로 논리신호 "0"을 나타내며, 로우레벨에서 하이레벨로의 천이로 논리신호 "1"을 나타낸다. 즉, 논리신호 "0"과 "1"에 같은 길이의 심볼들을 사용한다. 논리 신호들로 이루어진 제어 명령을 통상 IR 송신단에 직접 인가하기 보다는 수십 kHz의 캐리어에 변조하여 송신한다.이때 캐리어 주파수는 제조사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대략 20-40kHz 대역이다.
발광 전등이 잡음의 원천이 될 수 있으므로, 적외선은 통과시키고 가시광은 차단하는 광학적인 필터 뒤에 놓인 광다이오드가 적외선 수신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광다이오드의 신호를 캐리어 주파수에 조정된 필터에 입력하고 필터의 출력을 증폭한 후, 이를 AM 라디오 수신부처럼 복조하여 잡음으로부터 신호를 구별할 수 있다. 이 때, 가까운 거리에서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신호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증폭하기 위한 자동가변증폭기가 필요할 수 있다.
RC5 코드의 경우 모든 명령은 14 비트로 인코딩된다. 첫번째 2비트는 적외선 제어서버에 장착된 적외선 수신기의 자동가변증폭기를 조절하고 동기화를 위한 스타트비트(S)이고, 다음은 새로운 키 입력마다 끼워지는 1비트 펄스(T)이고, 다음은 명령에 반응하게 되는 4비트 장치의 주소(A4,A3,A2,A1,A0) 이고, 마지막 6비트는 명령 (C5, C4, C3, C2, C1, C0)이 따른다.
즉, | S | S | T | A4 | A3 |A2 | A1 | A0 | C5 | C4 | C3 | C2 | C1 | C0 |로 구성된 14비트가 RC5 코드가 된다. 따라서, RC5 코드의 경우 총 32개의 적외선 제어서버 주소와 64개의 ID로 구별되는 명령들을 표시할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적외선 제어서버(200)들을 동일한 적외선 변복조 방법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적외선 제어서버(200)를 주소로 구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적외선 제어서버(200)의 주소를 예를 들면 아래 표1과 같다.
주소 디바이스
0 TV1
1 TV2
5 VCR1
6 VCR2
17 Tuner
18 Audio Tape
19 CD Player
또한, 적외선 제어서버(200)에 전송되는 주요한 명령을 예를 들면 아래 표2와 같다.
명령번호 의미
0 - 9 채널 설정
12 준비(standby)
16 볼륨 증가
17 볼륨 감소
18 밝기 증가
19 밝기 감소
50 빠른 되감기
52 빠른 재생
53 플레이
54 멈춤
55 복사
한편, 최근에 적외선 근거리 통신 이외에 CEBus, LonWorks, X-10, 단순제어 프로토콜(Simple Control Protocol), 블루투스(Bluetooth), WLAN, 이더넷(Ethernet), USB , 시리얼(Serial) 등의 여러가지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등장하고 있다.
그 중 블루투스는 장애물 특성, 방향성, 전력, 비용 등을 고려할 때 제어단말기 및 제어서버 시스템에 매우 적합하기 때문에 가장 주목받고 있는 기술이다.
