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5196A -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 Google Patents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5196A
KR20040055196A KR1020020081821A KR20020081821A KR20040055196A KR 20040055196 A KR20040055196 A KR 20040055196A KR 1020020081821 A KR1020020081821 A KR 1020020081821A KR 20020081821 A KR20020081821 A KR 20020081821A KR 20040055196 A KR20040055196 A KR 20040055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ss
delay
packet
module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5345B1 (ko
Inventor
이재섭
이규호
류근호
김태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2-008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34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5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5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3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4Traffic characterised by specific attributes, e.g. priority or QoS
    • H04L47/2458Modification of priorities while in trans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패킷 기반의 차등 서비스(DiffServ)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등 서비스망에서 클래스(class)를 갱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는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타이머 테이블을 갱신하고 마커 패킷의 생성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발생하는 타이머 타스크 모듈; 각종 테이블과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차등 서비스 제어모듈; 이전노드로부터 인입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입력모듈; 상기 타이머 타스크 모듈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커 패킷을 생성하고, 소정의 절차에 따라 상기 테이블과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패킷의 등급을 갱신하는 마커생성 및 등급 갱신모듈; 및 상기 마커생성 및 등급갱신모듈의 출력에 따라 입력 패킷을 스케쥴링하여 다음 노드로 전송하는 스케쥴러 모듈을 포함한다.
따라서 인터넷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클래스 갱신기를 이용할 경우 가입자와 서비스 제공자간 협약으로 체결된 플로우별 단대단 지연 및 손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현재 부하에 따른 동적인 차등 서비스 및 클래스 부하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Class Updater and Class Updating Method In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
본 발명은 인터넷에서 패킷 기반의 차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클래스를 갱신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터넷 분야에서 IPv6기술에 대한 표준화는 IETF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IPv6에 대한 기본적인 헤더 및 확장헤더 형식이 RFC2460에서 규정되었고, IPv6에서 서비스 품질(QoS) 보장을 위한 규격으로서 RFC2474, RFC 2475가 표준화되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QoS를 보장할 수 있는 차세대 인터넷 구조로서 차등서비스(DiffServ: Differentiated Services)방식은 DSCP(DiffServ Code Point)를 이용하여 IP 패킷에 대한 PHB(Per Hop Behavoir)를 규정한다. 차등 서비스 도메인에 도착한 사용자 플로우 패킷들에 대해 DSCP가 정해지면, 같은 DSCP코드를 가진 모든 패킷들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서로 다른 플로우들로 구성된 트래픽은 클래스(class)들로분류된다. 즉, 특정 플로우 군을 클래스로 구분하여 서비스하는 방식에 대한 표준화 기술은 각 클래스별로 요구되는 대역, 지연, 지터, 손실에 대한 협약 품질을 제공할 수 있는 틀을 제시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에서는 이들 클래스를 처리함에 있어서, 클래스간 플로우의 클래스 갱신에 대한 처리는 제공되지 않고, 고정된 클래스로만 한정하여 처리하였기 때문에 데이터 흐름의 유연성이 떨어져 운용상에서 한계점을 드러내 결국 트래픽이 요구하는 처리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요구조건으로서 지연특성에 대해 살펴보면, 단 방향 지연의 경우 즉, 입력 팝(Ingress POP)에서 한 IP 패킷을 수신한 시점부터 출력 팝(Egress POP)에서 전송할 때까지 소요 시간이 네 개의 구성성분인 PD(Propagation Delay), SPD(Switching/Processing Delay), SQD(Scheduling/Queueing Delay), 및 SD(Serialisation Delay)로 이루어져 있다. PD의 경우 광 파이버는 1000km 당 5ms, SPD는 패킷당 10~20㎲, 맨 후자인 SD의 경우는 라인속도에 의존적이어서 2Mbps 1500byte 패킷에 6ms, STM-1 80㎲, STM-64 1.25㎲이다. ITU G.114에서는 VoIP 서비스에 대한 단 방향 지연 한계 목표를 150ms로 정하고 있으며, 실제 비즈니스 데이터 응용에서는 RTT(Round Trip