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7136A -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셋 탑 박스 - Google Patents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셋 탑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7136A
KR20040057136A KR1020020083589A KR20020083589A KR20040057136A KR 20040057136 A KR20040057136 A KR 20040057136A KR 1020020083589 A KR1020020083589 A KR 1020020083589A KR 20020083589 A KR20020083589 A KR 20020083589A KR 20040057136 A KR20040057136 A KR 200400571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site
changing
signal
internet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7136A/ko
Publication of KR20040057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71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2Web browsing, e.g. WebT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7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셋 탑 박스에 관한 것으로, 채널로 지정할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하는 제 1단계; 선택된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등록하는 제 2단계; 등록된 채널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제 3단계; 송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인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및 판단된 결과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뎀; 리모콘 수신부; 해당하는 신호에 따라 적합한 변조를 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RF수신부; 상기 사이트 주소와 상기 채널 번호를 등록하거나 상기 주소를 수정하거나 할당된 번호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채널 등록부; 및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채널이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해당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셋 탑 박스{METHOD FOR CHANGING THE INTERNET SITE BY ASSIGNING THE SITE TO THE CHANNEL AND THE SETTOP BOX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셋 탑 박스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 번호로 할당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채널에 따라 채널 변경을 위한 신호를 송출하고,셋 탑 박스의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판단함으로써 판단 결과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도록 하여 마치 TV 채널을 변경하듯이 인터넷 사이트를 변경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TV는 일반 TV의 기능과 인터넷 브라우저의 기능을 결합한 장치로서, TV모드에서는 일반 TV방송을 시청할 수 있으며, 브라우저 모드에서는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TV용 브라우저는 키보드와 마우스가 있는 경우, 일반 PC용 브라우저와 사용 방법이 동일하다. 즉, 도 1에서 보듯이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이트를 이동하기 위해선 첫째, 주소 입력 창에 키보드로 직접 입력하거나 둘째, 마우스로 북마크(즐겨 찾기)를 클릭하거나, 셋째, 리모콘으로 북마크 메뉴를 열고 방향키를 이동하여 선택하는 방식 등 이 세 가지 방식 중 한가지 방식을 취해야 했다. 이 중 첫째와 둘째 방식은 상기하였듯이 일반 PC에서의 방식과 동일하며,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셋째 방식인 리모콘을 이용한 방식으로 사이트를이동해야 한다. 그러나, 리모콘 상의 메뉴 버튼을 눌러 원하는 사이트로 커서를 이동시켜서 가는 세번째 방식은 사용자로 하여금 리모콘 조작을 많이 하도록 요구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인터넷 접속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의 경우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특정 웹 사이트를 검색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인터넷 TV에서 인터넷을 적극 활용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 번호로 할당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채널에 따라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마치 TV 채널을 변경하듯이 리모콘의 번호 키 입력만으로 인터넷 사이트를 이동할 수 있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셋 탑 박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TV에서 사이트 변경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셋 탑 박스의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4b는 리모콘에 브라우저 모드가 따로 없는 경우에 채널 변경의 실시예를 보여 주는 참고도.
도 5는 리모콘에 TV모드와 브라우저 모드를 별개로 구비한 경우에 채널 변경의 실시예를 보여 주는 참고도.
도 6은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등록해 놓은 실시예를 보여 주는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200: 제어부 210: 모뎀
220: 키보드 컨트롤러 230:리모콘 수신부
240: 메모리부 250: 채널 등록부
260: 비디오/오디오 프로세서 270: RF 수신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은, 채널로 지정할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하는 제 1단계; 선택된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등록하는 제 2단계; 등록된 채널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제 3단계; 송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인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및 판단된 결과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것을 이용한 셋 탑 박스는, 웹 브라우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변복조 장치인 모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공중파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디지털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신호에 따라 적합한 변조를 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RF수신부; 인터넷 사이트 주소와 그 주소를 채널 번호로 할당하는 것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사이트 주소와 상기 채널 번호를 등록하거나 상기 주소를 수정하거나 할당된 번호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채널 등록부; 및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채널이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해당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술하였듯이, 종래 기술에 따른 인터넷 TV에서 사이트 변경 방식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셋 탑 박스의 블럭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터넷 셋 탑 박스는, 모뎀(210), 키보드 컨트롤러(220), 리모콘 수신부(230), 메모리부(240), 채널 등록부(250), 비디오/오디오 프로세서(260), RF수신부(270), 및 제어부(2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모뎀(210)은 인터넷 망에 접속되어 웹 브라우징을 위해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변복조 장치이며, 상기 리모콘 수신부(230)는 셋 탑 박스의 전면에 설치되며, 사용자가 채널로 할당하여 등록한 인터넷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하여 리모콘을 통하여 송출한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한다.
