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1134A - 수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1134A
KR20040051134A KR1020020078991A KR20020078991A KR20040051134A KR 20040051134 A KR20040051134 A KR 20040051134A KR 1020020078991 A KR1020020078991 A KR 1020020078991A KR 20020078991 A KR20020078991 A KR 20020078991A KR 20040051134 A KR20040051134 A KR 20040051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gate
winch
sluice
rack b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길중
Original Assignee
윤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길중 filed Critical 윤길중
Priority to KR102002007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1134A/ko
Publication of KR20040051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11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2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with racks actuated by 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문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권양기와 연결축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2보조권양기로 이루어진 권양장치로써 수문을 상승 및 하강시켜 수로상의 방출로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 양단에는 수직으로 래크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문 전후면 양단에는 판형의 제 1패킹부재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수문의 승하강시 수밀을 유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문의 양단에 랙크바를 일체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종래에 수문과 랙크바를 별도로 제작되는 것에 비하여 제작비용 및 연장설치 시공의 공기를 단축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종래와 같이 권양기가 설치되는 설치대가 설치되지 않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설치높이를 최소화하게 되어 설치시공 및 설치 시공기간을 단축하고, 그 조작 및 보수, 관리에 따른 작업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었고, 그리고 수문의 전후면 양측에 판형 패킹부재와 문틀에는 P형 패킹부재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1,2차로 차수를 하게 됨과 동시에 랙크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문 개폐장치{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A FLOODGATE}
본 발명은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문의 양단에 랙크바를 일체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제작비용 및 연장설치 시공의 공기를 단축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수문의 전후면 양측에 판형의 제 1패킹부재와 문틀에는 P형의 제 2패킹부재를 각각 구비하게 됨으로써 1,2차로 차수를 하게 됨과 동시에 랙크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수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개수로, 하천 및 저수지 등의 수로는 농지관리나 관개용수 등에 적절히 활용하기 위하여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였다가 필요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로에는 수문을 개폐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가뭄시에는 물을 저장하고, 장마 등으로 물의 양이 많을 때에는 물을 방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 수문 개폐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수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100)을 개방시에는 수동 및 전동으로 권양기(200) 내부의 피니언기어(미도시)를 회전시켜 수문(100)의 중앙이나 양측방의 상부에 연결된 래크바(300)를 상승시킴에 따라 수문(100)을 들어 올려 수로의 방출로(400)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수문(100)의 폐쇄시에는 권양기(200)의 브레이크수단(미도시)의 해제에 의한 피니언기어의 역회전으로 수문(100)을 자중에 의해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수문 개폐장치는 수문(100)의 개방시 상부에서 들어올리는 구조로 이루어져 수문(100)의 완전히 개방하기 위해서는 구조물(500)의 상부로 최소한 수문(100)의 높이보다 더 높은위치(1.2~2배의 높이)로 별도의 설치대(600)를 축조하여 설치대(600) 상에 설치되는 권양기(200)에 의해 수문(100)을 상부로 들어 올려 개방시켜야 됨으로써 이를 조작하거나 보수, 관리하기 위해서는 상단한 높이에 위치하는 설치대(600)를 사다리나 계단 등을 이용하여 올라가야 하는 번거러움과 위험성이 발생되었으며, 또한, 구조물(500)의 상부에 설치대(600)를 부가적으로 축조함에 따라 시공비의 상승과 시공기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경제적인 불이익이 발생되었고, 그리고 수문(100)을 높은 위치로 래크바(400)를 이용하여 들어올리거나 이를 자중에 의해 낙하시킴에 따라 권양기(200), 수문(100) 및 래크바(300)에 가해지는 충격 및 응력이 크게 작용하여 손상의 우려가 발생되고, 수문(100)의 유동이 심하여 작동 불량으로 개폐가 용이하지 않게 되었으며, 또한 수문(100)과 래크바(300)를 따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됨으로써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 등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완벽한 수밀을 유지하여 수문의 개폐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수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수문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권양기와 연결축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2보조권양기로 이루어진 권양장치로써 수문을 상승및 하강시켜 수로상의 방출로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 양단에는 수직으로 래크바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문 전후면 양단에는 판형의 제 1패킹부재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수문의 승하강시 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수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이 닫힌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동작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 : 문틀 10 : 권양장치
15,16 : 제 1,2보조권양기 17 : 피니언기어
20 : 수문 30 : 랙크바
31,32 : 수직편 31a : 안내홈
34 : 횡봉 40,50 : 제 1,2패킹부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이 닫힌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장치의 동작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문 개폐장치는 크게 권양장치(10), 수문(20) 및 래크바(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양장치(10)는 수문구조물(6) 상부에 설치되는 권양기(12)와, 권양기(12) 양측의 수문구조물(6)에 설치되고, 권양기(12)와 연결축(13)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2보조권양기(15)(16)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2보조권양기(15)(16) 내부에는 상호 대응되게 피니언기어(17)가 회전 가능하게 축설되고, 권양기(12)와 제 1,2보조권양기(15)(16)를 연결되는 연결축(13)은 수문(20)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가변하게 된다.