Time)를 250ms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볼 때 해당 라우터에서 클래스별 큐잉 지연비를 이용해 패킷을 포워딩한다하더라도 이와 같은 타 구성성분에 의해 망내 지연이 유발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플로우에 대한 방대한 상태 테이블을 유지하던 것을 각플로우를 특정 플로우별로 통합 플로우(aggregated flows)로 클래스를 부여해 처리해줌으로 코어 망 노드에서의 프로세싱 부하는 경감되었으나 클래스간 유연성 즉, 고정 클래스를 안배하여 운용함으로 특정 클래스의 버스트로 인해 야기되는 라우터 트래픽의 폭주로 인하여 잦은 경로 변경 및 장애가 발생되어 망 운용면에서 비효율적이고 지연이 많게 되어 결국 단대단 통신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플로우의 클래스 갱신 처리를 담당할 차등 서비스망에서의 클래스 갱신장치 및 클래스 갱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의 클래스 갱신기를 이용할 경우 특정 클래스로 인한 버스트 폭주를 방지함은 물론 부하 분산이 가능하며, 종래와 같이 에지 노드에서의 복잡한 수락제어 처리에 따른 단대단 지연의 역기능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는,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타이머 테이블을 갱신하고 마커 패킷의 생성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발생하는 타이머 타스크 모듈; 각종 테이블과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차등 서비스 제어모듈; 이전노드로부터 인입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입력모듈; 상기 타이머 타스크 모듈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커 패킷을 생성하고, 소정의 절차에 따라 상기 테이블과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패킷의 등급을 갱신하는 마커생성 및 등급 갱신모듈; 및 상기 마커생성 및 등급갱신모듈의출력에 따라 입력 패킷을 스케쥴링하여 다음 노드로 전송하는 스케쥴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방법은, 차등 서비스 망에 있어서, 모든 플로우에 대해 클래스를 부여하는 단계; 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특정 플로우의 단대단 지연을 측정하는 단계; 및 해당 플로우에 대해 측정된 지연시간과 요구지연시간을 비교하여 단대단 요구품질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플로우에 부여된 클래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가 포함된 차등 서비스 제공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패킷의 포맷,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의 타이머 타스크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차등서비스영역 102: 망관리서버
104: SLA서버 106: 가입자 단말기
110,120: 도메인 130: 라우터
140: 코어노드 150: 에지노드
210: 입력모듈 220: 마커생성/등급갱신모듈
230: 스케쥴러 240: 차등서비스 제어모듈
250: 테이블 및 리스트 260: 타이머 타스크 모듈
270: 지연산출모듈 280: 일양분포모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가 포함된 차등 서비스 제공 망 구성도로서,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가 적용되는 환경에서 즉, DS 도메인(110,120)들로 구성되는 DS 영역(DS Region: 10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DS영역(100)은 2개의 DS도메인(110,120)과 인터넷 차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망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망관리 서버(102)가 존재하며, 서비스 레벨 협약 내용을 제공하기 위한 SLA(service Level Agreement) 서버(10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제1 DS도메인(110)은 외부 망(인터넷: 160)을 접속시켜 줄 라우터(130)와 코어노드(140) 및 에지노드들(150)로 이루어져 있고, 에지노드(150)에는 가입자 단말기(106)가 연결되어 있다. 제2 도메인(120)은 다른 도메인과 접속하기 위한 라우터(130)와 코어노드(140), 및 에지노드들(150)로 이루어져 있고 에지노드(150)에는 가입자 단말기들(106)이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에지노드(150)나 코어노드(140)는 본 발명의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을 두고 있는 교환 시스템으로 구현되고, 에지노드(150)는 기능에 따라 인입 에지 교환 노드(ingress edge switching node)와 출구 에지 교환 노드(egress edge switching node)로 구분할 수 있으며, 코어(core)노드 또는 경계(boundary) 라우터는 에지노드들 사이를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의 전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1과 같은 차등서비스 환경에서 부하 분산과 트래픽 폭주없이 원활하게 패킷을 처리하기 위하여 차등 서비스 클래스의 부하 분산을 처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모듈(210), 마커생성/등급갱신모듈(220), 스케쥴러모듈(230), 차등서비스 제어모듈(240), 테이블 및 목록부(250), 타이머 타스크 모듈(260), 지연계산모듈(270) 및 일양분포모듈(280)로 이루어져 차등 서비스 클래스의 부하 분산을 처리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입력모듈(210)은 이전노드로부터 입력받은 패킷을 처리하여 마커 패킷을 식별하고 입력을 처리한다. 마커생성/등급갱신모듈(220)은 타이머 타스크 모듈(260)의 요구에 따라 마커 패킷을 생성하고 클래스 등급을 갱신한다. 스케쥴러 모듈(230)은 처리된 결과를 실제 동작시켜 패킷을 다음 노드로 전송한다.