상기 메모리부(240)는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이를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롬과, 웹 브라우징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가 저장되는 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채널 등록부(25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인터넷 사이트의 주소와 그 사이트의 주소를 채널 번호로 할당하는 것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하는 곳으로서,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 번호를 등록하거나 상기 주소를 수정, 할당된 번호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디오/오디오 프로세서(260)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받은 영상 및 음성 신호를 TV에서 수신 가능한 포맷의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RF 수신부(270)는 공중파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디지털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신호에 따라 적합한 변조를 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케이블 방송일 경우 상기 RF수신부(270)는 유선 수신기로 대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메모리부(240)와 상기 채널 등록부(250)에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웹 브라우저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상기 키보드 컨트롤러(220)나 상기 리모콘 수신부(23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채널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즉, TV 채널을 디스플레이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230)로부터 수신된 채널이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에 할당된 채널인지를 상기 채널 등록부(250)에 등록되어 있는 사이트에 관한 정보를 인출하여 판단한후, 그 결과가 TV채널로 판단된 경우는 상기 RF수신부(270)를 적절히 제어하여 해당 채널을 수신하고 이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화면을 TV로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그 판단 결과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인 경우에는 브라우저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데, 그 경로를 살펴보면 상기 모뎀(210)을 통해 인터넷 영상 신호가 수신되며 이는 제어부(200)로 출력되고 상기 비디오/오디오 프로세서(26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채널이 있는 반면 그렇지 않는 채널도 있는데, 이러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사용자가 즐겨 찾는 인터넷 사이트에 할당하여 사용자가 TV채널 변경을 하듯 인터넷 사이트를 이동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먼저 사용자는 즐겨 사용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지정하기 위하여 그 사이트를 선택하여야 하며(S302), 상기 선택된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상기 채널 등록부(250)에 등록하게 된다(S304). 그리고 난 후, 사용자는 상기 등록된 채널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송출하게 된다(S306).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230)로부터 입력된 리모콘 신호를 분석하여 그 신호가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인지를 판단하게 된다(S308). 판단된 결과에 따라 그 신호가 TV채널을 변경하라는 명령인 경우(S310)는 TV채널로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며(S312),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변경하라는 명령인 경우(S320)는 그 채널에 해당되는 사이트로 이동하여 디스플레이하다(S322). 이때, 상기 브라우저 채널이 상기 채널 등록부(250)에 등록된 채널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사이트와 그 사이트에 할당된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으로 이동한다(S330). 따라서, 사용자는 이 화면에서 등록되어 있는 채널에 따라 다시 신호를 송출하던지(S306), 아니면 원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상기 채널 등록부(250)에 새로이 등록시키거나, 수정, 또는 삭제시키는 소정의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도 4a, 4b는 리모콘에 브라우저 모드가 따로 없는 경우에 채널 변경의 실시예를 보여 주는 참고도이다.
도 4a는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다가 채널 변경을 위한 리모콘 신호를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TV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S402)에서 TV를 시청하다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한다(S404).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셋 탑 박스의 상기 리모콘 수신부(230)로 입력된 신호를 보고 그 신호가 TV채널을 변경하라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406). TV채널에 대한 신호인 경우는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RF수신부(270)를 제어하여 TV채널을 변경하며(S408), TV채널에 대한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인터넷 사이트에 할당된 브라우저 채널을 변경하라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그 브라우저 채널이 상기 채널 등록부(250)에 등록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게 된다(S410). 만약, 브라우저 채널을 변경하라는 신호이고, 그 채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셋 탑 박스의 제어부(200)는 브라우저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고 수신하고 있던 TV화면을 더 이상 수신하지 않는다. 상기 동작된 브라우저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그 신호에 해당하는 사이트로이동시킨다(S412). 그러나 그 신호에 해당하는 브라우저 채널이 상기 채널 등록부(S25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원래 디스플레이 되고 있던 채널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사이트와 그 사이트에 할당된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으로 이동한다.