그리고, 수문구조물(6)은 수로상에 방출로(5)를 형성하도록 축조되고, 별도의 구조물 없이 상부에 권양장치(10)가 설치되고, 수문(20)이 승하강되는 작동공(7)이 형성되며, 그 상단은 제방(논둑)과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로상의 측벽에는 수문(2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문틀(8)이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문(20)은 장방형의 구조물로서 양단에는 수직으로 한쌍의 래크바(30)가 일체로 형성되어 권양장치(10)의 제 1,2보조권양기(15)(16)에 축설된 피니언기어(17)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문(20)의 전후면 양단에는 판형의 제 1패킹부재(40)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수문(20)의 승하강시 차수하여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1패킹부재(40)는 수문(20)의 전후면 양단에 수직으로 일측이 부착되어 수문(20)의 승하강시 타측이 수로의 격벽에 만곡지게 면접촉으로 밀착되어 차수하여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래크바(30)는 수문(20)의 양단에 상부가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ㄷ'자형 안내홈(31a)이 형성된 수직편(31)(32)과, 수직편(31)(31)의 안내홈(31a) 내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제 1,2보조권양기(15)(16)의 피니언기어(17)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횡봉(3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수문(20)이 승하강되고, 수로의 측벽에 형성된 문틀(8)에는 P형의 제2패킹부재(50)가 구비되어 문틀(8) 내부로 물이 유입되고, 랙크바(3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7에서와 같이 수문(20)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로상에 방출로(5)가 형성되도록 축조된 수문구조물(6) 상부 권양장치(10)의 권양기(12)를 동작시키게 된다. 그러면, 권양기(12)가 동작되어 그 회전력을 연결축(13)으로써 제 1,2보조권양기(15)(16)로 전달하여 제 1,2보조권양기(15)(16)의 피니언기어(17)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17)에 맞물리고, 수문(20)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래크바(30)가 피니언기어(17)를 타고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수문(20)이 상승되어 수로의 방출로(5)를 개방시키게 된다.