즉, 입력모듈(210)에서는 기본 정의된 포트를 열고 IP 패킷들의 입력을 기다리며, 입력된 패킷에 대한 오류검증을 한다. 오류가 없는 경우, 마커 생성/등급갱신모듈(220)에서는 타이머 타스크 모듈(260)의 마커 삽입 요구에 따라 마커를 생성하고, 관련 테이블(252, 254)과 리스트(256, 258)를 바탕으로 처리가 된다. 메시지의 처리시 처리된 모든 패킷은 스케쥴러 모듈(230)의 처리를 거쳐 다음 노드로 보내지게 된다.
차등 서비스 제어 모듈(240)은 클래스 기반의 부하 분산을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의 제반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차등 서비스 제어 모듈(240)에서는 시스템 동작과 관련된 전반적인 글로벌 변수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목록 테이블들을 관리하며, 전체적인 시스템 운용 및 장애도 관리한다. 즉, 외부 망관리 서버(102) 및 SLA 서버(104)와의 정합 기능, TCA(Traffic Conditioning Agreement) 정합기능 및 운용자 명령어 정합 기능을 행한다.
테이블/목록부(250)는 클래스 등급 갱신 처리시 필요한 플로우 테이블(252)과 측정상태 타이머 테이블(254), 등급 지연 비 리스트(256)와 클래스 대역/지연 리스트(258)로 구성되어 있다. 타이머 타스크 모듈(260)은 마커 패킷 생성 기능을 수행하는데, 클래스 지연 우선순위 사이클에 따라 일정 주기로 기동이 되며, 해당 주기는 입력 모듈(210)과 연계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차등 서비스 제어 모듈(240)에서는 플로우들의 관리를 위하여 플로우 테이블(252)을 운용하게 되는데, 플로우 테이블(252)에는 다음 표 1과 같이 관리될 플로우 식별 번호인 "Fi" 필드를 가지고 있으며, 지연 등급인 "DC" 필드, 지연 요구사항인 "DR" 필드, 지연 측정치인 "MD" 필드, 그리고 최대 지연 등급을 처리하기위한 "MDC"필드를 두고 운용을 한다.
플로우 테이블
Fi DC
RD
MD
MDC
측정상태 타이머 테이블(Measuring Status Timer table)은 다음 표 2와 같이 타이머 타스크 모듈(260)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값들이 설정되어 있다.
측정 상태 타이머 테이블
ST(i) ST(i-1)
....
....
ST(i-n)
한편, 클래스 지연 비 리스트(Class Delay Ratio List)는 다음 표 3과 같고, 클래스 대역/지연 리스트(Class Bandwidth/Delay List)는 다음 표 4와 같다.
클래스 지연비 리스트
S(i) S(i-1)
.....
....
S(i-n)
등급대역/지연 리스트
B(i) B(i-1)
....
....