블루투스 시스템의 기본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블루투스 접속 시스템의 단말기는 접속점을 탐색하기 위하여 인콰이어리 상태로 진입을 하고, 접속점은 주변의 접속점을 찾기 위한 인콰이어리(Inquiry) 스캔 상태로 진입을 한다. 접속점은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에서 인콰이어리를 위한 ID 패킷을 받으면,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 이전의 상태로 진입했다가 0 내지 64ms 시간동안 대기한다. 이 때 외부로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으면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에 재 진입을 하게 되고, 만일 단말기로부터 인콰이어리를 위한 ID 패킷을 받으면 접속점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는 인콰이어리 스캔 하위 상태로 진입하여 서로 다른 블루투스 장치들 간에 주파수를 동조하기 위한 정보가 담긴 FHS(Frequency Hopping Synchronization) 패킷을 전송한다. 블루투스 디바이스는 FHS 패킷을 전송한 다음 인콰이어리 홉시퀀스(Hop Sequence)의 오프셋을 '1' 증가 시키고 다시 인콰이어리 스캔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동작하는 블루투스 제어단말기-제어서버 시스템은 다양한 방면에서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지만 탐색 과정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블루투스 단말기가 정방형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8개의 접속점의 탐색을 위해서는 최소한 2.56초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고, 접속점과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데이터 전송중일 경우에는 탐색 시간이 더욱 길어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적외선 제어시스템과 블루투스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은 제어 프로토콜이 다르기 때문에 서로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제어단말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미 널리 보급된 적외선 제어시스템과 최근에 점차 이용이 증가하는 블루투스 시스템의 제어 프로토콜을 상호 변환시켜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제어서버와 제어단말기를 중계하는 제어프로토콜 변환기를 구비하고, 제어프로토콜 변환기는 제어신호를 각 제어서버에 맞게 변환시킴으로써, 프로토콜이 다른 시스템간에 호환이 가능하게 하는 제어 프로토콜을 변환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적외선 리모콘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토콜 변환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토콜 변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가상서버-서버주소 변환표와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적외선 제어 프로토콜 변환기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적외선 제어 프로토콜 변환기의 하드웨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제어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제어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어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제어서버의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변환기준수단, 수신신호를 상기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수단 및 변환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송신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1제어신호를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의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신호를 상기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일한 사용자 입력장치를 통해 'TV1'과 같은 가상서버와 '채널변경'과 같은 가상명령을 입력받아, 자동으로 가상서버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고, 해당 통신 프로토콜을 선택하여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프로토콜 변환 시스템이다.
사용자가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을 입력하면, 가상서버-서버주소 변환표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 서버 주소, 및 명령번호 변환표 인덱스를 검색하고, 언급한 인덱스의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에서 가상명령에 해당하는 명령번호를 검색하여, 상기 서버주소 및 명령번호를 이용하여 해당 통신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명령번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서버주소에 해당하는 제어서버로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원리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토콜 변환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어 프로토콜 변환 시스템은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10000), 명령을 입력하는 제어단말기(20000) 및 제어단말기의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서버(30000)로 구성된다.
제어프로토콜 변환장치(10000)는 제1수신모듈(11000), 제어프로토콜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13000) 및 제2송신모듈(12000)을 포함한다.
제어단말기(20000)는 제1송신모듈(22000)과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 입력모듈(21000)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프로토콜 변환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서 언급한 각 구성요소와 함께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제어단말기(20000)의 입력모듈(21000)을 이용하여 가상서버와 가상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단말기(20000)의 제1송신모듈(22000)은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입력된 가상서버와 가상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40000)를 제어프로토콜 변환장치(10000)에 전송한다.
제어프로토콜 변환장치(10000)의 제1수신모듈(22000)은 전송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제어프로토콜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13000)은 서버주소 및 명령번호 변환표를 검색하여 제어명령의 대상이 되는 제어서버(30000)의 주소와 명령번호를 추출한다.
이후에 제어프로토콜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13000)은 추출된 서버주소를 이용하여 통신 프로토콜에 부합하고 명령번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작성한다.
제2송신모듈(12000)은 상기 추출된 제어서버(30000)에 명령번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50000)를 전송하고, 제어서버(30000)는 상기 명령번호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서버-서버주소 변환표와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의 예시도이다.
제어단말기(20000)로부터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가 제어프로토콜 변환장치(10000)에 수신되면, 제어프로토콜 변환 소프트웨어 모듈(13000)은 도 4에 도시된 프로토콜, 서버주소, 명령번호 변환표를 참조하여, 가상서버에 해당하는 제어서버를 제어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과, 통신 프로토콜상의 서버주소, 명령번호를 획득하고, 명령번호를 포함하는 제어신호(50000)를 상기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서버주소에 해당하는 제어서버(30000)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가상서버에 해당하는 서버주소가 없는 경우 해당 가상서버는 원격제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에서 해당 명령번호를 찾을 수 없는 경우 서버주소에 해당하는 제어서버(30000)는 가상명령번호에 해당하는 명령을 지원하지않는다.
