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2807A - 동축콘넥터의 구조 - Google Patents

동축콘넥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2807A
KR20040052807A KR1020040031816A KR20040031816A KR20040052807A KR 20040052807 A KR20040052807 A KR 20040052807A KR 1020040031816 A KR1020040031816 A KR 1020040031816A KR 20040031816 A KR20040031816 A KR 20040031816A KR 20040052807 A KR20040052807 A KR 20040052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xial connector
insulator
outer conductor
conductor
dow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3698B1 (ko
Inventor
장경덕
Original Assignee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1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698B1/ko
Publication of KR2004005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축콘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고정하는 외부도체 및 이 외부도체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한쌍으로 제공되어 각기 PCB 기판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동축콘넥터 구조에 있어 수평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절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부도체보다 소정구간 더 돌출되도록 하고 이 절연체의 단부에 하향의 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에 상기 중심도체가 하향 안내되면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부도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단부와 동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수평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동축콘넥터는, 수평한 PCB 기판상에의 솔더 작업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며 작업자가 육안으로 작업위치를 쉽게 확인하면서 작업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따라 작업의 안정성에 의한 작업불량의 최소화는 물론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축콘넥터의 구조{A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라디오 위성방송 송수신기 또는 유무선 통신장비 등에 사용되는 동축콘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축콘넥터를 기판(PCB)에 부착시킬 때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며 그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성 향상과 품질의 안정성은 물론 제품의 양산이 가능하도록 한 동축콘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축콘넥터는, 적정한 임피던스를 유지하면서 암수 한쌍의 동축콘넥터 내부 유전체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이며, 유무선통신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에 구비되어 이들을 연결 또는 장비들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용되고 그 용도와 성능 및 결합구조에 따라 N형, DIN형, TNC형, BNC형, SMA형, SMB형, SMC형 등 이외에도 많은 종류의 콘넥터로 구분된다.
여기서, 각 종류의 형태마다 전기적인 특성과 임피던스가 다르므로 적용시 그 성능과 용도에 맞추어 설계 고안하여 적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동축콘넥터는 PCB 기판상에 부착되어 적용 또는 동축케이블에 연결하여 사용되는데, 이때 동축콘넥터는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에서 PCB 기판상에 밀착된 다음 솔더(SOLDER)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동축콘넥터를 이루는 중심도체가 PCB 기판상에 정확하게 밀착 또는 위치되지 않거나 중심도체와 기판상의 간격이 발생되면 솔더(SOLDER) 작업시 또는 작업후 접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솔더 작업시 중심도체를 기판상에 밀착시켜야 하는데 중심도체의 외경이 작아 작업자는 쉽게 정확한 위치에 밀착시키지 못하는 한계성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부착되는 동축콘넥터의 중심도체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지그를 통해 자동으로 안정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그 부착면이 넓게 분포되어 밀착후 솔더작업이 용이하고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콘넥터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B-B"선 측단면 적용상태도,
도 3은 도 2에서 동축콘넥터를 이루는 제1중심도체와 제1외부도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좌측면 요부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동축콘넥터를 이루는 제2중심도체와 제2외부도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우측면 요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210: 제1,2하우징 112,212: 결합홀
214: 가이드홈
120,220: 제1,2외부도체 122,222: 걸림돌기
124,224: 결합단 130,230: 제1,2절연체
134: 안내홈
140,240: 제1,2중심도체 142,242: 절곡단
144: 밀착편 146: 가공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고정하는 외부도체 및 이 외부도체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한쌍으로 제공되어 각기 PCB 기판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동축콘넥터 구조에 있어서,