B(i-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커 패킷의 포맷이다. 마커 패킷 포맷(300)은 홉-바이-홉 확장 헤더(Hop-by-Hop Extension Header)를 이용하는데, IP 패킷이 차등서비스 도메인의 인입 에지 노드에 도착하면 입력 모듈(210)에서 처리 절차를 거친 후 타이머 타스크 모듈(260)의 요청에 의거 마커 생성 모듈(220)이 기동되어 필요한 필드를 채운 후 엔코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커 패킷 헤더(300)는 IP 헤더 다음에 위치하고, IP 헤더의 차 헤더부(Next Header)(310)는 마커 헤더를 가르키는 제로 값으로 채운다. 마커 패킷의 첫 4 옥텟(0~31)은 IETF의 IPv6 확장 헤더의 내용과 동일하다. 선택부(Options)의 첫 시작 비트 "D"(350) 필드는 패킷 플로우의 경로 방향을 나타내며, "0"일 경우 지연값을 산출하고 "1"일 경우 바이패스한다. 7비트의 QoS identifier(360) 필드는 동일 소스를 갖는 플로우 128개의 응용을 나타낼 수 있으며, 요구 아이디(Request IDentifier: 370) 필드는 다음 옥텟부터 계속되는 자원 요구사항 또는 지연 카운터 값을 기록하는데 따른 식별자이며, 본 발명의 마커 패킷의 경우 4 옥텟의 로칼 지연 총합 카운터인 "Local Delay Sum Counter(380)" 필드로 구성되며, 지연값이 나노초(nano second)로 나타낸다. 나머지 필드(320, 330, 340)는 IETF 확장 헤더 규정과 동일하게 적용한다. 도 2의 모듈중 일부는 호스트에 구현하여 작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01에서는 패킷 입력을 대기하여 처리하고, 단계 402에서는 타이머 타스크 모듈(260)로부터 지연 계산 요구 메시지가 도착하는지를 판단하여 메시지가 도착하면 단계 403에서 마커를 생성하고, 단계 404에서 지연을 계산한 후 단계 405에서 지연 합(Delay Sum)을 삽입하고 해당 테이블을 갱신한다.
지연계산 요구가 없으면, 단계 406에서 패킷의 종류를 판별하여 마커 패킷이면 단계 408에서 에지노드인지를 판단한다. 에지노드이면서 D비트가 1이면 단계410에서 클래스를 갱신하고, D비트가 0이면 단계 412에서 지연 합을 삽입하고 테이블을 갱신한 후, 단계 413에서 마커 패킷 복귀(Return)를 처리한다. 마커패킷이고 에지노드가 아니며, D비트가 0이면 단계 412에서 지연 합을 삽입하고, 테이블을 갱신한 후 단계 413에서 마커 패킷 복귀를 처리한다.
복귀처리 처리 후 혹은 마커 패킷이 아니거나 에지노드가 아니고, D비트가 0이 아니면 입력패킷을 다음 노드로 전송한다(단계 414).
이와 같이 입력된 패킷이 마커이고 자신의 노드가 본래의 마커를 보낸 에지 라우터임을 확인하여 에지노드인 경우 D 비트를 검사한다. 이때 D 비트가 1인 경우 등급 갱신 프로세스인 단계 410이 수행된다.
또한 단계 408에서 에지가 아닌 코어 라우터의 경우, 마커 패킷의 D 비트를 확인하는 단계(411)를 거쳐 D비트가 0인 경우 로컬 지연 값과 관련 테이블 값을 산출하고 갱신한다(412). 단계 411에서 0이 아닌 경우, 스케쥴러는 다음 노드로 전송한다(414).
한편, 단계 412를 거친 후에는 IP의 소스(source)와 목적지(destination) 어드레스를 교체하고, 마커 패킷의 D비트를 1로 셋팅하는 패킷 반환 처리를 한다(413).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플로우의 클래스를 보정하는 알고리즘으로 해당 플로우에 대한 단대단 평균 지연값에 대한 추정치와, 이 값이 플로우가 취할 수 있고 또한 요구되는 평균 지연값과 부합되도록 해당 플로우의 지연 클래스를 변경해 준다. 그러므로 마커 패킷 포맷의 QoS ID(360)필드와 요구 ID(370) 필드를 이용해 해당 플로우 식별자인 "Fi"를 구분하여 마커 패킷을 측정한 후 반환 도착시 플로 테이블(252)의 해당 Fi에 대응하는 필드 값을 측정값으로 대체한다.
이러한 보정 알고리즘은 도 1의 차등 서비스망내 라우터(노드)에 상주되어 실행된다. 이때, 등급갱신 모듈(220)은 마커(marker)를 이용해 각 플로우들에 대한 단대단 평균 지연값을 산출해 낸다. 이 값이 요구치 DR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플로우의 최대 지연 클래스 MDC 범위안에서 차상위 지연 클래스로 변경시킨다.