또한, 가상서버에 해당하는 서버주소들이 복수인 경우, 프로토콜에 할당된 번호가 가장 작은 프로토콜의 서버주소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가상서버가 'TV1'이고 가상명령이 '볼륨증가'라면, 도 4에서 'TV1'이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및 RC5 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프로토콜에 할당된 번호가 가장 작은 프로토콜은 블루투스이므로, 서버주소는 BD_ADDR1이고,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의 인덱스는 1이 된다. 따라서, 가상명령 '볼륨증가'를 나타내는 명령번호는 '16'임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가상서버가 'CD Player' 이라면, 도 4에서 'CD Player'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은 오로지 블루투스이므로 서버주소는 BD_ADDR2이며, 해당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 인덱스는 4가 된다.
하지만, 가상명령이 '밝기증가'일 경우 해당 인덱스의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에는 가상명령이 '밝기증가'에 해당하는 명령번호가 없으므로, 가상서버 'CD Player'는 가상명령 '밝기증가'를 지원하지 않는 것이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블루투스 제어단말기를 이용하여 종래의 적외선 제어서버를 제어하는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한 효과를 명확히 할 뿐이지 다른 기종 제어 프로토콜의 변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블루투스 접속점의 물리적 위치는 접속 장치 또는 단말기 수단이 보유하는 각각의 블루투스 디바이스들의 안테나 위치이다. 특정 접속점의 근처 접속점들은 특정 접속점과 통신 가능한 거리에 있는 단말기가 접속 가능한 근처의 모든 접속점들을 지칭한다. 통상적으로 접속 가능한 접속점들간의 거리는, 전파 환경에 따라 다르나, 블루투스 스팩에 따르면 대략 10m 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적외선 프로토콜 제어신호 변환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적외선 프로토콜 제어신호 변환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며 제어프로토콜 변환 장치(10000)를 설명한다.
전원 off/on과 같은 하드웨어 리셋시 레지스터 설정부(11510)에 의해 작동 모드가 결정된 주연산부(11500)는 비휘발성 메모리부(11520)에 기록되어 있는 부트로더(11010)를 실행한다. 실행된 부트로더(11010)는 주 메모리부(11530)를 초기화 시키고, 오퍼레이팅 시스템(11020)을 구동시키며, 오퍼레이팅 시스템(10020)의 구동에 반드시 필요한 주메모리부(11530)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비휘발성 메모리부(115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이미지 위치등을 오퍼레이팅 시스템(10020)에 전달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10020)은 부트로더(11010)로부터 넘겨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작동된다. 구동스크립트(10030)는 필요한 오퍼레이팅 시스템(10020)의 모듈 및 HCI 통신부 구동 소프트웨어(11010), 블루투스 HCI 프로토콜(11020), 블루투스 L2CAP 프로토콜(11030), 블루투스 SDP 프로토콜 (11040), 블루투스 PAN 프로화일 (11050), IP 프로토콜 (11060), 가상서버-서버주소 및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모듈(13010), 송신모듈 구동 소프트웨어(12010), 송신 프로토콜 소프트웨어(12020)를 구동하고 초기화 한다.