수평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절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부도체보다 소정구간 더 돌출되도록 하고 이 절연체의 단부에 하향의 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에 상기 중심도체가 하향 안내되면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부도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단부와 동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수평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중심도체의 절곡단 단부에 소정면적을 갖는 밀착편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밀착편의 밀착면 중심위치에는 가공홈이 하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밀착면의 테두리가 라운딩면이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외부도체의 외측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가 방지되도록 걸림돌기를 형성함이 바람직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고정하는 외부도체 및 이 외부도체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한쌍으로 제공되어 각기 PCB 기판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동축콘넥터 구조에 있어서,
수직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중심도체가 상기 절연체로부터 돌출되어 하향의 절곡단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절곡단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안내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절곡단의 외측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도체에 결합단이 하향 전개되도록 하여 상기 절곡단과 결합단이 상기 수직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고정하는 외부도체 및 이 외부도체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한쌍으로 제공되어 각기 PCB 기판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동축콘넥터 구조에 있어서,
수평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절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부도체보다 소정구간 더 돌출되도록 하고 이 절연체의 단부에 하향의 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에 상기 중심도체가 하향 안내되면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부도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단부와 동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수평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중심도체가 상기 절연체로부터 돌출되어 하향의 절곡단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절곡단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안내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절곡단의 외측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도체에 결합단이 하향 전개되도록 하여 상기 절곡단과 결합단이 상기 수직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축콘넥터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종래 공지된 부분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에 의하여 본 발명은, 동축콘넥터를 이루며 암수 한쌍으로 결합되는 중심도체와 외부도체가 각기 수직면과 수평면을 이루는 PCB 기판상에 각기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결합하는 외부도체와, 이 외부도체를 결합하는 하우징이 각기 한 쌍으로 제공되어 상기 중심도체와 외부도체의 암수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동축콘넥터는 암수 한 쌍의 제1,2하우징(110)(210)과, 상기 하우징에 각기 결합되며 서로 암수 결합되는 제1,2외부도체(120)(220)와, 상기 외부도체내에 각기 제공되는 제1,2절연체(130)(230)와, 이 절연체에 제공되어 상기 제1,2외부도체(120)(220)의 결합에 따라 전기적 접속되는 제1,2중심도체(140)(2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2하우징(110)(21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서로 대응하는 면에는 상기 제1,2외부도체(120)(220)를 각기 대응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함홀(112)(212)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결합홀(112)(212)의 타측에는 가이드부재와 가이드홈 및 연결단자의 암수 접속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2하우징(110)(210)의 대응 결합시 상기 제1,2외부도체(120)(220)와 함께 결합된다.
상기 제1,2외부도체(120)(220)는, 그 외주면에 상기 결합홀(112)(212)에 걸림되어 슬라이드가 방지되도록 걸림돌기(122)(222)가 형성된다. 그리고, 서로 대응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2하우징(110)(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2외부도체(120)(220)의 각각 단부에는 하향의 결합단(124)(2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외부도체(120)의 결합단(124)은 그 단부가 기판의 수평면에 솔더 작업되는 것이고, 상기 제2외부도체(220)의 결합단(224)은 그 외측단이 기판의 수직면에 솔더 작업되는 것이다.
또한, 서로 대향 결합되는 단부에는, 서로 억지 결합될 수 있도록 제1외부도체(120)에는 잭이 그리고 제2외부도체(220)에는 플러그단이 형성된다.
상기 제1,2절연체(130)(230)는, 상기 제1,2외부도체(120)(220)내의 중심홀에 끼워져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것이며, 그 내측 중심에는 상기 제1,2중심도체(140)(240)가 각기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절연체(130)는, 상기 제1외부도체(120)를 통과하여 소정구간 더 연장되게 형성되며, 그 단부에는 하향의 안내홈(13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절연체(130)를 몸체로 부터 소정구간 더 연장하는 것은 기판상의 솔더 작업시 작업자가 육안 식별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1중심도체(140)와 상기 제1외부도체(120)의 결합단과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여 전기적 특성을 안정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제1,2중심도체(140)(240)는, 상기 제1,2절연체(130)(230)내에 고정되는 것이며, 제1중심도체(140)는 상기 제1절연체(130)의 안내홈(134)을 통해 상기 안내홈(134)에 삽입되는 상태로 하향 절곡된 절곡단(142)이 형성되어 상기 제1외부도체(120)의 결합단(124)과 그 단부가 동일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중심도체(140)의 절곡단(142) 단부에 원판형상의 밀착편(144)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착편(144)의 밀착면 중심위치에는 가공홈(14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착편(144)의 테두리는 라운딩 또는 모따기로 가공된다.