한편, 해당 플로우를 하위 지연 클래스로 변경시키는 경우는 클래스별 지연비 목록(256)의 지연 비를 이용해서 하위 클래스에 대한 평균 지연을 구하고, 그 결과 다음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 한하여 변경한다.
여기서, d는 지연값을, i는 지연 클래스를, i-1는 하위 지연 클래스, f는 플로우를, RD는 평균 지연 요구치이다. 즉, 지연 클래스 갱신처리시(410), 또한 지연 클래스를 변동해 주었으나 급히 또 변경해야하는 실익이 덜한 경우를 배제하기 위해 도 2의 일양 분포모듈(uniform distribution module)(280)이 기동되며, 상기 수학식의 "k"는 일양 분포를 이루는 임의로 택한 확률변수 (0,1) 사이의 값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등급 갱신기의 타이머 타스크 동작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타이머 타스크모듈(260)은 무한 루프를 돌면서 각 입력 플로우에 대한 평균 버스트 크기를 산출하고, 제한값을 초과시 플로우별 마커 패킷 생성 모듈 구동 테이블 값을 수정해주고 이를 새롭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해당 지연 산출 제어 요구메시지를 시스템 프로세스에 알리는 역할을 한다.
먼저, 타이머 이벤트가 처리될 때까지 무한 루프를 수행하면서 기다리다가(501), 타이머 이벤트에 의하여 동작되면 플로우별 평균 버스트 크기를 측정한다(502). 평균 버스트 크기가 설정된 한계치를 초과하는지 확인하고(503), 초과시 측정 상태 타이머(254)의 타이머값을 변경한다(504). 이후 지연산출을 알리는 메시지를 생성한다(505). 이때 상기 단계 503의 검사 결과 제한치를 초과하지 않은 플로우에 대해서는 기 설정된 타이머 테이블(254)에 의해 마커 패킷이 생성되도록 그대로 두고, 다음 플로우에 대한 이벤트가 올 때까지 기다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터넷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 클래스 갱신기를 이용할 경우 가입자와 서비스 제공자간 협약으로 체결된 플로우별 단대단 지연 및 손실 요구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현재 부하에 따른 동적인 차등 서비스 및 클래스 부하 분산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대칭 특성으로 인한 RTT(Round Trip Time)의 오류를 배제할수 있는 신뢰성을 제공하고, 등급갱신을 적용할 경우 클래스 조정으로 인해 필요 이상의 플로우들이 이동함으로 인한 클래스간 왕복현상의 빈발 및 지연 한계치를 넘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추가 에이젼트, 예를 들면 BB(bandwidth Broker)같은 시스템을 필요로 하지 않고 차등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며, 비례적 차등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유지하되 VoIP 서비스 등 실시간 서비스에도 적응할 단대단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으며, 또한 절대적 차등 모델에도 유연하게 마커 패킷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을 설명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소정 알고리즘에 따라 타이머 테이블을 갱신하고 마커 패킷의 생성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발생하는 타이머 타스크 모듈;
    각종 테이블과 리스트를 관리하기 위한 차등 서비스 제어모듈;
    이전노드로부터 인입된 패킷을 처리하기 위한 입력모듈;
    상기 타이머 타스크 모듈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마커 패킷을 생성하고, 소정의 절차에 따라 상기 테이블과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입력모듈을 통해 입력된 패킷의 등급을 갱신하는 마커생성 및 등급 갱신모듈; 및
    상기 마커생성 및 등급갱신모듈의 출력에 따라 입력 패킷을 스케쥴링하여 다음 노드로 전송하는 스케쥴러 모듈을 포함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급 갱신장치는 잦은 지연 클래스의 변동을 배제하기 위한 일양 분포모듈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은 플로우 테이블과 타이머 테이블로 이루어지고, 상기 리스트는 등급 지연 비 리스트와 등급대역/지연 리스트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패킷의 포맷은
    처음 4옥텟이 넥스트 헤더와, 헤더 확장길이, 타이프, 길이로 이루어지고, 이어지는 옵션의 두번째 4옥텟이 1비트의 D 필드와 7비트의 서비스 품질 식별자, 3옥텟의 요구 식별자로 이루어지고, 이어지는 세번째 4옥텟이 로컬 지연 합 카운터인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D 필드는 패킷 플로우의 경로 방향을 나타내며, "0"일 경우 지연값을 산출하고 "1"일 경우 바이패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장치.