이때, 제1수신모듈(11000)의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L2CAP 및 SDP 프로토콜을 최소한 포함하며, 블루투스 PAN 프로화일과 IP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어프로토콜 변환 모듈(13000)과 L2CAP 프로토콜을 통한 연동 수단은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토콜(Service Discovery Protocal; SDP) 계층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될 수도 있다. 변환 모듈(13010)은 도 4에 예시된 것과 유사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가상서버에 해당하는 통신 프로토콜 종류, 서버 주소와 가상명령에 해당하는 명령번호를 구하고, 송신모듈 구동 소프트웨어(12010) 및 송신 프로토콜 소프트웨어(12020)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서버주소가 가리키는 제어서버(30000)로 명령번호를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에 가상서버에 해당하는 서버주소가 없으면, 해당 가상서버는 원격제어를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가상명령-명령번호 변환표에서 해당 명령번호를 찾을 수 없으면, 서버주소에 해당하는 제어서버가 가상명령에 해당하는 명령을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가상서버에 해당하는 서버주소가 유일하지 않고 복수라면, 제어서버가 지원하는 프로토콜 중 번호가 낮은 서버주소 및 명령번호를 선택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적어도 1개 이상의 블루투스 접속점을 보유하는 블루투스 접속장치(11000)는 주연산부(11500), 주연산부(11500)에 전기적으로 연결(11511)을 통해 연결되는 레지스터 설정부(11510), 비휘발성 메모리 전기적 연결(11521)을 통해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부(11520), 주메모리 전기적 연결(11531)을 통해 연결된 주메모리부(11530), 주연산부(115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전기적 연결 수단(11610)을 통해 연결되는 HCI 통신부(11600), 주연산부(11500)와 적외선 송신 모듈 전기적 연결 수단(12520)으로 연결되는 적외선 송신 모듈(12500), HCI 통신부(115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전기적 연결 수단(11620)을 통해 연결된 블루투스 디바이스(11640)를 포함한다.
주연산부(11500)는 자료처리 및 주변 장치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연산장치(미도시)와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하고, 제어장치와 연상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연산의 임시결과나 처리할 자료의 위치 등을 기록하는 임시 기억공간인 레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지스터 설정부(11510)는 전원 on/off와 같은 하드웨어 리셋시 초기에 수행하여야 하는 코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연산부(11500) 동작에 필수적인 레지스터 값들을 전기적으로 연결(11511)을 통해 항상 주연산부(11500)에게 알려준다. 통상 레지스터 설정부(11510)는 GND 또는 GCC 전원에 한쪽 단자가 연결된 저항들로 구성되고, 전기적으로 연결(11511)은 래취를 통해 언급한 저항들의 다른 단자들과 주연산부 버스를 연결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부(11520)는 통상 플래쉬메모리를 프로그램 및 데이터 이미지가 저장되고, 주연산부(11500)와의 전기적 연결 (11521)은 칩셀렉트,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컨트롤 버스를 포함한 제어수단을 통해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플래쉬메모리는 쓰기 가능 핀의 전압을 제어하여 물리적으로 쓰기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
주메모리부(11530)는 통상 SDRAM을 사용하고, 주연산부(11500)와의 전기적 연결(11531)은 칩셀렉트,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컨트롤 버스를 포함한 제어수단을 통해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HCI 통신부(11600)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이상을 갖는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이상을 갖는 UART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이상을 갖는 이더넷 인터페이스(media independent interface(MII) 또는 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RMII))를 포함한다.
제 1 전기적 연결 수단(11610)은 칩셀렉트, 데이터버스, 어드레스버스 및 인터럽트 수단을 통해 HCI통신부(11600)와 주연산부(11500)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 수단을 제공한다.
제 2 전기적 연결 수단(11620) 통신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변조 기능을 반드시 포함한다. 연결 수단(11620)과 길이가 0m 이상인 케이블 연결 수단(11630)은 HCI통신부(11600)와 블루투스 디바이스(11640)들 사이의 안정적인 양방향 데이터 전송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HCI통신부(11600)와 블루투스 디바이스(11640)들 사이의 안정적인 양방향 데이터 전송 거리를 더욱 확장하기 위해, 복수개의 리피터와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즉, HCI 통신부(11600)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함) 인터페이스인 경우, 리피터 기능을 하는 USB 허브의 개수와 USB 케이블의 길이가 안정적인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 중요하다.