한편, 상기 제2중심도체(240)는, 상기 제2절연체(230)의 단부로부터 하향 절곡되는 절곡단(242)이 형성되어 상기 제2외부도체(220)의 결합단(224) 측면과 동일면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하우징(210)의 결합홀(212) 노출단부에는, 상기 제2외부도체(220)의 결합단(224)과 제2중심도체(240)의 절곡단(242)이 안내되어 상기 제2하우징(210)으로부터 돌출 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214)이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동축콘넥터의 조립 및 결합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2절연체(130)(230)에 제1,2중심도체(140)(240)가 각기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면 되는데, 이때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절연체(130)의 단부에 하향의 안내홈(134)이 형성되도록 한 후 이 안내홈(134)에 제1중심도체(140)의 일측 밀착편(144)이 형성된 절곡단(142)이 절곡되면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절연체(23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중심도체(240)가 소정폭 돌출상태로 절곡단(242)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런다음 상기 제1,2절연체(130)(230)를 제1,2외부도체(120)(220)내에 각기 끼워서 고정하고, 이를 상기 제1,2하우징(110)(210)의 결합홀(112)(212)에 상기 제1,2외부도체(120)(220)가 서로 대응 조립되는 상태로 끼워맞춤 시키는 것으로 그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같이 조립된 암수 한쌍의 동축콘넥터를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PCB 기판상의 수평면(H)에 솔더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먼저 기판상의 솔더 작업 위치에 제1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된 제1중심도체(140)의 절곡단(142) 밀착편(144)과 제1외부도체(120)의 결합단(124) 단부를 위치시킨 후 솔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수직면(V)에의 솔더 작업시에는, 기판 상의 솔더 작업 위치에 상기 제2중심도체(240)의 절곡단(242) 외측과 제2외부도체(220)의 결합단(224) 외측을 위치시킨후 솔더 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축콘넥터의 구조는, 수평한 PCB 기판상에의 솔더 작업시 솔더 작업되는 동축콘넥터의 중심도체 단부가 소정구간 돌출된 상태에서 밀착편에 의해 안정된 밀착력을 가지며 솔더 작업이 수행되므로써, 전기적 특성을 최대한 유지시킨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고 더불어 작업자가 육안으로 작업위치를 쉽게 확인 가능하게 되며 이에따라 작업불량의 최소화는 물론 합선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심도체에 제공되는 밀착편이 비교적 넓게 이루어져 기판 상에의 솔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도체가 이를 감싼 하우징으로 부터 걸림 고정되어 외력 발생시 쉽게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한 PCB 기판상에서의 솔더 작업시 이에 해당하는 중심도체가 하우징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상태로 솔더 작업위치에 위치할 수 있어 솔더 작업이 안정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고정하는 외부도체 및 이 외부도체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한쌍으로 제공되어 각기 PCB 기판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동축콘넥터 구조에 있어서,
    수평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절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부도체보다 소정구간 더 돌출되도록 하고 이 절연체의 단부에 하향의 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에 상기 중심도체가 하향 안내되면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부도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단부와 동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수평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콘넥터의 구조.
  2.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고정하는 외부도체 및 이 외부도체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한쌍으로 제공되어 각기 PCB 기판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동축콘넥터 구조에 있어서,
    수직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중심도체가 상기 절연체로부터 돌출되어 하향의 절곡단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절곡단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안내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절곡단의 외측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도체에 결합단이 하향 전개되도록 하여 상기 절곡단과 결합단이 상기 수직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콘넥터의 구조.