도 4b는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인터넷을 하다가 채널 변경을 위한 리모콘 신호를 입력한 경우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S420)에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하여 채널 변경 신호를 리모콘 수신부(230)로 입력한다(S422).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셋 탑 박스의 상기 리모콘 수신부(230)로 입력된 신호를 보고 그 신호가 인터넷 브라우저 채널을 변경하라는 신호인지를 판단한다(S424). 브라우저 채널을 변경하라는 신호인 경우는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 브라우저 채널을 변경함으로써 사이트를 이동시킨다(S426). 만약, 브라우저 채널에 대한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일반 TV 채널을 변경하라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428). 일반 TV채널을 변경하는 신호인 경우는 그 신호에 따라 TV채널을 이동하게 되며(S430), 그 신호에 해당하는 TV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는 원래 디스플레이 되고 있던 브라우저 화면을 유지하거나 도 6의 화면처럼,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사이트와 그 사이트에 할당된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으로 이동시킨다.
도 5는 리모콘에 TV모드와 인터넷 브라우저 모드를 별개로 구비한 경우에 채널 변경의 실시예를 보여 주는 참고도이다. TV방송용 채널의 수가 많아지게 된다면 인터넷 사이트에 할당된 브라우저 채널의 숫자가 굉장히 커질 수 밖에 없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리모콘에 TV모드와 브라우저 모드를 별개로 구비하게 함으로써 설정된 각 모드에 따라 상기 셋 탑 박스의 제어부(200)가 판단을 하게 된다. 즉, TV모드 설정 상태에서는 TV채널이 변경되고, 브라우저 모드 설정 상태에서는 인터넷 사이트의 채널이 변경되는 것이다. 물론 TV용 리모콘과 브라우저용 리모콘을 별도로 사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도 있다.
도 5의 흐름을 설명하면, 초기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S502),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리모콘 신호를 입력한다(S504). 그러면, 상기 제어부(200)는 TV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506). TV모드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상기 제어부(200)는 TV의 채널을 변경하게 되고(S508), TV모드 상태가 아닌 경우라면 브라우저 모드라고 판단하게 된다(S510). 그리고 난 후, 상기 제어부(200)는 사용자가 이동하여 가려고 하는 인터넷 사이트에 할당된 해당 채널 번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S512), 해당 채널이 상기 채널 등록부(250)에 등록되어 있을 경우에는 그 사이트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S514). 그러나 상기 해당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제어부(200)는 도 6의 화면처럼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인터넷 사이트와 그 사이트에 할당된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한 화면으로 이동시킨다(S516). 그러면 다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그 화면 상에서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해 채널 변경 신호를 다시 입력할 수 있게 된다(S518). 물론 그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사이트를 새로운 채널 번호로 할당하여 추가 등록할 수 있으며, 할당된 번호를 변경하거나 수정할 수도 있으며, 원하지 않는 사이트는 삭제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은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등록해 놓은 실시예를 보여 주는 참고도이다. 위에서 상술한 것을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현재 제공되고 있는 공중 방송의 채널은 6(SBS), 7(KBS2), 9(KBS1), 11(MBC)이다. 그런데 사용자가 20번 대의 채널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21번은 야후 사이트, 22번은 동아일보, 27번은 삼성증권, 28번은 신한 은행 등으로 할당하여 등록을 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중 방송을 시청하다가 21번을 입력하면 야후 사이트에 접속을 하게 되며, 22번 채널을 입력하게 되면 동아일보 사이트에 접속을 하게 된다. 또한 이 상황에서 다시 11번을 입력하면 MBC 방송이 나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등록한 채널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에는 한 채널을 지정하여(예를 들어, 0번 채널), 도 6의 화면을 보여 주는 채널로 사용할 수 있다. 즉, 0번 채널을 누르면, 도 6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인터넷 TV의 사용자는 자주 방문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TV의 채널 번호로 할당하여 등록해 놓은 후 그 사이트로 이동하기 위해선 일일이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용하거나 리모콘의 방향키를 여러 번 조작할 필요없이 채널 번호의 입력만으로 그 사이트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인터넷 TV에서 기존의 방송 프로그램을 채널 번호를 선택해서 시청할 수 있듯이, 원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간단한 채널 변경만으로 접속할 수 있게 되므로 PC환경에 익숙치 않은 사용자들도 인터넷 TV에서 수월하게 인터넷을 즐길 수있게 된다.