다른 예로서는 HCI 통신부(11600)가 이더넷 인터페이스(media independent interface(MII) 또는 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RMII))인 경우, 이더넷통신을 위한 카타고리-5 비차폐 트위스트 페어(Unshielded Twisted Pair; UTP) 케이블과 리피터 역할을 하는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디바이스(11640)들은 블루투스 스팩 1.0B 이상을 사용한다. 적외선 송신 모듈 전기적 연결 수단 (12510)은 주연산부(120)로부터 전달된 전기적 신호를 적외선 송신 모듈(12500)에 전달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제어단말기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제어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며 블루투스 제어단말기(20000)를 설명한다.
전원 off/on과 같은 하드웨어 리셋시 레지스터 설정부(22510)에 의해 작동 모드가 결정된 주연산부(22500)는 비휘발성 메모리부(22520)에 기록되어 있는 부트로더(20010)를 실행한다. 실행된 부트로더(20010)는 주메모리부(22530)를 초기화 시키고, 오퍼레이팅 시스템(20020)을 구동시키며, 오퍼레이팅 시스템(20020)의 구동에 반드시 필요한 주메모리부(22530)의 크기 및 위치 정보와 비휘발성 메모리부(225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이미지 위치등을 오퍼레이팅 시스템(20020)에 전달한다. 오퍼레이팅 시스템(20020)은 부트로더(20010)로부터 넘겨받은 정보를 이용하여 작동된다. 구동 스크립트(20030)는 필요한 오퍼레이팅 시스템(20020)의모듈 및 HCI 통신부 구동 소프트웨어(22010), 블루투스 HCI 프로토콜(22020), 블루투스 L2CAP 프로토콜(22030), 블루투스 SDP 프로토콜 (22040), 블루투스 PAN 프로화일 (22050), IP 프로토콜 (22060), 입력 장치 구동 소프트웨어(21010),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 입력 모듈(21020)을 구동하고 초기화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적어도 1개 이상의 블루투스 접속점을 보유하는 블루투스 접속장치(22000)는 주연산부(22500), 주연산부(22500)에 전기적으로 연결(22511)을 통해 연결되는 레지스터 설정부(22510), 비휘발성 메모리 전기적 연결(22521)을 통해 연결된 비휘발성 메모리부(22520), 주메모리 전기적 연결(22531)을 통해 연결된 주메모리부(22530), 주연산부(225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전기적 연결 수단(22610)을 통해 연결되는 HCI 통신부(22600), 주연산부(22500)와 제 3 전기적 연결 수단 (21520)으로 연결되는 적외선 송신 모듈(21500), HCI 통신부(225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전기적 연결 수단(22620)을 통해 연결된 블루투스 디바이스(22640)를 포함한다.
주연산부(22500)는 자료처리 및 주변 장치의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연산장치(미도시)와 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하고, 제어장치와 연상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연산의 임시결과나 처리할 자료의 위치 등을 기록하는 임시 기억공간인 레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지스터 설정부(22510)는 전원 on/off와 같은 하드웨어 리셋시 초기에 수행하여야 하는 코드의 위치를 포함하는 주연산부(22500) 동작에 필수적인 레지스터 값들을 전기적으로 연결(22511)을 통해 항상 주연산부(22500)에게 알려준다. 통상레지스터 설정부(22510)는 GND 또는 GCC 전원에 한쪽 단자가 연결된 저항들로 구성되고, 전기적으로 연결(22511)은 래취를 통해 언급한 저항들의 다른 단자들과 주연산부 버스를 연결한다.
비휘발성 메모리부(22520)는 통상 플래쉬메모리를 프로그램 및 데이터 이미지가 저장되고, 주연산부(22500)와의 전기적 연결 (22521)은 칩셀렉트,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컨트롤 버스를 통해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플래쉬메모리는 쓰기 가능 핀의 전압을 제어하여 물리적으로 쓰기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었다.
주메모리부(22530)는 통상 SDRAM을 사용하고, 주연산부(22500)과의 전기적 연결(22531)은 칩셀렉트, 데이터 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컨트롤 버스 포함한 제어수단을 통해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읽고 쓸 수 있다.
HCI 통신부(11600)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이상을 갖는 USB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이상을 갖는 UART 호스트 인터페이스 또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 이상을 갖는 이더넷 인터페이스(media independent interface(MII) 또는 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RMII))를 포함한다.