  3. 중심도체와, 이 중심도체를 감싸는 절연체와, 이 절연체를 고정하는 외부도체 및 이 외부도체를 고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암수 한쌍으로 제공되어 각기 PCB 기판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동축콘넥터 구조에 있어서,
    수평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절연체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외부도체보다 소정구간 더 돌출되도록 하고 이 절연체의 단부에 하향의 안내홈을 형성하며 상기 안내홈에 상기 중심도체가 하향 안내되면서 절곡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부도체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단부와 동일 수평을 이루며 상기 수평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수직면에 결합되는 상기 동축콘넥터의 중심도체가 상기 절연체로부터 돌출되어 하향의 절곡단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절곡단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안내홈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절곡단의 외측과 동일면을 유지하도록 상기 외부도체에 결합단이 하향 전개되도록 하여 상기 절곡단과 결합단이 상기 수직면에 밀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콘넥터의 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도체의 절곡단 단부에 원판형상의 밀착편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밀착편의 밀착면 중심위치에는 하향 개방된 가공홈이 그리고 외측 테두리가 라운딩 처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콘넥터의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도체의 외측에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드가 방지되도록 걸림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축콘넥터의 구조.
KR1020040031816A 2004-05-06 2004-05-06 동축콘넥터의 구조 KR10059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816A KR100593698B1 (ko) 2004-05-06 2004-05-06 동축콘넥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816A KR100593698B1 (ko) 2004-05-06 2004-05-06 동축콘넥터의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055U Division KR200368745Y1 (ko) 2004-09-01 2004-09-01 동축콘넥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2807A true KR20040052807A (ko) 2004-06-23
KR100593698B1 KR100593698B1 (ko) 2006-06-30

Family

ID=37346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816A KR100593698B1 (ko) 2004-05-06 2004-05-06 동축콘넥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6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09B1 (ko) * 2007-07-06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1310396B1 (ko) * 2011-12-30 2013-09-17 손호원 커넥터
KR20190037792A (ko) * 2017-09-29 2019-04-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동축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9156A (en) * 1985-06-24 1987-04-21 Amp Incorporated Coaxial connector with circuit board mounting features
US4702707A (en) * 1986-08-15 1987-10-27 Amp Incorporated Power contact having removable mating components
US4904206A (en) * 1988-04-12 1990-02-27 Amp Incorporated High voltage coaxial connector
US6036545A (en) * 1996-11-27 2000-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Decoupled BNC conn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409B1 (ko) * 2007-07-06 2009-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동축 케이블 커넥터
KR101310396B1 (ko) * 2011-12-30 2013-09-17 손호원 커넥터
KR20190037792A (ko) * 2017-09-29 2019-04-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동축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698B1 (ko) 2006-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0941B2 (en) Coaxial plug-and-socket connector having resilient tolerance compensation
US11715892B2 (e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591268B2 (en) Electrical plug-in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US6386913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icro co-axial conductors
US5145382A (en) Molded plastic surface-mountable coaxial connector
EP0935315A1 (en) Stacking coaxial connector for three printed circuit boards
US20190280439A1 (en) Connector
US11114806B2 (en) Coaxial connector device having main connector to which cable is connected and board connector to which main connector is connected
CN110710058B (zh) 多针脚连接器插头块组件
MXPA05000855A (es) Conector coaxial terminal.
US10847907B2 (en) Inner conductor element
US20030224658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1862913B2 (en) Electric connector,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ment and method for assembling a printed circuit board arrangement
US5044990A (en) RF coaxial connector
KR100593698B1 (ko) 동축콘넥터의 구조
KR101311738B1 (ko) 인쇄회로기판 결합 커넥터 및 인쇄회로기판과 커넥터 간 결합방법
US6428355B1 (en) Coaxial cable assembly
KR200368745Y1 (ko) 동축콘넥터의 구조
KR102309404B1 (ko) 기판연결용 커넥터
CA2199758C (en) Connector kit,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connector assembly
US7491087B2 (en) Right angled connector
EP1566862A1 (en) Right angled connector
CN111755866B (zh) 连接器和连接器制造方法
JPH09283223A (ja) 電気コネクタ
KR200318713Y1 (ko) 도체핀을 갖는 동축 콘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