Claims (7)

  1. 채널로 지정할 인터넷 사이트를 선택하는 제 1단계;
    선택된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등록하는 제 2단계;
    등록된 채널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제 3단계;
    송출된 신호를 분석하여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인지를 판단하는 제 4단계; 및
    판단된 결과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등록한 인터넷 사이트를 수정, 변경, 삭제시키는 작업을 더 포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상기 등록된 인터넷 사이트를 사용자의 설정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TV모드와 브라우저 모드를 별개로 구비한 상태에서 설정된 각 모드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5. 인터넷 TV의 셋 탑 박스에 있어서,
    웹 브라우징을 위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변복조 장치인 모뎀;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공중파 신호, 위성 방송 신호, 디지털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하여 해당하는 신호에 따라 적합한 변조를 하여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RF수신부;
    인터넷 사이트 주소와 그 주소를 채널 번호로 할당하는 것에 관련한 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상기 사이트 주소와 상기 채널 번호를 등록하거나 상기 주소를 수정하거나 할당된 번호를 변경 또는 삭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채널 등록부; 및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채널이 TV채널인지 인터넷 사이트를 할당한 채널인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해당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것을 이용한 셋 탑 박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등록부에 등록된 사이트를 사용자의 설정 순서에 따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것을 이용한 셋 탑 박스.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V모드와 브라우저 모드를 별개로 구비한 상태에서 설정된 각 모드에 따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것을 이용한 셋 탑 박스.
KR1020020083589A 2002-12-24 2002-12-24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셋 탑 박스 KR200400571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89A KR20040057136A (ko) 2002-12-24 2002-12-24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셋 탑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589A KR20040057136A (ko) 2002-12-24 2002-12-24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셋 탑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7136A true KR20040057136A (ko) 2004-07-02

Family

ID=3734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589A KR20040057136A (ko) 2002-12-24 2002-12-24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셋 탑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713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6170B2 (en) 2005-11-01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necting to internet vi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8763034B2 (en) 2007-04-11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network cont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6170B2 (en) 2005-11-01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necting to internet vi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EP2897359A1 (en) 2005-11-01 2015-07-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necting to internet via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8763034B2 (en) 2007-04-11 2014-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network con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730B1 (ko) 인터넷 검색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수신장치
KR100462107B1 (ko) 리모트코맨더 및 네트워크접속시스템
CN111314789B (zh) 显示设备和频道定位方法
US9032330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display method thereof
CN110996136B (zh) 视频资源的显示方法及装置
US8181198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dget service thereof via available channel or virtual channel
KR100323682B1 (ko) 인터넷 티브이 및 그 시청 제어방법
CN111625169B (zh) 一种遥控器浏览网页的方法及显示设备
CN104811780B (zh) 电子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11726673B (zh) 一种频道切换方法及显示设备
CN101383932A (zh) 信息处理系统及装置和方法、遥控器、程序和记录媒体
CN111045557A (zh) 焦点对象的移动方法及显示设备
CN111083538A (zh) 一种背景图像的显示方法及设备
CN112073787B (zh) 显示设备及首页显示方法
KR20040031159A (ko)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40057136A (ko) 인터넷 사이트를 채널로 할당하여 변경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셋 탑 박스
US20100281500A1 (en) Av device and ui display method
KR100379400B1 (ko) 티브이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방법
CN111459372A (zh) 一种网络列表刷新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100357155B1 (ko) 인터넷 기능을 갖는 영상기기의 인터넷 사이트 표시장치및 방법
KR100569450B1 (ko) 데이터 방송의 단축키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29398A (ko) 웹 페이지 네비게이션 방법 및 웹 페이지 네비게이션을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JP2006187018A (ja) リモコン
KR20050093449A (ko) 리모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커서 이동방법
EP1919195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