  6. 차등 서비스 망에 있어서,
    모든 플로우에 대해 클래스를 부여하는 단계;
    마커 패킷을 생성하여 특정 플로우의 단대단 지연을 측정하는 단계; 및
    해당 플로우에 대해 측정된 지연시간과 요구지연시간을 비교하여 단대단 요구품질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플로우에 부여된 클래스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스를 변경하는 단계는,
    측정된 지연시간이 요구지연시간보다 크면, 최대지연 클래스 범위내에서 차상급 클래스로 변경하고, 지연시간이 요구지연시간보다 작으면 차하급 클래스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차하급 클래스로의 변경은,
    소정의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만 변경하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등 서비스망에서 등급 갱신방법.
KR10-2002-0081821A 2002-12-20 2002-12-20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KR10052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21A KR100525345B1 (ko) 2002-12-20 2002-12-20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1821A KR100525345B1 (ko) 2002-12-20 2002-12-20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5196A true KR20040055196A (ko) 2004-06-26
KR100525345B1 KR100525345B1 (ko) 2005-11-02

Family

ID=3734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1821A KR100525345B1 (ko) 2002-12-20 2002-12-20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34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723B1 (ko) * 2004-09-30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 IPv6에서 플로우별 QoS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949808B1 (ko) * 2007-12-07 2010-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2p 트래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65349A (ko) 2022-11-03 2024-05-1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경로 탐색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0500B1 (ko) 2007-10-25 2014-05-2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등화 서비스 시스템에서 통계적 스케쥴링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723B1 (ko) * 2004-09-30 2007-03-12 주식회사 케이티 IPv6에서 플로우별 QoS 제어방법 및 시스템
KR100949808B1 (ko) * 2007-12-07 2010-03-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2p 트래픽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8146133B2 (en) 2007-12-07 2012-03-2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2P traffic
KR20240065349A (ko) 2022-11-03 2024-05-14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경로 탐색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5345B1 (ko)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l-Gendy et al. Evolution of the Internet QoS and support for soft real-time applications
US79340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d assigning application-specific flows
US6862291B2 (en) Method and system for quality of service provisioning for IP virtual private networks
US6914883B2 (en) Qo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a high-speed DiffServ-capable network element
US9094349B2 (en) Aggregated resource reservation for data flows
KR20050061237A (ko) 서비스 품질 보장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748095B1 (ko) 이동 인터넷 프로토콜(ip)을 수용하는 광대역 통합망에서서비스품질 제공 방법 및 시스템
Menth Efficient admission control and routing for resilient communication networks
Ahmed et al. Implementing MPEG-4 video on demand over IP differentiated services
KR100525345B1 (ko) 차등 서비스망에서 플로우 클래스 갱신장치 및 갱신방법
Dimitriou et al. Promoting effective service differentiation with Size-oriented Queue Management
Shaikh et al. End-to-end testing of IP QoS mechanisms
Onali Quality of service technologies for multimedia applications in next generation networks
Ziviani et al. Evaluating the expedited forwarding of voice traffic in a differentiated services network
Domżał et al. Guide to Flow-Aware Networking: Quality-of-Service Architectures and Techniques for Traffic Management
Ahmed et al. Implementation of Class-Based Low Latency Fair Queueing (CBLLFQ) packet scheduling algorithm for HSDPA core network
KR100585229B1 (ko) 서비스 품질 제공 방법과 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Baraković et al. Prioritizing Signaling Information Transmission in Next Generation Networks.
Pujolle Management, control and evolution of IP networks
F AL-Allaf et al. Simevents/Stateflow base Reconfigurable Scheduler in IP Internet Router
Gundersen et al. QoS for real-time IP traffic
Kim et al. A dynamic admission control scheme in a DiffServ domain
Bingöl QoS for real-time IP traffic
de Castro et al. Comparing application performance on distinct ip packet scheduling configurations
Fàbrega i Soler Admission control schemes for TCP elastic traffic in class-based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