제 1 전기적 연결 수단(22610)은 칩셀렉트, 데이터버스, 어드레스버스 및 인터럽트 수단을 통해 HCI통신부(22600)와 주연산부(22500) 사이의 양방향 데이터 전송 수단을 제공한다.
제 2 전기적 연결 수단(22620) 통신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한 변조 기능을 반드시 포함한다. 연결 수단(22620) 과 길이가 0m 이상인 케이블 연결 수단(22630)은HCI통신부(22600)와 블루투스 디바이스(22640)들 사이의 안정적인 양방향 데이터 전송 거리를 확장할 수 있다. HCI통신부(22600)와 블루투스 디바이스(22640)들 사이의 안정적인 양방향 데이터 전송 거리를 더욱 확장하기 위해, 복수개의 리피터와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즉, HCI 통신부(22600)가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라 함) 인터페이스인 경우, 리피터 기능을 하는 USB 허브의 개수와 USB 케이블의 길이가 안정적인 양방향 데이터 전송에 중요하다. 다른 예로서 HCI 통신부(22600)가 이더넷 인터페이스(media independent interface(MII) 또는 reduced media independent interface(RMII))인 경우, 이더넷통신을 위한 카타고리-5 비차폐 트위스트 페어(Unshielded Twisted Pair; UTP) 케이블과 리피터 역할을 하는 허브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디바이스(22640)들은 블루투스 스팩 1.0B 이상을 사용한다.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을 입력하는 장치로서 종래의 키패드 또는 터치패드로 구현된 입력 장치 (21500)는 입력장치 전기적 연결 수단 (21510)을 이용하여 주연산부(22500)에 입력 내용을 전달한다.
사용자가 입력 장치 구동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을 입력하면, 변환 모듈(21020)에서 해당 가상서버와 가상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신호를 작성하고 이를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통해 미리 정해진 변환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한 시스템간에 호환이 가능하게 한다. 즉, 단일의 제어단말기를 통해 다양한 프로토콜의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 프로토콜 변환기에 의해 블루투스 장치의 접속점 탐색시간을 생략할 수 있음으로써 블루투스 장치의 동작시간을 빠르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제어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를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
    상기 제어서버의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변환기준수단;
    수신신호를 상기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변환수단; 및
    변환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송신수단
    을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신호는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준수단은 상기 제어서버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서버주소 및 명령번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변환수단은
    상기 가상서버를 상기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서버주소로 변환하는 서버주소 변환부,
    상기 가상명령을 상기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명령번호로 변환하는 명령번호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서버주소와 명령번호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부
    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수단은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적외선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수단은
    적외선 프로토콜을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5. 제어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제1제어신호를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1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서버의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상기 수신신호를 상기 제어서버에 부합하는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신호는 가상서버 및 가상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변환기준수단은 상기 제어서버의 프로토콜을 따르는 서버주소 및 명령번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토콜 변환 단계는
    상기 가상서버를 상기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서버주소로 변환하는 서버주소 변환 단계,
    상기 가상명령을 상기 변환기준수단에 근거하여 대응되는 명령번호로 변환하는 명령번호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서버주소와 명령번호를 포함하는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 단계는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적외선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변환 단계는
    적외선 프로토콜을 블루투스 프로토콜로 변환시키는
    제어 프로토콜 변환 방법.