즉, 수문(20)의 양단에 상부가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된 'ㄷ'자형 수직편(31)(32)의 횡봉(34)이 피니언기어(17)에 맞물린 상태에서 피니언기어(17)를 순차적으로 타고 넘게 됨으로써 수문(20)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수문(20)은 수로상의 측벽에 대응되게 형성된 문틀(8)에 안내되어 상승하게 되고, 수문 구조물(6)의 작동공(5)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개방된 수문(20)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권양장치(10)의 브레이크수단(미도시) 해제에 의한 피니언기어(17)의 역회전으로 수문(20)을 자중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수로의 방출로(5)를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로의 측벽에 형성된 문틀(8)에는 P형의 제 2패킹부재(50)가 구비되어 있어 문틀(8)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로 차단하게 되고, 랙크바(3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수문(20)의 전후면 양단에 일측이 부착 고정된 판형의 제 1패킹부재(40)의 타측면이 수로의 격벽에 만곡지게 면접촉으로 밀착되면서 2차로 물을 차단하게 됨으로써 확실한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도 6참조)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의 수문 개폐장치에 의하면, 수문의 양단에 랙크바를 일체로 형성하게 됨으로써 종래에 수문과 랙크바를 별도로 제작되는 것에 비하여 제작비용 및 연장설치 시공의 공기를 단축시키게 되었으며, 또한 종래와 같이 권양기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대가 구비되지 않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설치 높이를 최소화하게 되어 설치시공 및 설치 시공기간을 단축하게 되었으며, 그 조작 및 보수, 관리에 따른 작업성, 안전성을 우수하게 제공하게 되었고, 그리고 수문의 전후면 양측에 판형의 제 1패킹부재와 문틀에는 P형의 제 2패킹부재를 구비하게 됨으로써 1,2차로 차수를 하게 됨과 동시에 랙크바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수문구조물 상부에 설치되는 권양기와, 상기 권양기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권양기와 연결축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2보조권양기로 이루어진 권양장치로써 수문을 상승 및 하강시켜 수로상의 방출로를 개폐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수문(20) 양단에는 수직으로 래크바(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수문(20) 전후면 양단에는 판형의 제 1패킹부재(40)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수문(20)의 승하강시 수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바(30)는
    상기 수문(20)의 양단에 상부가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안내홈(31a)이 형성된 수직편(31)(32); 및
    상기 수직편(31)(31)의 안내홈(31a) 내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2보조권양기(15)(16)의 피니언기어(17)에 걸리게 되는 다수의 횡봉(34);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문(20)의 승하강을 안내하는 문틀(8)에는 P형의 제 2패킹부재(50)가 구비되어 상기 문틀(8)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상기 랙크바(30)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장치.
KR1020020078991A 2002-12-12 2002-12-12 수문 개폐장치 KR20040051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91A KR20040051134A (ko) 2002-12-12 2002-12-12 수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991A KR20040051134A (ko) 2002-12-12 2002-12-12 수문 개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145U Division KR200310479Y1 (ko) 2002-12-12 2002-12-12 수문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1134A true KR20040051134A (ko) 2004-06-18

Family

ID=3734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991A KR20040051134A (ko) 2002-12-12 2002-12-12 수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11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4969A (zh) * 2014-07-25 2016-01-27 (株)Sh机术 提升式闸门装置的门框板
KR102040831B1 (ko) * 2019-02-08 2019-11-05 (주)현대워터텍 모터 구동에 의한 랙 방식의 수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74969A (zh) * 2014-07-25 2016-01-27 (株)Sh机术 提升式闸门装置的门框板
KR102040831B1 (ko) * 2019-02-08 2019-11-05 (주)현대워터텍 모터 구동에 의한 랙 방식의 수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4672B1 (ko) 유압식 전도 수문
KR20060111885A (ko) 사이펀 통로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보 수문
KR200310479Y1 (ko) 수문 개폐장치
KR200382030Y1 (ko) 펌프 일체형 수문
KR20050118116A (ko) 권양기 수문의 구성방법
KR20040051134A (ko) 수문 개폐장치
CN211257253U (zh) 一种高扬程泵站前池进水口防堵疏通装置
KR100995969B1 (ko) 수문 시스템
KR20090027496A (ko) 합류식 하수 시스템의 우수토실 유량조절장치
CN211171847U (zh) 一种水利工程闸道装置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KR20090001585U (ko) 수문 인양장치
KR200427614Y1 (ko) 수동식 수문개폐장치
KR200180807Y1 (ko) 유압을 이용한 수문개폐장치
KR100919132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CN220666142U (zh) 一种水闸门控制装置
KR200286182Y1 (ko) 와이어로프식 수문장치
KR100684364B1 (ko) 셔터 수문
KR200327214Y1 (ko) 수문
KR200329971Y1 (ko) 와이어를 이용한 상,하승강식 유압식 수문
KR102129969B1 (ko) 두 가지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는 멀티 핀 잭과 분리된 이중 수문
CN215367707U (zh) 一种下水道井盖
JP4046517B2 (ja) 段階的開閉式ゲートポンプ設備
KR20020059995A (ko) 수문장치
CN117385993B (zh) 一种防堵井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