KR1020030084354A 2002-12-23 2003-11-26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579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2391 2002-12-23
KR20020082391 2002-12-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914A true KR20040057914A (ko) 2004-07-02

Family

ID=37350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354A KR20040057914A (ko) 2002-12-23 2003-11-26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791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55B1 (ko) * 2006-07-12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 영역 무선망에서 다수의 프로토콜이 수용된 공통플랫폼을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881191B1 (ko) * 2007-03-27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프로토콜 씨리얼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에 따른soc 장치
KR20150018663A (ko) * 2013-08-07 2015-02-24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데이터 처리를 통한 물체 및 위치 인식으로 사용자 맞춤형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215B1 (ko) * 2015-10-20 2017-03-30 (주)맑은기술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될 수 있는 스토리지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60859A (ko) * 2020-11-05 2022-05-12 용남순 프로토콜 변환 및 주소 부여형 리피터를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433B1 (ko) * 1997-10-10 1999-11-01 전주범 가전제품 중앙집중식 제어장치
WO2001073720A1 (en) * 2000-03-24 2001-10-04 Tvcompass Ltd.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KR20020002218A (ko) * 2000-06-30 2002-01-09 포만 제프리 엘 통신 프로토콜 변환기를 갖는 다기능 도크 및 라우터
KR20020019607A (ko) * 2000-06-09 2002-03-12 요트.게.아. 롤페즈 모듈러 원격 제어 디바이스
KR20020033969A (ko) * 2000-10-31 2002-05-08 변봉덕 통합형 리모콘 장치
KR20030023041A (ko) * 2001-09-11 2003-03-19 (주)에이딕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한 론웍스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7433B1 (ko) * 1997-10-10 1999-11-01 전주범 가전제품 중앙집중식 제어장치
WO2001073720A1 (en) * 2000-03-24 2001-10-04 Tvcompass Ltd. Remote control interface for converting radio remote control signals into infrared remote control signals
KR20020019607A (ko) * 2000-06-09 2002-03-12 요트.게.아. 롤페즈 모듈러 원격 제어 디바이스
KR20020002218A (ko) * 2000-06-30 2002-01-09 포만 제프리 엘 통신 프로토콜 변환기를 갖는 다기능 도크 및 라우터
KR20020033969A (ko) * 2000-10-31 2002-05-08 변봉덕 통합형 리모콘 장치
KR20030023041A (ko) * 2001-09-11 2003-03-19 (주)에이딕 적외선 리모콘을 이용한 론웍스 프로토콜 변환장치 및 그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755B1 (ko) * 2006-07-12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인 영역 무선망에서 다수의 프로토콜이 수용된 공통플랫폼을 이용한 통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881191B1 (ko) * 2007-03-27 2009-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프로토콜 씨리얼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에 따른soc 장치
KR20150018663A (ko) * 2013-08-07 2015-02-24 한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데이터 처리를 통한 물체 및 위치 인식으로 사용자 맞춤형 생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721215B1 (ko) * 2015-10-20 2017-03-30 (주)맑은기술 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될 수 있는 스토리지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220060859A (ko) * 2020-11-05 2022-05-12 용남순 프로토콜 변환 및 주소 부여형 리피터를 이용한 조명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2756B2 (en) Legacy device bridge for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networks
US20180374340A1 (en) Relaying key code signals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US8558676B2 (en) Digital interconnect of entertainment equipment in the home
US6781518B1 (en) Digital interconnect of entertainment equipment
US6784804B1 (en) Digital interconnect of entertainment equipment
JP429310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方法、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並びに電子機器
EP2276009B1 (en) Digital interconnection of electronics entertainment equipment
US20110144778A1 (en) Smart Audio Plug-in for Enabling Smart Portable Device to be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110153885A1 (en) Plug-in Peripheral Device for Enabling Smart Portable Device to be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060277580A1 (en) Infrared signal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665024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a home appliance communications network
US6771164B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local devices
US20040155809A1 (en) Infrared remote control command network pass-through
KR20040057914A (ko) 제어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US11984022B2 (en) Communicating discovery information from remote control devices
CN1607736A (zh) 视/音频、多制式电视无线传送及控制装置
JP4968934B2 (ja) 電力線通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218574A (zh) 用于住所或非住所网络的传统部件桥
AU2004202539A1 (en) Digital Interconnection of Electronics Entertainment Equipment
JP2000078671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ユニットおよび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20050050446A (ko) 전력선 통신이 필요없는 가전 장치 직접 무선 제어 장치및 방법
JP2000196639A (ja) 送信方法、受信方法、通信方法及び双方向バ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